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성경과 교회사 외적 예수님과 제자 관련 유물/기록들 [성경공부] [본시오빌라도비문]

인쇄

2012-02-01 오전 12:45 [175.126.101.*]

2012-02-02 ㅣ No.1160


 
질문:

예수님에 대한 기록을 가령, 그 당시 로마의 역사기록(물)이나 기타 국가 지역에서 기록에서 찾을 수 있는지요?

----------

답변:

+ 찬미 예수님

1. 상식의 선에서 생각해 보아도,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세속의 비그리스도교 사람들에게 예수님은 별다른 의미가 없는 존재이시기에, 예를 들어, 성경과 교회사 밖에서 예수님에 관한 기록들을 찾는 것은 참 힘들 것입니다.

2.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님과 당신의 제자들에 관한 바 혹은 관련된 자료/유물들이 성경과 교회사 밖에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2-1. 2009년 7월 예루살렘 성지순례 과정에서 알게 된 것인데, 헤로데 대왕이 사마리아 지역 서쪽 지중해 해변에 새로 건설하였던 카이사리아 항구 유적지에 방문하였더니 [주: 아래의 <<부록 3>> 에 있는 지도 참조], 지중해 해변을 항하는 인도의 한 가운데에, 당시 그 지역의 총독이었던 본시오 빌라도의 이름이 새겨진 [석회암] 기념비 한 개가 우뚝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지금 거기에 서 있는 것은 진본의 복사본이며, 진본은, 이 사진들의 왼쪽에 약간 떨어져 위치하고 있는 (따라서 이 사진들에서는 보이지 않는), (야외 원형) 극장의 발굴 중에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이 기념비에 새겨진 훼손된 고대 라틴어 원문의 복원문, 그리고 히브리어, 영어로 설명이 주어져 있는 커다란 안내문이, 그 근처를 걸어가는 자로서 적어도 영어를 읽고 이해하는 자이면 누구라도 잘 볼 수 있도록, 눈 높이까지 맞추어, 이 기념비의 왼쪽 옆에 대단히 튼튼하게 잘 부착되어 있었습니다.

이에 관하여서는, 이 글의 게시자가 직접 촬영한 다음의 사진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촬영 일시는 2009년 7월 14일 오후 4:24분경(현지 시각)이며, 그리고 첫 번째 사진의 윗 부분 뒤에 먼 배경으로 보이는 바다는 지중해입니다. 역광임에도 불구하고 해변가이다보니 워낙에 눈부시게 밝아 다행히 촬영이 잘 된 것 같습니다. 몇 년만에 이들 사진들을 다시 펼쳐보니, 예를 들어, 해변에 가까이 다가가면 지중해로부터 불어오는 바닷 바람이 굉장히 심하였던 방문 당시의 현장에서의 지중해 바닷가 소금 냄새 등의 느낌이 생생하게 되살아납니다.

참고: 아래에 공개한 사진들은 제가 이집트 고대 유적지 관광/답사 및 이스라엘 성지순례 당시에 촬영한 총3,243장(2GB 메모리 칩 전체) 중의 석 장이며, 이와는 별도로 당시의 일행들이 촬영한 사진들도 또한 많이 있는데(3.5GB 정도의 분량), 한 번 별도의 시간을 내어 이들 사진들 전부를 쭉 살펴 볼 생각입니다:







참고: 위의 빌라도 기념비 진품은 햇수로 51년전인 1961년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진품은 예루살렘에 있는 이스라엘 박물관에 안전한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 기념비는,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형에 처하도록 형을 선고하였던 사람인 본시오 빌라도(Pontius Pilate)가 실제 인물이었음을 증명하는 여태까지 발견된 유일한 물질적인, 비 문헌적 증거물이라고 합니다.
이 기념비 및 카이사리아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첨부한  <<부록 1>>, <<부록 2>>, 그리고 <<부록 3>> 을 읽어 보십시오.

2-2. 따라서, 헤로데 대왕본시오 빌라도가 실존하였던 역사적 인물들임은 위의 제2-1항에서 이제 확인하였다는 생각입니다.

     다음은, 현재까지 찾아낸 신약 성경 사건들 그리고/혹은 사람들에 대한 일부 성경 외적 자료들의 영어 번역문들입니다. 출처 문헌들이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으므로 신뢰하셔도 좋다는 생각이며, 영어가 익숙치 않은 국내의 교우님들을 위하여 언제쯤에 이들을 제가 우리말로 번역을 할 지는, 저 역시 시간에 쫓기는 자인 관계로, 저도 모르겠습니다:

2-2-1.

출처: http://carm.org/non-biblical-accounts-new-testament-events-andor-people
[게시자 주: 이 자료의 제공처는 개신교측인 것 같습니다]

Non-biblical accounts of New Testament events and/or people

신약 성경 사건들 그리고/혹은 사람들에 대한 비 성경적 기록들

Following is a list of extra-biblical (outside of the Bible) references of biblical events, places, etc.  The list is not exhaustive but is very representative of what is available.

다음은 성경의 사건들, 장소들 등에 대한 성경 외적 (성경 밖의) 언급들입니다. 이 목록은 총망라한 것이 아니고 입수할 수 있는 바의 가장 대표적인 것들입니다.

  1. Flavius Josephus(AD 37?-101?, a Jewish historian) mentions John the Baptist and Herod - Antiquities, Book 18, ch. 5, par. 2 

    플라비우스 요세푸스(Flavius Jesophus, 기원후 37?-101?년, 유다인 역사학자)는 세례자 요한과 헤로데에 관하여 말합니다 - Antiquities, Book 18, ch. 5, par. 2
     
    1. "Now some of the Jews thought that the destruction of Herod's army came from God, and that very justly, as a punishment of what he did against John, that was called the Baptist: for Herod slew him, who was a good man, and commanded the Jews to exercise virtue, both as to righteousness towards one another, and piety towards God, and so to come to baptism; for that the washing [with water] would be acceptable to him, if they made use of it, not in order to the putting away [or the remission] of some sins [only], but for the purification of the body; supposing still that the soul was thoroughly purified beforehand by righteousness."
       
  2. Flavius Josephus (AD 37?-101?) mentions Jesus - Antiquities, Book 18, ch. 3, par. 3.

    플라비우스 요세푸스(Flavius Jesophus, 기원후 37?-101?년)는 예수님에 대하여 말합니다 - Antiquities, Book 18, ch. 3, par. 3. 
     

    1. Now there was about this time Jesus, a wise man, if it be lawful to call him a man; for he was a doer of wonderful works, a teacher of such men as receive the truth with pleasure. He drew over to him both many of the Jews and many of the Gentiles.  He was [the] Christ.  And when Pilate, at the suggestion of the principal men amongst us, had condemned him to the cross, (9) those that loved him at the first did not forsake him; for he appeared to them alive again the third day; (10) as the divine prophets had foretold these and ten thousand other wonderful things concerning him.  And the tribe of Christians, so named from him, are not extinct at this day.
      1. There is debate among scholars as to the authenticity of this quote since it is so favorable to Jesus.  For more information on this, please see Regarding the quotes from the historian Josephus about Jesus
         
  3. Flavius Josephus (AD 37?-101?) mentions James, the brother of Jesus - Antiquities, Book 20, ch. 9. 

    플라비우스 요세푸스(Flavius Jesophus, 기원후 37?-101?년)는 예수님의 형제인, 야고보에 대하여 말합니다.
     
