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다해-II_부록1] 하느님 나라의 개시와 구현이신 예수 그리스도 -요한 바오로 2세 교리교육 1987.03.18. 869_KH_JPII [하늘나라_요한바오로2세]

인쇄

1987.03.18. [211.58.38.*]

2009-12-08 ㅣ No.888

 

+ 찬미 예수 

 

아래의 번역문은 1992년에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초판 발행이 있기 몇 년전인 1987년에 주신, "하느님의 나라", "하늘 나라", 그리고 "가톨릭 교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일반 알현 교리 교육 강론 말씀입니다.
 
이 글은 가톨릭 교회가 전통적으로, 마태오 복음서에서 언급되고 있는 "하늘 나라"가 사실은 "가톨릭 교회"라고 가르쳐 왔고 또 지금도 가르치고 있음을 국내의 가톨릭 교우님들께서 분명하게 이해하시는 데에 도움을 드리고자 마련한 번역문들 중의 하나이오니, 지상에서 펼쳐지는 구원의 여정에 있어 핵심인 이 중요한 신앙적 진실을 여태 모르고 계셨던 교우님들께서는, 별도의 시간을 내어서라도, 아래의 글을 차분히 차근 차근 잘 읽어 보실 것을 강력하게 요청합니다.
 
인터넷으로 검색을 해 보면 생각보다도 많은 가톨릭 교우님들이 강생하신 성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핵심 가르침에 대한 교도권의 전통적 해석에 대하여 모르고 계시는 듯하여, 개인적으로 상당히 우울합니다.
 
"하늘 나라(천국, kingdom of heaven)"와 "천당(heaven, 하늘)"의 차이점에 대하여, 그리고 예수 재림의 날까지의 "가톨릭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신 바로 그 "하늘 나라(kingdom of heaven, 천국)"임에 대하여 분명하게 언급하고 있는 우리말로 번역된 자료들이 별로 없는 듯 하며, 심지어 굿뉴스 제공 가톨릭 대사전 및 용어 사전에도 잘못 언급하고 있기에, 누구나 손쉽게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드리고자, 매우 고통스럽지만 부득불, 우선적으로, 이 가르침을 주시는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강론말씀들 몇 개를, 향후 약 한 달 동안, 시리즈의 형식으로 우리말로 번역하여 올려드릴 계획입니다.
 
다음의 번역문은,
지금 다루고 있는 주제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87년 3월 18일자 강론 말씀입니다.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전체 일반 알현 강론 말씀들 중에서 약 17개 정도이 하늘 나라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가르침들인데, 지금까지 7개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올려드렸습니다. 주변의 분들에게 이 중요한 신앙적 진실/사실을 많이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올려드리는 글들을 읽어 보라고 권고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다음의 주소들을 클릭하시면 그동안 이 하늘 나라를 제대로 인식하기 위하여 제가 올려드린, 그리고 앞으로 제가 올려드릴, 글들을 손쉽게 읽으실 수 있겠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Kingdom_of_heaven.htm <----- 필독 권고 

[주: 하늘 나라에 관한 졸글들의 전체 모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John_Paul_II4Kingdom_of_heaven.htm <----- 필독 권고  

[주: 하늘 나라에 대한 직접적인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일반 알현 강론 말씀 모음]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question_and_answer <----- 클릭한 후에 살펴보십시오

[주:(저의 졸글들을 모아두는,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인터넷 주소]

 

제가 올려드리는 글들을 읽어 보라고 권고하실 때에, 위의 주소들을 함께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Jesus Christ, Inauguration and Fulfillment of the Kingdom of God
General Audience — March 18, 1987
— A new covenant
 
출처: Jesus Christ, Inauguration and Fulfillment of the Kingdom of God 
(1987년 3월 18일 General Audience)
 
하느님 나라의 개시와 구현이신 예수 그리스도
일반 알현 - 1987년 3월 18일

- 새 계약
요한 바오로 2세
 
"The time is fulfilled and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 (Mk 1:15). With these words Jesus of Nazareth began his messianic preaching. In Jesus the kingdom of God enters into the life and history of mankind, and it constitutes the fulfillment of the promises of salvation which Israel had received from the Lord.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마르코 복음서 1,15). 이 말씀들과 함께 나자렛 출신의 예수님께서는 메시아로서의 당신의 설교를 시작하셨습니다. 예수님 안에서 하느님 나라는 인류의 삶과 역사 안으로 들어오며, 그리고, 이스라엘이 하느님으로부터 받았던, 구원에 대한 약속들의 구현을 형성합니다(constitutes).
 
