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계동성당 게시판

신부님 구약성서 강의:인격체

인쇄

비공개

2004-08-07 ㅣ No.8562

 

2004/8/6

 


창세기 22장 20~24

 

아브라함의 아우 나흘의 후손

 


구약에서는 이름의 중요성을 찾고 있다


이름은 그 사람의 인격체라고 한다

이름이 불려지는 것에 대해 신경을 쓴다

히브리사람들은 이름이 그 사람의 삶 자체이다


하느님을 헛되이 부르지 말라한 것도 하느님의 이름을 부르며

이 것 좀 해주십시오 저 것 좀 해주십시오 하면서

종처럼 부린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이름은 삶의 정체성 문제, 자기의 역사성을 대변한다고 보았다

족보에 대한 집착도 보인다

이름으로 자기 자신을 표현하고 싶어한다


자기 이름의 가치(name value)

이름으로 어느 수준인지를 느낌으로 받는다

이름을 불렀을 때 듣고 기분 좋아하고 나빠하는 이유이다

이름을 듣고 끄덕거리는 이름이 있다

 


-왜 그런지에 대해-

 

인생의 전환점의 시기를 보면 만 6년마다 변한다


0세~6세는 성격형성기로 7세로 넘어가는 시기

7세~  :미운 일곱살이라고 부른다
       독립하는 시기, 1차 반항기이다

13세~ :사춘기 시작, 2차 반항기이다
       이 때는 온 몸으로 반항한다
       부모님이 뭐라하면 대답을 안 하고
       때릴려고 하면 막거나 물건을 집어던지기도 나가기도 한다

19세~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학습기가 끝난다
       청년도 아니고 어른도 아니고 어정쩡한 시기가 시작된다
       건강말고는 가진 것이 아무 것도 없다

25세~ :직장생활을 시작한다

37세~ :자기 자신의 일을 시작한다

43세~ :중년기 우울증의 시작

49세~ :갱년기 우울증

55세~ :노인성 우울증이 시작된다

 

인생의 전환기, 그 시기마다 다른 자리로 옮겨가면서 산다

내 마음이 옮겨가는 기간이 6년마다라고 한다

이것이 인생의 전환점이다

 


-심리적 전환점-

 


사람은 태어나 관계를 맺는다

제일 먼저 부모와 관계를 맺는다

그리고 형제 친척 친구 기타 등등


나 말고는 다 너인 것이다

처음 태어나 배우는 관계는

나와 또 다른 '나'들과 어떻게 하면 편안한 관계를 맺고 사는가이다


다른 나와의 공존하기 위한 거래를 하는 것이다

이것을 사회성을 배운다고 한다

잘 못하면 사회성이 없다고, 싸가지가 없다고 한다

 

부모로부터 나와 다른 나와의 관계에 대한 윤리적 도덕들을 배운다

이렇게만 살다보면 눈치꾸러기가 된다

이러다 이게 아닌데 하면서 내 인생이 무엇인지를 찾게 된다


이것이 내 안의 나를 보게 되는 것인데

이 때가 '심리적 전환기'이며

내 인생을 찾게 되는 것이다


자기 생각과 감정을 들여다보며 마음공부를 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편안한 삶을 살게 된다

피로함, 스트레스가 줄어든다


이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다

반드시 거쳐야 되는 것이 고통이란 과정이다

내가 왜 이러는지 모르겠다하며 자기 안의 문제를 보았을 때 자기 안에 들어가게 된다


나와 같이 살고 있는 '너'들에게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사람들이

내 안에서 문제를 찾으려한다

심리학을 공부하려 한다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어떻게 했는가에 따라,

나의 행, 불행이 나와 관계된 너에 의해 결정되고

자기 얘기가 없고 누가 어째서,

그리고 남 얘기, 남편, 시댁, 자식 얘기 같은 것만 한다

나와 너 사이에 남들에 의해 갇혀 있는 것이다)

-이런 사람들의 삶은 틀에 갇힌 감옥살이 인생이다

 

내 옆에 있는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안 주면 그 틀에서 안 나온다

'착하게' 산다고 하면서 그 안에서 행복하면 밖으로 안 나온다

'이게 아닌 것 같다'고 느낄 때(사추기)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 때가 내 인생을 재정비할 때이다

내가 나와의 관계에 대해 신경을 쓰게 되면

어린아이와 같은 자아를 보게된다

 


1. 눈치꾸러기가 되지 않게


눈치꾸러기인 사람은 눈이 흔들린다

불안하다

타인에 대해 신경을 많이 쓰는 사람들이다


1) hello-goodbye effect

상담을 하다보면 대개의 내담자들이 상담하러 우울하게 들어오는데

이상하게 밝은 모습을 보이려고 애쓰는 내담자들이 눈치꾸러기들이다


자기가 변했다고 자꾸 얘기하는 내담자들

상담자를 기쁘게 해주려고

타인에 대해 의심을 하고 사는 사람들이다


실제 생활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실제로는 내적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이다

