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펠라지우스 이단 및 원죄에 대한 가톨릭 보편 교회의 가르침 [교리학습_이단] [펠라지우스이단] [_불가지론] jan_

인쇄

[175.115.218.*]

2011-08-31 ㅣ No.1101

 
 
+ 찬미 예수님!
 
이 글에서는 펠라지우스 이단에 대하여 함께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1. 여기를 클릭하면, 굿뉴스 서버 제공의 펠라지우스 이단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만, 이 이단의 실제 내용에 대한 설명이 상당히 부족하기에 이 글을 마련하였습니다.
 
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펠라지우스주의"에 대한 설명입니다:
 
 
PELAGIANISM

Heretical teaching on grace of Pelagius (355-425), the English or Irish lay monk who first propagated his views in Rome in the time of Pope Anastasius (reigned 399-401). He was scandalized at St. Augustine's teaching on the need for grace to remain chaste, arguing that this imperiled man's use of his own free will. Pelagius wrote and spoke extensively and was several times condemned by Church councils during his lifetime, notably the Councils of Carthage and Mileve in 416, confirmed the following year by Pope Innocent I. Pelagius deceived the next Pope, Zozimus, who at first exonerated the heretic, but soon (418) retracted his decision. Pelagianism is a cluster of doctrinal errors, some of which have plagued the Church ever since. Its principal tenets are: 1. Adam would have died even if he had not sinned; 2. Adam's fall injured only himself and at worst affected his posterity by giving them a bad example; 3. newborn children are in the same condition as Adam before hi fell; 4. mankind will not die because of Adam's sin or rise on the Last Day because of Christ's redemption; 5. the law of ancient Israel no less than the Gospel offers equal opportunity to reach heaven. As Pelagianism later developed, it totally denied the supernatural order and the necessity of grace for salvation.
 
펠리지우스주의(PELAGIANISM)
 
영국의 혹은 아일랜드의 평신도 수도자인, 펠라지우스(Pelagius, 355-425년)에 의한 은총에 대한 이단 가르침(heretical teaching)을 말하는데, 그는 교황 성 아나스타시오 1세(Pope Anastasius, 재위 기간: 399-401년)의 시기에 로마에서 자신의 견해를 처음으로 퍼뜨렸습니다. 그는 순결한 상태로 머물러 있기 위한 은총의 필요성에 대한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354-430년)의 가르침에 걸려 넘어졌는데(was scandalized at), 이는 그가 이 가르침이 사람이 자신 고유의 자유 의지(free will)를 사용하는 것을 위태롭게 한다고 주장하였기 때문이었습니다. 펠라지우스는 널리 글을 썼고 말하였으며 그리하여 자신의 생애 동안에 교회의 공의회들에 의하여, 특히, 그 이듬 해에 교황 성 인노첸시오 1세(Pope Innocent I, 재위 기간: 401-417년)에 의하여 확증된, 카르타고 공의회(Council of Carthage) 및 밀레베 공의회(Council of Mileve)에서 416년에, 여러 번 단죄되었습니다. 펠라지우스는 그 다음 교황인 성 조시모(Zozimus, 재위 기간: 417-418년)를 속였는데(deceived), 이 교황은 처음에는 이 이단자의 혐의를 풀어주었으나, 그러나 곧바로 (418년) 자신의 결정을 철회하였습니다. 펠라지우스주의는 교리 오류들의 한 다발(a cluster of)이며, 이들 중의 일부는 그 이후로 계속하여 교회를 괴롭혀 왔습니다. 이 주의의 주된 신조(tenets)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아담(Adam)은 심지어 그가 죄를 짓지 않았더라도 죽었을 것이다; 2. 아담의 떨어짐(타락)은 오로지 그 자신에게만 상처를 입혔으며(injured) 그리고 최악의 경우에 그의 후손에게, 그들에게 한 개의 나쁜 예제(example)를 제시함으로서, 영향을 끼쳤다; 3. 갓 태어난 자녀들은 타락하기 이전의 아담과 동일한 상태에 있다; 4. 인류는 아담의 죄 때문에 죽지 않을 것이며 그리고 그리스도의 속량(구속)(Christ's redemption) 때문에 최후의 날에 부활하지 않을 것이다; 5. 복음 만큼(no less than the Gospel) 옛 이스라엘의 율법은 하늘에 이르기 위한(to reach heaven) 동등한 기회를 제공한다. 펠라지우스주의가 이후에 발전함에 따라, 이 주의는 초자연적 순서(the supernatural order)구원을 위한 은총의 필요성전적으로 부정하였습니다(totally denied)
 
