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황금률과 새 계약 & 성 클레멘트가 말하는 불의 [성경공부_황금률] [교리학습_황금률] <사순1주목복음> <연중12화목복음><다연중7주일복음>

인쇄

[175.115.218.*]

2012-08-24 ㅣ No.1243


질문:

마태오 복음서 7,12:
너희는 남에게 바라는 대로 남에게 해주어라
. 이것이 율법과 예언서의 정신이다.

쉬운듯 매우 어려운 ...  제게는 그렇게 다가옵니다.

이 말씀이 물질적인 것과 경제활동상의 거래들을 포함하는 것인지

아니면 정신적인 교감이나 이해타산이 배제된 관계에 국한하는 것인지

예를 들어 쉽게 설명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답변:

+ 찬미 예수님!

우선, 마태오 복음서 7,12는,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i) 매년 사순 제1주간 목요일 복음 말씀(마태오 7,7-12)
(ii) 매년 연중 제12주간 화요일 복음 말씀(마태오 7,7.12-14)

에 포함됩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1월 24일]

그리고 그리스도교 윤리(Christian morality)의 대헌장인 "산상설교(마태오 복음서 제5장-제7장)"에 포함되는, 마태오 복음서 7,12에 병행하는 구절인 루카 복음서 6.31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iii) 다해 연중 제7주일 복음 말씀(루카 6,27-38)
(iv) 매년 연중 제23주간 목요일 복음 말씀(루카 6,27-38)

포함됩니다.

     다른 한편으로, 유다교측에서는 전통적으로 자신들의 성경(Sacred Scriptures)을 "율법(Law, Torah)", "예언서(Prophets)", 그리고 "성문서(Writings)" 로 구분합니다.

     그리고, 마태오 복음서 7,12에서, "율법과 예언서의 정신이다" 라는 말씀은,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여러 영어본 성경들의 해당 본문으로부터, "율법과 예언서(즉, 구약 성경)의 요약이다" 라는 의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1. 주신 질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한줄답변을 이미 드렸습니다:

마태오 7,12: "그러므로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 이것이 율법과 예언서의 정신이다."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이 말씀은, 황금률(黃金律, the Golden Rule), 즉 "내가 행하기를 원치 않는 바를 남에게 시키지 말라"는 가르침입니다.

예수님께서 처음으로 말씀하신 것이 아닌, "황금률"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주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34.htm <----- 필독 권고

     "황금률(黃金律, the Golden Rule)"로 불리는 바는 소위 말하는 "자연법(the natural law)"의 범주에 속하는데, 바로 위의 글에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는, 이 자연법을 완성한 "신법(the divine law)"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새로 주셨던 " 계명(the new commandment)"이라고 가르치고 계십니다.

게시자 주 1:

여기를 클릭하면 <----- 또한 필독 권고 

" 계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형용사 "새"의 의미를 읽을 수 있습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동서 고금을 막론하고, 윤리(倫理, morality)의 범주 안에서 "성(聖)"과 "속(俗)"이 만날 때에 "황금률(黃金律, the Golden Rule)"로 불리는 바가 "속(俗)"의 측에서 등장하기에,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바로 이 가르침은, 특히 특정 문화권을 향한 그리스도의 복음 선포를 위한 선교 및 그 문화권에서의 그리스도의 복음의 토착화 이들 둘 다와 관련하여, 과거 혹은 현재뿐만이 아니라 미래의 시점에도 상당히 유의미하다는 생각입니다.

이는, "속(俗)"이 언제나 "성(聖)"에 의한 교화(敎化, enlightenment)의 대상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2.
황금률(the Golden Rule)을 우리나라가 속한 유교 문화권에서는 전통적으로 "충서(忠恕)"라고 부릅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글을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787.htm <----- 또한 필독 권고

3. 위의 제1항제2항에 주어진 답변들에 추가하여 다음의 읽을꺼리로 안내해 드립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루카 16,1-13(소 제목: 약은 집사의 비유)에 대한 알렉산드리아의 성 클레멘트의 주석을 읽을 수 있습니다.

주신 질문에 대한 직접적인 답변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대단히 도움이 되는 간접적인 답변이라는 생각이며, 주신 질문과 관련하여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021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