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다해-II_부록4] 그리스도의 임무 -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 교리 교육 1988.04.20. 869_KH_JPII [하늘나라_요한바오로2세]

인쇄

1988.04.20. [211.58.38.*]

2009-12-21 ㅣ No.895

 

+ 찬미 예수 

 

아래의 번역문은 1992년에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초판 발행이 있기 몇년 전인 1988년에 주신, "하느님의 나라", "하늘 나라", 그리고 "가톨릭 교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일반 알현 교리 교육 강론 말씀입니다.
 
이 글은 가톨릭 교회가 전통적으로, 마태오 복음서에서 언급되고 있는 "하늘 나라"가 사실은 "가톨릭 교회"라고 가르쳐 왔고 또 지금도 가르치고 있음을 국내의 가톨릭 교우님들께서 분명하게 이해하시는 데에 도움을 드리고자 마련한 번역문들 중의 하나이오니, 지상에서 펼쳐지는 구원의 여정에 있어 핵심인 이 중요한 신앙적 진실을 여태 모르고 계셨던 교우님들께서는, 별도의 시간을 내어서라도, 아래의 글을 차분히 차근 차근 잘 읽어 보실 것을 강력하게 요청합니다.
 
인터넷으로 검색을 해 보면 생각보다도 많은 가톨릭 교우님들이 강생하신 성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핵심 가르침에 대한 교도권의 전통적 해석에 대하여 모르고 계시는 듯하여, 개인적으로 상당히 우울합니다.
 
"하늘 나라(천국, kingdom of heaven)"와 "천당(heaven, 하늘)"의 차이점에 대하여, 그리고 예수 재림의 날까지의 "가톨릭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신 바로 그 "하늘 나라(천국, kingdom of heaven)"임에 대하여 분명하게 언급하고 있는 우리말로 번역된 자료들이 별로 없는 듯 하며, 심지어 굿뉴스 제공 가톨릭 대사전 및 용어 사전에도 잘못 언급하고 있기에, 누구나 손쉽게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드리고자, 매우 고통스럽지만 부득불, 우선적으로, 이 가르침을 주시는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강론말씀들 몇 개를, 향후 약 한 달 동안, 시리즈의 형식으로 우리말로 번역하여 올려드릴 계획입니다.
 
다음의 번역문은,
지금 다루고 있는 주제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88년 4월 20일자 강론 말씀입니다.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전체 일반 알현 강론 말씀들 중에서 약 17개 정도이 하늘 나라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가르침들인데, 이번의 글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11개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올려드렸습니다. 주변의 분들에게 이 중요한 신앙적 진실/사실을 많이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올려드리는 글들을 읽어 보라고 권고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다음의 주소들을 클릭하시면 그동안 이 하늘 나라를 제대로 인식하기 위하여 제가 올려드린, 그리고 앞으로 제가 올려드릴, 글들을 손쉽게 읽으실 수 있겠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Kingdom_of_heaven.htm <----- 필독 권고 

[주: 하늘 나라에 관한 졸글들의 전체 모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John_Paul_II4Kingdom_of_heaven.htm <----- 필독 권고  

[주: 하늘 나라에 대한 직접적인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일반 알현 강론 말씀 모음]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question_and_answer <----- 클릭한 후에 살펴보십시오

[주:(저의 졸글들을 모아두는,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인터넷 주소]

 

제가 올려드리는 글들을 읽어 보라고 권고하실 때에, 위의 주소들을 함께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Christ's Mission
General Audience — April 20, 1988
 
 
 
그리스도의 임무/사명
일반 알현 - 1988년 4월 20일
요한 바오로 2세
 
Today we begin the final phase of our reflections on Jesus Christ. Until now we have sought to show who Jesus Christ is. We have done so, first in the light of Sacred Scripture, especially of the Gospels. Then, in recent reflections, we have examined and illustrated the Church's response of faith to Jesus' revelation and to the witness and preaching of the apostles in the course of the first centuries, during the elaboration of the Christological definitions of the early Councils (between the fourth and seventh centuries).
 
