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대단히 중요한 신학 용어인 perfection(완미)의 우리말 번역에 대하여 1094_ 540_ [번역오류_완전] [교리서용어_완미] [성경용어_완미]

인쇄

. [175.115.218.*]

2011-08-14 ㅣ No.1094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94.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찬미 예수님
 
이 글에서는, 성경, 가톨릭 교회 교리서 등의 가톨릭 보편 교회의 영어본 문헌들에서 "perfection" 및 그 파생어들로 번역되고 있는 단어들의 우리말 번역 용어에 대하여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perfection" 에 해당하는 용어의 우리말 번역 용어를 살펴보는 이유는, 예를 들어, 영어 NAB 성경 및 영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에서 "perfection" 로 번역되고 있는 용어가, 신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하느님의 "선함(goodness)" 라는 용어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에서 쉽게 비교/검토하기 위하여 색깔을 입히고 또 굵게 표시한 것은 제가 한 것입니다:
 
1. (성경 본문들의 비교/검토)
 
1-1. (성경 본문들의 비교/검토)
 
에스테르기 5,1(5)
 
RSV
 
NAB (Esther D,5)
She glowed with the perfection of her beauty and her countenance was as joyous as it was lovely, though her heart was shrunk with fear.
 
새 번역 성경
홍조를 띤 에스테르는 지극히 아름다웠다. 그의 얼굴은 사랑받는 여인처럼 화사했지만, 마음은 두려움으로 조여들었다.
-----
 
욥기 11,7
 
RSV
"Can you find out the deep things of God? Can you find out the limit of the Almighty?
 
NAB
Can you find out the depths of God? or find out the perfection of the Almighty?
 
새 번역 성경
자네가 하느님의 신비를 찾아내고 전능하신 분의 한계까지도 찾아냈단 말인가?
 
-----
게시자 주: 과거에 "RSV" "limit"로 번역되었던 것을, "NAB"에서 "perfection"으로 수정 번역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시편 119,96
 
RSV
I have seen a limit to all perfection, but thy commandment is exceedingly broad.
 
NAB
I have seen the limits of all perfection, but your command is without bounds.
 
새 번역 성경
완전한 것에서도 다 끝을 보았지만 당신 계명은 한없이 넓습니다.
-----  
 
지혜서 6,15
 
RSV
To fix one's thought on her is perfect understanding, and he who is vigilant on her account will soon be free from care,
 
NAB
For setting your heart on her is the perfection of prudence, and whoever keeps vigil for her is quickly free from care;
 
새 번역 성경
지혜를 깊이 생각하는 것 자체가 완전한 예지다. 지혜를 얻으려고 깨어 있는 이는 곧바로 근심이 없어진다.
-----
 
지혜서 12,17
 
RSV
For thou dost show thy strength when men doubt the completeness of thy power, and dost rebuke any insolence among those who know it.
NAB
For you show your might when the perfection of your power is disbelieved; and in those who know you, you rebuke insolence.
 
새 번역 성경
정녕 당신의 완전한 권능이 불신을 받을 때에만 당신께서는 힘을 드러내시고 그것을 아는 이들에게는 오만한 자세를 질책하십니다.
-----
 
집회서 47,10
 
RSV
He gave beauty to the feasts, and arranged their times throughout the year, while they praised God's holy name, and the sanctuary resounded from early morning.
NAB
10 He added beauty to the feasts and solemnized the seasons of each year 10 b So that when the Holy Name was praised, before daybreak the sanctuary would resound.
 
새 번역 성경
다윗은 축제를 화려하게 벌였고 그 시기를 완벽하게 정리하였으며 주님의 거룩하신 이름을 찬미하고 그 찬미가 이른 아침부터 성소에 울려 퍼지게 하였다.
 
-----
(중간 결론 1)
게시자 주: (i) 굿뉴스 서버 제공의 성경 본문 검색 결과 및 (ii)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성경 본문 검색 결과에 의하면, 새 번역 성경의 본문 중에서 "완벽"이라는 단어가 사용된 것은 집회서 47,10뿐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perfection"에 해당하는 용어를 "완벽"으로 번역할 수는 없을 것이다.
-----
 
에제키엘서 28,12
 
RSV
"Son of man, raise a lamentation over the king of Tyre, and say to him, Thus says the Lord GOD: "You were the signet of perfection, full of wisdom and perfect in beauty.
NAB
Son of man, raise a lament over the king of Tyre, and say to him: Thus says the Lord GOD: You were a seal of perfection, full of wisdom, perfect in beauty.
 
새 번역 성경
사람의 아들아, 티로 임금을 두고 애가를 불러라. 그에게 말하여라. ‘주 하느님이 이렇게 말한다. 너는 완전함의 본보기로서 지혜와 더없는 아름다움으로 가득 차
-----
 
요한 복음서 17,23
 
RSV
I in them and thou in me, that they may become perfectly one, so that the world may know that thou hast sent me and hast loved them even as thou hast loved me.
 
NAB
I in them and you in me, that they may be brought to perfection as one, that the world may know that you sent me, and that you loved them even as you loved me.
 
새 번역 성경
저는 그들 안에 있고 아버지께서는 제 안에 계십니다. 이는 그들이 완전히 하나가 되게 하려는 것입니다. 그리고 아버지께서 저를 보내시고, 또 저를 사랑하셨듯이 그들도 사랑하셨다는 것을 세상이 알게 하려는 것입니다.
-----
 
콜로새서 3,14
 
RSV
And above all these put on love, which binds everything together in perfect harmony.
 
NAB
And over all these put on love, that is, the bond of perfection.
 
새 번역 성경
이 모든 것 위에 사랑을 입으십시오. 사랑은 완전하게 묶어 주는 끈입니다.
-----
 
히브리서 7,11
 
RSV
Now if perfection had been attainable through the Levit'ical priesthood (for under it the people received the law), what further need would there have been for another priest to arise after the order of Melchiz'edek, rather than one named after the order of Aaron?

NAB 
If, then, perfection came through the levitical priesthood, on the basis of which the people received the law, what need would there still have been for another priest to arise according to the order of Melchizedek, and not reckoned according to the order of Aaron?
 
새 번역 성경
백성은 레위의 사제직을 바탕으로 율법을 받았는데, 만일 그 사제직으로 완전성에 이를 수 있었다면, 아론과 같은 사제를 임명하지 않고 멜키체덱과 같은 다른 사제를 세울 필요가 어디 있었겠습니까?
-----
 
히브리서 7,19
 
RSV
(for the law made nothing perfect); on the other hand, a better hope is introduced, through which we draw near to God.
 
NAB
for the law brought nothing to perfection; on the other hand, a better hope is introduced, through which we draw near to God.
 
새 번역 성경
사실 율법은 아무것도 완전하게 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더 나은 희망이 주어져, 우리는 그것을 통하여 하느님께 다가갑니다.
-----
 
1요한 4,12
 
RSV
No man has ever seen God; if we love one another, God abides in us and his love is perfected in us.
 
NAB
No one has ever seen God. Yet, if we love one another, God remains in us, and his love is brought to perfection in us.
 
새 번역 성경
지금까지 하느님을 본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서로 사랑하면, 하느님께서 우리 안에 머무르시고 그분 사랑이 우리에게서 완성됩니다.
-----
 
1요한 4,17
 
RSV
In this is love perfected with us, that we may have confidence for the day of judgment, because as he is so are we in this world.  
 
NAB
In this is love brought to perfection among us, that we have confidence on the day of judgment because as he is, so are we in this world. 
 
