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어떠한 나라 언어로 번역이 되더라도..

인쇄

2007-07-31 [69.138.75.*]

2007-07-31 ㅣ No.767

  
+ 찬미 예수
 
라틴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가, 우리말, 영어, 프랑스어 등등의 어떠한 자국 언어로 번역이 되더라도, 두 개념 사이에 포함관계가 있을 경우, 그 관계가 번역 상의 문제로 변경이 되거나, 혹은 변경이 되는 것으로 착각을 유발하는 번역은, 잘못된 번역일 것입니다.
 
이것은 자국 언어의 문법 적용 이전의 문제로서, 번역과 관련하여 제가 항상 생각하고 있는 중요한 관점입니다.
 
즉, 문장의 명사들 사이의 논리적인 의미의 연결 관계가 어느 특정 언어에 따라 달라져서는 안된다는 것이 저의 주된 관점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금 현재 사용 중인 "내포한다", "내포된다" 는 단어는 어려운 한자어로서, imply 와 include  두 단어의 번역 용어로서 double meaning 을 가진 단어로 사용됨으로 인하여 혼란을 불러 일으키므로, 이러한 혼란을 적극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1. imply 의 단어의 번역과
 
2. include 의 단어의 번역
 
을 구분하여 번역하는 말씀을 드렸던 것입니다. 즉,
 
"is" 는 "이다"로,
 
imply는 "의미한다" 로,
 
include 는 "포함한다" 로 번역하자는 말씀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톨릭 교회 교리서 내에서 "내포한다" 용어가 현재 가지고 있는 두 개의 의미 (즉, "의미한다"와 "포함한다"를) 분명하게 구분이 되도록 번역을 하자는 것입니다. (맨 아래의 예제를 보아 주십시요).
 
여기에 대한 자세한 지적과 예제는, 일전에 올려드린 글에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께서는 일전에 올려드린 저의 글을 읽어 보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특히, 이,공계 (수학 포함) 분야 중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따지는 학문 분야에서, imply 단어를 우리말로 번역할 때에  "내포한다" 혹은 "내포된다" 와 같은 단어는 사용하지 않는 점 또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분들께서, 문장 중에서, "정의하는 문장"과 "그냥 설명하는 문장"의 차이점을 이해하지 못하시는 듯 합니다만, 단지 한 두마디의 설명으로는 이해하기가 힘든 부분이 있다는 것을 새삼 알게 되었습니다. 

연역적 공리체계에서 언급되는, "무정의 용어", "공리", "정의", "정리" 등으로 불리는 문장들에 대한 기본 이해가 없으신 분들에게는, 지금의 이 지적이 도대체  이해가 되지를 않을 것이니까요. 
 
 
그동안 우리말로의 번역과 관련하여  위의 말씀을 여러 번 드렸으니, 우리말로의 번역과 관련하여 어쩌면 제가 할 일은 다 한 듯 싶습니다.
 
물론 이런 일도 그냥 쉽게 투표하여 결정할 수 있으면,  또 그 투표 결과가 추가적 검증없이 곧 바로 학문적 진실의 범주 내에 들어가게되면, 정말 좋겠습니다.
 
  
------------------------------------
 
며칠 전부터 소순태님께서 우리말 가톨릭 교리서 내의 일부 번역문에 있어서 오류가 있음을 발견하시고, 그에 대한 근거와 함께 현재의 번역문에 대한 수정을 강력히’ 요청하셨습니다.
 
그러나, 해당 라틴어 및 관련 외국어 번역본을 검토한 결과, 그 주장에 심각한 오류가 있음이 발견되어 이에 문제제기와 함께 제 의견을 개진하려고 합니다.
 
먼저, 소순태님이 주장하시는 교리서의 번역 오류의 내용과 그 근거를 보겠습니다.(소순태님이 자신이 올린 자료를 복사도 인용도 못하게 막아 놓아서 옮기느라 엄청 고생했습니다. 그 이유는 저도 모르지만...)
 
소순태주장 자료
. 1995항의 제일 마지막 문장 번역오류 (가톨릭교회교리서 본문 중의 번역 오류)
 
-1. (우리말) 1995 성령은 내적 생활의 스승이시다. “내적인간”을49) 태어나게 하는 의화는 인간 존재 전체의 성화에까지 미친다.
 