오늘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우리의 묵상의 마지막 단계를 시작합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인지를 보이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우리는, 우선적으로 성경에 비추어, 특별히 복음서들에 비추어, 그렇게 하였습니다. 그러고 나서, 최근의 묵상들에서, 우리는 예수님의 계시에 대한, 그리고 초기 공의회들이 그리스도론의 정의(definitions)들을 고심하여 만드는 동안이었던(4세기와 7세기 사이 기간) 첫 몇 세기들로 이루어진 과정에 있어서의 사도들의 증언 및 설교들에 대한, 믿음에 기인하는 교회의 응답을 검토하였으며 그리고 예증하였습니다.
 
Jesus Christ is true God and true man, of one Being with the Father (and with the Holy Spirit) as regards his divinity, and of one being with us as regards his humanity: Son of God and born of the Virgin Mary. This is the central dogma of the Christian faith in which the mystery of Christ is expressed.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신성과 관련하여 성부와 함께 (그리고 성령과 함께) 한 본체를 이루시는, 그리고 당신의 인성과 관련하여, 하느님의 아드님이시며 동정 마리아로부터 태어나시어, 우리와 함께 한 본체를 이루시는, 참 하느님이시며 참 사람이십니다. 이것이 바로, 그 안에서 그리스도의 신비가 표현되는, 그리스도 신앙의 핵심 교의(dogma)입니다.
 
Jesus Christ's mission also pertains to this mystery. The creed links this mission with the truth about the being of the God-Man (Theandrikos), Christ, when it states concisely that "For us men and for our salvation he came down from heaven...and was made man." In our reflections we shall seek to develop the content of these words of the creed, meditating in turn on the various aspects of Jesus Christ's mission.
 
예수 그리스도의 임무도 또한 이 신비에 속합니다.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the creed)은, 간결하게 “성자께서는 저희 인간을 위하여, 저희 구원을 위하여 하늘에서 내려오셨음을 믿나이다. 또한 성령으로 인하여 동정 마리아에게서 육신을 취하시어 사람이 되셨음을 믿나이다”라고 말할 때에, 이 임무를 신인(God-Man)(Theandrikos)이신 그리스도라는 존재자에 관한 진리와 연결합니다. 우리의 묵상들에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임무에 대한 다양한 국면들을 순서대로 묵상함으로써,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의 이 말씀들의 내용을 발전시키고자 노력할 것입니다.
 
From the beginning of his messianic activity Jesus manifested first of all his prophetic mission. Jesus announced the Good News. He himself said that "he has come" from the Father (cf. Mk 1:38), "that he has been sent" to "proclaim the good news of the kingdom of God" (cf. Lk 4:43).
 
메시아로서의 당신 활동의 시작에서부터 예수님께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당신의 예언자적 임무를 드러내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좋은 소식(Good News)을 선포하셨습니다. 예수님 몸소 “하느님 나라에 대한 복음(the good news of the kingdom of God)을 선포하기 위하여” “당신께서 성부로부터 오셨음”(마르코 복음서 1,38을 참조하라)을, “당신께서 파견되셨음”(루카 복음서 4,43을 참조하라)을, 말씀하셨습니다.
 
