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다해-II_부록9] 교회는 또한 하나의 역사적 사실입니다 - 요한 바오로 2세 교리 교육 1991.09.11 869_KH_JPII [하늘나라_요한바오로2세]

인쇄

1991.09.11. [211.58.38.*]

2009-12-14 ㅣ No.891

 

+ 찬미 예수 

 

아래의 번역문은 1992년에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초판 발행이 있기 직전인 1991년에 주신, "하느님의 나라", "하늘 나라", 그리고 "가톨릭 교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일반 알현 교리 교육 강론 말씀입니다.
 
이 글은 가톨릭 교회가 전통적으로, 마태오 복음서에서 언급되고 있는 "하늘 나라"가 사실은 "가톨릭 교회"라고 가르쳐 왔고 또 지금도 가르치고 있음을 국내의 가톨릭 교우님들께서 분명하게 이해하시는 데에 도움을 드리고자 마련한 번역문들 중의 하나이오니, 지상에서 펼쳐지는 구원의 여정에 있어 핵심인 이 중요한 신앙적 진실을 여태 모르고 계셨던 교우님들께서는, 별도의 시간을 내어서라도, 아래의 글을 차분히 차근 차근 잘 읽어 보실 것을 강력하게 요청합니다.
 
인터넷으로 검색을 해 보면 생각보다도 많은 가톨릭 교우님들이 강생하신 성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핵심 가르침에 대한 교도권의 전통적 해석에 대하여 모르고 계시는 듯하여, 개인적으로 상당히 우울합니다.
 
"하늘 나라(천국, kingdom of heaven)"와 "천당(heaven, 하늘)"의 차이점에 대하여, 그리고 예수 재림의 날까지의 "가톨릭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신 바로 그 "하늘 나라(천국, kingdom of heaven)"임에 대하여 분명하게 언급하고 있는 우리말로 번역된 자료들이 별로 없는 듯 하며, 심지어 굿뉴스 제공 가톨릭 대사전 및 용어 사전에도 잘못 언급하고 있기에, 누구나 손쉽게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드리고자, 매우 고통스럽지만 부득불, 우선적으로, 이 가르침을 주시는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강론말씀들 몇 개를, 향후 약 한 달 동안, 시리즈의 형식으로 우리말로 번역하여 올려드릴 계획입니다.
 
다음의 번역문은,
지금 다루고 있는 주제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91년 9월 11일자 강론 말씀입니다.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전체 일반 알현 강론 말씀들 중에서 약 17개 정도이 하늘 나라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가르침들인데, 이번의 글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8개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올려드렸습니다. 주변의 분들에게 이 중요한 신앙적 진실/사실을 많이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올려드리는 글들을 읽어 보라고 권고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다음의 주소들을 클릭하시면 그동안 이 하늘 나라를 제대로 인식하기 위하여 제가 올려드린, 그리고 앞으로 제가 올려드릴, 글들을 손쉽게 읽으실 수 있겠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Kingdom_of_heaven.htm <----- 필독 권고 

[주: 하늘 나라에 관한 졸글들의 전체 모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John_Paul_II4Kingdom_of_heaven.htm <----- 필독 권고  

[주: 하늘 나라에 대한 직접적인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일반 알현 강론 말씀 모음]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question_and_answer <----- 클릭한 후에 살펴보십시오

[주:(저의 졸글들을 모아두는,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인터넷 주소]

 

제가 올려드리는 글들을 읽어 보라고 권고하실 때에, 위의 주소들을 함께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The Church Is Also a Historical Fact
General Audience — September 11, 1991
 
(1991년 9월 18일 Genearl Audience)
 
교회는 또한 하나의 역사적 사실입니다
일반 알현 - 1991년 9월 11일
요한 바오로 2세
 
In the Father's eternal plan the Church was conceived and desired as the kingdom of God and of his Son, the incarnate Word, Jesus Christ. The Church is realized in the world as a historical fact. Although she is certainly full of mystery and accompanied by miracles at the time of her birth, and one could say throughout her long history, she nevertheless exists in the sphere of observable, experimental and documentable facts.
 