    1. "Festus was now dead, and Albinus was but upon the road; so he assembled the sanhedrim of judges, and brought before them the brother of Jesus, who was called Christ, whose name was James, and some others, [or, some of his companions]; and when he had formed an accusation against them as breakers of the law, he delivered them to be stoned: but as for those who seemed the most equitable of the citizens, and such as were the most uneasy at the breach of the laws, they disliked what was done."
       
  4. Flavius Josephus (AD 37?-101?) mentions Ananias the High Priest who was mentioned in Acts 23:2 

    플라비우스 요세푸스(Flavius Jesophus, 기원후 37?-101?년)는, 사도행전 23,2에서 말해지고 있는, [유다교] 대사제 하나니아스에 대하여 말합니다.
     
    1. Now as soon as Albinus was come to the city of Jerusalem, he used all his endeavors and care that the country might be kept in peace, and this by destroying many of the Sicarii.  But as for the high priest, Ananias (25) he increased in glory every day, and this to a great degree, and had obtained the favor and esteem of the citizens in a signal manner; for he was a great hoarder up of money
    2. Acts 23:2, "And the high priest Ananias commanded those standing beside him to strike him [Paul] on the mouth."
  5. Tacitus (A.D. c.55-A.D. c.117, Roman historian) mentions "Christus" who is Jesus - Annals 15.44

    탁시우스(Tacitus, 기원후 55년경-117년경, 로마 사람 역사학자)는 예수님인 "크리스투스(Christus)에 대하여 말합니다 - Annals 15.44

    1. "Consequently, to get rid of the report, Nero fastened the guilt and inflicted the most exquisite tortures on a class hated for their abominations, called Christians by the populace. Christus, from whom the name had its origin, suffered the extreme penalty during the reign of Tiberius at the hands of one of our procurators, Pontius Pilatus, and a most mischievous superstition, thus checked for the moment, again broke out not only in Judea, the first source of the evil, but even in Rome, where all things hideous and shameful from every part of the world find their centre and become popular."
      1. Ref. from http://classics.mit.edu/Tacitus/annals.mb.txt
         
  6. Thallus (Circa AD 52, eclipse of the sun)

    탈루스(Tacitus, 기원후 약 52년, 개기 일식)
     

    Thallus wrote a history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world from the Trojan War to his own time.  His writings are only found as citations by others.  Julius Africanus, who wrote about AD 221, mentioned Thallus' account of an eclipse of the sun.

    탈루스(Thallus)는, 트로이 전쟁부터 자신 고유의 시기까지, 동쪽 지중해 세계의 역사를 저술하였습니다. 그의 저술들은 오로지 다른 이들에 의한 인용들로서 발견됩니다. 기원후 약221년에 저술하였던, 유리우스 아프리카누스(Julius Africanus)는 개기 일식 한 개에 대한 탈루스의 서술에 대하여 말하였습니다.
     
    1. "On the whole world there pressed a most fearful darkness; and the rocks were rent by an earthquake, and many places in Judea and other districts were thrown down.  This darkness Thallus, in the third book of his History, calls, as appears to me without reason, an eclipse of the sun."
      1. Is this a reference to the eclipse at the crucifixion?  Luke 23:44-45, "And it was now about the sixth hour, and darkness fell over the whole land until the ninth hour, 45 the sun being obscured; and the veil of the temple was torn in two."
      2. The oddity is that Jesus' crucifixion occurred at the Passover which was a full moon.  It is not possible for a solar eclipse to occur at a full moon.  Note that Julius Africanus draws the conclusion that Thallus' mentioning of the eclipse was describing the one at Jesus' crucifixion.  It may not have been.
      3. Julius Africanus, Extant Writings, XVIII in the Ante Nicene Fathers, ed. by Alexander Roberts and James Donaldson (Grand Rapids: Eerdmans, 1973), vol. VI, p. 130. as cited in Habermas, Gary R., The Historical Jesus: Ancient Evidence for the Life of Christ, (Joplin, MO: College Press Publishing Company) 1996.
         
  7. Pliny the Younger mentioned Christ.
    작은 프리니(Pliny the Younger)는 그리스도에 대하여 말하였습니다. 

    Pliny was governor of Bithynia in Asia Minor.  Pliny wrote ten books.  The tenth around AD 112.

    프리니(Pliny)는 소아시아에 있는 비티니아의 통치자였습니다. 프리니는 열 권의 책들을 저술하였습니다. 기원후 112년 경에 열 번째 책.
     
    1. "They (the Christians) were in the habit of meeting on a certain fixed day before it was light, when they sang in alternate verses a hymn to Christ, as to a god, and bound themselves by a solemn oath, not to any wicked deeds, but never to commit any fraud, theft or adultery, never to falsify their word, nor deny a trust when they should be called upon to deliver it up; after which it was their custom to separate, and then reassemble to partake of food but food of an ordinary and innocent kind."
      1. Pliny, Letters, transl. by William Melmoth, rev. by W.M.L. Hutchinson (Cambridge: Harvard Univ. Press, 1935), vol. II, X:96 as cited in Habermas, Gary R., The Historical Jesus: Ancient Evidence for the Life of Christ, (Joplin, MO: College Press Publishing Company) 1996.
         
  8. The Talmud

    [바빌론] 탈무드
     
    1. "On the eve of the Passover Yeshu was hanged.  For forty days before the execution took place, a herald went forth and cried, "He is going forth to be stoned because he has practiced sorcery and enticed Israel to apostasy.  Any one who can say anything in his favor, let him come forward and plead on his behalf."  But since nothing was brought forward in his favor he was hanged on the eve of the Passover!"
      1. Gal. 3:13, "Christ hath redeemed us from the curse of the law, being made a curse for us: for it is written, Cursed is every one that hangeth on a tree."
      2. Luke 22:1-2, "Now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 which is called the Passover, was approaching.  2And the chief priests and the scribes were seeking how they might put Him to death; for they were afraid of the people."
      3. This quotation was taken from the reading in The Babylonian Talmud, transl. by I. Epstein (London: Soncino, 1935), vol. III, Sanhedrin 43a, p. 281 as cited in Habermas, Gary R., The Historical Jesus: Ancient Evidence for the Life of Christ, (Joplin, MO: College Press Publishing Company) 1996.
         
  9. Lucian (circa 120-after 180) mentions Jesus.

    루시안(Lucian, [기원후] 약 120년-180년 이후)은 예수님에 대하여 말합니다.
     

    Greek writer and rhetorician.

    그리스 사람 저술가이며 수사학자.
     
    1. "The Christians, you know, worship a man to this day the distinguished personage who introduced their novel rites, and was crucified on that account. . . . You see, these misguided creatures start with the general conviction that they are immortal for all time, which explains the contempt of death and voluntary self-devotion which are so common among them; and then it was impressed on them by their original lawgiver that they are all brothers, from the moment that they are converted, and deny the gods of Greece, and worship the crucified sage, and live after his laws.  All this they take quite on faith, with the result that they despise all worldly goods alike, regarding them merely as common property."
      1. Lucian, The Death of Peregrine, 1113, in The Works of Lucian of Samosata, transl. by H.W. Fowler and F.G. Fowler, 4 vols. (Oxford: Clarendon, 1949), vol. 4, as cited in Habermas, Gary R., The Historical Jesus: Ancient Evidence for the Life of Christ, (Joplin, MO: College Press Publishing Company) 1996.
      2. Though Lucian opposed Christianity, he acknowledges Jesus, that Jesus was crucified, that Christians worship him, and that this was done by faith.

