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다해-II_부록6] 당신 교회의 창립자이신 예수님 -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 교리 교육 1988.06.15 869_KH_JPII [하늘나라_요한바오로2세]

인쇄

1988.06.15. [211.58.38.*]

2009-11-29 ㅣ No.882

 
+ 찬미 예수 

 

아래의 번역문은 1992년에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초판 발행이 있기 몇 년전인 1988년에 주신, "하느님의 나라", "하늘 나라", 그리고 "가톨릭 교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일반 알현 교리 교육 강론 말씀입니다.
 
이 글은 가톨릭 교회가 전통적으로, 마태오 복음서에서 언급되고 있는 "하늘 나라"가 사실은 "가톨릭 교회"라고 가르쳐 왔고 또 지금도 가르치고 있음을 국내의 가톨릭 교우님들께서 분명하게 이해하시는 데에 도움을 드리고자 마련한 번역문들 중의 하나이오니, 지상에서 펼쳐지는 구원의 여정에 있어 핵심인 이 중요한 신앙적 진실을 여태 모르고 계셨던 교우님들께서는, 별도의 시간을 내어서라도, 아래의 글을 차분히 차근 차근 잘 읽어 보실 것을 강력하게 요청합니다.
 
인터넷으로 검색을 해 보면 생각보다도 많은 가톨릭 교우님들이 강생하신 성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핵심 가르침에 대한 교도권의 전통적 해석에 대하여 모르고 계시는 듯하여, 개인적으로 상당히 우울합니다.
 
"하늘 나라(천국, kingdom of heaven)"와 "천당(heaven, 하늘)"의 차이점에 대하여, 그리고 예수 재림의 날까지의 "가톨릭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신 바로 그 "하늘 나라(천국, kingdom of heaven)"임에 대하여 분명하게 언급하고 있는 우리말로 번역된 자료들이 별로 없는 듯 하며, 심지어 굿뉴스 제공 가톨릭 대사전 및 용어 사전에도 잘못 언급하고 있기에, 누구나 손쉽게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드리고자, 매우 고통스럽지만 부득불, 우선적으로, 이 가르침을 주시는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강론말씀들 몇 개를, 향후 약 한 달 동안, 시리즈의 형식으로 우리말로 번역하여 올려드릴 계획입니다.
 
다음의 번역문은,
지금 다루고 있는 주제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88년 강론 말씀 1 입니다.

 

주변의 분들에게 이 중요한 신앙적 진실/사실을 많이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올려드리는 글들을 읽어 보라고 권고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다음의 주소들을 클릭하시면 그동안 이 하늘 나라를 제대로 인식하기 위하여 제가 올려드린, 그리고 앞으로 제가 올려드릴, 글들을 손쉽게 읽으실 수 있겠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Kingdom_of_heaven.htm <----- 필독 권고 

[주: 하늘 나라에 관한 졸글들의 전체 모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John_Paul_II4Kingdom_of_heaven.htm <----- 필독 권고  

[주: 하늘 나라에 대한 직접적인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일반 알현 강론 말씀 모음]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question_and_answer <----- 클릭한 후에 살펴보십시오

[주:(저의 졸글들을 모아두는,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인터넷 주소]

 

제가 올려드리는 글들을 읽어 보라고 권고하실 때에, 위의 주소들을 함께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Jesus, Founder of His Church
General Audience, June 15, 1988
 

출처: Jesus, Founder of His Church (클릭하십시오)
(1988년 6월 15일 General Audience)

 

당신 교회의 창립자이신 예수님
일반 알현, 1988년 6월 15일
요한 바오로 2세

 

"The time is fulfilled, and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 repent, and believe in the Gospel" (Mk 1:15). These words at the beginning of Mark's Gospel are recorded as though to sum up briefly the mission of Jesus of Nazareth, who "came to announce the Good News." At the center of his announcement is the revelation of the kingdom of God, which has drawn near and indeed has entered human history. "The time is fulfilled."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마르코 복음서 1,15). 마르코 복음서의 시작 부분에 있는 이 말씀들은 “복음을 선포하기 위하여 오셨던” 나자렛 출신의 예수님의 사명을 마치 간략하게 요약한 것처럼 기록되어 있습니다. 당신의 선포 한 가운데에는 하느님 나라의 드러남이 있는데, 이것이 이미 가까이 왔으며 그리고 실제로 인간의 역사에 이미 들어왔습니다. “때가 찼습니다.”