Jesus was revealed as the Messiah, not because he aimed at a temporal and political dominion according to the mentality of his contemporaries, but because in his mission, which culminated in his passion, death and resurrection, "all the promises of God find their yes in him" (2 Cor 1:20).
 
예수님께서는 메시아로서 드러나셨는데, 이는 당신께서는 당신과 동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사고방식에 따른 일시적이며 정치적인 통치를 목표로 하셨던 것이 아니라, 당신의 수난, 죽으심, 그리고 부활 안에서 절정에 달하는, 당신의 임무 안에서 “하느님의 그 많은 약속이 그분에게서 ”예!“가 되기”(2코린토 1,20) 때문입니다.
 
In order to understand fully Jesus' mission one must recall the Old Testament message which proclaims the saving kingship of the Lord. In the canticle of Moses (cf. Ex 15:1-18) the Lord is acclaimed as "king" because he freed his people in a marvelous way and led them with power and love to communion with him and their brethren in the joy of freedom. Moreover, the ancient Psalm 29 bears witness to the same faith—the Lord is contemplated in the power of his kingship, which holds dominion over all created being and communicates energy, blessing and peace to his people (Ps 29:10). It is especially in the call of Isaiah that faith in the Lord as "king" appears completely permeated with the theme of salvation. The "king" whom the prophet contemplates with the eyes of faith "sitting upon a throne, high and lifted up" (Is 6:1), is God in the mystery of his transcendent holiness and merciful goodness whereby he is present to his people as the source of love which purifies, pardons and saves: "Holy, holy, holy is the Lord of hosts; the whole earth is full of his glory" (Is 6:3).
 
예수님의 임무를 완전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는, 주님의 구원하시는 왕권을 선포하는, 옛 계약을 상기하여야만 합니다. 모세의 찬미의 노래(canticle)(탈출기 15,1-18을 참조하라)에서 주님께서는 “왕”으로 환호를 받으시는데 이는 당신께서 당신의 백성을 경이로운 방식으로 자유롭게 하셨으며 그리고 힘과 사랑으로 이들을 자유라는 기쁨 안에서 당신과 이들의 형제들 사이의 하나 됨(communion, 친교, 통공)으로 이끄셨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오래된 시편 제29장은 바로 이 같은 믿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증거하고 있습니다 - 주님께서는, 창조된 모든 존재들에 대한 통치권을 가지고 계신 그리고 에너지, 축복 및 평화를 당신 백성에게 전달하시는, 당신의 왕권이라는 힘으로 생각됩니다(시편 29,10). “왕”으로서의 주님에 대한 믿음이 구원이라는 주제로 꽉 들어차 나타나는 것은 특별히 이사야에 대한 부르심(call) 안에서 입니다. 이 예언자가 “높이 솟아오른 어좌에 앉아 계시는”(이사야 6,1)이라고 믿음의 눈들로써 관상하는 이“왕”은 다음과 같은, 바로 그것에 의하여 정화하고 용서하며 그리하여 구하는(save) 사랑의 원천으로서 당신께서 당신 백성을 향하여 현존하고 계시는(is present to), 당신의 초월적 거룩하심과 자비로운 선하심으로 이루어진, 신비 안에 계시는 하느님을 말합니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만군의 주님! 온 땅에 그분의 영광이 가득하다”(이사야 6,3).
 
This faith in the saving kingship of the Lord prevented the monarchy from developing autonomously in the people of the covenant as was the case in other nations. The king was the chosen one, the Lord's anointed, and as such, he was the instrument by which God himself exercised his sovereignty over Israel (cf. 1 Sam 12:12-15). "The Lord reigns," the Psalms continually proclaim (cf. 5:3; 9:5; 29:10; 93:1; 97:1-4; 146:10).
 
주님의 구원하시는 왕권에 대한 이 믿음은 이 계약의 백성 안에서 군주제(monarchy)가, 다른 민족들에 있어 그러하였듯이, 자주적으로 발전하지 못하게 하였습니다. 왕은, 주님에 의하여 기름 부어진, 선택된 자였으며, 그리고 그러한 자로서, 그는, 그것으로써 이스라엘 위에 하느님 몸소 당신의 주권을 행사하셨던, 도구였습니다(1사무엘 12,12-15를 참조하라). 시편들은 “주님께서 다스리십니다”라고 계속하여 선포합니다(시편, 5,3; 9,5; 29,10; 93,1; 97;1-4; 146,10을 참조하라).
 