(인류 구원을 위한) 성부의 영원한 계획 안에서 교회하느님의 나라로 그리고, 강생하신 말씀이신 예수 그리스도, 당신 아드님의 나라로 잉태되었으며 그리고 요구되었습니다. 교회는 이 세상에 하나의 역사적 사실로서 실현되고 있습니다. 비록 교회가 확실하게 신비로 가득 차 있으며 그리고 그 탄생 시점에 기적들을 동반하였으며, 그리고 우리가 (이것을) 교회의 오랜 역사 전반에 걸쳐 말할 수 있을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관측할 수 있는, 경험적인(experimental) 그리고 기록될 수 있는 사실들로 이루어진 영역(sphere) 안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In this regard, the Church began with the group of twelve disciples whom Jesus himself chose from among the multitude of his followers (cf. Mk 3:13-19; Jn 6:70; Acts 1:2) and who are called apostles (cf. Mt 10:1-5; Lk 6:13). Jesus called them, formed them in a particular way and finally sent them into the world as witnesses and preachers of his message, his passion and death, and his resurrection. On this basis, he sent them as founders of the Church, the kingdom of God which, however, always has her foundation in him, Christ (cf. 1 Cor 3:11; Eph 2:20).
 
이 점에 있어, 교회는, 당신의 추종자들로 이루어진 군중으로부터 예수님께서 몸소 선택하셨던(마르코 복음서 3,13-19; 요한 복음서 6,70; 사도행전 1,2를 참조하라) 그리고 사도(apostles)들로 불리게 되었던(마태오 복음서 10,1-5; 루카 복음서 6,13을 참조하라), 열두 명의 제자(disciples)들로 이루어진 집단과 함께 시작하였습니다. 예수님께서 이들을 부르셨으며, 특별한 방식으로 이들을 구성하셨으며 그리고 마침내 이들을, 당신의 메시지, 당신의 수난과 죽으심, 그리고 당신의 부활에 대한 증인들로서 그리고 설교자들로서, 이 세상에 파견하셨습니다. 이것을 근거로 하여, 당신께서는 이들을 교회, 즉 하느님의 나라의 창설자들로서 파견하셨는데, 그러나 이 나라는 그 기초를 항상 당신 안에 두고 있습니다(1코린토 3,11; 에페소 2,20을 참조하라).
 
After the ascension, a group of disciples gathered around the apostles and Mary as they waited for the Holy Spirit promised by Jesus. Truly, they were faced with the "promise of the Father" which had been stated once more by Jesus while they were at table, a promise which concerned a "baptism in the Holy Spirit" (Acts 1:4-5). Then they asked the risen Master, "Lord, are you at this time going to restore the kingdom of Israel?" (Acts 1:6). Evidently, they were still psychologically influenced by the hope of a messianic kingdom consisting of a temporal restoration of the Davidic kingdom, which was an expectation of Israel (cf. Mk 11:10; Lk 1:32-33). Jesus dissuaded them from this expectation and reconfirmed his promise: "You will receive power when the Holy Spirit comes upon you, and you will be my witnesses in Jerusalem, throughout Judea and Samaria, and to the ends of the earth" (Acts 1:8).
 
당신의 승천 후에, 제자들로 이루어진 한 집단은, 예수님에 의하여 약속되었던 성령을 기다리면서, 이 사도들과 마리아 주변에 모여들었습니다. 진실로, 그들은, 그들이 식사 중에 예수님에 의하여 한 번 더 이미 말해졌던, “성부의 약속”, 즉, “성령에 의한 세례(baptism in the Holy Spirit)”(사도행전 1,4-5)에 관한 것이었던, 한 개의 약속에 직면해 있었습니다. 그 때에 그들은 부활하신 주님께 “주님, 지금이 주님께서 이스라엘에 다시 나라를 일으키실 때입니까?(Lord, are you at this time going to restore the kingdom of Israel?)”(사도행전 1,6)라고 여쭈었습니다. 분명히, 그들은, 이스라엘의 예상이었던, 다윗 왕국의 일시적인 회복으로 이루어진, 메시아의 나라에 대한 희망에 의하여 여전히 심리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었습니다(마르코 복음서 11,10; 루카 복음서 1,32-33을 참조하라). 예수님께서는 그들이 이러한 예상을 하는 것을 단념시키셨으며 그리고 다음과 같은 당신의 약속을 다시 확언하셨습니다: “성령께서 너희에게 내리시면 너희는 힘을 받아, 예루살렘과 온 유다와 사마리아, 그리고 땅 끝에 이르기까지 나의 증인이 될 것이다”(사도행전 1,8).
 