새 번역 성경
사랑이 우리에게서 완성되었다는 것은, 우리도 이 세상에서 그분처럼 살고 있기에 우리가 심판 날에 확신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에서 드러납니다.   
-----
 
1-2. (검색 결과들에 대한 비교/검토)
 
1-2-1. NAB 성경 본문에 대한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검색 결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2-1-1. "perfection" 단어는 NAB 본문 중 (즉, 각주에서 사용되고 있는 횟수는 제외)에서 약12번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굵게 쓰여진 단어들을 세어 보십시오:
 
1-2-1-2. "perfect" 단어는 NAB 본문 중에서 (즉, 각주에서 사용되고 있는 횟수는 제외) 약53번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굵게 쓰여진 단어들을 세어 보십시오:
 
1-2-1-3. "perfectly" 단어는 NAB 본문 중에서 (즉, 각주에서 사용되고 있는 횟수는 제외) 약5번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굵게 쓰여진 단어들을 세어 보십시오:
 
따라서, NAB 본문 중에서, "perfect" 이라는 단어 및 그 파생어들이
 
12 + 53 + 5 = 약70번
 
사용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1-2-2. 새 번역 성경 본문에 대한 한국 천주교 주교호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검색 결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2-2-1. "완전성" 단어는 새 번역 성경 본문 중에서 약1번 사용되고 있으며, "완전함" 단어도 새 번역 성경 본문 중에서 약1번 사용되고 있으며,습니다. 다음의 주소들을 클릭한 후에, 굵게 쓰여진 단어들을 세어 보십시오:
 
1-2-2-2. "완전한" 단어는 새 번역 성경 본문 중에서 약20번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굵게 쓰여진 단어들을 세어 보십시오:
 
1-2-2-3. "완전히" 단어는 새 번역 성경 본문 중에서 약59번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굵게 쓰여진 단어들을 세어 보십시오:
 
1-2-2-4. "완전하게" 단어는 새 번역 성경 본문 중에서 약14번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굵게 쓰여진 단어들을 세어 보십시오:
 
1-2-2-5. "완전" 단어는 새 번역 성경 본문 중에서 약134번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굵게 쓰여진 단어들을 세어 보십시오:
 
따라서, 새 번역 성경의 본문 중에서, "완전" 이라는 단어 및 그 파생어들이
 
1 + 1 + 20 + 59 + 14 + 134 = 229번
 
사용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중간 결론 2)
 
그러므로, 위의 제1-2-1항과 비교를 하면, 새 번역 성경의 본문 중에서 "완전" 혹은 "완전"의 파생어들로 번역된 단어들 중에서,
 
229 - 70 = 159번
 
은, "perfect" 혹은 이 단어의 파생어로 번역되지 않은 단어들에 해당함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절을 비교하여 보십시오:
 
탈출기 17,14
 
NAB
Then the LORD said to Moses: Write this down in a book as something to be remembered, and recite it to Joshua:f I will completely blot out the memory of Amalek from under the heavens.
 
새 번역 성경
주님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다. “이 일을 기념하여 책에 기록해 두어라. 그리고 내가 아말렉에 대한 기억을 하늘 아래에서 완전히 없애 버리겠다는 것을 여호수아에게 똑똑히 일러 주어라.” 
-----
 
더 나아가, 예를 들어,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NAB 성경 본문에서 "complete" 단어 및 그 파생어들의 사용 빈도는 다음에 있습니다:
 
 
  84 complete 43 (주: 왼쪽의 숫자에서 각주에 등장하는 횟수를 제외한 숫자)
  71
completed 55 
  68 completely 48
   1
completeness 1
  
3 completes 2
  
4 completing 4
  
9 completion 4
 
이들 중에서, 각주들에 등장하는 단어들을 제외하면,
 
약 43 + 55 + 48 + 1 + 2 + 4 + 4 = 159번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악의 경우에 있어, 이들 159번의 "complete" 및 그 파생어들이 우리말로 "완전한" 및 그 파생어들로 번역 되었을 수 있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는 당연히 반드시 이렇지는 않을 것입니다.
 
말씀드리고자 하는 바는, 예를 들어, 어원이 다른 두 개의 다른 영어 단어로 번역된 단어들이, 만약에 우리말로 번역되면서 동일한 한 단어로 번역이 되었다면, 우리말로 번역된 문장의 내용은, 영어 번역문의 해당 문장의 내용과 결코 동일 할 수가 없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가톨릭 교회의 보편 교도권에서 수용한 신학적으로 이미 중요한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를 가지고 있는 단어들은, 그렇지 않은 단어들과 잘 구분하여, 이들이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번역자의 미숙한 판단 때문에, 동일한 우리말 단어로 번역되는 것을 반드시 회피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러지 못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우리말로 번역된 문헌들만을 근거로 하여, 신학적 혹은 영성적으로 유의미한 강론 준비, 해석 및 연구를 하는 것 자체가 상당히 무의미하다는 생각입니다. 바로 중요한 지적을, 일찍이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 , 1, q. 1, a. 10, ad 1 에서 분명하게 하였으며, 그리고 이 지적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16항에서, 올바른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위에 나머지 세 개의 영성적 의미들을 추구하여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참고 사항 3을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ii) 그리고 다음은, 신학 대전 I, q1, a9 및 a10 입니다. 이 지적이 대단히 중요하므로, 성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 대전 전체 문항들 중에서 첫 번째 문항(q1)의 제9조(a9) 및 제10조(a10)에서 바로 이러한 지적을 즉시 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들 차분히 읽고 묵상하실 것을 강력하게 권고합니다:
 
 
-----
 
(발췌 시작)

Article 9. Whether Holy Scripture should use metaphors?

제9조. 성경 본문은 은유들을 사용하여야만 하는지?

반대 1. 성경 본문은 은유(metaphors)들을 사용하지 말야아 하는 것 같습니다. 이는 가장 저급한 과학에 고유한 바로 그것은, 모든 것 중에서 가장 높은 장소를 차지하는 이 과학에 적합하지 않는 것 같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다양한 유사함(similitudes)들 및 표상(figures)들의 도움에 의하여 나아가는 것은, 모든 과학들 중에서 가장 저급한 과학인, 시(poetry)에 적합합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과학이 그러한 유사들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적절합니다.

반대 2. 더구나, 이 교리는 진리를 분명하게 하고자 의도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이것을 분명하게 나타내는 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어떤 보상이 제공됩니다: "나를 설명하는 사람들은 영원히 지속되는 생명을 가지리라" (집회서 24,31).(*) 그러나 그러한 유사함(similitudes)들에 의하여 진리는 가리워집니다. 그러므로, 질료적 사물들에 하느님의 진리들을 비유함으로써 하느님의 진리들을 두드러지게 하는 것은 이 과학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
(*) 번역자 주: 여기서 인용되고 있는 집회서 24,31은, 다음에 있는, 과거의 (예를 들어, Clementine 판) 불가타 라틴 대중 성경의 집회서 24,31이다:
http://www.newadvent.org/bible/sir024.htm
-----

반대 3. 더구나, 더 고귀한 피조물들일수록, 하느님 비슷함(divine likeness)에 더 가까이 접근합니다. 따라서 만약에 어떤 피조물이 하느님을 표상하기(represent) 위하여 택해진다면, 이러한 표상은, 더 저급한 피조물들로부터가 아니라, 더 고귀한 피조물들로부터 택해져야 하며, 그리고 게다가 이것은 성경 본문(Scriptures)들 안에서 자주 발견되고 있습니다.

On the contrary, It is written (Hosea 12:10): "I have multiplied visions, and I have used similitudes by the ministry of the prophets." But to put forward anything by means of similitudes is to use metaphors. Therefore this sacred science may use metaphors. 