___________________
Sources

  • McDowell, Josh. Evidence that Demands a Verdict. San Bernardino, CA: Here's Life Publishers, Inc., 1979.
  • Habermas, Gary R. The Historical Jesus: Ancient Evidence for the Life of Christ. Joplin, MO: College Press Publishing Company, 1996.
  • Encarta on the Web at http://encarta.msn.com
2-2-2. 다음은 또다른 출처에서 확보한 자료들입니다.

출처: http://en.allexperts.com/q/European-History-670/Christ.htm

In history we have two reliable sources that are classical references to JESUS, independently from what the Holy Bible says.
There were in fact two historians who mention Jesus as a  historical personage.
They are the Jewish historian FLAVIUS JOSEPHUS(37 AD - circa 100 AD ) and the great Roman historian Tacitus (AD 55-c.AD 117).
So, the first century Jewish historian Josephus in his  Antiquities of the Jews 18.3.3 says:
“Now there was about this time Jesus, a wise man, if it be lawful to call him a man; for he was a doer of wonderful works, a teacher of such men as receive the truth with pleasure. He drew over to him both many of the Jews and many of the Gentiles. He was [the] Christ. And when Pilate, at the suggestion of the principal men amongst us, had condemned him to the cross,  those that loved him at the first did not forsake him; for he appeared to them alive again the third day; as the divine prophets had foretold these and ten thousand other wonderful things concerning him. And the tribe of Christians, so named from him, are not extinct at this day.”

Also, in the book 20, 1, of the same work he mentions “Jesus, who was called Christ”.

Similarly, the Roman historian, TACITUS, wrote in 109 AD of a Christ who “suffered the extreme penalty during the reign of Tiberius at the hands of one of our procurators, Pontius Pilatus”.
Here is the quote from 'Annals' 15.44, where  Jesus and the Christians are mentioned in an account of how the Emperor Nero persecuted the Christians in order to draw attention away from himself after Rome's fire of 64 AD:

“But not all the relief that could come from man, not all the bounties that the prince could bestow, nor all the atonements which could be presented to the gods, availed to relieve Nero from the infamy of being believed to have ordered the conflagration, the fire of Rome. Hence to suppress the rumor, he falsely charged with the guilt, and punished Christians, who were hated for their enormities. CHRISTUS,  the founder of the name, was put to death by Pontius Pilate, procurator of Judea in the reign of Tiberius: but the pernicious superstition, repressed for a time broke out again, not only through Judea, where the mischief originated, but through the city of Rome also, where all things hideous and shameful from every part of the world find their centre and become popular. Accordingly, an arrest was first made of all who pleaded guilty; then, upon their information, an immense multitude was convicted, not so much of the crime of firing the city, as of hatred against mankind“.

From this evidence it is clear that the Romans knew perfectly well Jesus has been executed by Pontius Pilate who was  procurator of Judea from 26-36AD under the emperor Tiberius.   
Further, a prominent historical detail in this extra-biblical source – the name of Pontius Pilate – is in full agreement with the gospel accounts.
So it seems quite improbable to argue that there was no historical Jesus; on the contrary we have a solid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Jesus and for historical data about Jesus' life.

In fact both Josephus and Tacitus are reliable sources so that we can conclude that there is every reason to trust Josephus and  overall Tacitus as reliable. Tacitus in fact is a writer whose reliability cannot be seriously questioned.

To conclude,  what we know for certain about Jesus in history is that :
1- he was a wise man
2- he was crucified by order of Pontius Pilate, Roman procurator of Judea,  at the suggestion of the principal men of the jewish Sanhedrin.
3- he appeared to his apostles alive again the third day.
4- he gave his name-Christ- to the Christians.

결론적으로 말하면, 역사에 있어 예수님에 관하여 확실하게 아는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그분께서는 현자이셨다.

2- 그분께서는 유다교의 최고 의회의 주된 사람들의 제안에 따라, 유다 지역의 로마의 총독인, 본시오 빌라도의 명령에 의하여 십자가형에 처해지셨다.

3- 그분께서는 세 번째 날에 다시 살아나 당신의 사도들에게 나타나셨다.

4- 그분께서는 자신의 이름 - 그리스도 - 를 그리스도 사람들에게 주셨다.

Nothing else we can say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Hope this can be helpful to you.
Best regards
Maria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NOTA BENE
-"Antiquities of the Jews" is an account of Jewish history from its early beginnings to the revolt against Rome in AD 66, written in Greek in about AD 93 by Flavius Josephus, a general in the Jewish army who defected to Rome.

-"The Annals" are Tacitus' brilliant account of Roman imperial history from the death of Augustus (14 AD) to the death of Nero (68AD).  

(이상 끝).
--------------------
 


3. 다음은,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가-I, 나-I, 다-I"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 매년 예수 성탄 대축일(12월 25일) 자정 복음 말씀(루카 2,1-14)의 제3절 및 이 절에 대한 해설입니다:

3. 그래서 모두 호적 등록을 하러 저마다 자기 본향으로 갔다.

기원전 28년과 기원전 8년 그리고 기원후 14년의 로마 시민권자들에 대한 호구조사 (census)기록들이 남아 있으나, 기원전 4년의 호구조사 기록들은 남아 있는 것이 전혀 없다. 그러나 테르툴리아누스순교자 유스티노(Justin Martyr, 165년경) 둘 다 그들이 살아 있을 시절에 로마 문서 저장고(Roman archives)들에 기원전 4년의 호구조사 기록들이 여전히 존재하였다고 진술한다.
(이하 생략)

-----

따라서, 만약에 기원전 4년의 호구조사 기록이 지금까지 남아 있었더라면, 혹은 지금이라도 다시, 로마 문서 저장고들의 어느 한 귀퉁이에서, 발견된다면, 예를 들어, 당시에 팔레스티나 지역의 통치에 직, 간접적으로 개입하였던 로마인들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었을 것임을 어렵지 않게 추론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적어도 지금까지는 사정이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본시오 빌라도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는 성경 외적인 문헌들의 증언을 뒷받침하는 아무도 의심/부인/거부할 수 없는 믈적 증거로서, 위의 제1항에서 말씀드린, 헤로데 대왕이 건설하였던, 지중해 해변의 항구 도시였던, 카이사리아에서 발견된, 유다 지역의 총독 본시오 빌라도의 이름이 새겨진 기념비의 발견은 그 고고학적 가치에 있어 실로 대단히 중요하다는 생각입니다.