-----
번역자 주: 여기를 클릭하면,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초자연적 순서(the supernatural order)"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
 
위의 설명으로부터, 이단인 펠라지우스주의의 신조 그리고, 예를 들어, 그 따름 결과들이 다음과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2-1. 아담(Adam)은 심지어 그가 죄를 짓지 않았더라도 죽었을 것이다 (따라서, 원죄의 결과를 부인)

2-2. 아담의 떨어짐(타락)은 오로지 그 자신에게만 상처를 입혔으며(injured) 그리고 최악의 경우에 그의 후손에게, 그들에게 한 개의 나쁜 예제(example)를 제시함으로서,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인류 전체에 대한 원죄의 전달과 그 영향을 부인)

2-3. 갓 태어난 자녀들은 타락하기 이전의 아담과 동일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유아 세례의 필요성을 부인)

2-4. 인류는 아담의 죄 때문에 죽지 않을 것이며 그리고 그리스도의 속량(구속)(Christ's redemption) 때문에 최후의 날에 부활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에 근거한 그리스도교의 부활 신앙을 부인)

2-5. 복음 만큼(no less than the Gospel) 옛 이스라엘의 율법은 하늘에 이르기 위한(to reach heaven) 동등한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율법에 의하여서가 아닌, 예수 그리스도가 유일한 구세주라는 믿음을 통한 구원을 부인).
 
-----
 
3. 여기를 클릭하면,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이단인, 펠라지우스주의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영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
 
4,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이단(heresy)이라는 용의의 의미 혹은 개념에 대한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통적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신교측 목회자들께서 필독할 것을 권고합니다. 
 
5. 다음은, 이전에 올려드렸던, 위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의 저자이기도 한 미국 예수회 소속의 사제인, Fr. John A. Hardon, S.J. 의 "성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있어 덕(virtue)의 의미" 라는 제목의 글(번역자: 소순태)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또한 참고하시면, 초자연 덕들인 향주삼덕[신덕(faith), 망덕(hope), 애덕(charity)]들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기에 추가로 안내해 드립니다:
 
-----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970.htm <----- 필독 권고.
 
(발췌 시작)
 
...
 
Julian Huxley가 자신은 인격적 신(a personal Deity)이 남성인(he) 하느님(Yahweh), 알라(Allah), 혹은 아폴로(Apollo)라는 데에 대하여 아무 것도 모른다고 대담하게 선언하였을 때에, 그는 “나는 이 주제에 대하여 단지 불가지론적인(agnostic) 것이 아니다” 라고 눈에 띄는 것보다 더 말하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그는 “나는 인격적 하느님에 대하여, 바로 이 표현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의미에 있어서도 믿지 않는다” 라고 주장하였던 것입니다.[1] 그의 항의(protest)는 인격신론(人格神論, theism)의 실질적 효과(the practical effect)가 인간의 노력을 무의미하게 한다는 확신(conviction)으로부터 유래하였습니다. 5세기의 수사(monk, 修士)인 펠라지우스(Pelagius)가, 은총의 존재가 초자연적 도움에의 나태한 의존(lazy dependence)을 장려한다고 그가 느꼈기 때문에, 은총의 존재를 부인하였던 바로 그 입장에서(where), 종교에 대한 나중의 시대의 비판자들은, 아마도 사람(Man)에 대한 그들의 신뢰(confidence)가 대단히 극단적이기에, 자신들의 펠라지우스주의(Pelagianism)가 더 완전하다는 것 말고는, 꼭 같은 이유로 하느님의 존재를 제거할 것입니다.
 
...
 