-2. (라틴어본) 1995 Spiritus Sanctus magister est interior. Iustificatio, efficiens ut « interior homo » 228 nascatur, sanctificationem implicat totius hominis:
 
라틴어 implicat원형은 implicare
 
implic.at            V      1 1 PRES ACTIVE  IND 3 S   
implico, implicare, implicavi, implicatus  V (1st) TRANS   [XXXAO] 
implicate; involve/engage/entangle/embroil; interweave/fold/twine w/itself;
entwine/enfold/envelop/encircle; wrap up inside; embrace; enclose; hem in;
interweave/interlace/intertwine; clasp/grasp (L+S); unite/join/mix;
perplex/confuse/confound/complicate; take hold (disease);
(PASS) be intimately associated/connected/related/bound; be a tangle/maze;
implico, implicare, implicui, implicitus  V (1st) TRANS   [XXXAO] 
implicate; involve/engage/entangle/embroil; interweave/fold/twine w/itself;
entwine/enfold/envelop/encircle; wrap up inside; embrace; enclose; hem in;
interweave/interlace/intertwine; clasp/grasp (L+S); unite/join/mix;
perplex/confuse/confound/complicate; take hold (disease);
(PASS) be intimately associated/connected/related/bound; be a tangle/maze;

implicate = imply (
영어) ----------문제의 근원?????????
 
이와 함께 소순태님은 친절하게도 이태리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영어로 된 교리서 번역본을 옮겨 그에 대한 단어의 쓰임새를 고찰하였습니다.(이 중 저는 제가 그나마 이해가 가능한 라틴어와 불어 및 영어만 예를 들어 반론하겠으며, 사전에서 그 의미를 알 수 있는 경우에 한해 이태리어와 스페인어를 인용하겠습니다)
 
 
1. 오류 주장에 대한 그릇된 근거, 하나 : imply뜻과 활용
위의 주장에 있어서 순태님이 헷갈린 가장 이유는 애석하게도시작에 있습니다. ( 부분은 제가 논의의 첫부분부터 말씀드렸었지요.)
 
위에 소순태님이 옮겨온 라틴어사전에 따르면, implicare영어 동의어에 imply보이지 않습니다. 개가 넘는 동의어 나열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implicare  imply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거나 있다고 해도 아주 정도가 낮은 연관성을 갖고 있다 하겠습니다. 소순태님도 알고 계신 영어/라틴어사전에서 검색을 해봐도  imply동의어로는 implicare찾을 없으며, 차라리 involve entangle등의 동의어로서 implicare튀어나옵니다.
 
<----- involve, entangle 도 주어와 목적어 사이의 인과 관계의 결과로서 그런 일이 있다는 뜻이라, imply 와 논리적인 면에서는 마찬가지입니다.
 
아래에서 보시듯이 imply의 라틴어 동의어는 다음과 같은데, 그 뜻을 보면 concludere에서 보시듯이 ‘(논리적  귀결)로서 결론 짓다’ ‘마무리하다’ 등으로 해석됩다. 아! 저 끝에 imply가 있군요. 의미의 끝까지 따라가다 보면 imply와도 연결점을 찾을 수는 있겠다는 말이겠지요.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해당 항목을 복사합니다.
 http://lysy2.archives.nd.edu/cgi-bin/wordes.exe?imply
imply
concludo, concludere, conclusi, conclusus V (3rd) TRANS 3 1 TRANS   [XGXAO] 
|conclude/finish; define; construct/compose (sentence); infer, deduce, imply;
 
denoto, denotare, denotavi, denotatus  V (1st) TRANS     1 1 TRANS   [XXXCO] 
mark (down); lay on (color); observe; indicate/point out; imply; brand; censure;
 
소순태님은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라)Implicate = imply(영) (*여기서 소순태님은 implicate를 implicare착각하신 함)
(이/스)Implica=imply(영)
(프)comporter=imply(영)
(영)entail = imply(영)
(스)entran(~)r = imply(영)
으로 모조리 imply로 변환시키시며 자신의 주장을 견지하시더군요.
 
과연 이게 옳은 접근법인지요?
 
세상의 모든 단어에서포함이라는의미조금이라도 들어있으면 전부 ‘imply’대체될 있으며, 그렇게라도 해서교리서를 잘못된 것으로 주장해야 하는 건지요?
 
 
<-----  예를 들어, conclude 도 주어와 목적어 사이의 인과 관계의 결과로 그런 결과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므로 단어의 사용과 관련하여 imply와 논리적인 입장에서는 마찬가지입니다.
 
 
2. 오류 주장에 대한 그릇된 근거, : 소순태님의주장 ‘Imply =의미한다, 이다대하여...
 
게다가,
 
소순태님은 논의의 후반에 가서라틴어 원문에 나오는 implicare해당되는 모든 문장을, imply뜻을 더욱 분명히 하기 위해의미하다’  또는 ‘~이다바꿀 것을 주장합니다. 그러면서  ‘직역(?)’해야 한다고 합니다.
 