Jesus acted in a different way from that of his precursor John the Baptist. At the Jordan, in the desert, John taught those who came to him from various places. Instead, Jesus went out to meet those to whom he had to proclaim the Good News. This going out to the people reflects the dynamism proper to the mystery of the Incarnation: God's going toward humanity. Thus the evangelists tell us that Jesus "went around all of Galilee teaching in their synagogues" (Mt 4:23), and that "he journeyed from one town and village to another" (Lk 8:1). From the Gospel texts it is evident that Jesus' preaching took place almost exclusively in Palestine, that is, between Galilee and Judea, with visits to Samaria which links the two principal regions. However, the Gospel also mentions the "region of Tyre and Sidon," that is Phoenicia (cf. Mk 7:31; Mt 15:21), and also Decapolis, "the region of the Gerasenes" on the "other shore of the Sea of Galilee" (cf. Mk 5:1; also 7:31). These references prove that Jesus at times went beyond the confines of Israel (in the ethnic sense), even though he repeatedly emphasized that his mission was principally to "the house of Israel" (Mt 15:24). When he sent the disciples on a first trial journey of missionary apostolate, he explicitly enjoined: "Do not go into pagan territory or enter a Samaritan town. Go rather to the lost sheep of the house of Israel" (Mt 10:5-6). At the same time, however, one of the more important messianic conversations took place in Samaria, at the well of Sychar (cf. Jn 4:1-26).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선구자(precursor)인 세례자 요한의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행동하셨습니다. 요르단 강에서, 광야에서, 세례자 요한은 다양한 지역들로부터 자신에게 온 자들을 가르쳤습니다. 이와는 달리, 예수님께서는 당신께서 좋은 소식을 선포하여야만 하는 바로 그 사람들을 만나기 위하여 나아가셨습니다. 사람들에게 이러한 나아감은, 하느님께서 인류를 향하여 나아가심이라는, 강생 신비에 특유한 활력(the dynamism)을 반향합니다. 따라서 복음사가들은 우리에게 예수님께서는 “온 갈릴래아를 두루 다니시며 회당에서 가르치시고”(마태오 복음서 4,23)라고 말하며, 그리고 “고을과 마을을 두루 다니시며”(루카 복음서 8,1)라고 말합니다. 복음서 본문들로부터 예수님의 설교가 거의 독점적으로 팔레스티나 지역에서, 즉 갈릴래아 지역과 유다 지역 사이에서, 이들 두 주된 지역들을 연결하는 사마리아 지역에의 방문을 포함하여, 있었음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복음서는 또한 “티로(Tyre)와 시돈(Sidon) 지역”, 즉 페니키아(Phoenicia) 지역을 언급하며(마르코 복음서 7,31; 마태오 복음서 15,21을 참조하라), 그리고 또한 데카폴리스(Decapolis) 지역, 즉 “갈릴래아 호수의 다른 해변 지역에 위치한 게라사인(Gerasenes)들의 지방”을 언급합니다(마르코 복음서 5,1; 또한 7,31을 참조하라). 이들 언급들은 예수님께서는, 비록 당신께서 당신의 임무가 주로 “이스라엘 집안”에 있다고 반복적으로 강조하셨음에도 불구하고(마태오 복음서 15,24), 때로는 (민족적 의미에 있어) 이스라엘의 범위를 넘어 나아가셨음을 증명합니다. 당신께서 제자들을 선교사 사도직 첫 시험 여행에 파견하셨을 때에, 당신께서는 다음과 같이 명백하게 명하셨습니다: “다른 민족에게 가는 길로 가지 말고, 사마리아인들의 고을에도 들어가지 마라. 이스라엘 집안의 길 잃은 양들에게 가라”(마태오 복음서 10,5-6). 그러나 동시에 더 중요한 메시아로서의 대화들 중의 하나가, 사마리아 지역인, 시카르(Sychar)의 우물에서 있었습니다(요한 복음서 4,1-26을 참조하라).
 
Moreover, the evangelists themselves attest to the fact that the crowds which followed Jesus comprised people not only from Galilee, Judea and Jerusalem, but also "from Idumea and from beyond the Jordan and from the neighborhood of Tyre and Sidon" (Mk 3:7-8; cf. also Mt 4:12-15).
 
더욱이, 복음사가 자신들은 예수님을 따랐던 청중이 갈릴래아 지역, 유다 지역 그리고 예루살렘 지역에서부터 뿐만이 아니라, 또한 “이두메아(Idumea)와 요르단 건너편, 그리고 티로와 시돈 근처에서”부터의 사람들을 포함하였다는 사실을 증언합니다(마르코 복음서 3,7-8; 또한 마태오 복음서 4,12-15를 참조하라).
 
Even though Jesus clearly stated that his mission was restricted to the "house of Israel," at the same time he made it understood that the doctrine he preached—the Good News—is destined for the whole human race. For example, in reference to the Roman centurion's profession of faith, he foretold: "Many will come from the east and the west and will recline with Abraham, Isaac, and Jacob at the banquet in the kingdom of heaven..." (Mt 8:11). However, only after the resurrection will he command his apostles, "Go, therefore, and teach all nations" (Mt 28:19).
 
