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11월11일[이콘]성 메나스 순교자♬Abide with me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3-11-09 ㅣ No.1464

 

[이콘] 그리스도와 성 메나스 6세기.루브르박물관,파리.

 

목판에 그려진 이콘 중 현재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로 콥트 교회에 기원을 두고있다.

(이콘.신비의 미-장긍선신부편저)

 

이 작품은 이집트 정교회에서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이콘 가운데 하나로서,

구세주 예수님과 곱틱(Coptic)교회의 수도원장 성 메나와의 친교가 잘 담겨져 있다.

(정웅모신부.서울대교구 성미술감독)

 

여러분들은 나의 벗들입니다.

이 이콘을 자세히 보면 메나스라고 전해진 성인 곁에 나란히 서서 그의 어깨에

다정히 당신 오른 손을 얹고 계시는 예수님은 왼손에 복음서를 들고 계십니다.

메나스는 예수님을 사랑하기에 그분과 함께 복음을 선포할 것입니다.

그런데 메나스는 자신의 무능력함을 체험합니다.

대부분의 예언자들이 그러하였듯이 자신의 길에서 너무나 지나친 것을 요구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말재주도 없습니다’, ’저는 아직 나이도 어리고 체험도 부족합니다’라고 거듭 고백합니다.

그런 메나스는 자신이 가고 있는 길에 예수님께서 정겹게 어깨를 마주하시는 가장 사랑하는 친구로서,

가장 소중한 친구로서 예수께서 늘 함께 계심을 체험합니다.

"혹,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나를 저버리는 일이 있을지라도,

혹 어미가 어린 젖먹이를 버릴지라도, 주님께서는 나를 떠나지 않으리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런 체험을 통해 메나스의 나약한 믿음이 하느님 안에서 굳건해 집니다.

주님이 함께 하시기에...

그분께서 함께 가시기에 자신의 약점이나 사람들의 인정이나 평가에 얽매이지 않습니다.

그분께서 함께 가시니 힘이 납니다.

(소공동체길잡이2003년7,8월호에서)

 

martyrdom of Saint Menas.6c.

Pyxis.British Museum, London

 

요한 15,11-17

11 "내가 이 말을 한 것은 내 기쁨을 같이 나누어 너희 마음에 기쁨이 넘치게 하려는 것이다.

12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 이것이 나의 계명이다.

13 벗을 위하여 제 목숨을 바치는 것보다 더 큰 사랑은 없다.

14 내가 명하는 것을 지키면 너희는 나의 벗이 된다.

15 이제 나는 너희를 종이라고 부르지 않고 벗이라고 부르겠다.

종은 주인이 하는 일을 모른다.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내 아버지에게서 들은 것을 모두 다 알려 주었다.

16 너희가 나를 택한 것이 아니라 내가 너희를 택하여 내세운 것이다.

그러니 너희는 세상에 나가 언제까지나 썩지 않을 열매를 맺어라.

그러면 아버지께서는 너희가 내 이름으로 구하는 것을 다 들어 주실 것이다.

17 서로 사랑하여라. 이것이 너희에게 주는 나의 계명이다."

 

 

 

 

축일:11월11일

성 메나스

ST.MENAS KALLIKELADOS

San Menna d’Egitto Eremita

St.Mennas of Egypt

Egyptian - beheaded c.300 at Cotyaes, Phrygia; buried at Mareotis, Egypt

 

 

San Menna d Egitto.

 

성메나스는 아마도 에집트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순교한 듯 보인다.

그는 로마군의 에집트인 군인으로서 프리지아에서 복무하던 중,

디오클레씨안의 크리스챤 박해 때에 코티에움에서 순교하였다.

그는 소위 군인 성인으로 널리 알려졌고, 영웅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의 경당은 카룸 아부 미나에 있는데 이곳은 리비아 사막의 국경 지대이다.