교부들의 시기(patristic period)에 있어, 향주덕(theological virtues, 대신덕)들은 빈번한 저술의 주제였으며, 그리고, 펠라지우스 시기(Pelagian times)에 있어서는, 논쟁(controversy)의 주제였습니다. 성 바오로(St. Paul)에 대한 교부들의 주석들은 믿음(faith, 신덕), 희망(hope, 애덕) 그리고 사랑(charity, 망덕)의 모든 단계(phase)에 대한 완전한 논문(treatise)를 제공하며, 그리고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편람서(Enchiridion)[혹은 그리스도교 종교에 대한 소책자(Manual of the Christian Religion)]는 그에 의하여 “믿음, 희망, 그리고 사랑에 대한 책”으로 항상 언급되어졌습니다. 따라서 아우구스티노에 있어 이들 덕들에 대한 요약은 그리스도교의 본질들에 대한 대요(an epitome, 요약)이었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서 심지어 향주덕들마저도, 그들이 향하고 있는, 중용의 한 종류, 혹은 더 좋게(or better), 중력의 중심(a center of gravity)을 관찰하는(observe), 타당한 의미(a valid sense)가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관련된 이상, 당신께서는 너무 많이 믿게 되거나, 신뢰하게 되거나, 혹은 사랑하게 될 수가 결코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관점으로부터, 우리는 우리의 상태라는 기준(the measure of our condition)에 따라 이들 덕들을 실천하여야만 합니다. 그리스도인들의 믿음(Christian faith)은, 이단적 극단들 사이에서, 예를 들어 하느님의 은총을 배제하는 펠라지우스주의(Pelagianism)자유 의지(free will)를 부정하는 얀센주의(Jansenism) 사이에서, 중도로 가며(go midway), 그리고 그리스도인들의 희망(Christian hope)은 수많은 원근 화법에 맞는(perspective) 구원을 위한 수단(means of salvation)들 사이에서 하나의 길(path)을 선택하여야만 하며, 그리고 그리스도인들의 사랑(Christian charity)은 하느님을 사랑하기 위한 무수한 기회들에 있어 균형을 찾아야(find a balance in)만 합니다. 
 
(이상 발췌 끝).
-----
 
6. 다음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본문 중에서 이단인 펠라지우스주의에 대하여 직접적 언급을 하고 있는 단 한 개의 항인 제406항 전문입니다.
 
특히, 원죄(original sin)의 개념에 대하여, 16세기 중반에 등장한 개신교측의 신조가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통적 가르침과 어떻게 차이나는지를 매우 잘 지적하고 있습니다:
 
406 The Church's teaching on the transmission of original sin was articulated more precisely in the fifth century, especially under the impulse of St. Augustine's reflections against Pelagianism, and in the sixteenth century, in opposition to the Protestant Reformation. Pelagius held that man could, by the natural power of free will and without the necessary help of God's grace, lead a morally good life; he thus reduced the influence of Adam's fault to bad example. The first Protestant reformers, on the contrary, taught that original sin has radically perverted man and destroyed his freedom; they identified the sin inherited by each man with the tendency to evil (concupiscentia), which would be insurmountable. The Church pronounced on the meaning of the data of Revelation on original sin especially at the second Council of Orange (529) and at the Council of Trent (1546).
 
 
406 원죄의 전달에 관한 교회의 교리는 5세기 펠라지우스 이단에 반대하는 아우구스티노 성인의 사색에서 특히 자극을 받았고, 16세기에는 프로테스탄트의 종교 개혁에 대항하여 세부적으로 확정되었다. 펠라지우스는 인간이 하느님 은총의 필연적인 도움 없이 자신의 자유 의지의 자연적 힘으로 윤리적으로 선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아담의 죄의 영향을 단순히 나쁜 표양 정도로 축소시켰다. 이와는 반대로 프로테스탄트의 초기 개혁자들은, 인간은 원조의 죄로 근본적으로 타락했으며 그의 자유는 소멸되었다고 가르쳤다. 그들은 인간이 저마다 물려받은 죄와 악으로 기우는 경향(사욕편정, concupiscence, concupiscentia, 偏情)을 동일시하여,(*) 이 경향을 극복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교회는 529년 제2차 오랑주 공의회와 297) 1546년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298) 특히 원죄에 관하여 계시된 내용의 의미를 밝혔다.
 
-----
297) 제2차 오랑주 공의회, 제1-2조: DS 371-372 참조.
298) 트리엔트 공의회, 제5회기, 원죄에 대한 교령, 제1조: DS 1510`-1516 참조.
-----

-----
[내용 추가 일자: 2012.12.17]

(*) 번역자 주: 현재까지 국내의 가톨릭계에서 사용중인, 영어로 "concupiscence"로 번역되는 라틴어 단어 "concupiscentia"의 번역 용어인 "慾偏情"대단히 심각한 번역 오류이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제2-2-4항제2-2-5항반드시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95.htm <-----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
 
