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동성당 게시판

[RE:4214] 램만 좋으면 CPU가 꼬져도(?)

인쇄

조형준 [chopaul] 쪽지 캡슐

2000-04-13 ㅣ No.4215

제 학교 연구실 컴퓨터는 CPU가 펜티엄2-233Mhz 입니다용..

원도우 2000을 구하고 대체로 들은 반응이 최소사양은 정말 빡빡해서 돌리기 힘드니,

권장사양이 펜티엄 200이상, 램 64이상이었습니다. 근데 램이 크면 클수록 CPU는 약간 성능이 떨어져도 괜찮다더군요.

램은 128쓰다가 최근에 256메가로 업그레이드했습니다. 일반 유저에게는 엄청난 사치겠죠?

(이 글 읽으시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마 256메가 램을 태어나서 구경해본 적이 없겠죠^.^)

 

근데 제가 공학연산 프로그램들을 많이 돌리는 편이라... 램128에서 256이 시스템 속도를 눈에 띄게 향상시켜주는 것은 절대로 아닙니다. 그냥 일반적으로 돌릴때는 전혀 차이를 감지하기 어렵습니다.. 작은 차이지요.. 근데 프로그램들 돌릴땐 확연하더라구요..

 

고로~ 펜티엄 200정도만 되도 램 128이면 충분합니다. 실제로 실험실에서 펜티엄 266에 램64로 윈도우 2000돌리는 후배가 있는데, 느리더군요..

 

p.s)주기억장치의 속도중에 가장 빠른 것이 바로 캐쉬(Cache)입니다. 이놈은 CPU안에 존재하죠. 이놈이 512KB(0.5MB)인 것이 제대로된 펜티엄3(혹은 펜티엄2)입니다. 128KB(0.125MB, 즉 정품의 1/4)만 존재하는 것이 바로 셀러론(Celeron)입니다. 이 차이는 프로그램들을 돌릴때는 엄청나죠. 이 프로그램에는 물론 대부분의 오락과 동영상, 윈앰프 등의 mp3프로그램도 들어갑니다..  그다음으로 빠른 것이 램입니다. 이놈은 CPU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memory 반도체로 따로 꼽아줘야 하지요.. 램(RAM) Random Accessible Memory로 전원공급동안에만 기억할 수 있는 장치인거 아시죠. 요즘은 DRAM에서 SRAM으로 기술발전이 이루어지는 추세입니다. SGRAM도 따르고 있죠..(반면 ROM(Read-Only Memory)는 전원에 상관없이 내용을 기억합니다. CD-ROM이 바로 그러죠..)

보조기억장치인 하드(HDD)의 속도는 쨉이 안되죠^.^ (일합 정도는 겨뤄볼만 하나...-_-)



24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