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벳자타 못에서의 그 병자는 악의적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 요한 5,15 #<사순4주화복음> [성경공부_안식일]

인쇄

[218.55.90.*]

2013-06-30 ㅣ No.1407


+ 찬미 예수님!

다음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사순 제4주간 화요일 복음 말씀(요한 5,1-16) 전문입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1 유다인들의 축제 때가 되어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올라가셨다.

2 예루살렘의 ‘양 문’ 곁에는 히브리 말로 벳자타라고 불리는 못이 있었다.(*) 그 못에는 주랑이 다섯 채 딸렸는데, 3 그 안에는 눈먼 이, 다리 저는 이, 팔다리가 말라비틀어진 이 같은 병자들이 많이 누워 있었다.

(4)

5 거기에는 서른여덟 해나 앓는 사람도 있었다. 6 예수님께서 그가 누워 있는 것을 보시고 또 이미 오래 그렇게 지낸다는 것을 아시고는, “건강해지고 싶으냐?” 하고 그에게 물으셨다.

7 그 병자가 예수님께 대답하였다. “선생님, 물이 출렁거릴 때에 저를 못 속에 넣어 줄 사람이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가는 동안에 다른 이가 저보다 먼저 내려갑니다.”

8 예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일어나 네 들것을 들고 걸어가거라.” 9 그러자 그 사람은 곧 건강하게 되어 자기 들것을 들고 걸어갔다.

그날은 안식일이었다. 10 그래서 유다인들이 병이 나은 그 사람에게, “오늘은 안식일이오. 들것을 들고 다니는 것은 합당하지 않소.” 하고 말하였다.

11 그가 “나를 건강하게 해 주신 그분께서 나에게, ‘네 들것을 들고 걸어가라.’ 하셨습니다.” 하고 대답하자, 12 그들이 물었다.

“당신에게 ‘그것을 들고 걸어가라.’ 한 사람이 누구요?” 13 그러나 병이 나은 이는 그분이 누구이신지 알지 못하였다. 그곳에 군중이 몰려 있어 예수님께서 몰래 자리를 뜨셨기 때문이다.

14 그 뒤에 예수님께서 그 사람을 성전에서 만나시자 그에게 이르셨다. “자, 너는 건강하게 되었다. 더 나쁜 일이 너에게 일어나지 않도록 다시는 죄를 짓지 마라.” 15 그 사람은 물러가서 자기를 건강하게 만들어 주신 분은 예수님이시라고 유다인들에게 알렸다. 16 그리하여 유다인들은 예수님께서 안식일에 그러한 일을 하셨다고 하여, 그분을 박해하기 시작하였다.
(이상, 발췌 끝)

-----
(*) 게시자 주: 예루살렘 성전의 북쪽에 위치한 베자타(Bethesda) 못의 사진들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pilgrimage/Jerusalem_Bethesda.htm
-----

질문: 위의 제15절에 비추어 볼 때에, 벳자타 못에서의 이 병자는 자신의 치유자인 예수님에 대하여 어떤 악의(malice)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요?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답변: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사실 그가 왜 요한 복음서 5,15에 언급된 바와 같은 행동을 하였는지에 대하여 당사자가 아닌 어느 누구가 정확하게 추정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울 것입니다만,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악의가 있는(malignant) 것은 아니었다"는 것이 초기 교회 시절의 교부인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St. John Chrysostom, 347-407년)의 답변이며, 그리고 이 답변에 이후의 교부들(여기에는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노 포함)과 저술가들(여기에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 포함)은 이러한 주석에 동의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자신의 치유 이후에 그가 성전에 간 것을 성경 본문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가 커다란 신앙심(great religion)을 지닌 자라는 내용의 주석을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St. John Chrysostom) 는 또한 하였습니다.