과연 그럴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제가 직접 읽어본 여러 나라 교리서는 나름대로직역것이며, 라틴어 implicare가장 알맞은 자국어 동사를 찾아 제대로 번역한 것입니다. 우리나라 또한 문장에서 여타 국가의 교리서와  마찬가지로내포한다포함한다적절히 골라 사용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영어 imply우리가 찾을 있는 대부분의 영어사전에서도 있듯이포함하다’ ‘수반하다’ ’함축하다입니다. 뜻을 넓게 보았을 때에야 비로소의미하다라는 뜻을 가질 있게 됩니다. 여기서 멀리 나가면 ‘~이다라고까지 말할 있겠지요. , 심하게의역하면, imply의미하다’  또는 이다번역될  있다는 겁니다. , 직역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네이버 영어사전을 복사합니다.
 
im·plyL 싸다 에서〕 vt. (-plied)
1 (필연적으로) 포함하다, 수반하다, 내포하다, 함축하다;<단어> … 뜻하다, 의미하다(mean)
   Silence often implies consent. 침묵
종종 동의 의미한다.
2 암시하다, 넌지시 비치다(suggest) that ...
implictionn.;mplicative, implcita.
 
이제 여러분들도 그 차이를 명확히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이다’는 어디로 갔을까?)
 
<----- 주어와 목적어 사이의 인과 관계의 결과를 언급하는 문장일 경우, 제가 말씀드린 것들이 논리적인 면에서 맞습니다.
 
3.오류 주장에 대한 그릇된 근거, : 너무 멀리 소순태님  --> 내포의의미
 
여기서 소순태님은 우리말 한자어인 내포(內包)에서 새로운 사실(?)을 찾았다면서 그 뜻을 적어오셨습니다.어떤 성질(性質)이나 뜻을 속에 지님-또한 국어사전에서 찾은 아니라 한자사전에서 찾으신 것이겠지요.
 
그러면서 이 ''내포''의 뜻만 가지고, 내포한다는포함한다아니라포함된다라는새로운발견하셨지요. 과연 그럴까요?
 
우리나라 국어사전에는 엄연히내포하다내포되다두가지 뜻이 별도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인터넷 국어사전을 복사합니다.
 
내포(內包) : [명사]
1
어떤 
성질이나   따위 품음.
2 <
논리>개념
적용되는 범위 속하는 여러 사물 공통으로 지니 필연적 성질 전체. 형식논리학상으로는 내포 외연 반대 방향으로 증가 혹은 감소한다.ː--/ː--
내포되다
[동사]내포.
·        내포서정적인 정서 
·        내포 저의무엇이냐?
·        가능성 현실 이미 내포되어 있다.
·        경찰제도개정하라는 그런 식의 고문관 방방곡곡파견하겠다는 흑심 내포되어 있는 이다.유현종, 들불
내포하다ː---
[동사]내포.
·        사장 말은 복합적인 의미 내포하고 있다.
·        동생 표정 무언가 꿍꿍이 내포하고 있는 같다.
·        그는자신 꾸미는 음모상당한 위험내포한 것인 안다.
 
 
한자사전에서 ''내포''라는명사대한 뜻만 읽고는내포한다포함한다아니라포함된다라고 강변하셨는데, 과연 그렇습니까? 독자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하신가요?
 
위에 나열된 예문에서어느것이 어느것을 포함하는지명확하지 않은 것이 하나라도 있는지요?
 
''내포''라는 명사에는포함하는 주체대해서는 나오지 않으며, 문장 속에서 포함관계가 드러나게 되어 있습니다.
 
위의 문장을 영어로 바꾼다면, ‘imply’쓰일 때와  ‘be implied’쓰일 때가 명백해것입니다.
 
이런 오해는 소순태님이 한탄하셨듯이 한자세대가 아니기 때문에 생긴 것은 아닙니다현재 마흔을 넘긴 사람으로 한자에 대해 약간의 소견만 있어도 누구라도 있는 부분입니다다만, 자신의 기존관념에만 매달려, 어떤 부실한 자료라도 자신의 견해를 조금이라도지지한다고 여겨지면 무조건 받아들이려는 잘못된 고집에서 기인하는 것이지요.
 
<----- 주신 예제에서와 같이, 우리말로 작성된 문장을 영어로 번역하는 경우가 아니라, 라틴어로 작성된 원문을 우리말로 번역하는 과정에 발생한 문제에 관한 것이기에, 위의 우리말 예제는 잘못 선정된 예제입니다.  
 
자, 이제 정리해 보지요.
 
우선라틴어 implicare영어 imply 사이의 연관성은전혀 없다고말할 없으나  ‘정도가그리 크지 않습니다. ‘아주 광범위하게 의역할 에야'' 단어 사이에 연관성이 생긴다는 겁니다. 굳이 연관성을 찾는다면, ‘포함이라는 뜻을 공유한다는 정도이겠지요.
 