게시자 주: 바로 위의 각주에서 언급되고 있는 라틴어본 DS 371-372 및 이것의 번역본인 영어본 DS 174-175 를 구체적으로 찾아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히 사제 및 수도자들께서는 이 찾아 보는 방법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6-1. 여기를 클릭하여, 이 글의 부록으로 안내되어 있는 라틴어본 DS index 주소를 확보한다:
 
6-2. 다음은 제6-1항에 의하여 확보한 라틴어본 및 프랑스어본 DS 371-772(클릭하십시오) 이다:
 
(라틴어 본)
371 174 Can.1. Si quis per offensam praevaricationis Adae non totum, id est secundum corpus et animam, 'in deterius' dicit hominem 'commutatum', sed animae libertate illaesa durante, corpus tantummodo corruptioni credit obnoxium, Pelagii errore deceptus adversatur Scripturae dicenti: 'Anima, quae peccaverit, ipsa morietur' (Ez 18,20); et: 'Nescitis, quoniam, cui exhibetis vos servos ad oboediendum, servi estis eius, cui oboeditis?' (Rom 6,16); et: 'A quo quis superatur, eius et servus addicitur' (cf. 2 Petr 2,19).
 
372 175 Can. 2. Si quis soli Adae praevaricationem suam, non et eius propagini asserit nocuisse, aut certe mortem tantum corporis quae poena peccati est, non autem et peccatum, quod mors est animae, per unum hominem in omne genus humanum transiisse testatur, iniustitiam Deo dabit contradicens Apostolo dicenti : 'Per unum hominem peccatum intravit in mundum (mundo), et per peccatum mors, et ita in omnes homines (mors) pertransiit, in quo omnes peccaverunt' (cf. Rom 5,12).
 
(프랑스어 본)
371 Can. 1. Si quelqu'un dit que, par l'offense résultant de la prévarication d'Adam, l'homme n'a pas été tout entier, dans son corps et dans son âme, " changé dans un état pire ", et s'il croit que le corps seul a été assujetti à la corruption cependant que la liberté de l'âme demeurait intacte, trompé par l'erreur de Pélage, il contredit l'Ecriture qui dit : " l'âme qui a péché périra " Ez 18,20 et : " Ignorez-vous que si vous vous livrez à quelqu'un comme esclave, pour lui obéir, vous êtes esclave de celui à qui vous obéissez ? ". Rm 6,16 et : " On est esclave de celui par qui on s'est laissé vaincre " 2P 2,19.
 
372 Can. 2. Si quelqu'un affirme que la prévarication d'Adam n'a nui qu'à lui seul et non à sa descendance, ou s'il déclare que c'est seulement la mort corporelle, peine du péché, et non le péché, mort de l'âme, qui par un seul homme a passé dans tout le genre humain, il attribue une injustice à Dieu en contredisant l'Apôtre qui dit : " Par un seul homme, le péché est entré dans le monde, et ainsi la mort a passé dans tous les hommes, tous ayant péché en lui " Rm 5,12.

6-3. 위의 371번 및 372번 직후에 있는 번호가 174번 및 175번인데, 특히 영어본 DS의 항 번호가 최근에 들어와 바뀐 관계로, 영어본 DS 174-175라틴어본 DS 371-372 에 대응하므로, 여기를 클릭하여, 영어본 DS index에서 제174-175항(Council of Orange II 529)을 찾는다.
 
6-4. 다음은,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영어본 DS 174-175 ( = 라틴어본 DS 371-372) 전문이다: 
 
174 [I. Original sin] Can. 1. If anyone says that by the offense of Adam's transgression not the whole man, that is according to body and soul, was changed for the worse [St. Augustine], * but believes that while the liberty of the soul endures without harm, the body only is exposed to corruption, he is deceived by the error of Pelagius and resists the Scripture which says:"The soul, that has sinned, shall die" (Ez 18,20); and: "Do you not know that to whom you show yourselves servants to obey, you are the servants of him whom you obey?" (Rm 6,16); and: Anyone is adjudged the slave of him by whom he is overcome (2P 2,19).