이와는 달리, "바로 내가 환시를 많이 보여주고 예언자들을 통하여 비유로 말하리라" (호세아 12,11)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유사성들에 의하여 어떤 것을 두드러지게 하는 것은 은유(metaphors)들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바로 이 성스러운 과학은 은유들을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I answer that, It is befitting Holy Writ to put forward divine and spiritual truths by means of comparisons with material things. For God provides for everything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its nature. Now it is natural to man to attain to intellectual truths through sensible objects, because all our knowledge originates from sense. Hence in Holy Writ, spiritual truths are fittingly taught under the likeness of material things. This is what Dionysius says (Coel. Hier. i): "We cannot be enlightened by the divine rays except they be hidden within the covering of many sacred veils." It is also befitting Holy Writ, which is proposed to all without distinction of persons — "To the wise and to the unwise I am a debtor" (Romans 1:14) — that spiritual truths be expounded by means of figures taken from corporeal things, in order that thereby even the simple who are unable by themselves to grasp intellectual things may be able to understand it. 

저는 다음과 같이 답합니다: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이 질료적 사물들과 대비에 의하여 하느님의 그리고 영적 진리들을 두드러지게 하는 것은 적절합니다. 이는 하느님께서는 모든 것을 그 본성의 능력에 따라 제공하시기(provides) 때문입니다. 이제 사람이 느낄 수 있는 대상들을 통하여 지성적 진리들을 획득하고자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데, 왜냐하면 우리의 지식 모두는 감각(sense)에서 유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에 있어, 영성적 진리들은 질료적 사물들로에 대한 비슷함(likeness) 하에서 적절하게 가르쳐집니다. 이것이 바로 디오니시오스(Dionysius) 가 "우리는 하느님의 광선들에 의하여, 이 광선들이 많은 성스러운 베일들로 이루어진 덮개 안쪽에 감추어져 있지 않다면, 교화될 수가 없다." (Coel. Hier. i) 라고 말하는 바입니다. 개인들에 대한 구분 없이 모든 이에게 제안되는 - "지혜로운 이들에게도 어리석은 이들에게도 다 빚을 지고 있습니다" (로마 1,14) -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이 영적인 진리들이 질료적 사물들로부터 취하여진 표상들에 의하여 자세히 설명되는 것은, 그리하여 그 결과로 심지어 자력으로 지성적 사물들을 붙잡을 수 없는 순박한 자(the simple)들마저도 그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될 수 있게 되는 것은, 또한 적절합니다.

반대 1에 대한 답변. 시(poetry)는 어떤 표상(a representation)을 산출하기 위하여 은유(metaphors)들을 사용하는데, 이는 사람이 표상들에 기뻐하게 되는 것은 자연스럽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성스러운 교리는 필요하고 그리고 유용한 둘 다로서 은유들을 사용합니다.

반대 2에 대한 답변. 하느님의 계시의 광선은, 디오니시오스(Dionysius) 가 말하듯이(Coel. Hier. i), 그것에 의하여 이 광선이 가리워지는, 감각에 의하여 인지될 수 있는 심상(心像, imagery)에 의하여 꺼지지 않으며, 그리고 그것의 진리가, 그것이 이 계시가 이미 드러나게 되었던 자들의 마음들이 은유들 안에서 머무는 것을 허락하는 정도에까지가 아니라, 그들을 진리들에 대한 지식으로 들어올리는 것을 허락하는 정도에까지, 그리하여 이 계시가 이미 드러나게 되었던 자들을 통하여 다른 자들도 또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있을 정도에까지 남아있습니다. 따라서 성경 본문의 한 부분에서 은유적으로 가르쳐지는 바로 그러한 사물들은, 다른 부분들에서 더 공개적으로 가르쳐집니다. 표상(figures)들 안에 있는 바로 그 감추어진 진리는, "거룩한 것은 개들에게 주지 말라" (마태오 7,6) 라는 표현에 따라, 생각이 깊은 마음들의 실천에 그리고 신을 공경하지 않는 자들의 비웃음에 대한 방어(a defense)에 유용합니다.

반대 3에 대한 답변. 디오니시오스(Dionysius) 가 말하듯이(Coel. Hier. i) 하느님의 진리들이 더 고귀한 주요부(bodies)들에 대하여보다는 덜 고귀한 주요부들에 대한 표상 하에서 상세히 설명되어야만 하는데, 이것은 세 가지 이유 때문입니다. 첫 번째로, 왜냐하면 그것에 의하여 사람들의 마음들이 오류로부터 더 잘 보호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그렇게 하면 이러한 사물들은, 만약에 더 고귀한 주요부들에 대한 표상 하에서 표현되어졌더라면 의심에 노출되었을 수도 있는, 하느님의 진리들에 대한 자구적 서술(literal descriptions)들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 왜냐하면 이것은 이 세상의 삶 안에서 우리가 가지는 하느님에 대한 지식에 더 적절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당신이신 바(what)보다는 당신이 아닌 바가 우리에게 더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하느님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사물들로부터 도출된 유사성(similitudes)들은 우리가 당신에 대하여 무엇을 말하거나 혹은 생각하든지간에 하느님께서는 그것 위에 계신다는 더 참된 평가를 우리 안쪽에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세 번째로, 왜냐하면 그것에 의하여 하느님의 진리들은 가치 없는 것들로부터 더 잘 감추어지기 때문입니다.

Article 10. Whether in Holy Scripture a word may have several senses?

제10조. 성경 본문에 있어 어떤 단어는 여러 어의/의미들을 가질 수 있는지? 

반대 1.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에 있어 어떤 단어는, 역사적(historical) 혹은 자구적(literal), 우의적/풍유적(allegorical), 윤리적(tropological) 혹은 도덕적(moral), 그리고 신비적/종말론적(anagogical), 여러 어의/의미(senses)들을 가질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이는 한 본문에 있어 많은 다른 어의/의미들은 혼란과 속임을 산출하여 그리하여 논증의 힘 모두를 파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로지 오류들을 제외한, 어떠한 논증도 명제들의 다중성으로부터 연역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은 어떠한 오류도 없이 진리를 진술할 수 있어야만 합니다. 그러므로 거기에 있어 어떤 단어에도 여러 어의/의미가 있을 수 없습니다.

반대 2. 더구나, 아우구스티노(Augustine)는 "구약 성경은 역사, 원인(etiology), 유비(analogy) 그리고 우의(allegory)에 관하여 네 겹의 구분을 가지고 있다." (De util. cred. iii) 라고 말합니다. 이제 이들 네 개는 모두가 첫 번째 반대에서 언급된 네 개의 구분들과 통틀어 다른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의 동일한 단어를 위에서 언급된 네 개의 다른 어의들에 따라 설명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반대 3. 더구나, 이들 어의들 이외에, 이들 네 개 중의 하나가 아닌, 비유적 어의(the parabolical)가 있습니다.

On the contrary, Gregory says (Moral. xx, 1): "Holy Writ by the manner of its speech transcends every science, because in one and the same sentence, while it describes a fact, it reveals a mystery." 

이와는 달리, 그리고리오(Gregory)는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은 그 화법의 방식에 의하여 모든 과학을 초월하는데, 왜냐하면 하나이며 동일한 문장 안에서, 그것이 어떤 사실을 서술함과 동시에, 그것은 어떤 신비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Moral. xx, 1) 라고 말합니다.