4. 다른 한편으로,

여기를 클릭하면,

특히 신약 성경의 역사성(historicity)을 부인/거부하는 집단인, 예를 들어, 예수님께서 실존하셨던 분이 아니라는 결론을, 자기네들끼리 모여서 투표를 하여 결정하는, 이설을 퍼뜨리는, 개신교측의 극단적인 자유주의자들의 모임인, "예수 세미나(Jesus Seminar)"에 대한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세미나 구성원들은, 그동안에 자신들이 해 왔던 주장들을 계속 관철시키기 위하여, 위의 유물/기록들 그 자체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유물/기록들을 인용하는 문헌들에 대하여 의심을 계속하면서, 이들을 절대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평소에 교회의 가르침들에 대한 세속의 온갖 의심들을
믿으라고 제시하는 자들의 믿음(faith)믿음(신념, belief)에 대한
개인적 성향(disposition)을 우선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꼭 필요할 것이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

<< 부 록 1 >>

게시자 주: 다음의 글은, 위의 제1항에서 사진과 함께 말씀드린 바로 그 기념비에 대한 설명의 글입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Caesarea: Herod’s lost city and home to Pontius Pilate now a tourist destination

카이사리아: 헤로드의 잃어버린 도시 그리고 이제 관광객의 행선지인 본시오 빌라도의 고향

The Pilate stone is pictured in Caesarea, Israel. In a land that is an archeological treasure chest, is one of the most precious jewels. The Canadian Press

The Pilate stone is pictured in Caesarea, Israel. In a land that is an archeological treasure chest, is one of the most precious jewels.

이 빌라도 기념비는 이스라엘, 카이사리아에서 촬영되었습니다. 고고학적 보물 상자인 땅에서, [이것은] 가장 귀중한 보물들 중의 한 개 입니다.

Published on August 30, 2011
Published on August 30, 2011
The Canadian Press 

CAESAREA, Israel — The engraved limestone block is hard to read after all this time, but with a little effort you can make out the name “Pontius Pilatus” and fragments of the words “praefectus Iudaeae,” or prefect of Judea.

Topics :
Israel Museum , Dan Hotel , Israel Ministry of Tourism , Israel , Tel Aviv , Jerusalem

This is the only physical, non-literary evidence ever discovered that offers proof Pontius Pilate, the man who the Bible says sentenced Jesus Christ to crucifixion, was real.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형에 처하도록 형을 선고하였던 사람인 본시오 빌라도(Pontius Pilate)가 실제 인물이었음을 증명하는 여태까지 발견된 유일한 물질적인, 비 문헌적 증거물입니다.

The stone that sits here in Caesarea, overlooking the azure Mediterranean, is an exact replica, of course. The real thing, discovered just 50 years ago, is safe in the Israel Museum in Jerusalem.

푸른 하늘 같은 지중해을 바라보면서, 여기 카이사리아(Caesarea)에 놓여 있는 이 기념비는, 당연히, 정확한 복제이다. 꼭 50년 전에 발견된 실물은 예루살렘에 있는 이스라엘 박물관에 안전한 상태에 있습니다.

In a land that is an archeological treasure chest, Caesarea is one of the most precious jewels. At its height some 2,000 years ago, this was among the greatest cities of the Roman world, boasting the biggest harbour in existence and surpassing even Jerusalem for its beauty and modernity.

But Caesarea was destroyed many times and rebuilt, razed finally by the invading Mamalukes in the 13th century. The ruins sat buried beneath the earth and the sea until excavation began in the early 1960s, and that work continues today.

What has been uncovered so far is a significant tourist destination in Israel, a little more than an hour’s drive north from Tel Aviv. Even on a Monday morning, the site is crowded with visitors.

The spot is lovely in its austerity. The dusty yellow ground gives way to a rocky shore and the sea beyond. When a wave hits just right, you can get splashed a bit by the Mediterranean as you walk the ancient promenade.

Take a few hours to wander the ruins and soak in the history, then head off to one of the cafes that line the present waterfront for a bite to eat and perhaps cool off with one of Israel’s famous iced mint lemonades, then check out the shops for jewellery or original artworks or other souvenirs.

The Caesarea visitor centre includes an interactive, animated and very entertaining electronic guide that recounts the city’s past.

There had been a Phoenician settlement on this spot for centuries, but it was a Roman civil war that put Caesarea on the map. Judea sparred for territory with its neighbour to the west, Egypt, and its queen, Cleopatra. Her lover, Mark Anthony, finally gave her Judea as a gift, much to the chagrin of the country’s king, Herod.

As war broke out between Anthony’s faction in Rome and that of Gaius Octavius, Herod threw his full support behind the latter. Octavian won the war — we all know how Tony and Cleo wound up — became emperor under the name Caesar Augustus, and as a reward for Herod’s loyalty gave the Judean king his land back.

Herod set about building his capital starting in 22 BC and named it in honour of his patron (there were actually several Caesareas scattered across the Roman provinces, so this one was properly called Caesarea Maritima; the locals knew it then as now as Qesarya).

And build Herod did.

What today is a small rocky spit was once a magnificent harbour that stretched out more than 500 metres into the sea. It was built with revolutionary technology, a mixture of volcanic ash, rubble and lime that was lowered in wooden frames and hardened in water to make a type of concrete.

You can still see some of those enormous blocks up close if you know how to dive. Caesarea boasts the world’s first underwater museum, featuring those port foundations, the remains of a lighthouse and a Roman shipwreck. Divers can choose from four signposted (in English as well as Hebrew) trails, including a shallow one for snorkellers, and stop at 36 sites ranging from two to nine metres deep.

Back to Herod’s time. The harbour’s seawall was crowned by a soaring lighthouse containing fires that burned 24/7 and could be seen by ships far away. Giant bronze statues marked the sandbars around the entrance to the deep outer harbour.

The city itself, which may have been home to as many as 100,000 people, was laid out in a Roman grid pattern, with sewers, broad paved streets, temples (the Pilate stone is from the dedication of one in about 30 AD), markets and public baths. Everything was built of polished white limestone, so the city literally glistened.

Herod’s own palace looked out over the port and the Mediterranean, as did the open-air theatre, now fully reconstructed and still the venue of summer concerts — that could seat 4,000 people, and the forum where sports events and races were held. Massive aqueducts brought fresh water to the city from Mount Carmel, some dozen kilometres away.

Small wonder, then, that the Roman governors chose Caesarea as their residence and it was capital of the kings of Judea for the next six centuries.

History here did not end with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of course. The Byzantines came. The Muslims came. The Crusaders came. Each left their marks on Caesarea, some of which remain standing to varying degrees. Warehouses built by the Crusaders today house restaurants and shops.

There is a modern town of Caesarea, population about 5,000, just outside the archeological park. It has a highly rated luxury hotel (the Dan Hotel), and Israel’s only 18-hole golf course. But most visitors come from Tel Aviv or Haifa and make a worthwhile day trip exploring this fascinating old city.

———

Dan Kislenko visited Israel in May as a guest of the Israel Ministry of Tourism.