1.  A new covenant
In face of the sad experience of human limitations and of sin the prophets announced a new covenant, in which the Lord himself would be the saving and royal guide of his renewed people (cf. Jer 31:31-34; Ez 34:7-16; 36:24-28).
 
1. 새 계약
인간의 한계들에 대한 그리고 죄에 대한 슬픈 경험에 직면하여 예언자들은, 그 안에서 주님 몸소 새롭게 된 당신 백성에 대한 구원하는 고귀한 지침(the saving and royal guide)인, 새 계약을 선언하였습니다(예레미아 31,31-34; 에제키엘 34,7-16; 36,24-28을 참조하라).
 
The expectation of a new David whom the Lord will raise up as the instrument of the exodus, of liberation and salvation arose in this context (cf. Ez 34:23-25; Jer 23:5-6). From this moment onward the figure of the Messiah will appear i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inauguration of the full kingship of God.
 
주님께서 이 탈출의 도구로서, 자유와 구원의 도구로서, 키우실 새 다윗에 대한 기대는 이러한 문맥에서 비롯되었습니다(에제키엘 34,23-25; 예레미아 23,5-6을 참조하라). 이 순간 이후부터 계속하여 메시아의 모습은 하느님의 완전한 왕권(full kingship of God)의 개시와의 친밀한 관계 안에서 나타날 것입니다.
 
After the exile, even though the institution of the monarchy ceased in Israel, there was a continuous growth of faith in the kingship which God exercises over his people and which will extend even to "the ends of the earth." The Psalms which sing of the Lord as king are the most significant witness to this hope (cf. Ps 96; 99).
 
(바빌론) 유배 이후에, 비록 이스라엘 안에서 군주제의 설립(institution)이 그쳤으나, 당신의 백성에 대한 그리고 심지어 “세상 끝까지” 확장될, 이 왕권에 대한 믿음의 지속적 성장이 있었습니다. 주님을 왕으로 노래하는 시편들은 이 희망에 대한 가장 괄목할 만한 증거입니다(시편 제96장; 제99장을 참조하라).
 
This hope reaches it high point when the eye of faith, looking beyond the time of human history, will see that only in the future eternity the kingdom of God will be established in all its power. Then, by means of the resurrection, the redeemed will be in full communion of life and love with the Lord (cf. Dan 7:9-10; 12:2-3).
 
이 희망은, 인간 역사의 기간을 넘어 바라보는, 믿음의 눈이 오로지 미래의 영원 안에서 하느님 나라가 그 모든 힘이 미치는 범위 내에(in all its power) 제정될 것임을 볼 때에 비로소 절정(high point)에 도달합니다. 그때에, 당신의 부활에 의하여, 속량을 받은 자들은 삶과 사랑에 있어 주님과의 완전한 하나됨(communion, 친교, 통공)의 상태에 있을 것입니다(다니엘 7,9-10; 12,2-3를 참조하라).
 
Jesus referred to this hope of the Old Testament and proclaimed its fulfillment. The kingdom of God formed the central theme of his preaching, as the parables show particularly.
 
예수님께서는 구약 성경의 이 희망을 언급하셨으며 그리고 그 구현을 선포하셨습니다. 하느님의 나라는, 특히 비유들이 보여주듯이, 당신의 설교의 중심 주제를 형성하였습니다.
 
The parable of the sower (cf. Mt 13:3-8) proclaims that the kingdom of God is already at work in Jesus' preaching, and at the same time it directs one's gaze to the abundance of fruits which will constitute the superabundant richness of the kingdom at the end of time. The parable of the seed which grows of itself (cf. Mk 4:26-29) emphasizes that the kingdom is not a human work. It is solely a gift of God's love, which acts in the hearts of believers and guides human history to its definitive fulfillment in eternal communion with the Lord. The parable of the darnel in the midst of the wheat (cf. Mt 13:24-30) and that of the net cast into the sea (cf. Mt 13:47-52) show first of all the already active presence of God's salvation. Together with the children of the kingdom, however, the children of the evil one, the workers of iniquity are also present. The powers of evil shall be destroyed only at the end of time, and those who have accepted the kingdom shall be forever with the Lord. Finally, the parables of the hidden treasure and the pearl of great price (cf. Mt 13:44-46) express the supreme and absolute value of God's kingdom. Whoever understands its value is prepared to face any sacrifice and renunciation to enter the kingdom.
 