175 Can. 2. If anyone asserts that Adam's transgression injured him alone and not his descendants, or declares that certainly death of the body only, which is the punishment of sin, but not sin also, which is the death of the soul, passed through one man into the whole human race, he will do an injustice to God, contradicting the Apostle who says: Through one man sin entered in the world, and through sin death, and thus death passed into all men, in whom all have sinned (Rm 5,12 Cf. St. Augustine). *
 
6-5. 위의 제6-3항 및 제6-5항에서 적용한 방법으로 찾아낸, 위의 각주에서 언급되고 있는, 라틴어본 DS 1510`-1516 및 에 대응하는 영어본 DS 787-792 는 다음과 같다:

Conc. (oecum. XIX) de Trente; Sessio V, 17 juin 1546; 
 
Decretum de peccato originali
 
(라틴어 본)
출처: http://www.catho.org/9.php?d=bx2#b5k 
 
1510 787 Ut fides nostra catholica, 'sine qua impossibile est placere Deo' (Hebr 11,6), purgatis erroribus in sua sinceritate integra et illibata permaneat, et ne populus christianus 'omni vento doctrinae circumferatur' (Eph 4, 14), cum serpens ille antiquus, humani generis perpetuus hostis, inter plurima mala, quibus Ecclesia Dei his nostris temporibus perturbatur, etiam de peccato originali eiusque remedio non solum nova, sed etiam vetera dissidia excitaverit: sacrosancta oecumenica et generalis Tridentina Synodus... iam ad revocandos errantes et nutantes confirmandos accedere volens, sacrarum Scripturarum et sanctorum Patrum ac probatissimorum conciliorum testimonia et ipsius Ecclesiae iudicium et consensum secuta, haec de ipso peccato originali statuit, fatetur ac declarat: 
 
1511 788 1. Si quis non confitetur, primum hominem Adam, cum mandatum Dei in paradiso fuisset transgressus, statim sanctitatem et iustitiam, in qua constitutus fuerat, amisisse incurrisseque per offensam praevaricationis huiusmodi iram et indignationem Dei atque ideo mortem, quam antea illi comminatus fuerat Deus, et cum morte captivitatem sub eius potestate, 'qui mortis' deinde 'habuit imperium' (Hebr 2, 14), hoc est diaboli, 'totumque Adam per illam praevaricationis offensam secundum corpus et animam in deterius commutatum fuisse' (cf. DS 371): anathema sit. 
 
1512 789 2. 'Si quis Adae praevaricationem sibi soli et non eius propagini asserit nocuisse', acceptam a Deo sanctitatem et iustitiam, quam perdidit sibi soli et non nobis etiam eum perdidisse; aut inquinatum illum per inoboedientiae peccatum 'mortem' et poenas 'corporis tantum in omne genus humanum transfudisse, non autem et peccatum, quod mors est animae': an. s. 'cum contradicat Apostolo dicenti: 'Per unum hominem peccatum intravit in mundum, et per peccatum mors et ita in omnes homines mors pertransiit, in quo omnes peccaverunt' (Rom 5, 12: cf. DS 372). 
 
1513 790 3. Si quis hoc Adae peccatum, quod origine unum est et propagatione, non imitatione transfusum omnibus inest unicuique proprium, vel per humanae naturae vires, vel per aliud remedium asserit tolli, quam per meritum unius mediatoris Domini nostri Jesu Christi (cf DS 1340), qui nos Deo reconciliavit in sanguine suo, "factus nobis justitia, sanctificatio et redemptio" (Cor1 1.30); aut negat, ipsum Christi Jesu meritum per baptismi sacramentum, in forma Ecclesiae rite collatum, tam adultis quam parvulis applicari: an. s. Quia "non est aliud nomen sub caelo datum hominibus, in quo oporteat nos salvos fieri" (Act 4.12). Unde illa vox: "Ecce agnus Dei, ecce qui tollit peccata mundi" (cf Jo 1.29). Et illa: "Quicumque baptizati estis, Christum induistis" (Gal 3.27). 
 
1514 791 4. "Si quis parvulos recentes ab uteris matrum baptizandis negat", etiam si fuerint a baptizatis parentibus orti, "aut dicit, in remissionem quidem peccatorum eos baptizari, sed nihil ex Adam trahere originalis peccati, quod regenerationis lavacro necesse sit expiari" ad vitam aeternam consequendam, "unde fit consequens, ut in eis forma baptismatis in remissionem peccatorum non vera, sed falsa intelligatur: an. s. Quoniam non aliter intelligendum est id, quod dicit Apostolus: 'per unum hominem peccatum intravit in mundum, et per peccatum mors, et ita in omnes homines mors pertransiit, in quo omnes peccaverunt' (Rom 5.12), nisi quemadmodum ecclesia catholica ubique diffusa semper intellexit. Propter hanc enim regulam fidei, ex traditione Apostolorum, "etiam parvuli, qui nihil peccatorum in semetipsis adhuc committere potuerunt, ideo in remissionem peccatorum veraciter baptizantur, ut in eis regeneratione mundetur, quod generatione contraxerunt" (cf D.102). "Nisi enim quis renatus fuerit ex aqua et Spiritu Sancto, non potest introire in regnum Dei" (Jo 3.5). 
 