둘째위에서 바와 같이이태리어, 스페인어, 독일어, 영어등은 각자 자신들의 언어가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제대로 직역했습니다. 우리말 교리서 또한 그에 걸맞는직역했구요. -소순태님 만이 이를 철저히의역하도록 권하고 있으며, 그 또한 사전에서 제대로 부합하지도 않고 아주 멀리까지 의역해야 겨우 이끌어 낼 수 있는 의미’인 의미하다’를 적어 넣도록 교회에 요구하고 있습니다.
 
셋째. 내포하다는포함된다아니라포함하다의미가 짙습니다. - 여기서 제가 의미가 짙다’라고 한 것은 이 두 단어(‘내포하다’와 포함하다’)가 결코 같은 의미’가 아니기 때문이지요. 괜한 말썽의 요소가 될 수도 있기에 제가 한발 물러섭니다.
 
넷째, 일백보를 양보해서 만약, implicare comporter entail이나 entranar소순태님의 주장대로  ‘의미하다=mean’으로 번역해야 한다면,
, 처음부터 라틴어교리서는의미하다라는 뜻을 정확히 표현하는 단어인 repraesentare=represent demonstrare=demonstrate/explain쓰지 않았을까요? , 프랑스 교리서 번역가는  ‘의미하다라는 뜻을 정확히 표현하는 단어 signifier voloir dire쓰지 않았을까요? 라틴계 언어 사용자로서 굳이 애매한 implicare=involve,/engage/ entangle/ embroi (모두 감싼다, 포함한다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단어들이지요?)써서 소순태님을 헷갈리게 만들었는지요?(물론 소순태말고는 헷갈린 사람이 하나도 없지만...)
 
<----- 가톨릭 교회 교리서 초벌은 1992년에 프랑스어로 작성되었으며, 이것을 각 나라에 배포하여 검토, 수정, 보완을 하여, 1997년에야 비로소 라틴어 확정본이 마련되었습니다.
 
이렇게 라틴어 확정본을 늦게 최종적으로 작성할 때에, 영어, 프랑스어, 기타 유럽 언어에 있어 영어의 "implies 에 해당하는" 라틴어 단어 (implicat)를 시종일관 사용한 점에 특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것에 대한 이유는, 주어와 목적어 사이의 인과 관계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경우에 있어, imply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구라파 언어의 경우에 있어 표준인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이,공계 분야 (수학 포함)에서, 주어와 목적어 사이의 인과 관계를 우리말로 서술할 때에, "내포한다" 혹은 "내포된다"는 용어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서구 문화에 뿌리를 둔 학문 분야에서 요즈음 들어와 학술 논문을 쓸 때에, 우리말로 쓰는 것 보다 영어, 혹은 프랑스어 혹은 독일어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인 점도 고려하셔야 할 것입니다.
 
이 경우에, 원인과 결과의 전후 관계를 먼저 생각하여 적절한 동사를 택할 것인데, "내포"라는 한자어의 사용이 원천적으로 불가능 하여, 지금 우리들이 가지는 혼란응 아예 있을 수가 없습니다.
 
 
 
이제, 가톨릭교리서우리말번역본에대한시비는여기서그쳐야합니다.
 
물론, 우리말 번역에 있어 틀린 부분이 없지는 않을 겁니다. 저는 그걸 찾아낼 능력도 관심도 없습니다.
 
다만, 이번에 지적된 부분만큼은 오역이 아니라매우 ’, 그것도직역된문장이라는 것이며소순태님의 의견이야말로오역을 일으키는’ ‘매우 의역을 필요로하는’ <잘못된 번역>이란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 죄송한 말씀입니다만, 오히려 형제님께서, 지금 불씨 지피기를 시도하시는 듯 합니다.
 
제가 드린 말씀을 한 문장으로 요약을 하면,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내포"라는 한자어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회피하자는 것 뿐입니다.
 
이렇게 조치를 취하면, 주어와 목적어 사이의 원인 결과 관계에 대하여 헷갈리지 않고 바르게 이해하실 분들의 숫자가 훨씬 더 늘어날 것입니다.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포함한다"는 의미와 "의미한다"는 의미는 확실하게 구분하여야 할 것입니다. 
 
Double intepretation을 환영하는 문헌 중에 가톨릭 교회 교리서가 있어서는 않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 
 
예제: 우리말로 번역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 1324, 2019 항들의 번역에서, "내포되어 있다" =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include" = "내포한다" 로 번역하였으므로,
 
이것으로부터,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우리는 번역자가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우리말로 번역을 할 때에, "내포한다" 라는 표현이 "포함한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착각을 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953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