씨 뿌리는 사람에 대한 비유(마태오 복음서 13,3-8을 참조하라)는 하느님의 나라가 예수님의 설교 안에서 이미 작용하고 있음을 선포하며, 그리고 동시에 이 나라가 우리의 주시(gaze)를, 시간의 끝에(at the end of time) 이 나라의 남아도는 풍요로움을 구성할, 풍부한 열매들로 향하게 합니다. 저절로 자라는 씨앗에 대한 비유(마르코 복음서 4,26-29를 참조하라)는 이 나라가 인간의 일이 아님을 강조합니다. 이 나라는 전적으로, 믿는 이들의 본심들에 작용하며 그리고 인간의 역사를 주님과의 영원한 하나 됨(communion, 친교, 통공) 안에서 최종적인 구현으로 인도하는, 하느님의 사랑의 선물입니다. 밀 가운데에 있는 가라지(darnel)에 대한 비유(마태오 복음서 13,24-30을 참조하라)와 바다에 던져진 그물에 대한 비유(마태오 복음서 13,47-52를 참조하라)는 무엇보다도 먼저 이미 활동 중인 하느님에 의한 구원의 현존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이 나라의 자녀들과 함께, 사악의 일꾼들인(the workers of iniquity) 악한 자의 자녀들이 또한 현존하고 있습니다. 악의 힘들(the powers of evil, 악의 세력)(*)은 오로지 시간의 끝에 파괴될 것이며, 그리고 이 나라를 이미 받아들인 자들은 영원히 주님과 함께 있을 것입니다. 끝으로, 숨겨진 보물과 값진 진주에 대한 비유(마태오 복음서 13,44-46을 참조하라)는 하느님 나라의 지고한 그리고 절대적인 가치를 표현합니다. 그 가치를 이해하는 자 누구든지 이 나라에 들어가기 위한 어떠한 희생과 포기도 직면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9월 20일]
-----
(*) 번역자 주: "악의 힘들/악의 세력(the powers of evil)"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46.htm
-----
[이상, 내용 추가 끝].
 
There is a wealth of profound enlightenment in Jesus' teaching. In its full and complete fulfillment, the kingdom of God is certainly of the future: "until the kingdom of God comes" (cf. Mk 9:1; Lk 22:18). The Lord's Prayer teaches us to pray for its coming: "thy kingdom come" (Mt 6:10).
 
예수님의 가르침 안에는 뜻이 깊은 교화(enlightenment)가 풍부합니다. 이 나라의 충만하고 완전한 구현에 있어, 하느님의 나라는 다음과 같이 확실히 미래에 대한 것입니다: “하느님의 나라가 올 때까지”(마르코 복음서 9,1; 루카 복음서 22,18을 참조하라). 주님의 기도하느님 나라의 도래를 위하여 기도하라고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가르칩니다: “아버지의 나라가 오게 하시며(thy kingdom come)”(마태오 복음서 6,10).
 
At the same time, however, Jesus stated that the kingdom of God "has already come" (Mt 12:28); "it is in the midst of you" (Lk 17:21) by means of the preaching and works of Jesus. Moreover, from the whole of the New Testament it is evident that the Church, founded by Jesus, is the place where God's kingship is made present, in Christ, as the gift of salvation in faith, of new life in the Spirit, of communion in charity.
 
그러나 동시에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의 나라가 “이미 와 있다”(마태오 복음서 12,28)고 말씀하셨으며, 그리고 예수님의 설교와 위업들에 의하여 “하느님의 나라는 너희 가운데에 있다”(루카 복음서 17,21)고 말씀하셨습니다. 더욱이, 신약 성경 전체로부터, 예수님에 의하여 창립된 교회, 믿음 안에서 구원의 선물로서, 성령 안에서 새 삶의 선물로서, 사랑 안에서 하나 됨(communion, 친교, 통공)의 선물로서, 하느님의 왕권이, 그리스도 안에서, 현존하게 되는 바로 그 장소임이 분명합니다.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dom and Jesus thus appears. It is so strong a relationship that the kingdom of God can also be called the "kingdom of Jesus" (Eph 5:5; 2 Pet 1:11), as indeed Jesus himself stated before Pilate by asserting that Jesus' "kingdom is not of this world" (Jn 18:36).
 
