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마르코 9,2-10 예수님의 거룩한 변모의 의미 [성경공부]

인쇄

[122.128.41.*]

2010-11-08 ㅣ No.971

 

 
 
질문:

영광의 신비 4단. 예수님께서 거룩하게 변모하심을 묵상합시다.

1 엿새 뒤에 예수님께서 베드로와 야고보와 그의 동생 요한만 따로 데리고 높은 산에 오르셨다.
2 그리고 그들 앞에서 모습이 변하셨는데, 그분의 얼굴은 해처럼 빛나고 그분의 옷은 빛처럼 하얘졌다.
3 그때에 모세와 엘리야가 그들 앞에 나타나 예수님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4 그러자 베드로가 나서서 예수님께 말하였다. “주님, 저희가 여기에서 지내면 좋겠습니다. 원하시면 제가 초막 셋을 지어 하나는 주님께, 하나는 모세께, 또 하나는 엘리야께 드리겠습니다.”
5 베드로가 말을 채 끝내기도 전에 빛나는 구름이 그들을 덮었다. 그리고 그 구름 속에서, “이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니 너희는 그의 말을 들어라.” 하는 소리가 났다.
6 이 소리를 들은 제자들은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린 채 몹시 두려워하였다.
7 예수님께서 다가오시어 그들에게 손을 대시며, “일어나라. 그리고 두려워하지 마라.” 하고 이르셨다.
8 그들이 눈을 들어 보니 예수님 외에는 아무도 보이지 않았다.
9 그들이 산에서 내려올 때에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사람의 아들이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되살아날 때까지, 지금 본 것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라.” 하고 명령하셨다.

 
 
질문 1: 예수님께서 거룩한 모습으로 변모하셨다는 것이 어떤 의미일까요?
 
질문 2: 그리고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당신의 변모하신 사건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하신 이유는 무엇일까요?
 
[질문 추가 일자: 2011년 5월 15일]
 
질문 3: 예수님의 변신 때 엘리야와 모세가 나타난 정도로 성경에 비중 있게 자주 거론되는 예언자의 예언서는 왜 없나요?
 
[이상, 질문 추가 끝]
 
--------------------
 
 
답글:
 
 
+ 찬미 예수님
 
인용하신 부분에다 이어지는 제10절을 추가하면, 나해 주님 거룩한 변모 축일(8월 6일)의 복음 말씀(마르코 9,2-10)이 되며, 또한 나해 사순 제2주일 복음 말씀이기도 합니다.
 
 
질문 1에 대한 답변:
 
다음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CCCC)의 가르침을 읽고 묵상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더 자세한 가르침은 그 아래의 파란색의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그 접속 주소가 하단부에 안내되어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554-556, 568항들을 읽고 묵상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나해-II"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
 
CCCC 110. 주님 거룩한 변모의 뜻이 무엇입니까?
CCC 554-556, 568

무엇보다도 주님 거룩한 변모(Transfiguration)는 거룩한 삼위(Trinity)를 나타냅니다: “목소리 안에 성부, 사람인 예수님 안에 성자, 빛나는 구름 안에 성령”(성 토마스 아퀴나스). 당신께서 “세상을 떠나실 일”(루카 복음서 9,31)에 대하여 모세와 엘리야와 함께 말씀을 나누시면서,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영광이 십자가 수난을 거쳐 오며 당신의 부활과 그리고 “우리의 비천한 몸을 당신의 영광스런 몸과 같은 모습으로 변화시켜 주실”(필리피 3,21) 당신의 영광스런 재림을 당신께서 예상하시고 계심을 드러내셨습니다(엮은이 번역).
 
     “주님께서는 산 위에서 변모되셨고 당신의 제자들은, 그들이 할 수 있었
     던 
만큼, 당신의 영광을 바라보았는데, 아! 우리의 하느님이신 그리스도
     여, 그 
결과 당신께서 십자가형을 당하시는 것을 그들이 보아야만 하였을
     때에 그들
은 당신의 수난이 자발적이었음을 이해하였을 것이며, 그리고 당
     신이 진실로 
성부의 광채(splendor)이심을 세상을 향하여 선포하였을 것입
     니다.”(비잔틴 
전례).
 
주: 교황청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영어 등의 외국어로 된 위의 CCCC 문항들 및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제공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해당 항목들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 이 주소를 클릭하고 들어가, 맨 아래의 파란색 링크 주소를 한 번 더 클릭한 후에,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554-556항 및 제568항 반드시 필독할 것을 권고합니다. 
 
 
질문 2에 대한 답변: 

답변 2-1: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나해-II"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 나해 주님 거룩한 변모 축일(8월 6일) 복음 말씀 중의 제9절에 대한 해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묵상시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르코 복음서에 있어 침묵하라는 다른 명령들과는 달리, 이 명령은, 그리스도의 부활이라는, 특별한 시간 제약을 가지고 있다. 산으로부터 내려옴과 침묵하라는 명령은 구약 성경에서의 하느님 출현 양식들의 요소들이다[탈출기 32,15(내려옴); 다니엘 12,4.9(침묵)].

참고: 전후 문맥 안에서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하여, 저의 졸저서인 "... 성경공부 해설서"의 나해 주님 거룩한 변모 축일(8월 6일) 복음 말씀(마르코 9,2-10)에 대한 해설 전문을 읽고 묵상하실 것을 권고합니다.
 