그리고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그동안 들여다 본 영어 가톨릭 성경 주석서들 어디에서도, 그가 악의적이라는 언급은 읽은 기억은 없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요한 복음서 5,1-16은 다른 나머지 세 개의 복음서들 (즉, 공관 복음서들)에서 언급되지 않는 내용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2.
이번 항에서는, 요한 복음서 5,15에 대한 가톨릭 교회측의 주석들을 연대순으로 거꾸로 올라가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1.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사순 제4주간 화요일 복음 말씀(요한 5,1-16)에 대한 다음의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에는, 요한 복음서 5,15에 대한 해설이 없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lent_4_tue.htm

2-2. 요한 복음서 5,15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은 없습니다.

2-3. 요한 복음서 5,15에 대한 "NAB"의 주석은 없습니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john/john5.htm

2-4. 요한 복음서 5,15에 대한 Ha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 1859 의 주석은 없습니다. 그러나 1859년 판 이 가톨릭용 성경 주석서의 요한 복음서 5,8에 대한 주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 병자가 악의적이지 않았다고 주석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haydock1859.tripod.com/id96.html

(발췌 시작)
Ver. 8. Arise, take up thy bed, and walk. The man found himself healed at that very moment, and did as he was ordered, though it was the sabbath-day. The Jews blamed him for it: he told them, that he who had healed him, bade him do so. And who it was he knew not, till Jesus finding him in the temple, said to him: (ver. 14.) Sin no more, lest some worse thing happen to thee. Upon this he went, not out of malice, but out of gratitude, and told the Jews that Jesus had cured him. (Witham)


제8절. 일어나 네 들것을 들고 걸어가거라. 이 사람은 바로 이 순간에 자기 자신이 치유되었음을 발견하였으며, 그리고, 비록 그 날이 안식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에게 명해진대로 행하였습니다. 유다인들은 이것에 대하여 그를 비난하였으며, 그리고 그는 그들에게 자신을 이미 치유하셨던 분이 그렇게 하도록 명령하셨다고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분이 누구셨는지 그는, 예수님께서 성전에서 그를 발견하시고 그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실 때까지(제14절), 알지 못하였습니다: 더 나쁜 일이 너에게 일어나지 않도록 다시는 죄를 짓지 마라. 그러한 일이 있고 나서, 그는, 악의에 기인하여(out of malice)가 아니라, 감사에 기인하여(out of gratitude), 갔으며 그리고 유다인들에게 예수님께서 자신을 치유하셨다고 말하였습니다 (Witham).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7월 1일]

2-5.
다음은 The Great Biblical Commentary of Cornelius a Lapide (1567-1637년) 에 주어진 요한 복음서 5,15에 대한 주석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apologetics.info/scripture/newtestament/5john.htm

게시자 주: 며칠 전부터 현재까지도 자료 제공자측 서버로의 접속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발췌 시작)
Ver. 15. The man went away, and told, &c. Not out of malevolence, but from gratitude, that he might not hide the author of so great a kindness. So Augustine, Chrysostom, and others. " He went away and told," says Euthymius, " not as being wicked, that he might betray, but as being grateful, to disclose who was his benefactor. Because he thought he should be guilty of a crime if he kept silence, therefore he proclaimed the benefit."

제15절. - 그 사람은 물러가서, ... 알렸다. 악의(malevolence)에 기인하여서가 아니라, 감사(gratitude)에 기인하여, 그 결과 그는 너무도 커다란 친절(a kindness)의 주관자를 감출 수가 없었습니다. 아우구스티노(Augustine), 크리소스토모(Chrysostom), 그리고 다른 이들도 그러하였습니다. 에우티미오(Euthymius)는 "사악한 자로서 그가 배신하는 것이 아니라, 감사하는 자로서 자신의 은인이 누구였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그는 물러갔으며 그리고 말하였던 것입니다. 왜냐하면 만약에 그가 침묵을 지속한다면 그가 어떤 범죄에 대하여 유죄임이 틀림없다고 그가 생각하였기 때문에, 그래서 그는 이 구제(the benefit)를 선포하였습니다" 라고 말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7월 8일]

(발췌 시작)
Ver. 13. But he who was healed, &c. The man knew not the
name of Jesus, nor whither He had gone, nor indeed who He was,
for he had never seen Him before.