--------------------

<< 부 록 2 >>

게시자 주: 다음은 카이사리아 항구 도시에 대한 소개의 글입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다움 까페: 가톨릭 신앙나눔터, 띵신부와 함께 떠나는 성지순례)

10일째

    안녕하세요? 지난 주 함께 타볼산을 다녀왔습니다. 예수님께서 제자 베드로, 야고보, 요한을 데리고 산에 올라가셔서 거룩하게 변모하신 곳인데요, 이 때 구약을 대표하는 두 인물인 모세와 엘리야가 나타나서 예수의 마지막 때, 그러니까 예수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지요. 어쨌든 죽음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거룩하고 영광스러운 모습을 보여주는 것. 이것은 바로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을 미리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번 주에는 함께 지중해 바닷가에 있는 카이사리아라는 도시로 함께 떠나볼까 합니다. 2주 전에 함께 카이사리아 필리피라는 곳을 다녀왔죠? 바니아스라고도 하는 카이사리아 필리피는 골란고원 남쪽에 있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그곳은 필립보가 지어서 로마 황제 카이사르에게 봉정하는 의미에서 카이사리아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우리가 함께 방문하고자 하는 이 카이사리아는 필립보의 아버지, 헤로데 대왕이 기원전 30년 또 다른 카이사르인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옥타비아누스를 기념하여 봉전한 도시입니다. 우리는 이곳 가이사리아를 카이사리아 필리피와 구분하기 위하여 바닷가의 카이사리아, 혹은 카이사리아 마리티마라고 부릅니다. 발음에 따라서 체사레아라고 부르기도 하지요.

1) 역사

    본래 이곳은 ‘스트라토의 탑’(Strato’s Tower)이라고 불렸는데요. 마을 위로 스트라토라는 탑 하나가 우뚝 솟아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탑은 바다 여행자들을 위한 망루와 등대로 사용되던 것이었습니다. 지금은 이 탑이 남아 있지는 않습니다. 어째튼 폼페이우스가 기원전 63년 이곳을 처음 점령하면서 세상에 그 이름이 알려지게 되는데요, 지중해 연안 부두로서 로마와 뱃길로 연결할 수 있는 지리적인 이점 때문에 이곳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합니다. 이후 기원전 31년 경 아우구스투스 옥타비아누스는 악시움 전투에서 클레오파트라와 마르코 안토니우스에게 승리를 거둔 다음, 이 마을을 헤로대 대왕에게 넘겨줍니다.

그런데 헤로데 대왕은 새로운 건축물을 짓기를 즐겨했는데요, 바로 이곳 스트라토의 탑이라는 조그만 마을을 팔레스타인 연안에서 가장 훌륭하고 거대한 항구 도시로 탈바꿈 시켜 버립니다. 그리고는 로마 황제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옥타비아누스를 기리기 위해 헤로데는 새로이 탈바꿈한 이 도시 이름을 카이사리아라고 부릅니다.

    이후 이곳 카이사리아는 로마인이 팔레스타인을 다스리는 중점 도시로 발전하게 되는데요. 그 이유는 이곳에 머물던 유다인들이 이방인 세계에 비교적 우호적이었기 때문입니다. 사실 예루살렘 사람들은 오직 하느님께만 봉헌된 종교적 사회를 만들고자 했기 때문에 이방관습에 대해 매우 배타적이며 적대적이었습니다. 반면 예루살렘에서 멀리 떨어져 살던 유다인들, 특별히 갈릴레아와 같은 지역이나 이곳 카이사리아에 살던 유다인들은 자신들의 신앙을 지키면서도 이방인들과 매우 가깝게 지냈기 때문에 로마인들과 같은 이방인들에 대해 매우 관용적이었습니다. 이런 분위기를 잘 알던 로마인들 입장에서는 가급적 예루살렘에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자신들에게 관용적인 도시에 머무르는 것이 최선임을 잘 알고 있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로마인들은 헤로데가 새롭게 건설한 카이사리아를 선택해서 팔레스타인을 다스릴 총독들을 거주시켰으며 거의 대부분의 군대 역시 이 도시에 진주시켰습니다. 단지 유대인들의 대 축제일, 곧 과월절, 오순절, 초막절에만 총독과 군대가 예루살렘으로 들어왔습니다. 왜냐하면 엄청난 수의 유다인들이 종교예식에 참여하기 위해 예루살렘에 올라오는데 그러다 보니 로마로부터 자유를 갈망하는 대규모의 반란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입니다.

2) 중요한 유적

    이곳에 가 보면 지금도 어마어마한 크기의 유적 모습에 입을 쩍 벌리게 됩니다. 정말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카이사리아의 잔해를 보면서 우리는 이 도시가 얼마나 웅장하고 아름다웠는지를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 대개 이곳을 방문하면 성벽을 방어하기 위한 해자로 둘러싸인 성벽을 통해 이곳 유적지에 들어서게 됩니다. 이 성벽은 십자군 시대에 지은 것인데, 그들이 이곳에 도착했을 때에는 이미 카이사리아가 이슬람의 침공으로 인해 이미 폐허가 되어 버린 뒤였습니다. 이 십자군 성벽을 거쳐 카이사리아에 들어가다 보면 길가에 먼저 빌라도의 이름이 새겨진 기념비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복사본인데요, 바로 이곳에서 발견된 본시오 빌라도 기념비를 본떠서 새워 놓은 것입니다. 사도신경에 그렇게도 자주 외웠던 본시오 빌라도는 기원후 26년에서 36년 사이에 이곳에 머물면서 로마를 대신해서 유대와 사마리아를 다스렸던 총독인데요, 글로 쓰여 남아 있는 자료들 이외에 빌라도 이름을 담고 있는 기록은 이 비석이 유일합니다.

카이사리아 유적지는 크게 네 구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먼저, 십자군의 성채 속에 고대 카이사리아의 중심지였던 유적이 남아 있습니다. 그 중심지는 해변까지 곧게 이어져 있는데요, 도시 중심부 남쪽으로 로마인들의 극장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오늘날까지 이곳은 야외 공연장으로 사용되고 있는데요. 바닷가를 바라보면서 서 있는 정말 아름다운 공연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고대 도시 중심부 북쪽편으로는 로마 시대의 수도교(水道橋, Aqueduct)가 있는데요. 수도교란 바로 멀리 떨어져 있는 수원지에서 도시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세워놓은 다리인데, 다리 위로 물을 끌어 오는 것이죠. 로마인들은 이처럼 수도교를 짓는 기술이 매우 뛰어났는데요. 지금도 이곳에 가면 그 흔적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도시 동쪽 편으로는 경주장(hippodrome)으로 짐작되는 잔해들이 여럿 남아 있습니다.

    어쨌든 이곳 카이사리아는 7세기경 이슬람교도들이 침략할 때까지 이스라엘을 다스리던 로마 총독이 머물던 수도로 남아 있었습니다.

3) 그리스도교와의 연관성

    300년경 카이사리아의 에우세비오는 바로 이곳에서 유명한 교회사를 저술했는데요, 한글로도 번역되어 있으니까 여러분들께서 읽어 보실 수 있을 겁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교회사 책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또, 나중에 이단으로 단죄받기는 하였지만, 너무나도 유명한 성서학자였던 오리게네스라는 분이 이곳에서 새로운 성서학파를 연적이 있었습니다. 이 분은 3세기 초엽 분입니다.

    마지막으로 사도행전을 보면 바로 이 곳에서 두 가지 사건이 벌어지는데요. 하나는 바로 고르넬리우스의 회심 사건이고, 나머지 하나는 바오로가 재판을 위해 로마로 송환되기 전 바오로가 자신을 변호했던 사건입니다.

ㄱ. 고르넬리우스의 회심 ~ 사도 10,1-11,18 ~

사도행전은 두 개장에 걸쳐서 이 곳 카이사리아에 진주해 있던 로마 군인 고르넬리우스가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이야기를 전해 주고 있습니다. 코르넬리우스는 이방인으로 그리스도교 신자가 된 첫 사람입니다. 이 사건을 통하여 제자들은 이방인들 역시 하느님의 자녀들이며, 그들 역시 그리스도교 신자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깨닫게 됩니다.