1515 792 5. Si quis per Iesu Christi Domini nostri gratiam, quae in baptismate confertur, reatum originalis peccati remitti negat, aut etiam asserit non tolli totum id, quod veram et propriam peccati rationem habet, sed illud dicit tantum radi aut non imputari : an. s. In renatis enim nihil odit Deus, quia 'nihil est damnationis iis, qui vere consepulti sunt cum Christo per baptisma in mortem' (Rom 6, 4), qui 'non secundum carnem ambulant' (Rom 8,1), sed veterem hominem exuentes et novum, qui secundum Deum 'creatus est, induentes' (cf: Eph 4,22ss; Col 3,9s), innocentes, immaculati, puri, innoxii ac Deo dilecti filii effecti sunt, 'heredes quidem Dei, coheredes autem Christi' (Rom 8,17), ita ut nihil prorsus eos ab ingressu caeli remoretur. Manere autem in baptizatis concupiscentiam vel fomitem, haec sancta Synodus fatetur et sentit; quae cum ad agonem relicta sit, nocere non consentientibus et viriliter per Christi Iesu gratiam repugnantibus non valet. Quin immo 'qui legitime certaverit, coronabitur' (2 Tim 2,5). Hanc concupiscentiam, quam aliquando Apostolus 'peccatum' (cf. Rom 6,12ss; 7,7 14-20) appellat, sancta Synodus declarat, Ecclesiam catholicam numquam intellexisse, peccatum appellari, quod vere et proprie in renatis peccatum sit, sed quia ex peccato est et ad peccatum inclinat. Si quis autem contrarium senserit: an. s. 
 
1516 792 6. Declarat tamen haec ipsa sancta Synodus, non esse suae intentionis, comprehendere in hoc decreto, ubi de peccato originali agitur, beatam et immaculatam Virginem Mariam Dei genitricem, sed observandas esse constitutiones felicis recordationis Sixti Papae IV, sub poenis in eis constitutionibus contentis, quas innovat (DS 1400, 1425s).
 
 
 
787 That our Catholic faith, "without which it is impossible to please God" (He 11,16) may after the purging of errors continue in its own perfect and spotless purity, and that the Christian people may not be "carried about with every wind of doctrine" (Ep 4,14), since that old serpent, the perpetual enemy of the human race, among the very many evils with which the Church of God in these our times is troubled, has stirred up not only new, but even old dissensions concerning original sin and its remedy, the sacred ecumenical and general Synod of Trent lawfully assembled in the Holy Spirit with the same three legates of the Apostolic See presiding over it, wishing now to proceed to the recalling of the erring and to the confirming of the wavering, and following the testimonies of the Holy Scriptures and of the holy Fathers and of the most approved Councils, as well as the judgment and the unanimity of the Church itself, has established, confesses, and declares the following concerning original sin:

788 I. If anyone does not confess that the first man Adam, when he had transgressed the commandment of God in Paradise, immediately lost his holiness and the justice in which he had been established, and that he incurred through the offense of that prevarication the wrath and indignation of God and hence the death with which God had previously threatened him, and with death captivity under his power, who thenceforth "had the empire of death" (He 2,14), that is of the devil, and that through that offense of prevarication the entire Adam was transformed in body and soul for the worse [see n. 174], let him be anathema.

789 2. If anyone asserts that the transgression of Adam has harmed him alone and not his posterity, and that the sanctity and justice, received from God, which he lost, he has lost for himself alone and not for us also; or that he having been defiled by the sin of disobedience has transfused only death "and the punishments of the body into the whole human race, but not sin also, which is the death of the soul," let him be anathema, since he contradicts the Apostle who says: "By one man sin entered into the world, and by sin death, and so death passed upon all men, in whom all have sinned" (Rm 5,12 see Rm 175).