Departed. Euthymius gives the reason. "As soon as He had healed the man, He withdrew because of the crowd, partly to avoid the praise of the just, and partly to take away occasion for the envy of the unjust." S. Chrysostom gives another reason : That the man's testimony in the absence of Jesus might be less liable to suspicion. For if he who was healed had praised Christ to the Jews before His face, he might have seemed to have done it out of favour. But now that he praised Him in His absence, it is evident that he did so from the love of the truth.

떠났다. 에우티미오(Euthymius)가 다음과 같은 그 이유를 제시합니다. "그분께서 그 사람을 치유하시자마자, 그분께서는 군중 때문에 떠나셨는데, 부분적으로는 의로운 자들의 찬양(praise)을 피하기 위한 이유 때문에,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불의한 자들의 질투(envy)(*)의 기회를 제거하기 위한 이유 때문이었다."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S. John Chrysostom)는 다음과 같은 다른 이유를 제시합니다: 예수님의 부재 상태에서의 그 사람의 증언이 의심(suspicion)의 여지가 적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만약에 치유가 된 그자가 그분의 면전에서 유다인들을 향하여 그리스도를 찬양하였더라면, 그자가 인기 때문에(out of favor) 그것을 행하였을 것이라고 보였을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자가 그분의 부재 상태에서 그분을 찬양하였기 때문에, 그자가 진리에 대한 사랑으로부터 그렇게 하였던 것이 분명하다. 

-----
(*) 번역자 주: "질투(envy)"와 "시기(jealousy)"의 차이점에 대한 글은 다음에 있으니, 이들 두 용어들이 나타내는 개념들 사이의 커다란 차이점에 대하여 모르는 분들께서는 필독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36.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다른 한편으로,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위의 주석들과 다른 내용의 주석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께서는 또한 읽도록 하십시오:
http://dhspriory.org/thomas/CAJohn.htm#5 (성 아우구스티노의 주석)
http://dhspriory.org/thomas/John5.htm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주석)

[이상, 내용 추가 끝].

2-6.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요한 복음서 5,15에 대한 주석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dhspriory.org/thomas/John5.htm
(발췌 시작)

735 Then when he says, The man went off and related to the Jews, we see Jesus identified. Some think, as Chrysostom reports, that this man identified Jesus out of malice. But this does not seem probable: that he would be so ungrateful after receiving such a favor. He related to the Jews that it was Jesus who had cured him, in order to make it clear that Christ had the power to heal: “Come ... and I will tell you what great things the Lord has done for me,” as we read in the Psalm (65:16). This is obvious, for they had asked him who commanded him to pick up his mat, but he told them that it was Jesus who had cured him.

735 그런 다음에 그(즉, 복음사가 요한)가 "그 사람은 물러가서 유다인들에게 알렸다" 라고 말할 때에, 우리는 예수님께서 식별되셨음을(identified) 압니다. 어떤 이들은, 크리소스토모(Chrysostom)가 보고하듯이(reports), 바로 이 사람이 악의(malice) 때문에 예수님을 확인하였다고(identified)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호의(favor)를 입은 후에 그런 식으로(so) 은혜를 모를 것으로 생각되지 않습니다. 그는, "와서 들어라. ... 그분께서 내게 하신 [위대한] 일을 내가 들려주리라" 라고 우리가 시편 (66,16)에서 읽듯이, 그리스도께서 치유하는 힘을 가지셨음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자기를 건강하게 만들어준 분은 예수님이시라고 유다인들에게 말하였습니다." 이것은 분명한데, 이는 누구가 그에게 자신의 들것을 들고 걸어가라고 명령하였는지를 그들이 이미 물었으나, 그러나 그는 그들에게 "자기를 건강하게 만들어 준 분은 예수님이시다" 라고 말하였기 때문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1) 요한 복음서 5,9ㄴ-18에 대한, 위의 주소에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주석을 잘 읽어보면, 예수님께 악의(malice)를 가지고 있었던 자들은, 이 병자가 아니라, 유다인들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바로 위에 발췌된 부분에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주석에서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St. John Chrysostom, 347-407년)가 언급되고 있는데, 이 언급은 우선적으로, 가톨릭 교회 교도권의 사용을 위하여, 교황 우르바노 4세명령에 의하여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에 의하여 편집되어 마련되었던신약 성경 네 복음서들에 대한 가톨릭 교회 교부들 및 신뢰할 수 있는 주석자들의 주석들의 모음집인 다음의 The Golden Chain(Catena Aurea)에서의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의 주석을 말한다는 생각입니다:

3.
3-1.
다음은 요한 복음서 5,14-18에 대한 The Golden Chain(Catena Aurea)의 주석입니다. 우리말 번역은 필자가 한 것입니다:

출처:
http://dhspriory.org/thomas/CAJohn.htm#5 
(발췌 시작)

CHRYS. The man, when healed, did not proceed to the market place, or give himself up to pleasure or vain glory, but, which was a great mark of religion, went to the temple: Afterward Jesus finds him in the temple.

요한 크리소스토모(John Chrysostom, 347-407년). 이 사람은, 치유가 된 때에, 장터로 나아가거나, 혹은 즐거움(逸樂, pleasure)(*) 혹은 허영(vain glory)에 자기 자신을 넘겼던 것이 아니고, 성전으로 갔는데, 이것은 신앙심(religion)에 대한 어떤 커다란 표시였습니다: 그 이후에 예수님께서 성전에서 그를 발견하십니다.

-----
(*) 번역자 주: "기쁨(joy)"과 "즐거움(逸樂, pleasure)"의 차이점에 대한 글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05.htm 
----- 

AUG. The Lord Jesus saw him both in the crowd, and in the temple. The impotent man does not recognize Jesus in the crowd; but in the temple, being a sacred place, he does. ALCUIN. For; if we would know our Maker’s grace, and attain to the sight of Him, we must avoid the crowd of evil thoughts and affections, convey ourselves out of the congregation of the wicked, and flee to the temple; in order that we may make ourselves the temple of God, souls whom God will visit, and in whom He will deign to dwell.

And (He) said to him, Behold, you are made whole; sin no more, lest a worse thing come upon you.
 
CHRYS. Here we learn in the first place, that his disease was the consequence of his sins. We are apt to bear with great indifference the diseases of our souls; but, should the body suffer ever so little hurt, we have recourse to the most energetic remedies. Wherefore God punishes the body for the offenses of the soul. Secondly, we learn, that there is really a Hell. Thirdly, that it is a place of lasting and infinite punishment. Some say indeed, Because we have corrupted ourselves for a short time, shall we be tormented eternally? But see how long this man was tormented for his sins. Sin is not to be measured by length of time, but by the nature of the sin itself. And besides this we learn, that if, after undergoing a heavy punishment for our sins, we fall into them again, we shall incur another and a heavier punishment still: and justly; for one, who has undergone punishment, and has not been made better by it, proves himself to be a hardened person, and a despiser; and, as such, deserving of still greater torments. Nor let it embolden us, that we do not see all punished for their offenses here: for if men do not suffer for their offenses here, it is only a sign that their punishment will be the greater hereafter. Our diseases however do not always arise from sins; but only most commonly so. For some spring from other lax habits: some are sent for the sake of trial, as Job’s were. But why does Christ make mention of this palsied man’s sins? Some say, because he had been an accuser of Christ [그러나 왜 그리스도께서 이 마비된(palsied) 자의 죄들에 대하여 언급하십니까? 어떤 이들은 말하기를, 왜냐하면 그가 이미 그리스도에 대한 비난자(an accuser)였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And shall we say the same of the man afflicted with the palsy? For he too was told, Your sins are forgiven you? The truth is, Christ does not find fault with the man here for his past sins, but only warns him against future. In heeling others, however, He makes no mention of sins at all: so that it would seem to be the case that the diseases of these men had arisen from their sins; whereas those of the others had come from natural causes only. Or perhaps through these, He admonishes all the rest. Or he may have admonished this men, knowing his great patience of mind, and that he w would bear an admonition. It is a disclosure too of His divinity, for He implies in saying, Sin no more, that He knew what sins He had committed.
 