On the day of Pentecost, which for Israel had been a harvest feast (cf. Ex 23:16) but had also become a feast of renewing the covenant (cf. 2 Chr 15:10-13), the promise of Christ was fulfilled in the way which is now well known. Under the action of the Holy Spirit the group of apostles and disciples was strengthened, and the first people converted by the preaching of the apostles, and especially of Peter, were gathered around the apostles. The growth of the first Christian community began in this way (Acts 2:41) and the church of Jerusalem was established (cf. Acts 2:42-47). It quickly grew and extended to other cities, regions and nations--even to Rome! This happened both in virtue of her own internal dynamism, inspired by the Holy Spirit, as well as by the circumstances which compelled Christians to flee from Jerusalem and Judea and to be scattered in different localities, and by the commitment with which the apostles in particular wanted to fulfill Christ's command regarding a universal evangelization.
 
이스라엘에 있어 수확절(harvest feast)이었던(탈출기 23,16을 참조하라) 그러나 또한 옛 계약을 갱신하는 축제일이 되어버렸던(2역대 15,10-13을 참조하라) 성령 강림일(day of Pentecost)에, 그리스도의 약속은 지금 잘 알려진 바로 그 방식으로 구현되었습니다. 성령의 작용 하에서 사도들과 제자들로 이루어진 이 집단은 강화되었으며, 그리고 사도들의 설교에 의하여, 그리고 특히 베드로의 설교에 의하여, 개종을 하게 되었던 첫 번째 백성이 사도들 주변에 모여들었습니다. 이 첫 번째 그리스도인 공동체의 성장은 이렇게 시작하였으며(사도행전 2,41를 참조하라) 그리하여 예루살렘 교회가 제정되었습니다(사도행전 2,42-47을 참조하라). 이 교회는 빠르게 성장하였으며 그리고 다른 도시들, 지역들 그리고 나라들로 -- 심지어 로마에까지!, 확장되었습니다(extended). 이 확장은,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예루살렘 지역과 유다 지역으로부터 달아나도록 그리하여 다른 지역들에 흩어지도록 강제하였던 당시의 사정들뿐만이 아니라, 성령에 의하여 영감을 받게 되었던, 교회 고유의 내적 역동성(internal dynamism) 덕택, 그리고 특히 사도들이, 그것으로써 보편적 복음화(a universal evangelization)에 관한 그리스도의 명령을 구현하기를 원하였던, 바로 그 헌신, 이들 둘 다에 의하여 발생하였습니다.
 
This is the historical fact concerning the origins Luke described in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confirmed by other Christian and non-Christian texts. These texts document the spread of Christianity and the existence of various churches throughout the Mediterranean basin and beyond by the last decades of the first century.
 
이것은 루카가 사도행전에 기록하였으며 그리고 다른 그리스도교 및 비그리스도교 본문(texts)들에 의하여 확인되는 그 기원들에 대한 역사적 사실입니다. 이들 본문들은 지중해 유역(the Mediterranean basin) 전반에 걸쳐 그리고 기원후 1세기의 마지막 수십 년들까지의 범위를 넘어서 그리스도교의 확산과 다양한 교회들의 존재를 문서로 증명합니다(document).
 
The mysterious element of the Church is containe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is fact. Vatican II speaks about this: "To carry out the will of the Father, Christ inaugurated the kingdom of heaven on earth and revealed to us the mystery of that kingdom. By his obedience he brought about redemption. The Church, or, in other words, the kingdom of Christ now present in mystery, grows visibly through the power of God in the world" (LG 3). These words are the synthesis of the preceding catechesis on the beginning of the kingdom of God on earth in Christ and through Christ. At the same time they indicate that the Church is called into existence by Christ, so that this kingdom may last and develop in her and through her during the course of human history on earth.
 