이리하여 이 나라와 예수님 사이의 친밀한 관계가 나타납니다. 이 관계는 너무도 강력한 관계이어서, 실제로 예수님 몸소 빌라도 앞에서 예수님의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하지 않는다”(요한 복음서 18,36)라는 확언으로써 말씀하셨듯이, 하느님의 나라는 또한 “예수님의 나라”로 불릴 수 있습니다(에페소 5,5; 2베드로 1,11).
 
In this light we can understand the conditions indicated by Jesus for entrance into the kingdom. They can be summed up in the word "conversion." Through conversion the human person opens up to the gift of God (cf. Lk 12:32), who "calls you into his own kingdom and glory" (1 Thess 2:12); he welcomes the kingdom as a child (cf. Mk 10:15) and is prepared for whatever renunciation is required to enter it (cf. Lk 18:29; Mt 19:29; Mk 10:29).
 
이러한 견지에서 우리는 예수님에 의하여 은연 중 나타내어졌던 이 나라에 들어가기 위한 조건들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조건들은 “회심(conversion)"이라는 단어 안에서 요약될 수 있습니다. 회심을 통하여 인간은, ”당신의 나라와 영광으로 여러분을 부르시는“(1테살로니카 2,12), 하느님의 이 선물을 향하여 마음을 열며(루카 복음서 12,32를 참고하라), 어린 아이와 같이 이 나라를 받아들이고(마르코 복음서 10,15를 참조하라), 그리고 이 나라에 들어가기 위하여 어떠한 포기가 요구된다 하더라도 준비를 하게 됩니다(루카 복음서 18,29; 마태오 복음서 19,29; 마르코 복음서 10,29를 참조하라).
 
The kingdom of God demands a profound or new "justice" (cf. Mt 5:20); it requires commitment in doing "God's will" (cf. Mt 7:21); it calls for the interior simplicity "of children" (cf. Mt 18:3; Mk 10:15); and it implies the overcoming of the obstacle constituted by riches (cf. Mk 10:23-24).
 
하느님의 나라깊은 혹은 새로운 “정의(justice, 의로움)”를 요구하며(마태오 복음서 5,20을 참조하라), “하느님의 뜻”을 행함에 헌신할 것을 필요로 하며(마태오 복음서 7,21을 참조하라), “어린이들의” 내면적 단순함을 요청하며(마태오 복음서 18,3; 마르코 복음서 10,15를 참조하라), 그리고 이 나라는 재물(riches)들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장애의 극복을 뜻합니다(마르코 복음서 10,23-24를 참조하라).
 
The Beatitudes proclaimed by Jesus (cf. Mt 5:3-12) could be called the Magna Carta of the kingdom of heaven which is given to the poor in spirit, to those who mourn, to the meek, to those who hunger and thirst for righteousness, to the merciful, to the pure in heart, to the peacemakers and to those who are persecuted for righteousness' sake. The beatitudes do not only indicate the requirements of the kingdom. First of all they manifest the work that God accomplishes in us by making us similar to his Son (cf. Rom 8:29) and capable of having his sentiments (cf. Phil 2:5 ff.) of love and pardon (cf. Jn 13:34-35; Col 3:13).
 
예수님에 의하여 선포된 참 행복들(즉, 진복팔단)(마태오 복음서 5,3-12를 참조하라)하늘 나라의 대헌장(Magna Carta)으로 불릴 수 있는데, 이것은 영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어지며, 슬퍼하는 사람들에게 주어지며, 온유한 사람들에게 주어지며, 의로움에 주리고 목마른 사람들에게 주어지며, 자비로운 사람들에게 주어지며,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에게 주어지며,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에게 주어지며 그리고 의로움 때문에 박해를 받는 사람들에게 주어집니다. 이 참 행복들은 단지 이 나라의 요구 사항들만을 은연 중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우선적으로 이들은, 우리를 당신의 아드님과 비슷하게 만드심으로써 그리하여 사랑과 용서에 대한(요한 복음서 13,34-35; 콜로새 3,13을 참조하라) 당신의 정서(필리피 2,5 및 그 이후 이어지는 절들을 참조하라)들을 갖는 능력을 수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느님께서 우리 안에 성취하시는 바로 그 위업을 드러냅니다(로마 8,29를 참조하라).
 