비록 예수님께서 당신의 임무가 “이스라엘 집안”에 제한된다고 분명하게 말씀하셨으나, 동시에 당신께서는 당신께서 설교하셨던 가르침 즉 좋은 소식(Good News)이 인류 전체를 위하여 예정된 것임을 이해하게 하셨습니다. 예를 들어, 믿음에 대한 로마 백인대장의 고백에 대한 언급에서, 당신께서는 다음과 같이 예언하셨습니다: “많은 사람이 동쪽과 서쪽에서 모여 와, 하늘 나라에서 아브라함과 이사악과 야곱과 함께 잔칫상에 자리 잡을 것이다”(마태오 복음서 8,11). 그러나 당신의 부활 이후에 비로소 당신께서는 당신의 제자들에게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들을 제자로 삼아 ... 가르쳐 지키게 하여라”라고 명령하실 것입니다(마태오 복음서 28,19).
 
What is the essential content of Jesus' teaching? One can put it in a word: the Gospel, that is, the Good News. He began his preaching with the invitation: "This is the time of fulfillment.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 Repent, and believe in the Good News" (Mk 1:15).
 
무엇이 예수님 가르침의 핵심 내용입니까? 우리는 이것을 다음과 같이 한 단어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복음, 즉 좋은 소식. 당신께서는 자신의 설교를 다음과 같은 초청과 함께 시작하셨습니다: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마르코 복음서 1,15).
 
The very term "Good News" indicates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Christ's message. God wishes to respond to the desire for good and happiness deeply rooted in the human being. It can be said that the Gospel, which is the divine response, has an optimistic character. This, however, is not a purely temporal optimism, a superficial rational happiness. It is not the announcement of an "earthly paradise." Christ's "Good News" makes essential moral demands on the hearer; it calls for self-denial and sacrifice. Ultimately it is linked to the redemptive mystery of the cross. At the heart of the "Good News" there is the program of the beatitudes (cf. Mt 5:3-11), which makes absolutely clear the kind of happiness Christ has come to announce and reveal to humanity still on its earthly journey toward its ultimate and eternal destiny. He said, "Blessed are the poor in spirit, for theirs is the kingdom of heaven." Each of the eight beatitudes has a similar structure. In the same spirit Jesus called "blessed" the servant whom the master "will find vigilant—or busy—on his arrival" (cf. Lk 12:37). Here one can discern also the eschatological and eternal perspective of the happiness revealed and announced by the Gospel.
 
좋은 소식”이라는 바로 이 용어는 그리스도의 메시지의 근본적 특성을 나타냅니다. 하느님께서는 인간 안에 깊숙이 뿌리박혀 있는 선함과 행복에 대한 바람(desire)에 화답하기를 원하십니다. 하느님의 응답인 복음은 낙관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어떤 순전히 일시적인 낙관주의, 어떤 피상적인 이성적 행복이 아닙니다. 이것은 어떤 “지상의 낙원(earthly paradise)”에 대한 선포가 아닙니다. 그리스도의 “좋은 소식”은 청중들에게 다음과 같은 본질적인 윤리적 요구(essential moral demands)를 합니다: 이 복음은 자기 부정 그리고 희생을 요청합니다. 궁극적으로 이 복음은 (당신의) 십자가 수난이라는 구속 신비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좋은 소식”의 중심(the heart)에 참 행복들(마태오 복음서 5,3-11)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 참 행복들은, 여전히 궁극적이고 영원한 자신의 운명을 향하여 지상에서 여행 중에 있는 인류에게 선포하고 드러내기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오셨던, 바로 그러한 종류의 행복을 절대적으로 분명하게 만듭니다. 당신께서는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여덟 개의 참 행복들 각각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꼭 같은 정신으로 예수님께서는 주인이 와서 볼 때까지 깨어있는 종들을 “행복하여라”라고 부르셨습니다(루카 복음서 12,37을 참조하라). 여기서 우리는 이 복음에 의하여 드러나게 되었으며 그리고 선포된 이 행복의 종말론적이고 영원한 관점을 또한 알아 볼 수 있습니다.
 