ㄴ. 카이사리아에서 있었던 바오로의 변호 ~ 사도 23,23-26,32 ~

사도 21장을 보면 바오로는 세 차례에 걸친 선교여행을 마치고 예루살렘으로 돌아오는데요. 그 때 유대인 출신 그리스도교인들이 바오로에게 화가 나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바오로가 이방인이었다가 그리스도인이 된 이들에게 할례도, 율법을 지키라는 권고도 하지 않았다는 소식을 들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적대적인 분위기는 그리스도교 신자들 뿐만 아니라 다른 유다인들 역시 마찬가지였는데요. 그리스도인들을 박해하고 잡아오라고 보낸 바오로가 그리스도교를 전하는 최고의 전교자가 되었으니 눈에 가시였음이 분명했을 겁니다. 결국 바오로는 성전에 정결례를 하러 들어갔다가 성난 유대인들에게 둘러이게 됩니다. 마침 성전 북쪽에 있던 안토니아 요새에서 성전을 지켜 보고 있던 로마 병사들이 그들 사이에 개입을 합니다. 이 때 바오로는 천인대장에게 바오로는 자신이 로마시민임을 밝힙니다. 당시 로마 시민권을 가진 사람은 함부로 대할 수 없었기 때문에 천인대장은 호송인들을 붙여 바오로를 예루살렘에서 데려다가 이곳 바닷가의 카이사리아로 호송합니다. 2 년 뒤 바오로는 새로이 부임한 총독 포르시우스 페스투스와 마침 그곳을 방문하던 헤로대 대왕의 증손자였던 헤로데 아그리파스 2세와 그의 여동생 베르니케 앞에서 심문을 받게 되는데 그 내용이 바로 사도 행전 23장에 나오지요. 여기서 바오로는 훌륭한 변론을 하는데요. 곧 자신은 정말 유다인들 가운데 유다인들로 살았고, 심지어는 그리스도인들을 죽이기까지 했다는 것입니다. 그런 자신이 그리스도교로 전향했다는 것은 자신이 거부할 수 없는 체험을 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바오로의 이야기입니다. 곧 자신은 그리스도인들을 체포하기 위해 다마스커스로 가는 길에서 주님을 만나게 되었고, 기적을 경험했다는 것입니다. 이 회심이야기는 이미 사도행전 9장에서 들은 바 있습니다.

4) 나가면서

오늘 함께 바닷가의 카이사리아를 다녀왔습니다. 헤로대 대왕이 크게 지어서 로마 황제에게 받친 이 카이사리아는 여러 문화가 서로 공존한 곳이었습니다. 유다인들 마저도 다른 문화와 공존해서 살아가던 그런 곳인데요. 바로 이곳에서 로마인 코르넬리우스가 세례를 받으며 이방인 출신 첫 그리스도교 신자가 됩니다. 이 때부터 그리스도인들은 이방인들에게 팔을 벌려 그들을 받아들이게 되지요. 또 바오로 사도는 본격적으로 이방인들에게 그리스도교를 전파하다가 유다인들의 분노를 사서 재판을 받은 뒤 이곳 카이사리아에서 자신을 변론하였습니다.

    사실 새로운 사람을 받아들인다는 것, 그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닐 것입니다. 그러나 마음을 닿고 자기들끼리, 유다계 그리스도인들끼리만 잘 살았다면 그리스도교가 지금 이처럼 큰 종교로 자리잡을 수 있었겠습니까? 항상 새로운 사람들을 수용하고, 새로운 것을 내 것으로 만들어 가면서, 좀 포용력 있게 살아가는 것. 그것이 바로 무궁하게 발전하는 공동체, 나아가 국가가 가져야할 자세라는 것. 오늘 이곳 카이사리아에서 배우게 됩니다. 나 역시도 새로운 것에 항상 가슴을 열고, 거기서 들려오는 하느님의 말씀을 듣지 않으면 고여서 섞게 될 것임을 깨닫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이곳 바닷가의 카이사리아에서 우리 모두가 한 번쯤 묵상해 보면 좋을 주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
 

<< 부록 3 >>

게시자 주: 다음은 카이사리아 항구 도시에 대한 또다른 설명입니다. 위의 부록 2에 주어진 것보다 훨씬 더 자세한 내용들을 또한 사진과 함께 담고 있습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주: 옛 줄처]

(다움 까페: 성지 이스라엘, 2010년 이후 예수님 무덤 성당에 살고 계신 김상원 테오필로 수사신부님 제공)

출처 2: https://terrasanta.tistory.com/17464760 [(2023-12-27) 새 출처]

https://terrasanta.tistory.com/ 


카이사리아(Caesarea)   

카이사리아(Caesarea)는 이스라엘의 텔아비브(45km 북쪽)와 하이파의 중간쯤에 위치한 지중해 연안의 팔레스타인 고대 항구이자 행정도시이다.

카이사리아는 베드로의 신앙 고백이 있었던 요르단 강 상류의 카이사리아 필리피와 구분하기 위해 카이사리아 팔레스티나(
Caesarea Palaestina) 또는 카이사리아 마리티마(Caesarea Maritima)라고도 하였다. 우리들에게는 ‘지중해 카이사리아’라는 이름이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명칭이다.

이곳은 고대 페니키아인들의 정착지로서 ‘스트라톤(Straton)의 탑’이라고 불렸는데, 로마의 통치하에 황제 아우구스투스(Caesar Augustus, 기원전 63-기원후 14)는 이것을 헤로데 대왕에게 하사하였고, 헤로데 대왕은 기원전 25년에서 기원전 13년까지 12년 동안 대대적인 공사를 하여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에게 아름다운 도시와 항구를 지어 헌정하면서 황제의 이름으로 명명한 명칭이다.   

헤로데에 의하여 카이사리아에 지어진 항구는 기원전 22년에서 기원전 9년 사이에 지어졌는데 당시 세계 최고의 토목공학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것은 콘크리트를 이용한 최초의 수중 공법이었다. 남쪽 방파제의 길이는 500m 이었고, 북쪽 방파제의 길이는 200m이었다. 방파제에 사용된 가장 큰 돌덩어리는 5.5m x 1.25m x 1.25m의 크기로 무게는 20톤이 넘었다. 가장 큰 콘크리트 덩어리는 11.5m x 15m x 2.4m이었다. 콘크리트 덩어리는 물위에 틀을 부양시켜 그 안에 콘크리트를 채워 가라앉히는 방법을 사용했다.  

헤로데는 자기 영토에 수많은 요새와 화려한 도시들을 건설했다. 그 가운데서 가장 큰 두 도시는 훗날 로마령 팔레스타인의 수도가 된 ‘카이사리아’와 다른 하나는 고대 사마리아의 옛 터에 세워진 ‘세바스티예’였다.   