-----
번역자 주: 여기서 그레고리오(Gregory)는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을 말하며, Moral. 은 욥기에 대한 그의 주석서인 Moralia in Job 을 말한다. 그리고 Moral xx, 1 전문은 다음에 있으니 참고하라:

참고 자료: http://www.lectionarycentral.com/GregoryMoralia/Book20.html
-----

I answer that, The author of Holy Writ is God, in whose power it is to signify His meaning, not by words only (as man also can do), but also by things themselves. So, whereas in every other science things are signified by words, this science has the property, that the things signified by the words have themselves also a signification. Therefore that first signification whereby words signify things belongs to the first sense, the historical or literal. That signification whereby things signified by words have themselves also a signification is called the spiritual sense, which is based on the literal, and presupposes it. Now this spiritual sense has a threefold division. For as the Apostle says (Hebrews 10:1) the Old Law is a figure of the New Law, and Dionysius says (Coel. Hier. i) "the New Law itself is a figure of future glory." Again, in the New Law, whatever our Head has done is a type of what we ought to do. Therefore, so far as the things of the Old Law signify the things of the New Law, there is the allegorical sense; so far as the things done in Christ, or so far as the things which signify Christ, are types of what we ought to do, there is the moral sense. But so far as they signify what relates to eternal glory, there is the anagogical sense. Since the literal sense is that which the author intends, and since the author of Holy Writ is God, Who by one act comprehends all things by His intellect, it is not unfitting, as Augustine says (Confess. xii), if, even according to the literal sense, one word in Holy Writ should have several senses.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의 저자는 하느님이시며, 당신의 힘 안에서 성경은, (사람도 또한 할 수 있듯이) 단순히 단어들에 의하여 뿐만이 아니라, 또한 사물들 그 자체에 의하여, 당신의 의미를 나타내고자 합니다. 그래서, 다른 모든 과학에 있어 사물들이 단어들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반면에, 이 과학은 단어들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사물들 그들 자체가 또한 어떤 어의(語義, signification)를 가진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것에 의하여 단어들이 사물들을 나타내는 바로 그 첫 번째 어의는, 역사적 혹은 자구적 어의(the historical or literal sense)인, 그 첫 번째 어의/의미(sense)에 속합니다. 그것에 의하여 단어들에 의하여 나타내어진 사물들 그 자체들이 또한 어떤 어의인 바로 그 어의는 영성적 어의(the spiritual sense)로 불리는데, 이 어의는 자구적 어의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그리하여 자구적 어의를 전제합니다(presupposes). 이제 이러한 영성적 어의는 세 겹의 구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사도가 옛 법(the Old Law)이 새 법(a New Law)에 대한 하나의 표상이다(히브리 10,1) 라고 말하듯이, 그리고 디오니시오스(Dionysius) 가 "새 법은 미래의 영광에 대한 한 종류의 표상이다" (Coel. Hier. i) 라고 말하듯이 때문입니다. 또다시, 새 법에 있어, 우리의 머리(Head)가 이미 행하신 바 무엇이든지간에 우리가 행해야만 하는 바의 한 종류입니다. 그러므로, 옛 법의 사물들이 새 법의 사물들을 나타내는 한, 우의적/풍유적 어의(the allegorical sense)가 거기에 있으며,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행해진 사물들, 혹은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사물들이 우리가 행하여야만 하는 바의 종류들인 한, 윤리적/도덕적 어의(the moral sense)가 거기에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영원한 영광에 관계하는 바를 나타내는 한, 신비적/종말론적 어의(the anagogical sense)가 거기에 있습니다. 왜냐하면 자구적 어의는 저자가 의도하는 바 바로 그것이기 때문에, 그리고 왜냐하면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의 저자는, 한 번의 행위(act)에 의하여 모든 사물들을 당신의 지성에 의하여 파악하시는, 하느님이시기에,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말하듯이, 심지어 자구적 어의에 따르더라도,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에 있어 한 개의 단어가 여러 어의들을 가져야만 하는지는 (Confess. xii), 적절하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반대 1에 대한 답변. 이들 어의들의 다중성(multiplicity)은, 이들 어의들이 한 개의 단어가 여러 개의 사물들을 나타내기 때문에 증식되는(are multiplied) 것이 아니라, 이 단어들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사물들 그 자체들이 다른 사물들의 종류들일 수 있기 때문에 증식되므로, 다의(多義)의 허위(equivocation) 혹은 어떤 다른 종류의 다중성을 산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에 있어 어떠한 혼란도 야기되지 않는데, 이는 이 어의들 모두가,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말하듯이(Epis. 48), 우의/풍유(allegory) 안에서 의도된 것들로부터가 아니라, 거기로부터만이 어떤 논증이 도출될 수 있는, 한 개 - 자구적 어의(the literal) - 위에 기초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 본문의 어떠한 것도 이것 때문에 소멸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믿음(faith)에 절대적으로 요구되는(necessary to) 어떠한 것도, 그 자구적 어의에 있어 성경 본문에 의하여 다른 장소에서 두드러지게 되지 않는, 영성적 어의 아래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대 2에 대한 답변. 이들 세 개의 역사, 원인(etiology), 유비(analogy)는 자구적 어의(the literal sense) 아래에서 무리로 나누어집니다. 이는,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상세히 설명하듯이(Epis. 48), 어떤 것이 단순히 관련될 때마다 그것은 역사(history)로 불리며, 그리고, 우리의 주님께서 모세가 아내들과 이혼함을 허락하였던 이유를, 즉, 사람들의 심장들의 굳음 때문에, 제공하셨을 때처럼, 그 이유(cause)가 할당될 때에 그것은 원인(etiology)으로 불리며, 그리고 성경 본문의 어떤 구절(text)의 진리가 다른 구절의 진리에 모순되지 않음이 보여질 때마다 그것은 유비(analogy)라고 불립니다. 이들 네 개 중에서, 우의(allegory) 홀로 이 세 개의 영적인 어의들을 대표합니다(stands for). 따라서 성 빅토르의 후그(Hugh of St. Victor, 1096-1141년)는 신비적/종말론적 어의를 우의적 어의 아래에 포함하여, 그리하여 오로지 오로지 세 개의 어의들인 역사적 어의, 우의적/풍유적 어의, 그리고 윤리적/도덕적 어의만을 규정합니다(Sacram. iv, 4 Prolog.).

반대 3에 대한 답변. 비유적 어의(the parabolical sense)는 자구적 어의(the literal sense) 안에 포함되는데, 이는 단어들에 의하여 사물들이 고유하게(properly) 그리고 표상적으로(figuratively) 나타내어지기 때문입니다. 자구적 어의는, 그 표상(the figure) 자체가 결코 아니라, 표상되는 바로 그것입니다. 성경 본문이 하느님의 팔(God's arm)에 대하여 말할 때에, 자구적 어의는 하느님께서 그러한 한 개의 신체의 일부 가지고 계신다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이러한 신체의 일부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바뿐입니다, 즉 작용하는 힘(operative power)뿐입니다. 따라서 어떠한 거짓도 결코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의 자구적 어의의 밑에 있을 수 없습니다.  

-----
번역자 주: 자구적 어의에 속하는, 비유적 어의(the parabolic sense) 혹은 은유적 어의(metaphorical sense)에 대한 중세 백과사전에 주어진 설명은 다음의 글의 제3항에 있으니 또한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02.htm

그리고 다음은 가톨릭 성경 해석 입문으로 마련된 글들의 모음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Biblical_exegesis.htm
-----

(이상, 발췌 끝).
---------- 
 
 
2. (영어본 및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들의 비교 검토)
 
2-1.
2-1-1. 다음은, 교황청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사용 중인 "perfect" 라는 단어 및 그 파생어들의 사용 횟수입니다:
 
 
   65 perfect 65 (주: 왼쪽의 숫자에서 각주에 등장하는 횟수를 제외한 숫자)
    6 perfected 6
    2 perfecter 2
    1 perfecting 1
   60 perfection 59
    6 perfections 6
   16 perfectly 16
    8 perfects 8
 
따라서,
 
65 + 6 + 2 + 1 + 59 + 6 + 16 + 8 = 약153번
 
"perfection" 라는 단어 및 그 파생어들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에서 사용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2-1-2. 다음은, 교황청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사용 중인 "complete" 라는 단어 및 그 파생어들의 사용 횟수입니다.
 
 
   35 complete 35 (주: 왼쪽의 숫자에서 각주에 등장하는 횟수를 제외한 숫자)
   11 completed 11
   12 completely 12
   18 completes 18
    2 completing 2
   13 completion 13
 
따라서,
 
35 + 11 + 12 + 18 + 2 + 13 = 약91번
 
의 "complete" 라는 단어 및 그 파생어들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에서 사용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2-1-3. 다음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사용 중인 "완전" 이라는 단어 및 그 파생어들의 사용 횟수입니다: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110610121307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전문)
 
256 완전 (주: 이 횟수는 완전함, 완전한 등의 파생어들을 모두 포함한 횟수임)
  6 완벽
 
2-1-4. 
 