The beatitude about the poor in spirit brings us back to the beginning of Jesus' messianic activity. Speaking in the synagogue of Nazareth he said, "The Spirit of the Lord is upon me, because he has anointed me to bring glad tidings to the poor" (Lk 4:18). He means not only the materially poor, but all those who are spiritually open to God's gift of truth and grace as the gift of his love, a gratuitous gift (gratis datum), because they are interiorly detached from material things and are willing to use and share them with others according to the demands of justice and charity. For this condition of God's poor (anawim) Jesus "gives praise to the Father," because "he has hidden these things (that is, the great things of God) from the wise and the learned and revealed them to the childlike" (cf. Lk 10:21). Therefore it is not said that Jesus dismisses from his company those who are better off financially, like the publican Zacchaeus who climbed a tree to see him (cf. Lk 19:2-9), or those other friends of Jesus whose names we know from the Gospels. According to Jesus' words, it is the poor in spirit (cf. Mt 5:3) and those who hear the word of God and observe it (cf. Lk 11:28), who are blessed.
 
영적으로 가난한 이들에 관한 참 행복은 우리를 예수님의 메시아로서의 활동의 시작으로 되돌아가게 합니다. 나자렛 지역의 회당에서 말씀하시면서 당신께서는 “주님께서 나에게 기름을 부어 주시니 주님의 영이 내 위에 내리셨다. 주님께서 나를 보내시어 가난한 이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고 ...”(루카 복음서 4,18)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당신께서는 물질적으로 가난한 이들뿐만이 아니라, 또한 무상의 선물(gratis datum)인 당신의 사랑이라는 선물로서의 진리와 은총인 하느님의 사랑에 영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모든 이들을 뜻하는데, 이는 그들이 물질적인 것들로부터 내적으로 분리되어 있기에 그 결과 정의와 사랑의 요청들에 따라 이 물질적인 것들을 기꺼이 다른 이들과 함께 사용하며 나누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의 가난한 사람들(God's poor, anawim)이라는 바로 이러한 조건/상태에 대하여 “성부께 감사를 드리는데”, 이는 “성부께서는 이런 것들을 (즉 하느님에 기인하는 훌륭한 것들을) 지혜롭다는 자들과 슬기롭다는 자들에게는 감추시고 철부지들에게는 드러내어 보이시기”(루카 10,21을 참조하라)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예수님께서 당신의 일행들로부터, 당신을 보기 위하여 나무 위에 올라갔던 세리인 자캐오(Zacchaeus)(루카 복음서 19,2-9)처럼, 혹은 그들의 이름들을 복음서들로부터 우리가 알고 있는 예수님의 다른 친구들처럼, 재정적으로 부유한 자들을 내쫓는다고 말해지고 있지 않습니다. 예수님의 말씀들에 따르면, 영적으로 가난하여 (마태오 복음서 5,3을 참조하라)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이것을 준수하는 자들이(루카 복음서 11,28을 참조하라) 바로 행복한 자들입니다.
 
Another characteristic of Jesus' preaching is that he sought to convey the Gospel message in a way suited to the mentality and culture of his hearers. He grew up and lived among them during the years of his hidden life at Nazareth (when "he advanced in wisdom," Lk 2:52). He knew the mentality, culture and tradition of his people, deeply rooted in the heritage of the Old Testament.
 
예수님 설교의 또 다른 특성은 당신께서는 당신의 청중들의 심리 상태와 문화에 적합한 방식으로 이 복음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노력하셨음에 있습니다. 당신께서는 [“당신께서 지혜에 있어 자랐던”(루카 복음서 2,52) 때인] 나자렛 지역에서 당신의 숨겨진 삶의 시기들(the years of his hidden life) 동안에 그들 사이에서 성장하셨고 생활하셨습니다. 당신께서는, 구약 성경이라는 유산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당신 백성의 심리 상태, 문화 그리고 전통을 알고 계셨습니다.
 
For this very reason he often used parables in proclaiming the truth, as is evident from the Gospels. For example, Matthew wrote, "All these things Jesus spoke to the crowds in parables. He spoke to them only in parables to fulfill what had been said through the prophet: 'I will open my mouth in parables, I will announce what has lain hidden from the foundation of the world'" (Mt 13:34-35).
 
바로 이 이유 때문에 당신께서는, 복음서들로부터 분명하듯이, 이 진리를 선포하심에 있어 비유들을 자주 사용하셨습니다. 예를 들어, 마태오는 “예수님께서는 이 모든 것을 비유로 말씀하시고, 비유를 들지 않고는 그들에게 아무 것도 말씀하지 않으셨다. 예언자를 통하여 ‘나는 입을 열어 비유로 말하리라. 세상 창조 때부터 숨겨진 것을 드러내리라’”(마태오 복음서 13,34-35)라고 기록하였습니다.
 