교회의 신비로운 요소는 이러한 사실의 역사적 문맥 안에 담겨 있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이것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성부의 뜻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리스도께서는 지상에 하늘 나라를 개시하셨으며 그리고 우리에게 이 나라의 신비를 드러내셨습니다. 당신의 순명으로써 당신께서는 속량(redemption)을 성취하셨습니다. 교회는, 즉 다른 말로, 그리스도의 나라는 이제 신비 안에 현존하고 있으며, 이 세상에서 하느님의 권능을 통하여 가시적으로 자라고 있습니다”(LG 3). 이 표현(words)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고 그리스도를 통하여 지상에 하느님 나라의 시작에 대한 지난 번 교리 교육의 종합입니다. 동시에 이 표현들은 교회가 그리스도에 의하여 탄생하게 되며(is called into existence), 그리고 이 나라는 교회 안에서 그리고 교회를 통하여 지상에서 인간 역사의 과정 중에 지속되며 발전할 것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From the beginning of his messianic mission Jesus Christ preached conversion and called his listeners to faith: "Repent, and believe in the Gospel" (Mk 1:15). He entrusted to the apostles and the Church the task of joining people together in the unity of this faith, by inviting them to enter the community of faith which he founded.
 
당신의 메시아로서의 임무의 시작에서부터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회심(conversion)을 설교하셨으며 그리고 다음과 같이 당신의 청중들을 믿음으로 부르셨습니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마르코 복음서 1,15).  당신께서는 사도들과 교회에, 사람들을 당신께서 세우셨던 믿음으로 이루어진 공동체에 들어오도록 초청함으로써, 사람들을 이 믿음에 함께 결합시키는 임무를 맡기셨습니다.
 
The community of faith is at the same time a community of salvation. Jesus repeated many times: "The Son of Man has come to seek and to save what was lost" (Lk 19:10). He knew and declared from the beginning that his mission was to "bring glad tidings to the poor, to proclaim liberty to captives and recovery of sight to the blind" (cf. Lk 4:18). He knew and declared that he had been sent by the Father as the Savior (cf. Jn 3:17; 12:47). This is the reason for his special concern for the poor and for sinners.
 
믿음으로 이루어진 이 공동체는 동시에 구원을 위한 한 개의 공동체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여러 번 반복하여 말씀하셨습니다: “사람의 아들은 잃은 이들을 찾아 구원하러 왔다”(루카 복음서 19,10). 당신께서는 처음부터 당신의 임무가 “가난한 이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고 잡혀간 이들에게 해방을 선포하며 눈먼 이들을 다시 보게 하고”(루카 복음서 4,18을 참조하라)자임을 알고 계셨으며 그리고 선포하셨습니다. 당신께서는 자신이 구원자(Savior)로서 성부에 의하여 파견되셨음을 알고 계셨으며 그리고 선포하셨습니다(요한 복음서 3,17; 12,47을 참조하라). 이것이 바로 가난한 이들과 죄인들에 대한 당신의 특별한 관심의 이유입니다.
 
Consequently, the Church too is meant to begin and develop as a community of salvation. The Second Vatican Council emphasized this in the Decree Ad Gentes: "But what the Lord preached that one time, or what was wrought in him for the saving of the human race, must be spread abroad and published to the ends of the earth (cf. Acts 1:8), beginning from Jerusalem (cf. Lk 24:27), so that what he accomplished at that one time for the salvation of all, may in the course of time come to achieve its effect in all" (AG 3). The Church's mission and her missions throughout the world originate from this requirement of spreading salvation, which was expressed in the Gospel and the Acts of the Apostles.
 
그 결과, 교회는 또한 구원을 위한 공동체로서 시작하고 그리고 발전하기로 되어 있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이것을, 교회의 선교 활동에 관한 교령 ‘만인에게(Decree Ad Gentes, 선교 교령)’에서 다음과 같이 강조하였습니다: “그러나 주님께서 한 시기에 설교하셨던 바, 즉 인류의 구원을 위하여 당신 안에서 공들여 만들어졌던(wrought) 바는 널리 퍼져야만 하며 그리고, 예루살렘에서 시작하여(루카 복음서 24,27을 참조하라), 이 세상의 끝들에까지(사도행전 1,8을 참조하라) 공포되어야만 하는데, 그 결과로 당신께서 모든 이들의 구원을 위하여 한 시기에 성취하셨던 바가 시간의 과정 안에서 모두에게 있어 그 효과를 성취하게 될 것입니다”(AG 3). 교회의 임무(mission)와 교회의 선교사단(missions)들은 이 세상 전반에 걸쳐 구원을 퍼뜨리라는 이러한 요구에서 비롯되는데, 이러한 요구는 이 복음서와 사도행전에 표현되어 있습니다, 
 
The Acts of the Apostles attest that in the early Church, the Jerusalem community, there was a fervent prayer life and that Christians came together for the "breaking of the bread" (Acts 2:42ff), a phrase that in Christian language meant an early Eucharistic rite (cf. 1 Cor 10:16; 11:24; Lk 22:19; etc.).
 