Jesus' teaching on the kingdom of God is witnessed to by the Church of the New Testament, which has lived it in the joy of its paschal faith. It is the community of the "little ones" whom the Father "has delivered from the dominion of darkness and transferred to the kingdom of his beloved Son" (Col 1:13). It is the community of those who live "in Christ," allowing themselves to be guided by the Spirit in the way of peace (cf. Lk 1:79), and who strive to avoid the works of the "flesh," and not "to fall into temptation," well knowing that "those who do such things shall not inherit the kingdom of God" (Gal 5:21). The Church is the community of those who proclaim by their life and words the same message of Jesus: "The kingdom of God has come near to you" (Lk 10:9).
 
하느님 나라에 대한 예수님의 가르침은, 파스카 믿음에 대한 기쁨 안에서 이 나라를 생활 속에서 실천하고 있는, 신약 성경에 기인하는 교회에 의하여 증언되고 있습니다. 교회는, 성부께서 “우리를 어둠의 권세에서 구해 내시어 당신께서 사랑하시는 아드님의 나라로 옮겨 주셨던”(콜로새 1,13), “작은 사람들”로 이루어진 공동체입니다. 교회는, 자신들이 평화의 방식으로 성령에 의하여 인도되는 것을 허락하는(루카 복음서 1,79를 참조하라), 그리고 “육(flesh)”의 작용들을 회피하려고 노력하는, 그리고 “이런 짓을 저지른 자들은 하느님의 나라를 차지하지 못할 것”임을 잘 알기에(갈라티아 5,21), “유혹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그리스도 안에” 살고 있는 자들로 이루어진 공동체입니다. 교회는 자신들의 삶과 말들로써, 다음과 같은, 꼭 같은 예수님의 메시지를 선포하는 자들로 이루어진 공동체입니다: “하느님의 나라가 여러분에게 가까이 왔습니다”(루카 복음서 10,9).
 
"As the centuries succeed one another, the Church constantly moves forward toward the fullness of divine truth until the words of God reach their complete fulfillment in her" (DV 8). The Church prays to the Father in every Eucharistic celebration that his kingdom may come. She lives in fervent expectation of the glorious coming of the Lord and Savior Jesus who will offer to the divine majesty "an eternal and boundless kingdom: a kingdom of truth and life, a kingdom of holiness and grace, a kingdom of justice, of love and of peace" (Preface of the Solemnity of Christ the King).
 
“여러 세기들이 서로 이어감에 따라, 교회는, 하느님의 말씀들이 교회 안에서 그 완전한 구현에 도달할 때까지, 하느님 진리의 충만함을 향하여 지속적으로 앞으로 나아갑니다”(DV 8). 교회는 모든 성찬례 경축에서 당신의 나라가 올 것을 성부께 기도드립니다. 교회는 주님이시며 구원자이신 예수님의 영광을 발하는(glorious) 도래에 대한 열렬한 예상(expectation) 안에서 살아가는데, 당신께서는 다음과 같은 나라를 하느님의 주권(divine majesty)에 봉헌할 것입니다: “영원하며 경계가 없는 나라: 진리와 생명의 나라, 거룩함과 은총의 나라, 정의의 나라, 사랑의 그리고 평화의 나라”[로마 미사 경문(Roman Missal), 그리스 왕 대축일 서문(Preface of Christ the King)].
 
번역자 주: DV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4개의 핵심 문헌들 중의 하나인, 하느님 계시에 관한 교의 헌장인,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의 약자이다,
 
This expectation of the Lord is a constant source of confidence and strength. It stimulates the baptized, who have become partakers in Christ's royal dignity, to live every day "in the kingdom of the beloved Son," to bear witness to and proclaim the presence of the kingdom with the same works as Jesus (cf. Jn 14:12). The Council teaches that in virtue of this witness of faith, the world will be imbued with the spirit of Christ and attain more effectively its end in justice, charity and peace (cf. LG 36).
 
주님에 대한 이러한 예상은 확신과 정신력의 지속적인 원천입니다. 이 예상은, 그리스도의 왕의 존엄에 함께하는 사람들이 이미 되어버린, 세례를 받은 자들로 하여금, “당신께서 사랑하시는 아드님의 나라 안에서” 매일 살아가도록, 예수님께서 행하셨던 바와 꼭 같은 일들로써(요한 복음서 14,12) 이 나라의 현존에 대하여 증언하도록 그리고 선포하도록, 격려합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믿음에 대한 이러한 증거에 의거하여, 이 세상이 그리스도의 정신으로 듬뿍 스며들게 되어 그리하여 정의, 사랑 그리고 평화 안에서 그 목표를 더욱 더 효과적으로 성취할 것이라고 가르칩니다(LG 36을 참조하라).
 
-----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7시간
 


1,025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