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기도하면서 정의(正義, justice)를 내세우는 자들은 없어야 한다 - 마태오 6,5-6; 루카 18,9-14 [_기도][_정의][_의로운일]

인쇄

. [218.55.90.*]

2013-11-23 ㅣ No.1475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1-1. 다음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사순 시기의 시작인 "재의 수요일" 복음 말씀(마태오 6,1-6.16-18)에 포함되는 마태오 복음서 6,5-7 전문입니다:

 

출처: http://info.catholic.or.kr/missa/default.asp?missaid=5417&gomonth=2013-02-13

(발췌 시작)
5 너희는 할 때에 위선자들처럼 해서는 안 된다.(*) 그들은 사람들에게 드러내 보이려고 회당과 한길 모퉁이에 서서 기도하기를 좋아한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그들은 자기들이 받을 상을 이미 받았다.

6 너는 기도할 때 골방에 들어가 문을 닫은 다음, 숨어 계신 네 아버지께 기도하여라. 그러면 숨은 일도 보시는 네 아버지께서 너에게 갚아 주실 것이다.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1-1: "위선자"란 "위선(僞善)"을 행하는 자를 말하는데, "위선(僞善)"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제1-2항에 있습니다.

 

1-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hypocrisy(위선)"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h/h190.htm
(발췌 시작)
HYPOCRISY

 

A form of lying in which a person pretends to have virtues or moral qualities that are not possessed. Its motive is pride and its malice depends on the gravity of the pride and on the evil consequences that follow when people take one to be morally good and, perhaps, entrust one with confidences or responsibilities that are not deserved. It is not hypocrisy, however, to be on one's best behavior with those whom one justly wishes to impress favorably. Nor is it hypocrisy when a person, because of human weakness, fails to live up to his or her own principles or profession of faith. (Etym. Latin hypocrita, hypocrite; from Greek hypokrit?s, actor, hypocrite.)

 

위선(僞善, hypocrisy)

 

그 안에서 한 인격(a person)이 소유하지 않은 덕(virtues)들 혹은 윤리적 자질(moral qualities)들을 가지고 있는 척하는 거짓말하기의 한 형식(a form of lying)을 말합니다. 그 동기는 교만(pride)이며 그리고 그 악의(its malice)교만의 무거움(gravity)과 사람들이 그자를 윤리적으로 선하다(morally good)(*)고 받아들일 때에 뒤따르는, 그리고, 아마도(perhaps), 마땅히 받을 만하지 않은 확신들 혹은 책임들을 그자에게 위임할(entrust) 때에 뒤따를, 악한 결과(evil consequences)들에 달려있습니다(depends on). 그러나, 어떤 자가, 정당하게(justly) 기원하는 자들에게 호의적인 인상을 주고자, 그들에게 매우 잘 그리고 공손하게 처신하는 것은(to be on one's best behavior with)은 위선이 아닙니다. 그리고 또한 한 인격이, 인간적 나약함 때문에, 자신 고유의 원리(principles)들 혹은 신앙 고백(profession of faith)에 따라 살아가는 데(live up to)에 실패할 때에 그것은 위선이 아닙니다.

 

-----
(*) 번역자 주: "윤리적 선(moral good)"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 [제목: 윤리적 악(moral evil)]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84.htm <----- 필독 권고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1-3. 그리고 다음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사순 제3주간 토요일 복음 말씀(루카 18,9-14) 전문입니다:

 

출처: http://info.catholic.or.kr/missa/default.asp?missaid=5441&gomonth=2013-03-09

(발췌 시작)
9 예수님께서는 스스로 의롭다고 자신하며 다른 사람들을 업신여기는 자들에게 이 비유를 말씀하셨다.

10 “두 사람이 기도하러 성전에 올라갔다. 한 사람은 바리사이였고 다른 사람은 세리였다. 11 바리사이는 꼿꼿이 서서 혼잣말로 이렇게 기도하였다. ‘오, 하느님! 제가 다른 사람들, 강도 짓을 하는 자나 불의를 저지르는 자나 간음을 하는 자와 같지 않고 저 세리와도 같지 않으니, 하느님께 감사드립니다. 12 저는 일주일에 두 번 단식하고 모든 소득의 십일조를 바칩니다.’

13 그러나 세리는 멀찍이 서서 하늘을 향하여 눈을 들 엄두도 내지 못하고 가슴을 치며 말하였다. ‘오, 하느님! 이 죄인을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14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그 바리사이가 아니라 이 세리가 의롭게 되어 집으로 돌아갔다. 누구든지 자신을 높이는 이는 낮아지고 자신을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다.”
(이상, 발췌 끝).

 

2.

2-1.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의 판단(마태오 복음서 6,5-7; 루카 복음서 18,9-14)에 의하면, 정의(正義, justice, righteousness)를 내세우는 의 기도는, 위선자의 기도이므로, "예수님께서 인정하시는 올바른/의로운 기도"아닙니다.

 

2-2.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의 판단(마태오 복음서 6,5-7; 루카 복음서 18,9-14)에 의하면, "예수님께서 인정하시는 올바른/의로운 기도"를 바치는 자들 중에는 기도 중에 "정의(正義, justice, righteousness)를 내세우는 자"들이 없어야 합니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판단(마태오 복음서 6,5-7; 루카 복음서 18,9-14)에 의하면, 기도하면서 "정의(正義, justice, righteousness)를 내세우는 들"은 없어야 합니다.

 

특히,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의 판단(마태오 복음서 6,5-7; 루카 복음서 18,9-14)에 의하면, 기도하면서 "정의(正義, justice, righteousness)를 내세우는 동가들"은 없어야 합니다.(**)

 

게시자 주: "활동주의/행동주의(activism)"를 신봉하는 자들을 "활동가/행동가"들이라고 부르는데, 이에 대한 더 자세한 글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74.htm <----- 필독 권고

 

3.

-----
그러므로, 
"정의(正義, justice)를 내세우는 활동가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판단에 의하면
결국에

오로지 "올바른/의로운 기도를 하지 않는 자들" 중에서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오로지 평소에 "정의(正義, justice)를 내세우는 자들"(즉, 교만한 자들) 중에서
기도할 때에 정의(正義, justice)를 내세우는 자들을 포함하는
"예수님께서 인정하시는 올바른/의로운 기도를 하지 않는" 자들이 있을 수 있고,

그리고 배타적으로,
오로지 평소에 정의(正義, justice)를 내세우지 않는 자들(즉, 겸손한 자들) 중에서
기도할 때에 정의(正義, justice)를 내세우지 않는
"예수님께서 인정하시는 올바른/의로운 기도를 하는" 자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964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