Using images from daily life that everyone could understand, his parables made it much easier to establish contact with those who had little education (cf. Summa Theol., III, q. 42, a. 2). "The mystery of God's kingdom," hidden in parables, needed further explanation, sometimes requested even by the apostles (e.g., cf. Mk 4:11-12). An adequate understanding could not be attained except with the aid of an interior light from the Holy Spirit, and Jesus promised and gave this light.
 
모든 이들이 이해할 수 있었던 일상의 삶으로부터의 표현들을 사용하여, 당신의 비유들은 교육을 거의 받지 아니하였던 자들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훨씬 더 쉽게 하였습니다[(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II, q. 42, a. 2를 참조하라]. 비유들에 감추어져 있는 “하느님 나라의 신비”는, 때로는 심지어 사도들에 의하여 요청되었던, 부연 설명(further explanation)이 필요하였습니다(마르코 복음서 4,11-12를 참조하라). 적절한 이해(adequate understanding)는 성령으로부터의 내면적 빛의 도움 없이는 얻어질 수가 없었으며, 예수님께서는 이 빛을 약속하셨으며 그리고 주셨습니다.
 
We must further note a third characteristic of Jesus' preaching, emphasized in the Apostolic Exhortation Evangelii Nuntiandi, published by Paul VI after the 1974 Synod on evangelization. There we read: "Jesus himself, the Good News of God, was the very first and greatest evangelizer; he was so through and through: to perfection and to the point of the sacrifice of his earthly life" (EN 7).
 
우리는, 1974년 복음화를 위한 시노드 이후에 바오로 6세 교황에 의하여 출판되었던, 현대의 복음 선교(Evangelii Nuntiani) 제목의 교황 권고(Apostolic Exhortation)에서 강조되었던, 예수님 설교의 세 번째 특성에 더욱 더 유념하여야만 합니다. 이 교황 권고로부터 우리는 다음을 읽습니다: “하느님의 좋은 소식이신 예수님 당신 자신께서는 바로 첫 번째이시며 그리고 가장 위대하신 복음 선포자이셨으며, 그리고 당신께서는 당신의 지상에서의 삶의 완성에까지 그리고 당신의 지상에서의 삶의 희생이라는 점에까지 당신께서는 철저하게 그렇게 하셨습니다”(EN 7).(*)
 
-----
(*) :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증앙협의회 제공의 우리말본 ‘현대의 복음 선교’ 교황 권고 전문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bck/1974Evangelii_Nuntiani_kr.htm
-----
 
Jesus not only proclaimed the Good News, but he himself was the Good News. Those who believed in him followed what he preached, but still more they followed the preacher. They followed Jesus because he offered "words of life," as Peter confessed after the Master's discourse in the synagogue of Capernaum: "Lord, to whom shall we go? You have the words of eternal life" (Jn 6:68). This identification of word and life, of the preacher and what he preaches, is perfectly realized only in Jesus. That is why we too believe in him and follow him when he is manifested to us as the "one Master" (cf. Mt 23:8, 10).
 
예수님께서는 좋은 소식을 선포하셨을 뿐만이 아니라, 또한 당신 자신이 바로 좋은 소식이셨습니다. 당신을 믿었던 자들은 당신께서 설교하셨던 바를 따랐으며, 그런데 더군다나 그들은 이 설교자를 따랐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을 따랐는데 이는, 베드로가 카파르나움 지역의 회당에서 주님의 강론 이후에 “주님, 저희가 누구에게 가겠습니까? 주님께는 영원한 생명의 말씀이 있습니다”(요한 복음서 6,68)라고 고백하였듯이, 당신께서 “생명의 말씀”을 제시하셨기 때문입니다. 말씀과 삶에 대한, 이 설교자와 당신께서 설교하신 바에 대한, 이런 동일시는 오로지 예수님에게서만 완전하게 실현됩니다. 이것이, 당신께서 우리에게 “한 분뿐인 스승님”으로 표명될 때에, 우리가 또한 당신 쪽으로 믿으며(believe in) 그리고 당신을 따르는 바로 그 이유입니다(마태오 복음서 23,8,10을 참조하라).
 
----------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6시간
 
 


990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