그는 에집트의 대 성인들 중의 한 분으로 큰 공경을 받고 있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MENAS KALLIKELADOS.

 

 

■콥트교회 Coptic church

이집트인의 콥트 국민교회.

639∼640년 아라비아인 지배아래 성립,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밑에 속한다.

교회법은 위사도서간(僞使徒書簡), 고대 공의회문서, 비잔츠, 시리아 법률자료, 여러 주교의 지령에 따라 성립.

교의상 가톨릭 교회와 구별되는 점은 그리스도론, 종말론, 교황의 통치권교도권상의 수위(首位)에 관한 점이다.

전례는 콥트어를 사용. 신도수 약 85만명, 콥트인 프로테스탄트 5만명, 가톨릭 귀일교회 신도 3만명이다.

(가톨릭대사전에서)

 

 

 

■콥트 교회 Coptic Church

이슬람권 이집트에 압도적으로 많은 주요 그리스도교 교회.

7세기 아랍인이 점령하기 이전의 이집트 민족은 그들 자신과 그들의 언어를

그리스어로 ’아이지프티오스’(아랍어로는 qibt, 콥트는 서구화된 발음임)라 불렀다.

그뒤 이집트의 이슬람교도들이 ’아이지프티오이’라는 칭호를 쓰지 않자 이 용어는 소수 종교집단인 그리스도교도들만을 가리키게 되었다.

5세기 이래 이 그리스도교도들은 단성론(그리스도의 단성만을 인정하는 견해) 교회에 속했으며, 스스로를 이집트 교회라 불렀다.

19, 20세기에는 콥트 정교회로 자칭하여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한 콥트인들 및 주로 그리스인들로 구성된 동방정교회와 스스로를 구별하기 시작했다.

4, 5세기에 이집트에서 콥트인들과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로마인들인 멜키트파(’황제의 사람들’) 사이에

단성론을 배격한 칼케돈 공의회(451)를 둘러싸고 신학 논쟁이 있었다. 7세기 아랍인들이 이집트를 정복한 뒤 콥트인들은 그리스어 사용을 중단했다.

 

 

■콥트 성가 Coptic chant

7세기에 이슬람이 이집트를 정복하기 전 그리스도교에 귀화한 고대 이집트 후손들의 예배음악.

아랍어 ’qibt’에서 유래한 ’콥트’라는 말은 그리스어 Aigyptios(’이집트인’ 또는 ’이집트어’)의 전와어(轉訛語)이다.

나중에 이슬람교로 개종한 후로 이집트인들은 이 명칭을 사용하지 않았고, 그리스도교를 계속 믿던 소수인들에게만 이 명칭이 적용되었다.

함셈어족인 콥트어는 997년에 아랍권에서 완전히 금지되었고 콥트의 예배용 언어로만 오늘날까지 전해내려온다.

콥트의 종교의식은 예루살렘의 초기 그리스도교 의식에 뿌리를 두고 있고, 시리아와 아랍의 영향도 강하게 나타나 있다.

어떤 학자들은 콥트의 의식이 이슬람의 종교의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분명한 증거는 없지만 콥트인들은 풍부한 음악적 전통을 전승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음악은 근래에 와서 필사 악보와 예배서 등에 의해 정리되기 전까지는 구전으로만 전해져왔다.

(한국브리태니커 온라인에서)

 

*성 프루멘시오 주교(콥트교회)축일:10월27일.인창동성당게시판1438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St. Menas.Pyxis.

Original of ivory, probably from Alexandria.

