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convey와 communicate의 차이점 [교리용어_전달][_나누어줌] [_communication]

인쇄

. [218.55.90.*]

2013-06-04 ㅣ No.1395

+ 찬미 예수님!


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communicate(나누어 주다)" 라는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therealpresence.org/dictionary/c/c394.htm
(발췌 시작)
COMMUNICATE

 

In Christian spirituality, to share with another what one is or has, so that they are thereby united in being or possessions. Communicating material things necessarily means to be deprived of what is shared. But in things of the spirit, the one who communicates does not lose, say in teaching or loving another person, but is rather enriched by the communication.

 

나누어 주다/나누다(communicate)

 

그리스도인들의 영성(Christian spirituality)에 있어, 다른 이에게 자신인 바(what one is) 혹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바를 나누어 줌/나누는 것(to share with)을 말하는데, 그리하여 그 결과 그들이 바로 이 나누어 줌/나눔에 의하여(thereby) 있음(有, being)의 상태 혹은 소유(所有, possessions, 가지고 있음)들의 상태에 결합됩니다(is united). 질료적 사물들을 나누어 주는 것은 나누어 주게 되는 바를 빼앗기게 되는 것을 필연적으로 의미합니다. 그러나 영의 사물(things of the spirit)들에 있어, 나누어 주는 당사자는, 예를 들어(say) 다른 인격을 가르침 혹은 사랑함에 있어, 잃는 것이 아니라, 이 나누어 줌에 의하여 오히려  풍성하게 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 다음은 Mer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communicate" 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 단어의 고어가 "share" 와 동의어임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습니다:


출처: http://www.merriam-webster.com/wdictionary/communicate
(발췌 시작)

1
archaic : share
(이상, 발췌 끝)
 
3. 그리고 다음은 1611년 판 King James Version 에서 사용되었던 단어들 중에서 그 의미에 있어 변화된 단어들의 모음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 communicate unto -share with(...에게 나누어 주다), Gal. 6:6; Phil. 4:14,15; 1 Tim. 6:18; Heb. 13:16
  • communication -companionship(교제), 1 Cor. 15:33 -fellowship(공동체), Phlm. 6
    (이상, 발췌 끝)
  •  

    4.
    4-1.
    (이 글의 결론) 따라서, 바로 위의 제1-1항에 주어진 설명과의 비교/검토로부터 우리는, "communicate" 라는 동사의 의미가 전후의 문맥 안에서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신학적 용어로서 사용될 경우에는, 요즈음 세속에서 사용되는 이 동사의 의미인  "전달하다(convery, transfer)" 혹은 "전하다" 가 아니고"나누어 주다/나누다(share)"임을 확인하였습니다.

     

    4-2.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communicate" 라는 동사와 그 파생어들이 사용되고 있는 항들은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색인" 으로부터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출처:   
        2 communicant : 1416항(2번) [즉, 성체배령자; 프랑스어: communiant]
        1 communicants : 1988항      
       23 communicate : 52, 75, 80, 171, 257, 293, 319, 684, 713, 853, 948, 1084, 1118, 1127, 1146, 1171, 1208, 1380, 1692, 1983, 1987, 2485, 2833항
       10 communicated : 332, 731, 790, 908, 947(2번), 1082, 1287, 1697, 2494항
       14 communicates : 53, 236, 470, 683, 690, 739, 771, 774, 1076, 1155, 1160, 1551, 1617, 2655항
        6 communicating : 69, 788, 981, 1621, 1689, 2404항
       10 communication : 294, 1076, 1088, 2304, 2488, 2489, 2494, 2495(2번), 2496항
        6 communications : 906, 2492, 2493, 2512, 2525항 

    위의 항들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괄호 안의 표현은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해당 항에서의 번역 표현이며, 이들 중에는 번역 오류/미숙이 있다는 생각입니다:

     

    52(주시고자), 53(알려 주시고), 69(알리시어), 75(*축소 번역*), 80항(상통한다),
    171항(나누도록),
    236(주시는), 257(나누어 주고자), 293(나누시기), 294항(나누시는 것),
    319(함께 나누시려고), 332항(전해주는),
    470항(전달하신다),
    683, 684, 690항,
    713, 731, 739, 771, 774, 788, 790항,
    853항,
    906, 908, 947(2번), 948, 981항,
    1076(2번), 1082, 1084, 1088항,
    1118, 1127, 1146(3번), 1155, 1160, 1171항,
    1208, 1287항,
    1380항,
    1551항,
    1617, 1621, 1689, 1692, 1697항,
    1983, 1987, 1988항,
    2304항,
    2404, 2485, 2488, 2489, 2492, 2493, 2494(2번), 2495(2번), 2496항,
    2512, 2525항,
    2655항,
    2833항.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2시간 (자료 조사 포함)



    941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