790 3. If anyone asserts that this sin of Adam, which is one in origin and transmitted to all is in each one as his own by propagation, not by imitation, is taken away either by the forces of human nature, or by any remedy other than the merit of the one mediator, our Lord Jesus Christ [see n. 711], who has reconciled us to God in his own blood, "made unto us justice, sanctification, and redemption" (1Co 1,30); or if he denies that that merit of Jesus Christ is applied to adults as well as to infants by the sacrament of baptism, rightly administered in the form of the Church: let him be anathema. "For there is no other name under heaven given to men, whereby we must be saved . . ." (Ac 4,12). Whence that word: "Behold the lamb of God, behold Him who taketh away the sins of the world" (Jn 1,29). And that other: "As many of you as have been baptized, have put on Christ" (Ga 3,27).

791 4. "If anyone denies that infants newly born from their mothers' wombs are to be baptized," even though they be born of baptized parents, "or says they are baptized indeed for the remission of sins, but that they derive nothing of original sin from Adam, which must be expiated by the laver of regeneration" for the attainment of life everlasting, whence it follows, that in them the form of baptism for the remission of sins is understood to be not true, but false: let him be anathema. For what the Apostle has said: "By one man sin entered into the world, and by sin death, and so death passed upon all men, in whom all have sinned" (Rm 5,12), is not to be understood otherwise than as the Catholic Church spread everywhere has always understood it. For by reason of this rule of faith from a tradition of the apostles even infants, who could not as yet commit any sins of themselves, are for this reason truly baptized for the remission of sins, so that in them there may be washed away by regeneration, what they have contracted by generation, [see n. 102]. "For unless a man be born again of water and the Holy Ghost, he cannot enter into the kingdom of God" (Jn 3,5).

792 5. If anyone denies that by the grace of our Lord Jesus Christ, which is conferred in baptism, the guilt of original sin is remitted, or even asserts that the whole of that which has the true and proper nature of sin is not taken away, but says that it is only touched in person or is not imputed, let him be anathema. For in those who are born again, God hates nothing, because "there is no condemnation, to those who are truly buried together with Christ by baptism unto death" (Rm 6,4), who do not "walk according to the flesh" (Rm 8,1), but putting off "the old man" and putting on the "new, who is created according to God" (Ep 4,22 ff.; Col 3,9 ff.), are made innocent, immaculate, pure, guiltless and beloved sons of God, "heirs indeed of God, but co-heirs with Christ" (Rm 8,17), SO that there is nothing whatever to retard their entrance into heaven. But this holy Synod confesses and perceives that there remains in the baptized concupiscence of an inclination, although this is left to be wrestled with, it cannot harm those who do not consent, but manfully resist by the grace of Jesus Christ. Nay, indeed, "he who shall have striven lawfully, shall be crowned" (2Tm 2,5). This concupiscence, which at times the Apostle calls sin (Rm 6,12 ff.) the holy Synod declares that the Catholic Church has never understood to be called sin, as truly and properly sin in those born again, but because it is from sin and inclines to sin. But if anyone is of the contrary opinion, let him be anathema.
 
6. This holy Synod declares nevertheless that it is not its intention to include in this decree, where original sin is treated of, the blessed and immaculate Virgin Mary mother of God, but that the constitutions of Pope SIXTUS IV of happy memory are to be observed, under the penalties contained in these constitutions, which it renews [see n. 734 ff:].

---------- 
 
 
7. 끝으로, 여기를 클릭하면(필독 권고), 원죄(original sin)에 대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가르침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되도록 많은 분들께서 차분히 읽고 묵상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 부록: 참고 사항 한 개 >>
 
혹시 독자들이 가질 수 있는 의심을 불식시키기 위하여:
 
이런 안내의 글 마저도 제가 우리말로 번역까지 하면서 마련해 드려야 하는 현실이, 저에게는 참으로 큰 고통이며 그리고 커다란 슬픔입니다. 왜냐하면 어떤 분이, 가톨릭 신학적으로 확실히 신뢰할 수 있는 영문 문헌/자료들에 근거하여 그리고 그 출처들을 다 밝히면서 제가 마련해드려 왔던 "가톨릭 보편 교회의 가르침들에 대한 단순 전달성 글/정보들"에 대하여, "그 정보의 신뢰성은 누가 보증할 수 있는지요?" 하면서, 납득할 수 없는, 강한 의심을 하더군요.
 
예를 들어, 다음은 이 글의 본문에서 발췌 인용하고 있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 및 그 저자에 대한 안내입니다: 
 
(A) 위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 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술들, 특히 신학 대전을 읽고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용어들에 대한 설명들이 주어진, 대단히 우수한 영어 가톨릭 용어 사전 입니다.