카이사리아는 1세기의 로마·유대의 역사가 요세푸스(37/38 예루살렘~100경 로마)에 의해 ‘유대고사’와 ‘유대전쟁’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기원전 13년경부터 카이사리아는 유대를 통치하는 로마제국의 총독과 군대의 주둔지가 되었으며 본시오 빌라도[Pontius Pilatus, ?~기원후 36 이후, 티베리우스 황제 시대 로마의 유대 총독(26~36)]와 안토니우스 펠릭스(Antonius Felix, 기원 후 52-60년에 유대지역 로마 총독)도 이곳 카이사리아에 머물렀다. 기원 후 32년경에 빌라도는 예루살렘에 폭동의 낌새를 알아차리고 예루살렘 대성전 옆에 지은 안토니우스 요새에 머물고 있을 때 예수님을 심문하고 십자가형에 처하도록 하였다.   

로마·유대의 역사가 요세푸스에 의하면 유다 제1차 항쟁은(66-70) 카이사리아에서 발생한 유다인과 이방인간의 분쟁이 그 발단이 되었다고 한다. 로마의 티투스 장군에 의해 예루살렘이 완전히 파괴되면서 항쟁은 진압이 되었고 유다는 모든 특권이 박탈되게 되었다. 티투스의 승리를 축하하며 항쟁에서 사로잡은 포로들을 카이사리아로 데려와 검투사 경기로 2500여명을 살해하였다고 한다.

또한 전승에 의하면 바르 코흐바의 유다 제2차 항쟁(132~135) 때 로마는 랍비 아키바를 비롯한 10명의 팔레스티나 유다인 지도자와 현인을 카이사리아에서 고문해 죽였다고 한다.    

에우세비우스는 「교회사」에서 유다계 그리스도교 ‘예루살렘 원공동체’는 야고보가 처형되고 66년 유다 독립전쟁이 발발하기 전 예루살렘을 떠나 요르단 강 동쪽 지역 펠라로 이주했다고 전한다. 유다인들은 또다시 로마와 전쟁을 벌여 135년 예루살렘은 철저히 파괴 되었으며 모든 유다인들이 추방되고 예루살렘은 엘리아 카피톨리나(Aelia Capitolina)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그와 함께 예루살렘의 유다계 그리스도교 공동체도 종말에 이르렀다.    

제2차 유대 항쟁이 진압된 후 거룩한 도성 예루살렘은 완전히 파괴되고 로마의 속주가 되는 반면 카이사리아는 하드리아누스 황제에 의해 로마 제국 팔레스티나 관구의 수도가 되었으며 약 500여 년간 행정 수도의 구실을 하게 된다. 
   

이 도시는 비잔틴 후기와 아랍의 통치를 받으면서부터 쇠퇴하기 시작했다. 614년 페르시아의 수중에 넘어갔고 다시 638년에는 이슬람에게 점령되는 대 변혁의 시기에 최대 규모의 도서관도 파괴되었다. 페르시아 역사가에 의하면 이슬람에게 점령되기 전에 이 도시에는 2만 명의 유다인과 3만 명의 사마리아인들이 살았지만 이슬람의 통치시기에 모두 역사의 기록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1101/2년, 첫 번째 십자군 동안 카이사리아는 볼드윈 1세(Baldwin I)에 의해 회복되어 2세기 동안 다시금 번영을 누리면서 도시는 강력한 성채로 요새화 되었다. 그러나 이슬람 살라딘에게 1187년 다시 빼앗겼고, 1191년 십자군은 다시 되찾았다. 그리고 마멜룩크의 시대인 1265년에 결정적으로 빼앗긴 후 이곳에서 더 이상의 전투는 없었다.  

1940년 어업 키부츠인 세도트 얌이 고대 유적지 바로 남쪽에 세워져 농업에도 종사하고 휴양 호텔도 운영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첫 골프장이 근처에 만들어졌다.    

1950년 히브리대학교가 발굴을 시작했고 이스라엘 정부와 이탈리아의 고고학자들도 발굴(1959~61)에 나섰다. 그 결과 로마의 사원, 원형경기장, 야외극장(2만 명 수용), 수로(물은 수로를 통해 북동쪽으로 거의 16㎞ 떨어진 카르멜 산에서 끌어왔다), 그리고 그 밖의 로마 및 이후 시기의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그 중 관심을 끄는 것은 1961년에 발견된 로마의 비문인데, 예수님을 사형에 처하도록 유죄 판결을 내린 당시 로마의 유대 총독이었던 본시오 빌라도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것은 복음서외에 빌라도에 관하여 기록된 첫 번째 기록물이다.  
  

카이사리아의 그리스도교 공동체

카이사리아는 헤로데가 지은 로마 총독들을 위한 군사와 행정수도이기도 했지만 팔레스타인에 있는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중심지이기도 하였다. 195년경에는 현재 공의회 제도의 기원이 된 최초의 공의회가 열린 도시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팔레스티나의 카이사리아를 초대교회 신학의 중심지로 만든 인물은 초대 그리스도교 교부중 가장 위대한 인물로 신학자이자 성서학자인 오리게네스(Oregenes, 185경 알렉산드리아~254경 레바논의 티로)이다.   

열여덟 살이던 201년 황제의 박해로 아버지를 잃은 오리게네스는 ‘하늘나라 때문에 고자가 된 사람들’에 관한 말씀(마태 19,12)을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스스로 고자가 될 정도로 혈기가 왕성했으며 30대에 저술활동을 시작하였다. 팔레스티나의 카이사리아와 예루살렘을 여행하면서 그곳 주교들의 친구가 되었으며 주교들은 오리게네스가 평신도임을 알면서도 설교를 부탁할 정도였다. 그는 고위 성직자와 귀족들과 교제하며 명성을 얻었고, 이단자들과의 토론을 위해 그리스 아카이아 지방으로 가던 도중 카이사리아에 있는 주교인 친구들이 그의 고향의 알렉산드리아 데메트리우스 주교의 허락 없이 사제품을 주었다. 그는 고자이기 때문에 사제직을 받을 수 없었다. 알렉산드리아 교회 회의에서는 그의 사제직을 박탈하고 국외로 추방하였다. 이에 오리게네스는 알렉산드리아의 판결이 효력을 미치지 못하는 팔레스티나의 카이사리아에 신학교를 세워 231년경부터 250년경까지 약 20년간 카이사리아에 머물면서 제자들을 육성하고 많은 신학 저술들을 남겨 카이사리아를 신학 연구의 중심지로 키웠다. 데치우스 황제의 박해 때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고, 석방된 후 후유증으로 오래 살지 못하고 현재 레바논의 티로에서 죽었다.

그는 아우구스티누스 다음으로 고대 교회에서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저술가이며, 이후 이단 논쟁에 휩싸여 많은 본문이 소실되었다. 오랫동안 이단논쟁의 중심에 오르는 인물이었지만 다행히 1930년경부터 교부학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면서 교부 신학의 아버지로 재평가 받게 되었다. 오리게네스의 작품은 성서주석서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알레고리 해석의 대가였다. 그의 대표작으로 성서본문을 문학적·비평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230년경 구약성서의 여섯 번역본(히브리 원본, 히브리 원본의 그리스어 음역, 아퀼라, 심마쿠스, 70인역과 테오도치온의 그리스어 번역본)을 대조하였는데 이 육중역본을 ‘헥사플라’(Hexapla)라 부른다. 이것은 교부들이 문자적으로 영감을 받았다고 여기는 70인 역의 본문을 가능한 한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오리게네스 교부 다음으로 두각을 나타낸 인물은 ‘교회사’의 시조요 궁정신학의 원조인 오리게네스의 제자였던 에우세비우스(260/264경~340경, 연대기·교회사·콘스탄티누스의 생애·성서 주석 및 호교서 등 남김)는 카이사리아에서 태어났고 315년경 카이사리아의 주교가 되었다. 그는 325년까지의 교회사 열권을 완성하여 ‘교회사의 아버지’라 부른다. 그는 그리스도교에 대한 로마 황제들의 박해와 관용정책 그리고 그리스도교가 공인되는 격동기에 살았다. 에우세비우스는 콘스탄티누스가 통치하는 기간 내내 팔레스티나의 수도 카이사리아의 주교였으며 황제의 절친한 친구이자 조언자로서 그리스도교 제국의 역사신학에 관한 작품을 저술하였다.    