사도행전은 예루살렘 공동체인 초기 교회 안에서 열렬한 기도 생활이 있었음을 그리고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인들의 언어에 있어 초기의 성찬 전례(Eucharistic rite)를 뜻하였던 구절인(1코린토 10,16; 11,24; 루카 22,19 등을 참조하라), “빵을 떼어 나누기 위하여”(사도행전 2,42 및 이어지는 구절들) 함께 모였음을 증명합니다.
 
Jesus actually wanted his Church to be the community in which God would be worshipped in Spirit and truth. This was the new meaning of worship which he taught: "But the hour is coming, and is now here, when true worshippers will worship the Father in Spirit and truth, and indeed the Father seeks such people to worship him" (Jn 4:23). Jesus said this in his conversation with the Samaritan woman. But this worship in Spirit and truth does not exclude a visible element; it does not exclude liturgical signs and rites, for which the first Christians gathered both in the temple (cf. Acts 2:46) and in homes (cf. Acts 2:46; 12:12). In speaking to Nicodemus, Jesus himself alluded to the rite of Baptism: "Amen, amen, I say to you, no one can enter the kingdom of God without being born of water and Spirit" (Jn 3:5). This was the first sacrament of the new community. It brought rebirth through the Holy Spirit and entrance into the kingdom of God, signified by the visible rite of washing with water (cf. Acts 2:38, 41).
 
예수님께서는 당신 교회가 그 안에 하느님께서 영과 진리(Spirit and truth) 안에서 예배되어지는 공동체가 되는 것을 실제로 원하셨습니다. 이것은, 당신께서 다음과 같이 가르치셨던, 예배에 대한 새로운 의미였습니다: “그러나 진실한 예배자들이 영과 진리 안에서 아버지께 예배를 드릴 때가 온다. 지금이 바로 그때다. 사실 아버지께서는 이렇게 예배를 드리는 이들을 찾으신다”(요한 복음서 4,23). 예수님께서는 이것을 사마리아의 여인과 당신의 대화에서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영과 진리 안에서의 이 예배는 가시적인 요소를 제외하지 않으며, 그리고, 이를 위하여 첫 그리스도인들이 (예루살렘의) 성전(the temple)(사도행전 2,46을 참조하라)과 가정(사도행전 2,46; 12,12를 참조하라)들 둘 다에서 모였던, 전례적 표징(signs)들과 예식(rites)들을 제외하지 않습니다. 니코데모(Nicodemus)에게 말씀하시면서, 예수님 몸소 다음과 같이 세례 예식에 대하여 암시하셨습니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에게 말한다. 누구든지 물과 성령으로 태어나지 않으면, 하느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요한 복음서 3,5). 이것은 이 새 공동체의 첫 성사였습니다. 이 성사는 성령을 통한 다시 태어남을 가져다주었으며 그리고, 물로 씻는 가시적인 예식에 의하여 표명되는, 하느님 나라에 들어감을 가져다주었습니다(사도행전 2,38.41을 참조하라).
 
The highest expression of the new worship--in Spirit and truth--was the Eucharist. The institution of this sacrament was the pivotal point in the Church's formation. In relationship to Israel's Passover meal, Jesus conceived it and instituted it as a banquet in which he gave himself under the appearance of food and drink: bread and wine, signs of sharing divine life--eternal life with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banquet. St. Paul expresses this ecclesial aspect of participation in the Eucharist quite well when he writes to the Corinthians: "The bread that we break, is it not a participation in the body of Christ? Because the loaf of bread is one, we, though many, are one body, for we all partake of the one loaf" (1 Cor 10:16-17).
 