이에 관하여서는, 여기를 클릭하여, 이 용어 사전의  Guide를, 특히 제일 마지막 부분에 주어진, 다음의 설명을 참고하십시오:

(발췌 시작)
Scholastic Philosophy and Theology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certain basic terms from scholastic philosophy and theology. These terms are the backbone, as it were, of the Church’s official teaching of faith and morals.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e Catholic church in her own deepest understanding of herself without some familiarity with this language of scholastic thought.

스콜라 철학 및 신학

특별한 배려가 스콜라 철학 및 신학에서 유래하는 다소의(certain) 기본적 용어들에 기울여졌습니다. 이들 용어들은, 말하자면, 신앙(faith)과 윤리(morals)들에 대한 교회의 공식적 가르침의 중추(中樞, backbone)입니다. 스콜라 철학적 사고(scholastic thought)에 기인하는 이러한 언어와의 상당한(some) 친숙 없이 교회 자신에 대한 교회 고유의 가장 깊은 이해 안에서 가톨릭 교회를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상, 발췌 끝).

(B) Modern Catholic Dictionary는 예수회 소속 신부이며, 신학자, 저술가, 하느님의 종인, John A. S. A. Hardon, S.J., Ph.D. (1914-2000년)에 의하여 마련된 현대 가톨릭 용어 사전입니다. 다음은, 이 신부님에 대한 간략한 소개의 글입니다:
 
 
Father Hardon was a very prominent member of the Jesuit community, which is known for its academic rigor, and wrote dozens of books on religion and theology, including: The Catholic Catechism (1975), a defining volume of Catholic orthodoxy; and the Modern Catholic Dictionary(1980), the first major Catholic reference dictionary published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1962–1965). Hardon was also a major contributor to Catholic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was executive editor of The Catholic Faith magazine. Hardon had a close working relationship with Pope Paul VI, engaging in several initiatives at the Pope's request, including his authoring of The Catholic Catechism.
 
Hardon 신부는, 그 학문적 엄격함으로 알려진, 예수회 공동체의 매우 저명한 구성원이었으며, 그리고, 다음의 책들을 포함하여, 종교와 신학에 대한 수십 권의 책들을 저술하였다: 가톨릭 정통성을 정의하는 책인 가톨릭 교리서(The Catholic Catechism, 1975), 그리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 이후에 출판된 첫 번째 주된 가톨릭 참고 사전인 현대 가톨릭 사전(Modern Catholic Dictionary, 1980). Hardon 신부는 또한 가톨릭 신문들 및 잡지들에 주된 기고자였으며 그리고 The Catholic Faith 잡지(주: 클릭하여 또한 이 잡지에 대한 안내를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의 주필(executive editor)이었다. Hardon 신부는, 교황 바오로 6세와 가까운 실무적 관계를 가졌는데, 그리하여 그는, 그의 가톨릭 교리서(The Catholic Catechism)의 저술 작업을 포함하여, 이 교황의 요청에 따른 여러가지 계획들에 관여하였다.  
 
Father Hardon's Catholic Catechism was a significant post–Vatican II work in the sense that it essentially brought modern Catholic teaching and faith into one book, unlike any other before, and was a precursor to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which is the official codified teaching of the Catholic Church, promulgated by Pope John Paul II in 1992. Hardon served as a consultant for the drafting of that document.
 
Hardon 신부의 가톨릭 교리서는, 이 책이, 이전의 다른 책들과은 달리, 본질적으로 현대 가톨릭 가르침과 믿음을 한 권의 책으로 탄생시켰다는 점에 있어, 하나의 괄목할만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저술이며, 그리고 이 책은, 1992년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하여 공표된, 가톨릭 교회의 공식의 성문화된 가르침(official codified teaching)인, 가톨릭 교회 교리서(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에 대한 한 선행물(a precursor)이었다. Hardon 신부는 바로 이 문헌(즉,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기초를 위한 한 명의 자문 위원으로서 봉사하였다.
 
(C) 또한 여기를 클릭하여, Hardon Archives 제공의 Hadon 신부님에 대한 간략한 안내의 글도 또한 참고하십시오.
 
(D)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굿뉴스 서버 제공의 가톨릭 대사전 [제공처: 한국교회사연구소]의 용어 설명에서 Modern Catholic Dictionary[참고 문헌]으로 인용하고 있는 적어도 21건(실제로는 총25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상, Modern Catholic Dictionary 및 그 저자에 대한 안내 끝).
----------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성에 소요된 시간: 약3시간
 
 


1,009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