 

By proclaiming the truth concerning the kingdom of God, Jesus at the same time announced the fulfillment of the promises contained in the Old Testament. The Psalms frequently speak of the kingdom of God (cf. Ps 103:19; Ps 93:1). Psalm 145 sings of the glory and majesty of this kingdom, and at the same time indicates its eternal duration: "Your kingdom is an everlasting kingdom, and your dominion endures through all generations" (v. 13). Subsequent books of the Old Testament again take up this theme, especially the particularly eloquent prophecy of the Book of Daniel: "The God of heaven will set up a kingdom that shall never be destroyed or delivered up to another people: rather it shall break in pieces all these kingdoms and put an end to them, and it shall stand forever" (Dan 2:44).

 

하느님 나라에 관한 진리를 선포하심으로써, 예수님께서는 동시에 옛 계약에 담겨 있었던 약속들의 구현을 선포하셨습니다. 시편은 하느님 나라에 대하여 자주 말합니다(시편 103,19; 93,1을 참조하라). 시편 145는 이 나라의 영광과 장엄에 대하여 노래하며, 그리고 이와 동시에 이 나라의 영원한 지속을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당신의 나라는 영원 무궁한 나라, 당신의 통치는 모든 세대에 미칩니다”(제13절). 이어지는 구약 성경의 경전들은 다시 이 주제를 과제로 삼는데, 특히 다니엘서의 특별한 세련된 예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늘의 하느님께서 한 나라를 세우실터인데, 그 나라는 영원히 멸망하지 않고 그 왕권이 다른 민족에게 넘어가지도 않을 것입니다. 그 나라는 앞의 모든 나라를 부수어 멸망시키고 영원히 서 있을 것입니다”(다니엘 2,44).

 

Referring to these announcements and promises of the Old Testament, the Second Vatican Council noted and affirmed: "To carry out the will of the Father Christ inaugurated the kingdom of heaven on earth" (LG 3). At the same time the Council pointed out that "by preaching the Good News, that is,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which for centuries had been promised in the Scriptures...the Lord Jesus inaugurated his Church" (LG 5). The inauguration of the Church, its institution by Christ, is inscribed in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announcement of his coming and of his presence in humanity. If the kingdom of God is present among men by the coming of Christ, by his words and works, it is also true that, by his express will, "The Church, or in other words, the kingdom of God now present in mystery, grows visibly through the power of God in the world" (LG 3).

 

이들 옛 계약의 선언들과 약속들을 언급하면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특별히 언급하며 그리고 확언합니다: “성부의 의지를 실행하기 위하여 그리스도께서는 지상에 하느님 나라를 개시하셨습니다”(LG 3). 이와 동시에 이 공의회는 “여러 세기 동안 성경에서 약속되어 왔었던, 복음, 즉(that is) 하느님 나라의 도래를 설교하시면서, 주님이신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교회를 개시하셨습니다"(LG 5)라고 지적하였습니다. 교회의 개시, 그리스도에 의한 이 교회의 제정(institution)은, 인간으로 당신의 오심 및 당신의 현존에 대한 선포에서, 하느님 나라라는 복음 안에 새겨져 있습니다. 예수님의 오심에 의하여, 당신의 말씀과 위업들에 의하여, 하느님 나라가 사람들 사이에 현존하고 있다면, 당신의 분명한 의지에 의하여, ”교회, 즉 달리 말하여(or in other words), 하느님 나라가 이 세상에 이제 신비롭게 현존하고 있으며, 하느님의 권능을 통하여 가시적으로 자라고 있음은 또한 사실입니다“(LG 3).

