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성령론과 그리스도론의 관계에 대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 내용

인쇄

[218.236.113.*]

2007-03-06 ㅣ No.663

 최초 질문:

 

성령론과 그리스도론의 관계에 대해 설명 부탁 드립니다.

 

----------------------------

 

Re: 질문을 주신 배경 설명을 어느 정도 해 주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

 

권영구 (2007/03/05) : 죄송합니다.통신신학원 과제물중에 어려움이 있어 질문 드렸습니다.배경설명이 미흡해 죄송합니다

 

----------------------------

 

A.

 

성령론을 영어로는 pneumatology 라고 하고 그리스도론을 영어로는 Christology 라고 합니다.

 

그리스도론이 예수 그리스도의 역할에 대하여 연구하는 분야이듯이, 성령론은 Holy Spirit의 역할에 대하여 연구하는 분야일 것입니다.

 

16세기 중반 종교 분리를 획책한 마르틴 루터를 기점으로 가톨릭 교회에서 이탈해 나간 개신교 측에서는 새로운 교리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서인지 성령에 대하여 많은 연구를 해 온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자면, 신약성서 말씀 중에 사도 바오로의 가르침, 달리 말하면, 바오로 신학이라고 불리는 분야에서도 성령에 관한 언급을 많이 하고 있는 듯 합니다.

 

요즈음의 가톨릭 신학대학교에는 정규 교과목 중에 성령론이 포함되어 있는데, 제가 찾아 본 자료에 의하면, 가톨릭 교회 측에서도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성령론 분야에 대한 학문적 연구도 상당히 진행이 되고 있는 듯 합니다. 

 

1.

다음은, 아래의 인터넷 주소에 올려진 영국의 Michael Fitzgerald 대주교님 과의 인터뷰 내용 중에서 발췌한 것인데, 선종하신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도 성령론에 관심이 많았다는 언급이 나오고 있습니다.

 

Are there particular issues likely to surface? For example, pneumatology?

 

I think the present Holy Father has made a great progress in that, especially the role of the Holy Spirit outside the visible church. The document that many people consider as negative, Dominus Iesus, in fact opens up fields of research. I'd be interested to see what the bishops want to tell us about that. How do the different religions contribute to the salvation of people? They're not ways of salvation, but they have elements of salvation in them. Can we study these, can we identify these, can this be a way we can go on? These we would attribute to the work of the Holy Spirit. Pneumatology, Christology, a reflection on the role of the church itself … these would be the three fields that I would see. But we tend to confine our reflection to dogmatic theology, and in a sense it's not just dogmatics but moral theology as well. I think there is a great field open today for dialogue at the level of humanity and the ethical problems that are presented by life in the modern world. We can perhaps share these in the form of dialogue with people of other religions.

 

출처: http://ncronline.org/mainpage/specialdocuments/fitzgerald.htm

 

2.

다음은, 라칭거 추기경님 (현 베네딕토 16세 교황님)께서 교황청 신앙교리성 장관시절에 가톨릭 교회 교리서 (CCC) 발간 10주년인 2002년 10월 9일에 가톨릭 교회 문헌 중 핵심 참고 문헌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관하여 말씀하실 때에, 가톨릭 교회 교리서 중 어떤 구절이 성령론에 대한 내용인지를 구체적으로 지적하신 내용입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중의 성령론에 대한 언급에 대한 내용인 만큼 매우 주의 깊게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잘 읽어 보시면, 주신 질문인 "성령론과 그리스도론의 관계"에 대한 답을 찾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Pneumatology
 

A further trait in the theology of the Catechism on worship, to which I would like to call attention, includes the emphasis on the pneumatologic dimension of the liturgy, and pneumatology itself — the doctrine on the Holy Spirit — is a theme on which the Catechism should be read in a way that cuts across sections, in order to understand its special physiognomy. The section on the Holy Spirit is basic within the framework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Profession of faith (nn. 683-747). The book emphasizes above all the profound joining together of Christology and pneumatology, which is already visible, for example, in the name Messiah — Christ — the anointed; in fact "anointing" in the patristic tradition means Christ's being penetrated by the Holy Spirit, the living "ointment".

 

Especially important and helpful do I find the section on the symbols of the Holy Spirit (nn. 694-701). It shows a typical aspect of the Catechism: its attention to images and symbols. It does not just reflect on abstract concepts, but it highlights symbols. They give us an interior vision, showing the transparency of the cosmos to the mystery of God and at the same time opening the relation with the world of religions. With the emphasis on image and symbol we are therefore already in the realm of liturgical theology, since the liturgical celebration essentially lives on symbols.

 

The theme of the Holy Spirit returns again in the teaching on the Church (nn. 797-810) — here as an aspect of an essentially Trinitarian vision of the Church. And again we find it amply present in the part on the sacraments (nn. 1091-112), here it belongs to a Trinitarian definition of the liturgy. The pneumatological vision of the liturgy again helps one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Scripture —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 the liturgical year, the Church traverses the entire history of salvation, and — reading Scripture in a spiritual way, that is, based upon the author who has inspired and inspires it, the Holy Spirit — experiences the today of this history. From here also — from the origin of all Scripture from one single Spirit — even the interior unity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becomes comprehensible; for the Catechism this is also an important item, to demonstrate the profound connection between Jewish and Christian liturgy (n. 1096). In parentheses we can observe in this regard, the theme of the Church and Israel is in fact a theme that cuts across sections, that also permeates the entire work and cannot be judged by a single passage. The fact that the Catechism's strong emphasis upon pneumatology also connects with the Eastern Churches, obviously does not need to be pointed out.

 

출처: http://www.catholicculture.org/docs/doc_view.cfm?recnum=4573

 

 

라칭거 추기경님께서는 위의 초록색 문장에서, 가톨릭 교회 교리서가 성령론과 그리스도론이 깊숙히 서로 결합되어 있음을 어떤 것 보다도 우선적으로 강조하고 있다고 말씀하고 계십니다.

 

위에서, 예를 들어, nn. 683-747 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683-747 항들을 말하고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홈페이지 제공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 위의 빨간색 번호의 항목들을 열심히 찾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3.

위의 라칭거 추기경님의 성령론에 대한 언급을 좀 더 알기 쉽게 요약한 내용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 에 잘 나와 있습니다.

 

교황청 제공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 전문으로 바로가기..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 이 2005년도에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에 의하여 출판이 허락 되었는데, 이 요약 문헌 중 위의 빨간색 번호에 해당하는 질문 문항과 그 해답을 잘 읽어 보시면, 이 요약 문헌의 출판 이전인 2002년도에 라칭거 추기경님(= 베네딕토 16세 교황님)께서 이 요약 문헌의 내용을 위에서 언급하고 계신 것을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상의 안내가, 주신 질문에 대한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995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