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활동가/행동가란 어떤 자인가? [교리용어_활동주의] [_행동주의] [_활동가] [_행동가] [_아름다움] [_기도]

인쇄

. [218.55.90.*]

2013-11-21 ㅣ No.1474

 

질문:

국내의 언론들에서 가끔 언급되는 "활동가" 혹은 "행동가"는 어떤 자인지요?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답변:

 

+ 찬미 예수님!

 

1. 우선적으로, 다음은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activism" 이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merriam-webster.com/wdictionary/activist
(발췌 시작)
activism


활동주의/행동주의


Function: noun
Date: 1915

: a doctrine or practice that emphasizes direct vigorous action especially in support of or opposition to one side of a controversial issue

: 특히 어떤 쟁점(爭點)이 되는 사안의 한 쪽을 지지하거나 혹은 반대하여, 직접적인 격렬한 행위를 강조하는 어떤 주의(doctrine) 혹은 실천(practice)을 말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 다른 한편으로,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activism"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a/a095.htm
(발췌 시작)
ACTIVISM

 

Preoccupation with activity instead of mental reflection. As a philosophical theory, it emphasizes the active character of the mind. The principal value of thinking is to serve man and society outside the mind. Activism is part of the philosophy of Marxism-Leninism, which holds that the main purpose of thought is not to discover and contemplate the truth but to change reality, especially social reality, in the world.

 

활동주의/행동주의(activism)


마음의 숙고(memtal reflection) 대신에 활동(activity)에 대한 극단적인 혹은 과도한 관심(preoccupation with) 말합니다.(*) 한 개의 철학적 이론으로서, 이것은 마음의 활동적 특성을 강조합니다. 사고/사유의 주된 가치는 마음 바깥에 있는 사람과 사회를 섬기는 것입니다. 활동주의는 마르크르주의-레닌주의(Marxism-Leninism) 철학의 일부분인데, 이 주의는 사고/사유의 주된 목적이 진리를 밝히고(discover) 그리고 관상하는(contemplate) 것이 아니라 세상에 있는 실재(reality), 특히 사회적 실재(social reality)를 변화시키는 데(to change)에 있습니다.

 

-----
(*) 번역자 주: "preoccupation"을 "극단적인 혹은 과도한 관심"으로 번역한 것은 다음의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설명을 따른 것이다:
http://www.merriam-webster.com/wdictionary/preoccupation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그러므로, "활동가/행동가(activist)"란,

 

(i) 위의 제1항Merriam-Webster Diction 에 주어진 단어의 자구적 설명,
(ii) 혹은 위의 제2항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용어 설명,

 

등에 주어진 "활동주의/행동주의(activism)"를 신봉하는 자를 말합니다.

 

4.
끝으로, 다음은 "활동주의/행동주의(activism)" 가 언급되고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2727항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4s1c3a2.htm
(발췌 시작)
2727 We must also face the fact that certain attitudes deriving from the mentality of "this present world" can penetrate our lives if we are not vigilant. For example, some would have it that only that is true which can be verified by reason and science; yet prayer is a mystery that overflows both our conscious and unconscious lives. Others overly prize production and profit; thus prayer, being unproductive, is useless. Still others exalt sensuality and comfort as the criteria of the true, the good, and the beautiful; whereas prayer, the "love of beauty" (philokalia), is caught up in the glory of the living and true God. Finally, some see prayer as a flight from the world in reaction against activism; but in fact, Christian prayer is neither an escape from reality nor a divorce from life.

 

2727 우리는 또한 "바로 이 현재의 세상"의 심리(mentality)로부터 유래하는 특정한 태도들이, 만약에 우리가 깨어있지 않으면, 우리의 삶들에 침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직면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이들은 이성(reason)과 학문(science, 과학, 지식)으로써 검증될 수 있는 것만이 진리이다(true)라고 주장할 수도 있는데(would have it that), 그러나 기도(prayer)(*)는 우리의 의식과 무의식 둘 다를 넘쳐 흐르는(overflows) 어떤 깊은 흔적[a mystery, 신비, 오적(奧跡)]입니다. 다른 이들은 산출(production)과 이윤(profit)을 지나치게 높이 평가하여, 그리하여 그 결과, 기도는, 비생산적이기에, 쓸모없습니다. 여전히 다른 이들은 참인 것들(the true, ?), 선한 것들(the good, ), 그리고 아름다운 것들(the beautiful, )에 대한 기준(criteria, 標準)들로서 관능주의(sensuality, 享樂主義)과 편안함(comfort, 安逸)을 찬양하나(exalt), 이와는 달리,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philokalia)"(**)인 기도는 살아있는(living) 그리고 참인(true) 하느님의 영광에 몰두하게 합니다. 끝으로, 어떤 이들은 기도를 활동주의/행동주의(activism)(***)에 대한 반발(reaction)로 세상으로부터의 어떤 도주(a flight)로서 이해합니다만, 그러나, 사실은, 그리스도인들의 기도는 실재(reality)로부터의 어떤 도피(an escape)도 아니고 또한 삶(life)로부터의 어떤 절연(a divorce)도 아닙니다.