 

In many ways, Jesus made known to his hearers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Indicative of this are his words about "casting out the devil" from persons and from the world: "If it is by the finger of God that I cast out demons, then the kingdom of God has come upon you" (Lk 11:20). Indeed, the kingdom of God means the victory over the power of evil and of him who is its principal and mysterious author. It is the spirit of darkness, the lord of this world. It is a question of every sin born in the human heart, as a result of man's evil will and under the influence of that mysterious and baleful presence. Jesus came to forgive sins. Even when he healed various illnesses, he observed that the liberation from physical evil is the sign of the liberation from a much greater evil which weighs on the human soul. This was explained at length in the previous reflections.

 

많은 방법들로,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청중들에게 하느님 나라의 도래를 알게 하셨습니다. 이 나라를 나타내는 당신의 말씀들에는 개인들과 이 세상으로부터 “더러운 영을 쫒아내심”에 대한 다음의 말씀들이 있습니다: “내가 하느님의 손가락으로 마귀들을 쫓아내는 것이면, 하느님의 나라가 이미 너희에게 와 있는 것이다”(루카 복음서 11,20). 실제로, 하느님의 나라는 악의 힘 그리고 악에 대한 주된 신비한 힘의 장본인[즉 마왕(the author of evil)]에 대한 승리를 뜻합니다. 이것은 어둠의 힘인, 이 세상의 주인입니다. 이것은, 인간의 악한 의지의 결과로서 그리고 바로 이 신비한 그러나 해로운 존재의 영향 하에서, 인간의 마음 안에 생기게 된 모든 죄에 대한 문제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죄들을 용서해 주시기 위하여 오셨습니다. 심지어 당신께서 다양한 질병들을 치유하셨을 때에도, 육체적 악으로부터의 해방이 인간의 영혼을 무겁게 짓누르는 훨씬 더 커다란 악으로부터의 해방에 대한 표징(sign)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observed). 이것은 이전의 묵상들에서 길게 설명되었습니다. 

 

The various signs of God's saving power offered by Jesus in his miracles, together with his preaching, open the way to an understanding of the truth about the kingdom of God in the midst of humanity. He explained this truth especially by using parables, among which is that of the sower and the seed. The seed is the word of God which can be received in such a way as to take root in the soil of human hearts. Alternatively, for different reasons, it may not be received, or not in such a way as to mature and bear fruit in due course (cf. Mk 4:14-20). Yet another parable confronts us with the mystery of the seed developing through the work of God: "The kingdom of God is as if a man were to scatter seed on the land and would sleep and rise night and day. The seed would sprout and grow, but he knows not how. Of its own accord the land yields fruit, first the blade, then the ear, then the full grain in the ear" (Mk 4:26-28). It is God's power that "gives the growth," as St. Paul would say (cf. 1 Cor 3:6 f.), and indeed, as the same apostle wrote, it is God who "works in you both to desire and to work" (Phil 2:13).

 