오리게네스를 도와 30만권 이상의 성서 사본을 수집하여 카이사리아의 신학 도서관을 당시 교회 도서관으로 최고의 권위를 누리게 하였던 카이사리아의 팜필리우스 그리고 나지안즈의 그레고리우스, 대 바실리우스, 히에로니무스 등의 쟁쟁한 신학자들이 카이사리아에서 수학하였고 활동하였다.
   

사도행전에서의 카이사리아

카이사리아는 사도행전에서 필리포스와 베드로 사도와 관련되어 등장하며 특히 사도 바오로와 밀접한 곳이기도 하다. 44년에 헤로데 아그리빠가 카이사리아에서 죽고(사도 12,23) 갈릴래아를 포함한 이스라엘 전역은 로마 직속령이 되었다.   

사도행전에서 필리포스는 예루살렘에서 가자로 내려가는 길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라는 천사의 말을 듣고 길을 가다가 에티오피아 내시를 만난다. 필리포스는 이 에티오피아 내시에게 이사야 예언서와 예수님에 관한 복음의 말씀을 설명해 준 다음 세례를 주고 아스돗에서 카이사리아에 이르기까지 모든 고을을 다니며 복음을 전하였다(사도 8,26-40 참조). 바오로 사도는 3차전도 여행을 마치고 예루살렘을 향하는 길에 카이사리아에 있는 필리포스의 집에 들어가 함께 머물렀고(사도 21,8) 카이사리아의 제자 몇 사람과 함께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사도 21,16), 성전에서 체포되었다(사도 21,27이하).   

베드로는 카이사리아에 살고 있는 이방인인 이탈리아 군대의 백인대장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교회로 받아들였다(사도 10,1―11,18). 이 사건은 할례 없이 이방인을 교회로 받아들임으로써 그리스도교가 유대교와 결별하는 중대한 사건이 되었다. 이제는 율법에 의해서 구원되는 것이 아니라 성령을 통하여 그리스도 이름으로 구원되는 세상이 된 것이다.   

사울(바오로)이 사도들과 함께 예루살렘을 드나들며 주님의 이름으로 대담하게 설교하자 그리스계 유다인들은 사울을 없애버리려고 하였고, 형제들은 이것을 알아차리고 사울을 카이사리아로 데리고 내려가 고향 타르수스로 보냈다(사도 9,30). 그리고 바오로 사도는 제2차, 제3차 전도여행을 마치고 예루살렘으로 올라갈 때 카이사리아를 지나갔다(사도 18,22; 21,8).    

바오로가 예루살렘에서 체포된 후 유다인들이 바오로를 죽이려고 음모를 꾸미자 카이사리아에 있는 총독에게로 호송되었다(사도 23장). 그리고 카이사리아에서 2년간 옥에 갇혀 있으면서 펠릭스 총독과 그의 후임자 페스투스 총독 그리고 아그리파스 임금 앞에서 변론하였고(사도 24-26장) 바오로가 로마 황제에게 상소하자 카이사리아 항구에서 로마 황제에게 보내졌다(사도 27,2). 
 


 

카이사리아 항구 모형

이스라엘 도보 순례중 찍은 사진...카르멜 산 자락에서부터 카이사리아로 연결된 수로. 16km 거리...

카이사리아로 향하는 수로

지중해 연안 백사장쪽으로 수로가 지나가고...

지중해 연안 백사장 위로 지어진 수로...카르멜산에서 카이사리아까지...

 

망루...

카이사리아 북쪽 지역의 지중해

십자군 시대에 지어진 요새...요새와 육지 사이에 물이 흐르도록...

카이사리아 북쪽 지역에 있는 고대 카이사리아 시나고가 터

 

요새와 육지 사이에 물이 흐르도록 설계하여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어할 수 있게 한 십자군 시대 요새

 

카이사리아 국립공원 내

 

십자군 시대 요새...오른쪽 건물

 

카이사리아 국립공원 북쪽 입구

 

십자군 시대에 지어진 성벽 누대의 내부

 

 고고학 발굴 지역...주거지역 쪽...

 

현재의 항구이자...해수욕장으로 사용하는 곳...왼쪽 건물이 있는 곳이 십자군 시대의 망루이자 헤로데의 항구

 

 이슬람 모스크 탑....음식점으로 사용하고 있는 건물....

 

현재 항구의 남쪽 부분...

 

비잔틴 시대의 대성당 자리...

 

대성당 자리...

 

원형 경기장 북쪽에 있는 왕의 목욕탕...

 

대리석으로 된 목욕탕 욕조...

 

비잔틴 모자이크...

 

현대의 사우나 시설을 연상케 하는 목욕탕 구조....

 

왕의 목욕탕 내부의 화려한 모자이크...

 

 

 

 

 

헤로데의 원형 경기장...왼쪽에 마차가 달리는 구조물이...

 

 

대중 목욕탕 내부...

 

 

대중 목욕탕 남쪽 지역...

 

 

대중 목욕탕 내부...아래 사진은 우리나라 온돌처럼...온돌 위의 대리석을 걷어낸 모습...

 

 

 

 

 

 원형 경기장 중앙...

 

원형 경기장 관람대

 

원형 경기장 남쪽 부분...경기장 끝부분에서 바다쪽으로 돌출되어 보이는게 카이사리아 항구

 

남쪽에 있는 헤로데 궁전쪽에서 바라본 카이사리아 백사장과 원형경기장...

 

헤로데의 궁전 자리...

 

헤로데의 궁전쪽에서 본 야외 극장

 

 

야외극장 모습

 

 

 

 

 

극장의 원형 조감도

 

원형 극장에서 발견된 본시오 빌라도의 비문. 카이사리아 남쪽 입구를 들어가 오른쪽에 있는 모형카이사리아; 이스라엘(신약 시대); 본시오 빌라도, (26-37 AD); 석회암; 높이 82cm, 폭 65cm; 1961년 발견;
이스라엘 박물관 소장;
첫째 줄 : TIBERIEUM,,   둘째 줄 : (PON) TIUS  셋째 줄 : (PRAEF) ECTUS IUDA (EAE)

 

빌라도 비문의 원형 사진

 

                     나는 이제 참으로 깨달았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사람을 차별하지 않으시고,

                    어떤 민족에서건 당신을 경외하며

                의로운 일을 하는 사람은 다 받아 주십니다.

(사도 10,34-35; 코르넬리우스 집에서의 베드로의 설교)



(이상, 부록 끝).
 



2,872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