영과 진리 안에서 이 새 예배에 대한 최고의 표현이 바로 성찬례였습니다. 이 성사의 제정은 교회의 형성에 있어 중추 지점이었습니다. 이스라엘의 파스카 식사와의 관계 안에서, 예수님께서는, 그 안에서 당신께서 당신 자신을, 다음과 같이, 음식과 음료수의 겉모습 아래에(under the appearance of) 내어 주셨던, 하나의 잔치로 이 성사를 시작하셨으며(conceived) 그리고 제정하셨습니다: 이 잔치에 참석하는 자들과 함께하는 영원한 삶인, 거룩한 삶에 함께 함에 대한 표징들인 빵과 포도주. 성 바오로는 성찬례에의 동참이라는 이 교회의 양상을, 그가 코린토인들에게 편지를 쓸 때에, 다음과 같이 상당히 잘 표현합니다: “우리가 떼는 빵은 그리스도의 몸에 동참하는 것이 아닙니까? 빵이 하나이므로 우리는 여럿일지라도 한 몸입니다. 우리 모두 한 빵을 함께 나누기 때문입니다”(1코린토 10,16-17).
 
Since the beginning the Church has understood that the institution of this sacrament at the Last Supper signified the entrance of Christians into the very heart of God's kingdom, which Christ began through his redemptive Incarnation and established in human history. Christians realized from the beginning that this kingdom continues in the Church, especially through the Eucharist. The Eucharist--as a sacrament of the Church--was and is the highest expression of that worship in Spirit and truth which Jesus spoke of in his conversation with the Samaritan woman. At the same time, the sacrament of the Eucharist was and is a rite which Jesus instituted so that it would be celebrated by the Church. In fact, he said at the Last Supper: "Do this in memory of me" (Lk 22:19; cf. 1 Cor 11:24-25). These words were spoken on the eve of his passion and death on the cross, in the context of a discourse to the apostles in which Jesus instructed them and prepared them for his own sacrifice. They understood these words in this sense. From these words the Church derived the doctrine and practice of the Eucharist as an unbloody renewal of the sacrifice of the cross. This fundamental aspect of the Eucharist was expressed by St. Thomas Aquinas in the famous antiphon: O sacrum convivium, in quo Christus sumitur, recolitur memoria passionis eius. He adds what the Eucharist produces in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banquet, according to Jesus' preaching of eternal life: mens impletur gratia, et futurae gloriae nobis pignus datur.
 
교회는, 그 시작 이후로, 최후의 만찬에서 이 성사의 제정이 하느님 나라의 바로 그 중심(heart)으로의 그리스도인들의 들어감(entry)을 나타냄을(signified) 이해하여 왔는데, 이 나라를 그리스도께서 속량을 위한 당신의 강생(his redemptive Incarnation)을 통하여 시작하셨으며 그리고 인간의 역사 안에 제정하셨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처음부터 이 나라가 교회 안에서 특별히 성찬례를 통하여 계속되고 있음을 알아차렸습니다. 교회의 성사로서 성찬례는, 예수님께서 사마리아의 여인과 당신의 대화에서 말씀하셨던 영과 진리 안에서의 바로 그 예배에 대한 최고의 표현이었으며(was) 그리고 지금도 최고의 표현입니다(is). 동시에, 성체성사(즉, 성찬례)는, 교회에 의하여 경축되게 하고자, 예수님께서 제정하셨던 예식(a rite)이었으며 그리고 지금도 예식입니다. 사실, 당신께서는 최후의 만찬에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루카 복음서 22,19 및 1코린토 11,24-25를 참조하라). 이 말씀들은, 예수님께서 당신 고유의 희생을 위하여 제자들에게 가르치셨으며 그리고 준비하게 하셨던 사도들을 향한 설교(discourse)의 문맥 안에서, 십자가 위에서의 당신의 수난과 죽으심 전날 밤에 말해졌습니다. 그들은 이 말씀들을 이러한 의미로 이해하였습니다. 이 말씀들로부터 교회는 성찬례에 대한 교리(doctrine)와 관습(practice)을 십자가 위에서의 희생에 대한 피를 흘리지 않는 갱신으로 도출하였습니다. 성찬례에 대한 이 근본적인 면은 다음과 같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에 의한 유명한 후렴(antiphon)에서 표현되었습니다: O sacrum convivium, in quo Christus sumitur, recolitur memoria passionis eius(그 안에서 그리스도의 몸이 영해지고, 당신의 수난에 대한 기억이 새롭게 되는, 오 거룩한 잔치여). 그는, 영원한 생명에 대한 예수님의 설교에 따라, 이 잔치에 참여하는 자들 안에 이 성찬례가 열매를 맺는 바를 다음과 같이 추가합니다: mens impletur gratia, et futurae gloriae nobis pignus datur(마음이 은총으로 채워지며, 그리고 우리를 향한 미래의 영광에 대한 보증이 주어지는).
 