따라서, 위의 제2-1-1항, 제2-1-2항, 그리고 제2-1-3항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53 + 91 = 244 < 256 + 6 = 262
 
즉,비록  더 자세한 것은 구체적으로 비교/검토를 해 보아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지만, 
 
(중간 결론 3)
 
지금까지 위의 제2항에서 살펴본 바에 의하여,
 
영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는 어원이 다른

(i) "perfect" 및 그 파생어들과
 
(ii) "complete" 및 그 파생어들을
 
자구적으로(literally) 분명하게 구분하고 있으나,
 
그러나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는 이를 어원이 다른 두 단어군들이 동일한 표현 "완전" 및 그 파생어들로 번역이 되었기에, 영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해당 본문이 전달하는 내용과 동일하지 않은 내용을 전달하는 문장이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 내에 약90군데 정도에 있을 수 있음을 파악하게 되었습니다.
 
2-2-1. 예를 들어, 몇 개의 항들을 비교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
 
45 Man is made to live in communion with God in whom he finds happiness: When I am completely united to you, there will be no more sorrow or trials; entirely full of you, my life will be complete (St. Augustine, Conf. 10, 28, 39: PL 32, 795}.
45 인간은 하느님과 이루는 친교 안에서 살아가도록 창조되었으며, 하느님 안에서 행복을 발견한다.“제가 온전히 당신안에 있을 때 더 이상 고통도 시련도 없을 것이며, 당신으로 충만할 때 제 삶은 완성될 것입니다.”
---
 
66 "The Christian economy, therefore, since it is the new and definitive Covenant, will never pass away; and no new public revelation is to be expected before the glorious manifestation of our Lord Jesus Christ."28 Yet even if Revelation is already complete, it has not been made completely explicit; it remains for Christian faith gradually to grasp its full significance over the course of the centuries.
66 “새롭고 결정적인 계약인 그리스도의 구원 경륜은 결코 폐기되지 않을 것이며,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영광스럽게 나타나시기 전에는 어떠한 새로운 공적 계시도 바라지 말아야 한다.” 34) 그러나 계시가 완결되었다고는 해도 그 내용이 완전히 명백하게 드러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교 신앙은 시대를 살아가며 계시의 내용 전체를 점진적으로 파악해 가야 할 것이다.
---
 
102 Through all the words of Sacred Scripture, God speaks only one single Word, his one Utterance in whom he expresses himself completely.
102 성경의 모든 말씀으로 하느님께서는 오로지 한‘말씀’ 을 하신다. 곧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이‘유일한 말씀’안에서 당신 전체를 표현하신다.
---
 
143 By faith, man completely submits his intellect and his will to God. With his whole being man gives his assent to God the revealer. Sacred Scripture calls this human response to God, the author of revelation, "the obedience of faith".
143 신앙으로써 인간은 온전히 자신의 지성과 의지를 하느님께 복종시킨다. 인간은 자신의 존재 전체로, 계시하시는 하느님께 동의를 드리는 것이다. 성경은 계시하시는 하느님에 대한 이러한 인간의 응답을“믿음의 순종” 이라고 부른다.
---
 
148 The Virgin Mary most perfectly embodies the obedience of faith. ...
148 동정 마리아께서는 가장 완전하게 믿음의 순종을 실천하신 분이시다. ...
---
 
152 ... Only God knows God completely: we believe in the Holy Spirit because he is God.
152 ... 하느님 홀로 하느님을 온전히 아신다. 성령께서는 하느님이시므로 우리는 성령을 믿는다.
---
 
260 ... ... May I never abandon you there, but may I be there, whole and entire, completely vigilant in my faith, entirely adoring, and wholly given over to your creative action.
260 ... ... 결코 당신을 그곳에 홀로 두지 않고, 온전히 그곳에 머물러, 온전히 깨어 있는 신앙으로, 당신을 온전히 경배하며, 당신의 창조 활동에 저 자신을 온전히 맡기게 하소서. 83)
---
 
1064 Thus the Creed's final "Amen" repeats and confirms its first words: "I believe." To believe is to say "Amen" to God's words, promises and commandments; to entrust oneself completely to him who is the "Amen" of infinite love and perfect faithfulness. the Christian's everyday life will then be the "Amen" to the "I believe" of our baptismal profession of faith:
1064 그러므로 신경 끝의“아멘” 은 첫머리의“저는 믿나이다.” 라고 하는 말마디를 되풀이하고 확인하는 것이다. ‘믿는다’ 는 것은 하느님의 말씀과 약속과 계명에 대하여“아멘” 이라 말하는 것이며, 무한한 사랑과 완전한 성실성의‘아멘’ 이신 분께 전적으로 신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매일매일의 그리스도인의 삶은 세례 때“저는 믿나이다.” 라고 한 신앙 고백에 대한‘아멘’ 이 될 것이다.
---
 
1294 ... By Confirmation Christians, that is, those who are anointed, share more completely in the mission of Jesus Christ and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with which he is filled, so that their lives may give off "the aroma of Christ."
1294 ... 그리스도인,  곧 견진의 도유를 받은 사람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명과, 그분이 가득히 지니신 성령의 충만에 더 깊이 참여함으로써, 삶 전체에서“그리스도의 향기” 를 풍기게 된다. 
---
 
1473 ... He should strive by works of mercy and charity, as well as by prayer and the various practices of penance, to put off completely the "old man" and to put on the "new man.
1473 ... 은총으로 받아들이도록 힘써야 한다. 그리스도인은 자비와 자선의 행위와 더불어 기도와 여러 속죄 행위로“묵은 인간” 을 완전히 벗어 버리고, “새로운 인간” 으로 갈아입도록 힘써야 한다.
---
 
1903 ... In such a case, "authority breaks down completely and results in shameful abuse.
1903 ... “이 경우 공권력은 더 이상 공권력이 아닌 압제로 변질된다.”
---
 
2231 Some forgo marriage in order to care for their parents or brothers and sisters, to give themselves more completely to a profession, or to serve other honorable ends. ...
2231 어떤 이들은 자기 부모나 형제자매들을 돌보려고, 또는 어떤 직업에 더 온전히 전념하려고, 또는 다른 훌륭한 동기들 때문에 혼인을 하지 않는다. ...
---
 
2749 Jesus fulfilled the work of the Father completely; his prayer, like his sacrifice, extends until the end of time. ...
2749 예수님께서는 성부의 일을 수하셨으며, 그분의 기도는, 그분의 희생 제사처럼, 세상 끝 날까지 미친다. ...
---
 
이상 살펴 본 바로부터, 우리는, 어원이 다른, perfectly completely로 번역된 단어들이, "완전히" 혹은 "완전하게"로 번역된 경우들이 있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는데, 이것은 이들 어원이 다른 단어들의 의미가 번역 과정에서 확실하게 파괴되는 행위일 것입니다.
 
이와 유사한 사례들을 찾아 내는 것은 이제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고, 단지 시간만을 요구할뿐일 것입니다.
----------
 
3. (지금까지 살펴 본 바에 대한 중간 결론)
 
위의 중간 결론 1,2,3 을 읽도록 하십시오.
 