자기가 자기를 돌보지 않은 상태인 것이다


2) 유행, 보여주는 문화

남의 것을 따라하면 최신 유행이 아니다

너무 비싼 옷을 입는 것(짝퉁 문화)

보여주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나를 위한 것이 아니라 남에게 평가받기 위한 것이다

 

보여주는 문화가 만들어내는 것 중에 하나가

'불안 장애'(우울증)이다

남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에 신경을 쓰기 시작하면서 불안감이 올라온다


저 사람이 내게 대해 어떤 감정을 갖고 있는지를 생각하며

불안이 올라오는 것이 불안 장애이다

그리고 바로 우울증으로 들어간다


'자기가 자기를 돌보는 훈련을 해야한다'


내가 내 감정을 돌보기 시작하면 다른 사람 눈치보는 것이 줄어들고

자기 감정을 보기 시작하게 된다

자기 자신을 돌보기 시작하는 현상이 생긴다

 

2. 희생하지 않는 삶을 살기 시작한다


내가 열심히 했는데 반응을 안 보이면 화가 난다

화가 나지 않게 하는 방법은 열심히 안 살면 된다

희생을 하면 내가 원하는 것이 생기기 때문에 화가 나는 것이다


상대방을 배려한 것이 아니라 조건부 희생인 것이다

상대방은 부담을 느낀다

내가 이렇게 일을 하니까 칭찬해줘 하는 눈치꾸러기 삶이기 때문이다(구걸 행각)


자기 자신을 들여다보기 시작하면 구걸을 안 한다

반응이 안 좋을 때 일어나는 분노가 있기 때문에 안하는 것이 낫다

이럴 때 프로그램을 계속 끌고 나가면 짜증이 생긴다


자기가 자기 감정을 들여다보기 시작하면 손을 놓게 된다

봉사도 나 자신을 위해 했다고 깨닫게 되기 때문에

나는 이렇게 열심히 했는데 왜 안 알아줘하는 사람은 안 하는 것이 낫다


win/win, 너도 좋고 나도 좋고

일을 해서 나는 안 좋고 너만을 위한 것이라 생각하면 안 하는 것이 낫다

부모 자식간에 이런 관계는 특히 자식이 굉장히 부담스럽다

내가 널 어떻게 키웠는데,,, 이런 소리를 하면서


양쪽이 다 좋았을 때 서로 만족할 수 있다

 

3. 업그레이드(upgrade)


사람도 업그레이드를 해야한다

그 상태에 머무르면 정지해 있는 것이 아니라 퇴보한다

영성가들이 말하기를 인생살이가 배를 역류해 노저어 가는 것과 같다한다

이것을 심리적 업그레이드라고 한다

 

* 1990년 Haward Gardner의 'Frame of Mind'(마음의 구조)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재능에 대해


언어적 재능-말

수학적 재능-수리적 능력

공간적 재능-건축물 같은 것을 짓는 것

육체적 재능-운동

 

내인적 재능-자기 자신을 탐색

대인적 재능-사교술

환경적 재능-농부들 같이 환경을 가지고 결실을 맺는 재능

 

사람은 이 중에 한 가지 정도가 발달된다

기능적으로 이 전체적 재능을 업그레이드 시켜야 되는데

자기 자신을 들여다 보기 시작하면 업그레이드 된다


자기 자신을 업그레이드 시키는 것이 왜 중요한가

-'자기 상품 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계속적으로 자기 자신을 개발해야 한다

자기 자신을 가꾸고 업그레이드 시키면 무시 못하고 존중해준다


업그레이드란 자기 자신에 변화를 주는 것이다

내면적 변화가 일어날 때 매력을 느끼는 것이다

'지혜롭다는 것'은 자기 자신을 업그레이드 시키는 것이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업그레이드 시켜야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업그레이드가 잘 안 되는 이유-


인간이 창조성이 결여된 이유이다

 

 


인간이 업그레이드가 안 되는 장애


 

* J. E. Arnold의 창조성 결여


1. 인지장애

  
   내가 뭐가 문제인지를 보지 못하는 것이다

   중간에 끼어드는 온갖 불안한 생각들(분심, 망상)을 한다

   '망상 장애'(의부증, 의처증)이다

   밖을 보지 못하는 것이다


   마음이 불안한 상태에 매달려 있는 사람들이 업그레이드를 못한다

   실제로 해결해야 될 문제에 에너지를 쓰지 못하고

   쓸데 없는데 쓴다(망상)

 

2. 문화장애


   변화하는 것에 대해 제동을 거는 집단에 들어있을 때 업그레이드가 어렵다

   주의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심리적 린치를 가하면 절대로 변하지 못한다

 

3. 정동적(情動的)장애


   실수와 실패를 했을 때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 지지를 해주어야한다

   실수의 연속이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조건이다

   눈치꾸러기가 되게하는 피이드백을 주면 성장이 안된다

   주눅들게 만들면 안된다

   주위 사람들에게 실수에 대한 용서를 받지 못하면 주눅이 든다

 

 

 

 


 



341 3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