Vatican II summarizes the Church's doctrine on this point in the following way: "As often as the sacrifice of the cross in which Christ our Passover was sacrificed (cf. 1 Cor 5:7), is celebrated on the altar, the work of our redemption is carried on, and, in the sacrament of the Eucharistic bread, the unity of all believers who form one body in Christ (cf. 1 Cor 10:17) is both expressed and brought about" (LG 3).
 
제2차 바타칸 공의회는 이 점에 대한 교회의 교리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요약합니다: “우리의 파스카이신 그리스도께서 희생 제물이 되신 십자가 희생이 제대 위에서 자주 경축될 때 마다(1코린토 5,7을 참조하라), 우리에 대한 속량의 위업이 수행되며, 그리고 성찬례 빵의 성사 안에서,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1코린토 10,17을 참조하라)을 이루는 믿는 자 모두의 일치가 또한 표현되며 그리고 초래하게 됩니다”(LG 3).
 
According to the Council, the Last Supper was the moment in which Christ, anticipating his death on the cross and his resurrection, started the Church. The Church was begotten together with the Eucharist, inasmuch as she was called "to this union with Christ, who is the light of the world, from whom we go forth, through whom we live, and toward whom our whole life strains" (LG 3). Christ is such above all in his redemptive sacrifice. It was then that he fulfilled the words he once said: "The Son of Man did not come to be served but to serve and to give his life as a ransom for many" (Mk 10:45; Mt 20:28). At that moment Christ brought about the Father's plan, by which he "had to die...to gather into one the dispersed children of God" (Jn 11:51-52). Therefore, in his sacrifice on the cross Christ is the center of the Church's unity, as he had predicted: "When I am lifted up from the earth, I will draw everyone to myself" (Jn 12:32). In his sacrifice on the cross, renewed on the altar, Christ remains the perennial source of life for the Church, in which all are called to share in his eternal life in order one day to be able to share in his eternal glory. Et futurae gloriae nobis pignus datur.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따라, 최후의 만찬은 그리스도께서, 십자가 위에서의 당신의 죽음 그리고 부활을 예상하시면서, 교회를 시작하셨던 바로 그 순간이었습니다. 교회는, “그 자신이, 당신으로부터 우리가 나아가며, 당신을 통하여 우리가 살아가며, 그리고 당신을 향하여 우리의 삶 전체가 힘껏 노력하는, 이 세상의 빛이신 그리스도와의 일치로” 요청받았기에(inasmuch as), 성찬례와 함께 태어나게 되었습니다(LG 3). 그리스도께서는 무엇보다도 당신의 속량하시는 희생에 있어 그러하십니다. 그러고 나서 당신께서는 이전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던 바로 그 말씀들을 구현하셨습니다: “사람의 아들은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또 많은 이들의 몸값으로 자기 목숨을 바치러 왔다”(마르코 복음서 10,45; 마태오 복음서 20,28). 바로 그 순간에 그리스도께서는 성부의 계획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되셨는데, 이 계획에 의하여 당신께서는 “흩어져 있는 하느님의 자녀들을 하나로 모으시려고 ... 돌아가시리라는 것”입니다(요한 복음서 11,51-52). 그러므로, 당신께서 다음과 같이 이미 예측하셨듯이, 십자가 위에서의 당신의 희생 안에서 그리스도께서는 교회의 일치의 중심이십니다: “나는 땅에서 들어 올려지면 모든 사람을 나에게 이끌어 들일 것이다”(요한 복음서 12,32). 제대 위에서 새롭게 되는 바로 이 십자가 위에서의 당신 희생 안에서, 그리스도께서는 교회를 위한 영구한 생명의 원천으로 머무르고 계시는데, 교회 안에서 모든 이가, 언젠가 당신의 영원한 영광에 함께 할 수 있게 하고자, 당신의 영원한 생명에 함께 하도록 요청받고 있습니다. Et futurae gloriae nobis pignus datur(그리고 우리를 향한 미래의 영광에 대한 보증이 주어지는).
 
----------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6시간



993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