다른 한 편으로, 이미 이 글의 시작에서 말씀드렸습니다만, 예를 들어 영어 NAB 성경 및 영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에서 약 60번에 걸쳐 "perfection" 로 번역되고 있는 용어가, 신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하느님의 "선함(goodness)" 라는 용어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되어 있기에, "perfection"으로 번역되고 있는 단어를 우리말로 번역을 할 때에,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의 다른 번역 용어 혹은 단어들과 섞이는 것을 피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3-1. 예를 들어, 여기를 클릭하면 가질 수 있는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의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서는 불가능하지만, 여기를 클릭하면 가지는 영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의 검색 기능을 사용하여, 신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 용어들인"perfection", "goodness" "love" "glory" 등의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는 본문을 다음과 같이 매우 손쉽게 찾아 볼 수가 있습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93항 단 한 개가 검색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93 Scripture and Tradition never cease to teach and celebrate this fundamental truth: "The world was made for the glory of God." St. Bonaventure explains that God created all things "not to increase his glory, but to show it forth and to communicate it", for God has no other reason for creating than his love and goodness: "Creatures came into existence when the key of love opened his hand." The First Vatican Council explains:
This one, true God, of his own goodness and "almighty power", not for increasing his own beatitude, nor for attaining his perfection, but in order to manifest this perfection through the benefits which he bestows on creatures, with absolute freedom of counsel "and from the beginning of time, made out of nothing both orders of creatures, the spiritual and the corporeal. . ."
293 “세상은 하느님의 영광을 위하여 창조되었다.” 118) 이것은 성경과 성전이 끊임없이 가르치고 찬미하는 진리이다. 보나벤투라 성인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하느님께서 만물을 창조하신 것은“당신의 영광을 더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영광을 드러내고 나누시기 위해서이다.” 119) 하느님께는 당신의 사랑과 선하심 이외에 창조를 위한 다른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사랑의 열쇠가 만물을 창조할 손을 열었다.” 120) 그리고 제1차 바티칸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당신의 선하심으로, 그리고 전능하신 능력으로, 유일하신 참하느님께서
     는, 당
신의 행복을 더하기 위해서도 아니고, 당신의 완전을 획득하기
     위해서도 아니
라, 당신의 창조물들에게 부여하신 선을 통하여 당신의 
    완전함을 드러내
시기 위하여, 가장 자유로운 계획 안에서, 모든 것을
     한 번에, 한처음에, 유
형무형의 피조물 하나하나를 무에서 창조하셨다.
     121)
  
-----
118. 제1차 바티칸 공의회, 교의 헌장「하느님의 아드님」 , 만물의 창조주 하느님에 대하여, 제5조: DS 3025.
119. 성 보나벤투라, 「제2명제집」 , dist. 1, p. 2, a. 2, q. 1, concl: Opera omnia, 2권(클라라 아쿠아, 1885), 44면.
120. 성 토마스 데 아퀴노, 「명제집 주해」 , 서문: Opera omnia, 8권(파리, 1873), 2면.
121. 제1차 바티칸 공의회, 교의 헌장「하느님의 아드님」 , 제1장: DS 3002.
-----
 
(졸번역)
CCC 293 성경(Scripture)과 성전(Tradition)은 다음과 같은 근본 진리(fundamental truth)를 가르치고 경축하는 것을 결코 멈춘적이 없다: "이 세상은 하느님의 영광을 위하여 창조되었다.”성 보나벤뚜라는 하느님께서 "당신의 영광을 증대시키기 위하여서가 아니라 이 영광을 밖으로 나타내어 그리하여 이것을 나누어 주시고자(communicate)" 만물들을 창조하셨다고 설명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사랑과 선함(goodness) 이외에 창조 행위을 위한 다른 이유를 전혀 가지고 계시지 않기 때문이다: "창조물들은 사랑(love)으로 이루어진 열쇠가 당신의 손을 열었을 때에 비로소 존재로 나타났다." 제1차 바티칸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당신 고유의 선함(goodness)과 "전능하신 힘"을 지니신 바로 이 한 분이신, 참 하느님께서는, 당신 고유의 지복(beatitude)을 증대시키기 위하여서도 아니고, 당신의 perfection(완미)을 얻기 위하여서도 아니고, 당신께서 창조물들에게 베푸신 혜택들을 통하여 바로 이 perfection을 나타내시기 위하여, 계획의 절대적 자유로우심과 함께 "한처음에, 무로부터 영적인 및 형이하학적 창조물들 둘 다에 있어서의 순서(orders)들을 ..." 만드셨다.
-----
 
따라서, 이 항에 등장하는 각 용어들의 신학적 의미 혹은 개념의 정의(definition)는 대단히 중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기를 클릭하면, 성전(Tradition)의 정의(definition)에 대한 저의 졸글(최초 작성일자: 2007-07-05)을 읽을 수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신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용어인 순서(order, 질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번역 오류에 대한 지적의 저의 졸글(작성일자: 2010-07-15, 이 번역 오류의 최초 지적일자: 2007년 12월 17일)을 읽을 수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하느님의) 영광(glory)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에 대한 저의 졸글(최초 작성일자: 2011-04-28)을 읽을 수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사랑(love)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에 대한 저의 졸글(최초 작성일자: 2011-07-21)을 읽을 수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선함(goodness)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에 대한 저의 졸글(최조 작성일자: 2011-07-27)을 읽을 수 있습니다. (주: 며칠 전에 상당한 시간을 들여 거의 작성을 다 하였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해당 파일이 사라져버렸기에, 또 시간을 마련하여 새로 작성을 하여야 합니다.)
-----
 
질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93항의 우리말 번역에서, 도대체 어찌된 이유로, "fundamental truth"로 번역된 표현을, "근본 진리" 혹은 "기본 진리" 등으로 번역하지 않고, 단순히 "진리"로, 우리말 번역 중에 이 문장 전체의 의미의 축소가 발생하게 된, "의역 번역(free translation)"을 하였을까요???
 
다음의 라틴어 정본, 이탈리아어본 및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93항에도 분명하게, 영어로 "fundamental"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생략하는 축소 의역 번역을 한 것에 대하여, 저로서는 납득하는 것이 대단히 힘듭니다:
 
---

293 Veritas est fundamentalis, quam Scriptura et Traditio docere et celebrare non desinunt, « mundum ad Dei gloriam conditum esse ». 134 Deus omnia creavit, explicat sanctus Bonaventura « non [...] propter gloriam augendam, sed propter gloriam manifestandam et propter gloriam Suam communicandam ». 135 Deus enim nullam aliam rationem habere potest ad creandum, nisi Suum amorem Suamque bonitatem: « Aperta enim manu clave amoris, creaturae prodierunt ». 136 Concilium vero Vaticanum I explicat:

« Deus bonitate Sua et omnipotenti virtute non ad augendam Suam beatitudinem nec ad acquirendam, sed ad manifestandam perfectionem Suam per bona, quae creaturis impertitur, liberrimo consilio simul ab initio temporis utramque de nihilo condidit creaturam, spiritualem et corporalem ». 137

293 È una verità fondamentale che la Scrittura e la Tradizione costantemente insegnano e celebrano: « Il mondo è stato creato per la gloria di Dio ».118 Dio ha creato tutte le cose, spiega san Bonaventura, « non [...] propter gloriam augendam, sed propter gloriam manifestandam et propter gloriam suam communicandam – non per accrescere la propria gloria, ma per manifestarla e per comunicarla ».119 Infatti Dio non ha altro motivo per creare se non il suo amore e la sua bontà: « Aperta enim manu clave amoris, creaturæ prodierunt – Aperta la mano dalla chiave dell’amore, le creature vennero alla luce ».120 E il Concilio Vaticano I spiega:

     « Nella sua bontà e con la sua onnipotente virtù, non per aumentare
     la sua beatitudine, né per acquistare perfezione, ma per
     manifestarla 
attraverso i beni che concede alle sue creature, questo
     solo vero Dio 
ha, con la più libera delle decisioni, dall’inizio
     dei tempi, creato 
insieme dal nulla l’una e l’altra creatura, la
     spirituale e la 
corporale ».121
 
293 C’est une vérité fondamentale que l’Écriture et la Tradition ne cessent d’enseigner et de célébrer : " Le monde a été créé pour la gloire de Dieu " (Cc. Vatican I : DS 3025). Dieu a créé toutes choses, explique S. Bonaventure, " non pour accroître la Gloire, mais pour manifester et communiquer cette gloire " (sent. 2, 1, 2, 2, 1). Car Dieu n’a pas d’autre raison pour créer que son amour et sa bonté : " C’est la clef de l’amour qui a ouvert sa main pour produire les créatures " (S. Thomas d’A., sent. 2, prol.) Et le premier Concile du Vatican explique :

Dans sa bonté et par sa force toute-puissante, non pour augmenter sa béatitude, ni pour acquérir sa perfection, mais pour la manifester par les biens qu’il accorde à ses créatures, ce seul vrai Dieu a, dans le plus libre dessein, tout ensemble, dès le commencement du temps, créé de rien l’une et l’autre créature, la spirituelle et la corporelle (DS 3002).