예수님에 의하여, 당신의 설교와 함께, 당신의 기적들 안에서 제공되었던 하느님의 구하시는 힘에 대한 다양한 표징들은 인류의 한 가운데에 있는 하느님 나라에 관한 진리에 대한 이해를 향한 길을 냅니다. 당신께서는 이 진리를 특별히 비유들을 사용함으로써 설명하셨는데, 이들 중에서 씨 뿌리는 자와 씨앗에 대한 비유가 바로 그것입니다. 씨앗은 하느님의 말씀인데 이 말씀은 인간의 마음들이라는 땅에 뿌리를 내리는 방식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다른 방식으로는, 다른 이유들 때문에, 씨앗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입니다, 즉 일이 잘 진행 되어 성장하여 열매를 맺게 되는 방식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입니다(마르코 복음서 4,14-20을 참조하라). 그러나 또 하나의 비유는 하느님의 위업을 통하여 성장하는 이 씨앗의 신비에 우리를 다음과 같이 직면하게 합니다: “하느님의 나라는 이와 같다. 어떤 사람이 땅에 씨를 뿌려 놓으면, 밤에 자고 낮에 일어나고 하는 사이에 씨는 싹이 터서 자라는데, 그 사람은 어떻게 그리되는지 모른다. 땅이 저절로 열매를 맺게 하는데, 처음에는 줄기가, 다음에는 이삭이 나오고 그다음에는 이삭에 낟알이 영근다. 곡식이 익으면 그 사람은 곧 낫을 댄다. 수확 때가 되었기 때문이다”(마르코 복음서 4,26-28). 성 바오로가 말하였듯이, “자라게 하는 것”은 바로 하느님의 힘이며(1코린토 3,6 및 그 이후 몇 개의 구절들), 그리고 진실로, 이 사도가 또한 서술하였듯이, “여러분 안에서 활동하시어 의지를 일으키시고 그것을 실천하게도 하시는 분”은 바로 하느님이십니다(필리피 2,13).

 

The kingdom of God or the "kingdom of heaven," as Matthew calls it (cf. 3:2), entered human history through Christ. Even during his passion and when his death on the cross was close at hand, Jesus spoke of himself as a king and at the same time explained the nature of the kingdom he had come to inaugurate upon the earth. His replies to Pilate, recorded by the fourth Gospel (cf. Jn 18:33 ff.), are a key text for understanding this point. Jesus was before the Roman governor, to whom he had been brought by the Sanhedrin on the charge of having claimed to be "king of the Jews." When Pilate questioned him on the matter, Jesus replied, "My kingship is not of this world; if my kingship were of this world, my servants would fight, that I might not be handed over to the Jews" (Jn 18:36). However, the fact that Christ is not a king in the earthly sense of the word does not cancel the other meaning of his kingdom, which he explained in reply to a further question of his judge: "So you are a king?" Pilate asked. Jesus replied firmly, "You say that I am a king. For this I was born, and for this I have come into the world, to bear witness to the truth. Every one who is of the truth hears my voice" (Jn 18:37). It is the most clear and unambiguous proclamation of his kingship, and also of his transcendent character, which confirms the deepest value of the human spirit and the principal basis of human relationships, "the truth."

 

하느님의 나라, 즉 마태오 복음사가가 부르는 것처럼(마태오 복음서 3,2를 참조하라), “하늘 나라”는 그리스도를 통하여 인간의 역사에 들어왔습니다. 심지어 당신의 수난 동안에 그리고 십자가 위에서 당신의 죽음이 가까이 왔을 때에도, 예수님께서는 당신 자신을 왕으로 말씀하셨으며 이와 동시에 지상에 개시하려고 오셨던 이 나라의 본질에 대하여 설명하셨습니다. 네 번째 복음서에 의하여 기록된(요한 복음서 18,22 및 그 이후 몇 개 구절들을 참조하라) 빌라도에 대한 당신의 대답은, 이 점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실마리 본문(a key text)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로마 총독 앞에 계셨는데, 당신께서는 “유다인의 왕”이라고 주장하였다는 혐의로 최고 의회에 의하여 빌라도에게 붙잡혀 가셨던 것입니다. 빌라도가 이 문제에 대하여 당신을 신문하였을 때에, 예수님께서는 “내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하지 않는다. 내 나라가 이 세상에 속한다면, 내 신하들이 싸워 내가 유다인들에게 넘어가지 않게 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내 나라는 여기에 속하지 않는다”(요한 복음서 18,36) 라고 대답하셨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 이 단어의 세속적 의미에서의 왕이 아니시다는 사실은 당신의 나라의 다른 의미를 상쇄하지 않는데, 당신께서는 이 다른 의미를 당신의 재판관에 의한 다음과 같은 추가 신문에 대한 답변에서 설명하셨습니다: “아무튼 당신이 임금이라는 말 아니오?”라고 빌라도는 물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내가 임금이라고 네가 말하고 있다. 나는 진리를 증언하려고 태어났으며, 진리를 증언하려고 세상에 왔다. 진리에 속한 사람은 누구나 내 목소리를 듣는다”(요한 복음서 18,37)라고 확고하게 대답하셨습니다. 이 대답은 당신께서 왕이 되심에 대한, 그리고 또한 당신의 초월적 특성에 대한, 가장 분명하고 명백한 선언인데, 이 선언은 인간의 영에 대한 그리고 인간 관계들의 주된 논거인 “진리”에 대한 가장 심오한 가치를 확인합니다.