 
답변 2-2: 여기를 클릭하시면, 저의 졸저서인 "... 성경공부 해설서"의 인터넷 각주로 제공되고 있는, 가톨릭 교회 교도권의 가르침에 매우 충실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나해 주님 거룩한 변모 축일(8월 6일) 복음 말씀(마르코 9,2-10)에 대한 해설(영어)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영어에 문제가 없으시면 또한 묵상시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1년 5월 15일]
 
답변 2-3: 여기를 클릭하시면, 저의 졸저서인 "... 성경공부 해설서"의 인터넷 각주로 제공되고 있는, 가톨릭 교회 교도권의 가르침에 매우 충실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가해 주님 거룩한 변모 축일(8월 6일) 복음 말씀(마태오 17,1-9)에 대한 해설(영어)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영어에 문제가 없으시면 또한 묵상시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답변 2-4: 여기를 클릭하시면, 저의 졸저서인 "... 성경공부 해설서"의 인터넷 각주로 제공되고 있는, 가톨릭 교회 교도권의 가르침에 매우 충실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다해 주님 거룩한 변모 축일(8월 6일) 복음 말씀(루카 9,28ㄴ-36)에 대한 해설(영어)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영어에 문제가 없으시면 또한 묵상시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문 3에 대한 답변:
 
3-1.
다들 잘 알고 계시겠지만, 주님 거룩한 변모에 대한 직접적인 구약 성경의 유사(parallel) 기록들은 전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것은, 비록 예수님의 공생활 시기까지 유다인들이 기다리고 있었던 무력 왕, 메시아(그리스도)가 "하느님의 아들(the son of God)"이라고 불리기는 하였으나, 그러나 이 메시아를, 나자렛 사람 예수님으로 강생하시기 이전에 "성자(하느님의 아드님, the Son of God)"로서 한 처음부터 가지고 계셨던 신성(the divinity)을 가지신 하느님이 아니라, 여전히 사람으로 이해하였던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이는 (사도 요한을 제외한) 대부분의 예수님의 열두 제자들마저도 부활하신 예수님을 알아보지 못하였으나, 이들 중의 일부 제자들에게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개별적 조치를 취하신 이후에 비로소 이들이 예수님께서 부활하셨음을 믿게 되었으며, 그리하여 그제서야 공생활 당시의 나자렛 사람 예수님께서 강생하신 "하느님의 아드님(성자, the Son of God)"이셨음을 최종적으로 확신하였기 때문입니다.

즉, 예수님의 부활 사건 이전에 살았던 유다인들은, 하느님께서 직접 사람으로 오시어 우리가 구원을 받을 수 있는 그 길(the way)을 제시해 주실 것임을 전혀 예상하지 못하였다는 생각입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예를 들어, 가해 부활 제5주일 복음 말씀인 요한 복음서 14,1-12를 읽고 묵상하시기 바랍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4월 3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이에 대한 더 자세한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56.htm <-----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여, <----- 또한 필독을 권고합니다.
 
"하느님의 아드님(the Son of God, 성자)""하느님의 아들(the son of God)"의 차이점에 대한 저의 졸글을 또한 읽고 묵상하시기 바랍니다.
 
 
3-2.
3-2-1. 다들 잘 알고 계시겠지만, 주님 거룩한 변모에 대한 직접적인 구약 성경의 병행(parallel) 기록들은 전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선 다음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CCCC) 제38항을 함께 읽도록 합시다:
 
-----
 
CCCC 38. 어떠한 이름으로써 하느님께서 자신을 드러내셨습니까?
CCC 203-209, 230-231

하느님께서는 모세에게 살아 계시는 하느님으로서,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사악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탈출기 3,6)으로, 자신을 드러내셨습니다. 하느님께서는 또한 모세에게 당신의 신비로운 이름인 “나는 있는 나다[(I am who I am (YHWH)]”(탈출기 3,14)를 드러내셨습니다. 이미 구약 성경 시대에 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하느님의 이름은 거룩한 호칭인 주님(Lord)으로 대체되었습니다. 따라서 신약 성경에서, 주님으로 불리셨던 예수님께서는 참 하느님으로 이해되십니다(엮은이 번역).
 
주: 칠십인 역 구약성경에 있는 그리스어 단어 Kyrios는 adonai(my Lord)와 동치인데, adonai는, 소리 내어 부를 수 없었던 하느님의 이름인, YHWH의 대용으로 사용되었던 히브리어 단어이다 (이 해설서의 성 십자가 현양 축일 제2독서 해설 및 다음의 인터넷 주소를 클릭 한 후,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209항을 참고하라).
주: 교황청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영어 등의 외국어로 된 위의 CCCC 문항들 및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제공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해당 항목들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http://ch.catholic.or.kr/pundang/4/a_transfig_c203.htm
 
-----

3-2-2. 그리고 가장 근접한 기록은 모세가 시나이 안에서 하느님을 뵙고 난 후에 그의 얼굴의 살갗이 빛난 것(탈출기 34,29-35)이라고, 저의 졸저서인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출판사: 가톨릭출판사)의 주님 거룩한 변모 축일 입문에서 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의 이해는, "하느님의 영광(the glory of God)" 혹은 "영광(glory)"의 개념을 우선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이 개념의 정의(definition)에 대하여 읽고 묵상하시기 바랍니다. 
 
3-2-3. 그리고 또한 비록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가해, 나해, 그리고 다해, 즉 매년, 주님 거룩한 변모 축일의 동일한 제1독서인
 
다니엘 7,9-10.13-14

가 
또한 주님 거룩한 변모와 관련된 구약 성경의 한 부분이라고 가톨릭 교회 교도권전례력을 통하여 우리들에게 제시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아직, 추가 내용 작성 중입니다.
 
 
이상 끝.
 
 


1,028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