---
 
참고: 더 나아가, 여기를 클릭하면, 2011년 8월 17일 오늘 현재,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핵심 문헌들에서 "fundamental truth"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93항에서 단 한번뿐임을 구글 검색 엔진으로 누구나 손쉽게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2. 더 나아가, "perfection"의 의미 혹은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 용어의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인과 관계(cause and effect)상의 다수의 결과(the effects)들을 비교/검토하는 것은 대단히 유익한데, 이것도 
 
(i) 이 용어가, 자국어로의 번역 과정에서, 어원이 다른 다른 용어들과 섞이지 않아야, 즉 동일하게 번역이 되지 않아야 하며,
 
(ii) 이 용어가, 자국어로의 번역 과정에서, 어떤 파생어도 없이, 단 한 개의 동일한 번역 용어로 번역이 되어야만,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글에서 이미 안내를 해 드렸습니다만,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q2, a2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귀납적 추론(a posteriori reasoning)을 함으로써, "perfection" 이라는 용어의 신학적 의미 혹은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여기1여기 2를 클릭하면 알 수 있듯이, 위의 제(i)-(ii)항들을 준수하고 있는 영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본문에 대한 검색 결과(53개 + 5개)들은, 귀납적 추론에 의거하여 "perfection" 으로 번역이 되고 있는 용어의 신학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영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자체가, 대단히 많이 제공하고 있으나,
 
그러나, 여기를 클릭하면 가질 수 있는,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적극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우리말로 번역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위의 제(i)-(ii)항들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기에, "영어로 perfection 으로 번역이 되고 있는 용어에 해당하는 우리말 번역 용어"의 신학적 의미를,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자체로부터 연역적 추론을 거쳐 이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생각입니다.
 
예를 들어, 실제로 여기를 클릭한 후에, 왼쪽 끝부분에 있는 Search 단추를 클릭하여 검색 기능 메뉴를 확보한 후에, 먼저 "선하심"으로 검색을 한 후에, "결과 내 재검색" 단추를 클릭한 후에, "완전함"을 검색해 보십시오. 위에서 보았듯이, 분명히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93항에 이들 두 단어들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검색 엔진은 검색 결과가 없다는 보고를 합니다.
 
유의 사항 1: 지금 바로 위에서 한 개의 예(example)로서 지적하고 있는 바는, 신학적으로 유의미한 다른 용어들에 대하여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기에, 시사하는 바가 대단히 중요하다는 생각입니다.
 
기껏해야,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주제별 색인"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perfection" 단어의 색인에는, 약60개 대신에, 22개의 항들만 나열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이 색인은, 여기를 클릭하면 또한 확인할 수 있듯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도 제공이 되고 있습니다. 즉 이 "주제별 색인"은 교황청 유관 부서에 의하여 제공되었다는 생각입니다.
 
유의 사항 2: 그런데, 대한히 흥미로운 것은, 위의 제293항은 이 우리말 및 영어 "주제별 색인" 둘 다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주제별 색인"에만 100% 의존할 수 없다는 생각입니다. 즉, 실제로 본문 중의 어떤 항들에서 "perfection"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가능한 한 많이, 몽땅, 찾아 보아야 하는데,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검색 기능으로서는, 위의 제(i)-(ii)항들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기에, 거의 불가능하다는 생각입니다. 그러나,
 
여기를 클릭하여 보면 바로 확인할 수 있듯이,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전체를 통하여 "fundamental truth"라는 표현은 제293항 단 한 군데에서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바로 이 제293항의 신학적 의미가 대단히 중요함을 이 "fundamental truth"라는 강조의 표현으로 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4. 지금부터는, 영어로 "perfection"으로 번역이 되는 신학적 용어를 우리말로 번역을 할 때에, 어떠한 조치를 취하면 위의 제(i)-(ii)항들을 만족하는 우리말 번역문을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사항: 위의 중간 결론 1,2 및 3들에서, "complete" 라는 단어가 "완전한"으로 우리말 번역이 되고 있기에, "perfect"라는 단어를 "완전한"이 아닌 다른 어떤 단어로 번역을 하여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왜 "완전한"이 아닌 다른 우리말 단어로 번역을 하여야 하는지는 아래의 제4-2, 4-3, 및 4-4항을 읽어 내려가면 저절로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4-1. (St. Joseph 판 BAB 부록인 Bible Dictionary 에 주어진 "perfect" 용어에 대한 설명)
 
우선 이 성경 사전에 주어진 "perfect" 단어의 설명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PERFECT. In the ancient text, this word indicates someone who avoids sin and practicies the law. The passage in which Jesus says: "Be perfected as your heavenly Father is perfect" (Mt 5, 48) signifies - according to its context - that one must imitate the divine mercy and impartiality. In a single passage (Mt 19, 21) Jesus speaks of the perfection of the disciple who goes beyond his ordinary duties. St. Paul uses the term perfect of the "spiritually mature" Christians who know true wisdom and want all men to be perfect in Christ (1 Cor 2, 6ff).
 
PERFECT. 고대의 본문에 있어, 이 단어는 죄(sin)를 피하고(avoids) 그리고 법(the law)을 실천하는(practices) 어떤 자를 나타냅니다. 예수님께서 "하늘의 너희 아버지께서 완전하신(perfect) 것처럼 너희도 완전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be perfected)" (마태오 복음서 5,48) 라고 말씀하시는 절은 - 그 문맥에 따라 - 우리가 하느님의 자비와 공명 정대(mercy and impartiality를 본받아야만 함을 나타냅니다. 단 한 개의 절(마태오  복음서 19,21)에서 예수님께서는 자신의 통상적인 임무들을 능가하는 제자의 perfection에 대하여 말씀하십니다. 성 바오로는 참된 지혜을 하는 "영적으로 성숙한(spiritually mature)" 그리스도인들에게 이 perfect 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perfect 되기를 원합니다 (1코린토 2,6 및 이어지는 몇 개의 절들).
 
-----
 
이 설명으로, 어느 정도 "perfect" 라는 용어의 의미를 알게 되었으나, 그러나 여전히 부족하다는 생각입니다.
 
다른 한 편으로, 우리는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93항으로부터, "perfection" 이라는 용어가 신학적으로 근본/기본 개념을 지니고 있음을 이미 알게 되었습니다.
 
4-2.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설명)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perfection" 용어의 정의(definition) 입니다:
 
 
PERFECTION

That in which nothing is lacking which, according to its nature, it should possess. That is absolutely perfect, which in itself has all possible excellence and excludes all deficiencies. Only God is absolutely perfect. That is absolutely perfect. That is relatively perfect which has a finite nature and possesses all the advantages corresponding to its nature. The Church teaches that God is infinite in every perfection. Creatures are as perfect as they are like God, and moral perfection consists in becoming like Christ, who is infinite God in human form.
 