 

The kingdom which Jesus, as incarnate Son of God, inaugurated in human history, is the kingdom of God. As such it is established and grows in the human spirit by the power of truth and grace which come from God. This we learned from the parables of the sower and the seed which we have summarized. Christ is the sower of this truth. However, in the last analysis, it will be by means of the cross that he will achieve his kingship and fulfill his work of salvation in human history. "When I am lifted up from the earth, I will draw everyone to myself" (Jn 12:32).

 

강생하신 하느님의 아드님으로서, 인간 역사 안에 개시하셨던 이 나라는 하느님의 나라를 말합니다. 그러한 나라로서 이 나라는 제정되며 그리고 하느님으로부터 나오는 진리와 은총의 힘에 의하여 인간의 영 안에서 자랍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이미 요약하였던 씨 뿌리는 자와 씨앗의 비유들로부터 우리가 배우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이 진리를 씨 뿌리는 분이십니다. 그러나 결국 이 씨 뿌림은, 당신께서 당신의 왕권과 인간 역사 안에서 당신의 구원 사업을 구현하실, 십자가라는 수단에 의하여서일 것입니다. “나는 땅에서 들어 올려지면 모든 사람을 나에게 이끌어 들일 것이다”(요한 복음서 12,32).

 

All this is evident likewise from Jesus' teaching on the good shepherd who "offers his life for the sheep" (Jn 10:11). This image of the shepherd is closely connected with that of the sheepfold and of the sheep who hear the shepherd's voice. Jesus said that he is the good shepherd who "knows his sheep and they know him" (cf. Jn 10:14). As a good shepherd, he seeks the sheep that has gone astray (cf. Mt 18:12; Lk 15:4). He thinks also of the "other sheep that are not of this fold"; those also he "must bring," so that "they will hear his voice and there shall be one flock, one shepherd" (Jn 10:16). It is a universal kingship exercised in the spirit and manner of a shepherd, which leads all to live in the truth of God.

 

마찬가지로 이 모두는 “양들을 위하여 자신의 목숨을 내놓는”(요한 복음서 10,11) 착한 목자에 대한 예수님의 가르침으로부터도 분명합니다. 목자에 대한 이 묘사는 양 우리(sheepfold)와 목자의 목소리를 듣는 양에 대한 묘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이 “내 양들을 알고 내 양들은 나를 아는” 착한 목자라고 말씀하셨습니다(요한 복음서 10,14를 참조하라). 착한 목자로서, 당신께서는 길 잃은 양을 찾아 나서십니다(마태오 복음서 18,13; 루카 복음서 15,4를 참조하라). 당신께서는 “이 우리 안에 들지 아니한 다른 양”을 또한 생각하시며, 그리고 또한 당신께서 “데려 오셔야 하는” 양들을 생각하시는데, 그 결과 “그들도 당신의 목소리를 알아듣고 마침내 한 목자 아래 한 양 떼가 될 것입니다”(요한 복음서 10,16). 모든 이들을 하느님의 진리 안에 살도록 인도하는 것이 바로 목자의 영과 거동으로 행사되는 보편적 왕권(universal kingship)입니다.