AUG. Now that the man had seen Jesus, and knew Him to be the author of his recovers, he was not slow in preaching Him to others: The man departed, and told the Jews that it was Jesus which had made him whole.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노(Augustine, 354-430년). 이 사람은 예수님을 이미 보았으며, 그리고 당신께서 자신의 회복의 주관자이심을 알았기 때문에, 그는 다음과 같이 다른 이들에게 그분을 선포하는 데(preaching)에 있어 더디지 않았습니다: 이 사람은 떠났으며 그리고 자신을 이미 완전하게(whole) 만들어 주신 분이 예수님이셨음을 유다인들에 말하였습니다.(*)

-----
(*) 번역자 주: 이 주석의 출처,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노의 요한 복음서에 대하 강론집[Tractates (Lectures) on the Gospel of John], Tractate XVII, 12 는 다음에 있다: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cao.htm#i1
http://www.newadvent.org/fathers/1701017.htm
-----

CHRYS. He was not so insensible to the benefit, and the advice he had received, as to have any malignant aim in speaking this news. Had it been done to disparage Christ, he could have concealed the cure, and put forward the offense. But he does not mention Jesus’ saying, Take up your bed, which was an offense in the eyes of the Jews; but told the Jews that it was Jesus which had made him whole.

요한 크리소스토모(John Chrysostom, 347-407년). [그가] 바로 이 소식을 말함에 있어 어떤 악의가 있는 의도를 가졌는지에 관하여, 그는 [자신이 입은] 혜택(the benefit)과, 그리고 그가 이미 받았던 충고에 대하여 그러한 방식으로 무감각한(insensible) 것은 아니었습니다. 만약에 그것이 그리스도를 비난하기(disparage) 위하여 행하여졌더라면, 그는 이 치유를 감추었을 것이며, 그리고 이 무례를 주장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는, 유다인들의 눈들에 있어 한 개의 침범이었던, "네 들것을 들고 걸어가라" 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언급하지 않고, 다만 유다인들에게 자신을 이미 완전하게(whole) 만들어 주신 분이 예수님이셨다고 말하였습니다.
 