PERFECTION
 
그 안에서 자신의 본성에 따라, 자신이 지녀야만 하는 어떠한 것도 결핍(缺乏)/결여(缺如)되지(lacking) 않은 바로 그러한 상태(that)를 말합니다. 그 자체로(in itself) 모든 가능한 탁월(excellence)을 가지며 그리고 모든 결핍(deficiencies)들을 배제하는 바로 그런 상태는 절대적으로 perfect 합니다. 오로지 하느님만이 절대적으로 perfect 합니다. 바로 이것이 절대적으로 perfect 인 것입니다. 유한한 본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자신의 본성에 대응하는 모든 이점(利點, advantages)들을 소유하고 있는 바로 그런 상태는 상대적으로 perfect 합니다. 교회는 하느님께서 모든 perfection 에 있어 무한하다(infinite)고 가르칩니다. 피조물들은 그들이 하느님 같은(like) 만큼 perfect 하며, 그리고 윤리적(moral) perfection은, 인간의 형상으로 무한한 하느님이신, 그리스도 같이 되는 것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습니다(consists in).
 
-----
 
이 용어 사전의 정의로부터, 이제 우리는 "perfection"의 의미 혹은 개념을 이해하게 되었다는 생각입니다. 따라서 이제 남은 것은, 이에 대응하는 기존에 사용 중인 우리말 단어를 올바르게 선택하는 것입니다.
 
만약에 지금까지 사용 중인 우리말 단어 중에 적절한 단어가 없을 경우에는, 필요하다면,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야 할 것인데, 이럴 필요성이 없음은 다음의 제4-4항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4-3. 다음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perfection" 용어에 대한 설명의 첫 부분입니다. 위의 제4-2항정의(definition)에 만족하지 않는 분들도 계실 것 같아, 또한 함께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Christian and Religious Perfection
 
A thing is perfect in which nothing is wanting of its nature, purpose, or end. It may be perfect in nature, yet imperfect inasmuch as it has not yet attained its end, whether this be in the same order as itself, or whether, by the will of God and His gratuitous liberality, it be entirely above its nature, i.e. in the supernatural order. From Revelation we learn that the ultimate end of man is supernatural, consisting in union with God here on earth by grace and hereafter in heaven by the beatific vision. Perfect union with God cannot be attained in this life, so man is imperfect in that he lacks the happiness for which he is destined and suffers many evils both of body and soul. Perfection therefore in its absolute sense is reserved for the kingdom of heaven. 
 
그리스도인 및 수도자의 Perfection
 
어떤 사물은 그 본성(nature), 목적(purpose), 혹은 끝(end)에 있어 아무런 부족함(wanting)이 없는 점에 있어 perfect 합니다. 그것은 본성에 있어 perfect  일 수도 있으나, 그러나 그것이 자신의 끝(end)을, 하여간 이 끝이 자기 자신과 동일한 순서(order)에 있거나, 혹은, 하느님의 의지와 당신의 무상의 관대함(gratuitous liberality)에 의하여, 이 끝이 전적으로 자신의 본성보다 위에, 즉, 초자연적 순서/질서(supernatural order)에 있든지간에, 획득하지 못한 한 perfect  하지 않을(imperfect) 것입니다. 거룩한 계시(Revelation)로부터 우리는 사람의 유일한 궁극적 끝(the ultimate end)이, 여기 지상에서 은총(grace)에 의하여 그리고 이후에 하늘에서 지복직관(the beatific vision)에 의하여 하느님과 결합 상태(union)에 있는, 초자연적인 것임을 배웁니다. 하느님과의 perfect 결합은 이 세상의 삶에서 획득 될 수 없으며, 그래서 사람은 그가 예정되어 있는 행복이 부족한(lacks) 점에 있어 그리고 몸과 영혼 둘 다에 기인하는 많은 악(evils)들을 겪는(suffers) 점에 있어 perfect  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perfection은 그 절대적 의미에 있어 하늘 나라(kingdom of heaven)를 위하여 유보되어 있습니다(is reserved for).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4-4. (대만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천주교 용어 사전에 주어진 설명)
 
다음은 중국어 천주교 용어 사전에 실린 것입니다:
 
 
perfection:全德;完美;成全;成德
 
 
여기서
 
(i) 全德 및 成德 한자어들은 덕(德) 이라는 한자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러나, 여기서 "행동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습관"으로 정의되는 신학적 용어인 virtue 가,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클릭한 후에 "정의들" 항을 참고하라), 덕(德) 으로 번역이 되고 있기에, 대단히 곤란하고,
 
(ii) 그리고,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성전(成全) = 통합(統合)「3」, 즉 『심리』여러 요소들이 조직되어 하나의 전체를 이룸. 또는 그런 일.
 
로 설명하고 있기에 곤란하나,
 
(iii) 그러나 완미(完美)라는 단어에 대한 표준국어대사전의 설명은, 다음의 제4-5항에 있듯이, "perfection"의 의미에 매우 적합니다.
 
비록 독자에 따라 완미(完美) 라는 단어가 약간 생소할 수도 있으나,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사용 중인 한자 단어들 중에 완미(完美) 가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지 않고서야, 표준 국어 대사전에 이 한자어의 의미가 주어져 있겠는지요?  
---
 
 
4-5. (표준 국어 대사전에서의 설명)
 
다음은 표준 국어 대사전에 주어진 완미(完美)라는 한자 단어의 설명입니다:
 
 
완미(完美): 완전하여 결함이 없음.
-----
 
이 단어의 설명이 위의 제4-2항의 첫 문장에 주어진 정의(definition)대단히 근접한다는 생각입니다.
 
 
5. (결론: "perfection" 에 해당하는 용어의 우리말 번역 용어 제안)
 
5-1. 비록 표준 국어 대사전에 실린 "완전" 이라는 단어의 설명도 위의 제4-2항의 첫 문장에 주어진 설명에 대단히 근접하기는 하나, 그러나 이 단어는, 이미 "complete""완전한" 으로, 그리고 "completely""완전히" 혹은 "완전하게" 로 번역을 하고 있기에, 이 번역 단어와 신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 "perfection" 단어를 확실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perfectly" 를 "완미(完美)하게", 
 
"perfect""완미(完美)한",
 
"imperfect" "완미(完美)하지 않은", 
 
"perfection""완미(完美)" 로 번역할 것을 제안합니다.
 
참고 사항: 위의 제2-1-1항에서 "perfectly" 단어는 약16번, 그리고 위의 제 2-1-2항에서 "completely" 단어는 약12번, 따라서 영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이들 두 단어들은 약28번 사용되고 있으나, 그러나 우리말 가톨리 교회 교리서 본문에 대하여 "완전히" 단어로 검색을 하면 약72건이 검색되며, "완전하게" 단어로 검색을 하면 약39건이 검색됩니다. 따라서, 약111건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숫자 111은 숫자 28보다 너무 큰 숫자입니다.
 
5-2. 그러므로, 신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근본/기초 개념을 가지고 있는 단어인 "perfection"의 우리말 번역 용어를, 새 번역 성경 및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 있어, 현재의 "완전성" 혹은 "완전함" 등으로부터, "완미(完美)" 로 교체하는 것이,
   
꼭 필요한 조치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가 어느 지역 언어로 번역이 되더라도, 동일한 내용을 반드시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5-3. 그리고 이러한 조치를 취하면, 위의 제3-2항의 제(i)-(ii)항들을 만족하게 되어, 예를 들어, 별도로 영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들여다 보지 않고서도,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내용을 신학적으로 좀 더 명쾌하게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1년 9월 14일]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을 권유합니다.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perfection"으로 번역되는 표현의 또 하나의 우리말 번역 용어인 "완덕"에 관하여, 이 글에 추가하는 내용 및 이를 뒷받침하는 자료들에 대한 더 자세한 비교/검토의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글의 크기가 너무 커 이곳에 추가를 할 수 없어, 부득불 별도의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권고 사항 한 개: 이런 자가 올리는 글은 읽지 말도록 합시다 (클릭하십시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성에 소요된 시간: 약60시간(준비 단계에서의 자료들의 검토 및 분석 시간 포함)
    
 


2,816 7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