 

 

 

♬Abide with me-Hazell-Anthony Way

 

 

 

 

 

 

 

 

 

 

 

 

 

 

 

 

 

 

 

 

 

 

 

 

 

 

 

 

 

 

St. Menas

 

Martyr under Diocletian, about 295. According to the Greek Acts published with Latin translation in "Analecta Bollandiana", III 258 (Surlus XI 241), Menas, a Christian and an Egyptian by birth, served in the Roman army under the tribune Firmilian. When the army came to Cotyaeus in Phrygia, Menas hearing of the impious edicts issued against the Christians by the Emperors Diocletian and Maximian left the army, retired to a solitude in the mountains and served God by fasting vigils and prayer. During tbe celebration of a great festival Menas appeared in the midst of tbe populace in the circus, and fearlessly professed bis faith. He was led before tbe prefect Pyrrhus, cruelly scourged, put to torture and finally beheaded. His body was brought to Egypt and the martyr was soon invoked in many needs and afllictions. The fame of the miracles wrought, spread far and wide and thousands of pilgrims came to the grave in the desert of Mareotis between Alexandria and the valley of Natron. For centuries Bumma (Karm-Abum-Abu Mina) was a national sanctuary and grew into a large city with costly temples a holy well, and baths. A beautiful basillca was erected by the Emperor Arcadius. Tbe cult was spread into other countries, perhaps by travelling merchants who honoured him as their patron. As a result of various vicissitudes the doctrinal disputes and the conquest of Egypt by the Arabians under Omar in 641 the sanctuary was neglected and ultimately forgotten. During 1905 Mgr C.M. Kaufmann of Frankfort led an expedition into Egypt which made excavations at Bumma. He found in a vast field of ruins, the grave, the well and thermae, the basilica, the monastery, numerous inscriptions on the walls imploring aid through the intercession of the saint, and thousands of little water pitchers and oil lamps. The rich finds are partIy in the Museum of AIexandria and Cairo, and partIy in Frankfort and Berlin. The monsignor published an official report of his expedition in 1908, "La decouverte des Sanctuaires de Menas dans le desert de Mareotis". His feast is celebrated on 11 November.

 

Several saints of the name Menas were highly honoured in the ancient Church about whose identity or diversity much dispute is raised. Delahaye (Anal. Boll., XXIX, 117)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Menas of Mareotis, Menas of Cotyaes, and Menas of Constantinople, surnamed Kallikelados, are one and the same person, that he was an Egyptian and suffered martyrdom in his native place, that a basilica was built over his grave which became one of the great sanctuaries of Christendom, that churches were built in his honour at Cotyaeus and Constaninople, and gave rise to local legends.

 

 

 

 

 

 

 

MENAS KALLIKELADOS

 

Also known as

Mena of Egypt; Menas of Constantinople; Menas of Cotyaes; Menas of Cotyaeum; Menas of Egypt; Menas of Kotyaeum; Menas of Mareotis; Mennas

Memorial

11 November

Profile

May have been a camel driver in civilian life. Soldier in the imperial Roman army, serving under Firmilian. During the anti-Christian persecutions of Diocletian and Maximian, Menas left the army for his own safety, and so he would not in any way support such a regime. He retired for a while as a mountain hermit. During a great pagan festival, Menas came down from the mountains to preach Christianity in Cotyaes, Phrygia. He was tried for his faith before the Roman prefect Pyrrhus, scourged, tortured and martyred.

 

His grave in Egypt became known as a place of miracles, and a basilica built over his grave became one of the great sanctuaries of Christendom; it was called the glory of the Libyan desert. Merchants travelling through the area spread stories about him, and churches built in his honour at Cotyaeus and Constantinople gave rise to local legends about him. The basilica was destroyed and his tomb lost in the seventh century, and was rediscovered in an archeological expidition in 1905.

Born

Egyptian

Died

beheaded c.300 at Cotyaes, Phrygia; buried at Mareotis, Egypt

Canonized

Pre-Congregation

Patronage

falsely accused people peddlers, travelling merchants

Representation

man with his hands cut off and his eyes torn out; man with two camels; young knight with a halberd, an anachronistic depiction of his time in the Roman army

 

 

 

San Menna d’Egitto Eremita

 

11 novembre

Patronato:Pellegrini, Mercanti, Carovanieri del deserto

Emblema: Cammello

 



262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