AUG. This announcement enraged them, And therefore did the Jews persecute Jesus, because He had done these things on the sabbath day. A plain bodily work had been done before their eyes, distinct from the healing of the man’s body, and which could not have been necessary, even if healing was; viz. the carrying of the bed. Wherefore our Lord openly says, that the sacrament of the Sabbath, the sign of observing one day out of seven, was only a temporary institution, which had attained its fulfillment in Him: But Jesus answered them, my Father works hitherto , and I work: as if He said, Do not suppose that My Father rested on the Sabbath in such a sense, as that from that time forth, He has ceased from working; for He works up to this time, though without labor, and so work I. God’s resting means only that He made no other creature, after the creation. The Scripture calls it rest, to remind us of the rest we shall enjoy after a life of good works here. And as God only when He had made man in His own image and similitude, and finished all His works, and seen that they were very good, rested on the seventh day: so do you expect no rest, except you return to the likeness in which you were made, but which you have lost by sin; i.e. unless you do good works. AUG. It may be said then, that the observance of the sabbath was imposed on the Jews, as the shadow of something to come; viz. that spiritual rest, which God, by the figure of His own rest promised to all who should perform good works. AUG. There will be a sabbath of the world, when the six ages, i.e. the six days, as it were, of the world, have passed: then will come that rest which is promised to the saints. AUG. The mystery of which rest the Lord Jesus Himself sealed by His burial: fore He rested in His sepulcher on the sabbath, having on the sixth day finished all His work, inasmuch as He said, It is finished. What wonder then that God, to prefigure the day on which Christ was to rest in the grave, rested one day from His works, afterwards to carry on the work of governing the world. We may consider too that God, when He rested, rested from the work of creation simply, i.e. made no more new kinds of creatures: but that from that time till now, He has been carrying on the government of those creatures. For His power, as respects the government of heaven and earth, and all the things that He had made, did not cease on the seventh day: they would have perished immediately, without His government: because the power of the Creator is that on which the existence of every creature depends. If it ceased to govern, every species of creation would cease to exist: and all nature would go to nothing. For the world is not like a building, which stands after the architect has left it; it could not stand the twinkling of an eye, if God withdrew His governing hand. Therefore when our Lord says, My Father works hitherto, he means the continuation of the work; the holding together, and governing of the creation. It might have been different, had He said, Works even now. This would not have conveyed the sense of confirming. As it is we find it, Until now; i.e. from the time of the creation downwards. AUG. He says then, as it were, to the Jews, Why think you that I should not work on the sabbath? The sabbath day was instituted as a type of Me. You observe the works of God: by Me all things were made. The Father made light, but He spoke, that it might be made. If He spoke, then He made it by the Word; and I am His Word. My Father worked when He made the world, and He works until now, governing the world: and as He made the world by Me, when He made it, so He governs it by Me, now He governs it. CHRYS. Christ defended His disciples, by putting forward the example of their fellow-servant David: but He defends Himself by a reference to the Father. We may observe too that He does not defend Himself as man, nor yet purely as God, but sometimes as one, sometimes as the other; wishing both to be believed, both the dispensation of His humiliation, and the dignity of His Godhead; wherefore He shows His equality to the Father, both by calling Him His Father emphatically. (My Father), and by declaring that He does the same things, that the Father does, (And I work). Therefore, it follows, the Jews sought the more to kill Him, because he not only had broken the sabbath, but said also that God was His Father. AUG. i.e. not in the secondary sense in which it is true of all of us, but as implying equality. For we all of us say to God, Our Father, Which art in heaven. And the Jews say, You are our Father. They were not angry then because He called God His Father, but because He called Him so in a sense different from men. AUG. The words, My Father works hitherto, and I work, suppose Him to be equal to the Father. This being understood, it followed from the Father’s working, that the Son worked: inasmuch as the Father does nothing without the Son. CHRYS. Were He not the Son by nature, and of the same substance, this defense would be worse than the former accusation made. For no prefect could clear Himself from a transgression of the king’s law, by urging that the king broke it also. But, on the supposition of the Son’s equality to the Father, the defense is valid. It then follows, that as the Father worked on the Sabbath without doing wrong: the Son could do so likewise. AUG. So, the Jews understood what the Arians do not. For the Arians say that the Son is not equal to the Father, and hence sprang up that heresy which afflicts the Church. CHRYS. Those however who are not well-disposed to this doctrine, do not admit that Christ made Himself equal to the Father, but only that the Jews thought He did. But let us consider what has gone before. That the Jews persecuted Christ, and that He broke the sabbath, and said that God was His Father, is unquestionably true. That which immediately follows then from these premises, viz. His making Himself equal with God, is true also. HILARY. The Evangelist here explains why the Jews wished to kill Him. CHRYS. And again, had it been that our Lord Himself did not mean this, but that the Jews misunderstood Him, He would not have overlooked their mistake. Nor would the Evangelist have omitted to remark upon it, as he does upon our Lord’s speech, Destroy this temple. AUG. The Jews however did not understand from our Lord that he was the Son of God, but only that He was equal with God; though Christ gave this as the result of His being the Son of God. It is from not seeing this, while they saw at the same time that equality was asserted, that they charged Him with making Himself equal with God: the truth being, that He did not make Himself equal, but the Father had begotten Him equal.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들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그렇다면,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of Hippo, 354-430년)도, 위의 주석에서처럼, 간접적인 방식으로 지지하고 있는 있는, 위의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St. John Chrysostom, 347-407년)의 주석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 볼 필요가 있을 것이며, 이것은 이어지는 제3-2항에 발췌해 드립니다:

3-2. 다음은 요한 복음서 5,15에 대한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St. John Chrysostom, 347-407년)의 주석입니다. 우리말 번역은 필자가 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c5k.htm#ec

게시자 주: http://www.clerus.org 는 교황청에 근무하는 성직자 및 수도자들에게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문헌들 및 자료들을 엄선하여 제공하고 있는 홈페이지로 알고 있습니다.

