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판관기 17,7 - 단 지파의 이주 배경 및 핀관기 마지막 부분의 결론에 대하여 [성경공부]

인쇄

[175.115.219.*]

2012-06-09 ㅣ No.1211


질문:

판관기 17장 7절에

'유다 땅 베들레헴에 유다 씨족의 한 젊은이가 있었다. 레위인인 그는 그곳에서 나그네 살이하고 있었다.'

  유다 씨족인데 레위인이라는 말이 이해가 가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유다인과  유다 씨족은 다른 의미인가요? 

----------

답변:

+ 찬미 예수님!

1. 주신 질문을 읽고 좀 찾아보았더니, 크게 두 종류로 번역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즉 위의 "새 번역 성경" 본문처럼, 그리고 다음의 NAB(New American Bible)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 본문처럼 입니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judges/judges17.htm  

(발췌 시작)
There was a young Levite who had resided within the tribe of Judah at Bethlehem of Judah.

유다 지역의 베들레헴에서 유다 지파 안쪽에 거주해 왔던 젊은 레위인이 있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여기서, "씨족" = "clan" = "tribe(지파)", 그리고 "레위인" = "Levite"입니다.

2. 그리고 "그의 아버지는 레위인이고 그의 어머니는 유다인일 것이다" 라는 영어본 주석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에 있는, 1859년판 H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에서 처럼:

출처:
http://haydock1859.tripod.com/id581.html

3. 다음은 "주석 성경"의 판관기 17,7에 대한 주석입니다:

(발췌 시작)
이 7 절은 "젊은이"가 유다인이면서 레위인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유다 씨족의"를 생락하기도 한다. 이 사람은 레위 지파의 후손이기 때문에(18,30 참조), 또는 돌아다니면서 필요한 곳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순회 사제 계급'에 속하기 때문에, 레위인이라 불린다. 아무튼 그는 경신례와 점술의 전문가로서 베들레헴의 한 씨족에 '이방인'으로 몸 붙여 살고 있었다. 신명 12,12.18-19 참조. 19장에 나오는 레위인도 베들레헴과 관련된다.
(이상, 발췌 끝)

4. 다른 한편으로, 지금까지 전달해 드린 바만으로는, 판관기 17,7 전후 문맥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여전히 힘들다는 생각입니다.

4-1. 다음은 판관기 제17장의 맨 처음에 주어진 "주석 성경"의 주석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17-18장19-21장은 판관기의 부록이라 할 수 있다. 사실 이 두 이야기에는 이민족의 억압, 그리고 3-16장의 '대(大)판관들'에 비길 수 있는 "구원자"의 개입이 나오지 않는다. 이 17장 이하의 단락은 유배 이후 왕정에 호의적인 편집자가 덧붙인 것이다.(*) 그 목적은 아마도, 왕조가 창설되기 전에 이스라엘 백성이 겪어야 했던 무정부 상태를 보여 주고 (17,6; 18,1; 19,1; 21,25 참조), 판관들에 관한 영웅 서사시에서 사무엘기에 전해지는 왕조의 기원 역사로 넘어가는 연결 구실을 하게 하는 데에 있을 것이다.

-----
(*) 발췌자 주: 이렇게 추정하는 이유는 판관기 20,17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에서 밝히고 있다.
-----

(이상, 발췌 끝).

4-2. 그런데, 위의 "주석 성경"의 설명에 대하여 이해가 잘 되시는지요?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 권유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12월19일 제1독서로 발췌되고 있는 판관기 13,2-8.24-25ㄱ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 첫 부분에 주어진, 판관기 13,1-21,25에 대한 요약 설명[삼손(Samson)이 속하였던 단(Dan) 지파의 이주 배경 포함]을 읽을 수 있습니다.

위의 "주석 성경"의 주석을 훨씬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상당히 좋은 해설이라는 생각입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5시간 (자료 조사 및 우리말 번역 포함)


951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