평일강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 ’22/08/22 월요일

인쇄

심흥보 [peters1] 쪽지 캡슐

2022-08-13 ㅣ No.5120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 ’22/08/22 월요일

 

1900년 무렵부터 마리아께 여왕의 영예가 주어져야 한다는 요청이 많았습니다. 1925년 연중 시기의 마지막 주일이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로 정해지면서 이러한 요청은 더욱 증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1954년 비오 12세 교황은 마리아께서 여왕이심을 선언하고 해마다 531일에 그 축일을 지내도록 하였습니다. 그 뒤 로마 전례력의 개정에 따라, 마리아를 천상 영광에 연결시키고자 성모 승천 대축일 뒤로 옮겼으며, 축일 이름도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로 바꾸었습니다. 이날 교회는 성모 승천의 영광을 거듭 확인하며 복되신 동정 마리아께서 우리를 위한 구원의 도구가 되신 것을 기립니다.

 

오늘 예수님께서는 율법학자들과 바리사이들에게 말씀하십니다. “불행하여라, 너희 눈먼 인도자들아! ‘성전을 두고 한 맹세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성전의 금을 두고 한 맹세는 지켜야 한다.’고 너희는 말한다. 어리석고 눈먼 자들아! 무엇이 더 중요하냐? 금이냐, 아니면 금을 거룩하게 하는 성전이냐? 너희는 또 제단을 두고 한 맹세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제단 위에 놓인 예물을 두고 한 맹세는 지켜야 한다.’고 말한다. 눈먼 자들아! 무엇이 더 중요하냐? 예물이냐, 아니면 예물을 거룩하게 하는 제단이냐? 사실 제단을 두고 맹세하는 이는 제단과 그 위에 있는 모든 것을 두고 맹세하는 것이고, 성전을 두고 맹세하는 이는 성전과 그 안에 사시는 분을 두고 맹세하는 것이며, 하늘을 두고 맹세하는 이는 하느님의 옥좌와 그 위에 앉아 계신 분을 두고 맹세하는 것이다.”(마태 23,16-22)

 

주 예수님의 말씀이 마땅하고 옳은 말씀인데도 불구하고 왜 사람들은 그렇게 살아갈까? 그것은 아마도 하늘 나라와 영원한 생명에 관한 관심보다도 현세의 물질적 안락에 대한 이해관계가 더 치열하기 때문은 아닐까 싶습니다. 더욱이 현세의 물질적 안락이 영원한 생명을 가져다주기라도 하는 듯 그것을 주십사 기도마저 하고 있으니 가슴 아픈 현실이 아닐 수 없습니다. 주 하느님을 믿는 주님의 백성으로서 주님의 말씀과 그분의 뜻이 담긴 교회의 선교사명을 폭넓게 이루도록 합시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42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