 

-----
(*) 번역자 주: "기도하다(pray)" 라는 동사의 가톨릭 그리스도교 전통적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에 있다. 특히 국내의 개신교 신자들의 필독을 권고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16.htm <----- 필독 권고


(**) 번역자 주:
(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beauty(아름다움)"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b/b064.htm
(발췌 시작)
BEAUTY

That which instinctively appeals. According to St. Thomas Aquinas, "Beauty relates to the cognitive faculty; for beautiful things are those which please on being seen. Hence beauty consists in due proportion" (Summa Theologica, I, 5,4). There is, consequently, beauty not only in things material but also, and especially, in things spiritual. "Union in distinction makes order; order produces agreement; and proportion and agreement, in complete and finished things, make beauty" (St. Francis de Sales, Treatise on the Love of God, I).

 

아름다움(beauty)

본능적으로 마음에 드는 바로 그것을 말합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에 따르면, "아름다움은 인식 능력(cognitive faculty)에 관련이 있는데, 이는 아름다운 사물들이란 보게되자마자 즐겁게 하는 것들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름다움은 정당한 조화/비례(比例)(due proportion)를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 5.4]. 결과적으로, 질료적 사물들에 뿐만이 아니라 또한, 그리고 특별히, 영적인 사물들에도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다름에 있어 결합(結合)(union in distinction)은 질서(秩序, order, 순서)를 만들고, 질서는 조화(調和, agreement)를 산출하며, 그리고 조화(調和)/비례(比例)와 동의는, 완전하고(complete) 그리고 완성된(finished) 사물들에 있어, 아름답게 합니다" [살레시오의 성 프란치스코(St. Francis de Sales, 1564-1622년), Treatise on the Love of God, I].

 

(***) 번역자 주: 위의 제1항에 발췌한 정보에 의하면 20세기 초(1915년)에 이르러 비로소 처음으로 개념화된 것으로 파악이 되고 있는 "활동주의/행동주의(activism)"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위의 제2항에 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 다음은, 복자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96년 3월 25일자 교황 권고 [제목: 봉헌 생활(VITA CONSECRATA) 제19항에 주어진 "philokalia"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1: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제19항에서 발췌]
(발췌 시작)
By allowing themselves to be guided by the Spirit on an endless journey of purification, they become, day after day, conformed to Christ, the prolongation in history of a special presence of the Risen Lord. With penetrating insight, the Fathers of the Church have called this spiritual path philokalia, or love of the divine beauty, which is the reflection of the divine goodness. Those who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are led progressively into full configuration to Christ reflect in themselves a ray of the unapproachable light. During their earthly pilgrimage, they press on towards the inexhaustible Source of light.

 

정화(purification)라는 끝없는 여정 중에 자기 자신들이 거룩한 영(the Spirit)에 의하여 인도되는 것을 허락함으로써, 그들은, 날마다, 그리스도께 부합되어(conformed to Christ), 부활하신 주님의 어떤 특별한 현존의 역사 안에 있는 연장(prolongation)이 됩니다. 꿰뚫는 통찰력과 함께, 교부들은 바로 이 영적 길을 , philokalia 혹은 하느님의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love of the divine beauty)이라불러 왔는데, 이 사랑은 하느님의 선함에 대한 숙고(熟考, reflection)를 말합니다. 성령의 힘에 의하여 그리스도를 향하여 충만한 배열(full configuration) 안쪽으로 점진적으로 인도되는 자들은, 자기 자신들 안에서, 접근할 수 없는 빛(unapproachable light)으로 이루어진 한 줄기 광채(a ray)를 숙고(熟考)합니다. 자신들의 지상에서의 순례 동안에, 그들은 빛으로 이루어진 소모될 수 없는 거룩한 원천(inexhaustible Source of light)을 향하여 길을 재촉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번역자 주 끝)
-----

 

게시자 주: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학습할 때에는 위의 제2항에 안내해 드린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activism(활동주의)" 이라는 용어의 설명을 따르도록 하십시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975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