 

As is evident, all of Christ's preaching and his entire messianic mission was directed to gathering the flock. It is not merely a case of so many individual hearers, followers, and imitators. It is rather an assembly, which is expressed in Aramaic as kehala, and in Hebrew gahal, corresponding to the Greek ekklesia. The Greek word derives from a verb meaning "to call" (the Greek translation of "a call" is klesis). This etymological derivation gives us to understand that, as in the old covenant God had "called" his people Israel, so Christ calls the new People of God, choosing and seeking its members from among all peoples. He draws them to himself and gathers them around him by means of the word of the Gospel and by the redemptive power of the paschal mystery. This divine power, manifested definitively in Christ's resurrection, will confirm the words once spoken to Peter: "Upon this rock I will build my Church" (Mt 16:18), that is, the new assembly of the kingdom of God.

 

분명히 알 수 있듯이, 그리스도의 설교 모두와 당신의 메시아로서의 전체 임무는 이 무리를 모으는 것으로 향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단지 매우 많은 개별 청중들, 추종자들, 그리고 모방자들로 이루어진 경우(a case)가 아닙니다. 오히려 이것은, 그리스어 ekklesia에 대응하는, 아람어로 kehala로 표현되고 그리고 히브리어로 gahal로 표현되는, 회중(an assembly)을 말합니다. 이 그리스어 단어는 “부른다(to call)”를 뜻하는 동사로부터 유래합니다[“부름(a call)”의 그리스어 번역이 klesis입니다]. 이 어원적 파생은 우리로 하여금, 옛 계약에서 하느님께서 당신의 백성인 이스라엘을 “부르셨”듯이, 마찬가지로 그리스도께서, 모든 백성들로부터 그 구성원들을 택하시고 찾으심으로써, 하느님께서 새 백성을 부르시는 것에 대하여 이해하게 합니다. 당신께서는 이 복음의 말씀(the word of the Gospel)에 의하여 그리고 파스카 신비의 속량하는 힘으로써 그들을 당신 자신으로 이끄시며 그리고 당신 주변으로 모으십니다. 그리스도의 부활 안에서 최종적으로 드러난 이 거룩한 힘은 이전에 베드로에게 말해졌던 다음의 말씀들을 확인할 것입니다: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하느님 나라를 이루는 새 회중(the new assembly of the kingdom of God), “세울 것이다”(마태오 복음서 16,18).

 

The Church-ecclesia-assembly receives from Christ the new commandment. "I give you a new commandment, that you love one another, as I have loved you.... By this all will know that you are my disciples..." (Jn 13:34; cf. Jn 15:12). It is certain that the "assembly-Church" receives from Christ also its external structure (of which we shall treat in the near future). But its essential value is the communion with Christ himself. It is he who gathers together the Church; it is he who builds it constantly as his Body (cf. Eph 4:12), as the kingdom of God on the universal level. "They will come from east and west and sit at table (with Abraham, Isaac and Jacob) in the kingdom of God" (cf. Lk 13:28-29).

 

교회-ecclesia-회중은 그리스도로부터 다음과 같은 새 계명을 받습니다: “내가 너희에게 새 계명을 준다. 서로 사랑하여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모든 사람이 그것을 보고 너희가 내 제자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요한 복음서 13,34-35; 요한 복음서 15,12를 참조하라). 이 “회중-교회”가 그리스도로부터 또한 그 외면적인 구조를 수여받는 것은 확실합니다 (가까운 장래에 우리는 이것에 대하여 다룰 것입니다). 그러나 교회의 핵심적 가치는 그리스도 당신 자신과의 하나 됨(communion, 친교, 통공)에 있습니다. 이 교회(즉, 회중)를 함께 모으시는 분이 바로 당신이시며, 그리고 교회를, 보편적 수준의(on the universal level) 하느님의 나라로서, 당신의 몸으로서 지속적으로 키우시는 분이 바로 당신이시기 때문입니다(에페소 4,12를 참조하라). “동쪽과 서쪽, 북쪽과 남쪽에서 사람들이 와 하느님 나라의 잔칫상에 (아브라함, 이사악 그리고 야곱과 함께) 자리 잡을 것이다.”(루카 복음서 13,28-29를 참조하라).

 

-----

우리말 번역: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6시간



1,033 3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