(발췌 시작)
Jn 5,15. “The man departed, and told the Jews that it was Jesus that had made him whole.”

요한 복음서 5,15. "그 사람은 물러가서 자기를 건강하게 만들어 주신 분은 예수님이시라고 유다인들에게 알렸다."

Again observe him continuing in the same right feeling. He saith not, “This is he who said, Take up thy bed,” but when they continually advanced this seeming charge, he continually puts forward the defense, again declaring his Healer, and seeking to attract and attach others to Him. For he was not so unfeeling as after such a benefit and charge to betray his Benefactor, and to speak as he did with an evil intention. Had he been a wild beast, had he been something unlike a man and of stone, the benefit and the fear would have been enough to restrain him, since, having the threat lodged within, he would have dreaded lest he should suffer “a worse thing,” having already received the greatest pledges 14 of the power of his Physician. Besides, had he wished to slander Him, he would have said nothing about his own cure, but would have mentioned and urged against Him the breach of the Sabbath. But this is not the case, surely it is not; the words are words of great boldness and candor; he procaims his Benefactor no less than the blind man did. For what said he? “He made clay, and anointed mine eyes” (c. 9,6); and so this man of whom we now speak, “It is Jesus who made me whole.”

또다시 그가 동일한 올바른 느낌(the same right feeling)에 있어 계속함을 주목하십시오. 그는 "일어나 네 들것을 들고 걸어가거라고 말씀하셨던 분이 바로 그분이십니다" 라고 말한 것이 아니고, 그들이 바로 이러한 그럴듯한 비난(seeming charge)을 계속하여 제안하였을(advanced) 때에, 그는 또다시 자신의 거룩한 치유자(Healer)를 언명함으로써(declaring), 그리고 그분 쪽으로 다른 이들을 끌어당기고 또 끌어당김을 시도함으로써, 이 방어(the defense)를 계속하여 제안합니다. 이는, 그러한 혜택 이후에, 자신의 거룩한 은인(Benefactor)을 배반하고, 그리하여 어떤 악한 의도(an evil intention)와 함께 그가 행동하면서 말할 정도로 그렇게 냉혹한(unfeeling) 것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그가 한 명의 야수(a wild beast)였더라면, 사람 같지 않은 그리고 무정한(of stone) 그 무엇이었더라면, 이 혜택과 두려움은 그를 억제하기에(restrain) 충분하였을 것인데, 왜냐하면, 안쪽에 예치되어 있는 징후(threat)를 이미 가짐으로써, 그는, 자신의 거룩한 치료자(Physician)의 힘에 기인하는 가장 커다란 언질(pledges)들을 이미 받았기에, 혹시라도 그가 "어떤 더 좋지 않은 일"을 겪지나 않을까 하고 무서워하였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밖에, 만약에 그가 그분을 중상하는(slander) 것을 원하였더라면(wished),(*) 그는 자신의 독특한 치유에 관하여 아무 것도 말하지 않고, 그분께 반하여 안식일의 위반(berach)을 언급하였을 것이며 그리고 비난하였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사실이 아닌데, 확실하게 그렇지 않으며, 그리고 그 표현들은 커다란 대단함(boldness)과 솔직(candor)의 표현들이며, 그리고 그는 눈이 먼 사람(the blind man)이 하였던 것보다 결코 덜하지 않게(no less than) 자신의 거룩한 은인(Benefactor)을 선포합니다(proclaims). 이는 눈이 먼 자가 뭐라고 말하였습니까? "그분께서는 진흙을 개어 저의 눈에 바르셨습니다" (요한 복음서 9,6 참조), 그리고 마찬가지 방식으로 우리가 지금 말하고 있는 바로 이 사람은, "저를 건강하게 만들어 준 분은 예수님이십니다," 라고 말하였기 때문입니다. 

-----
(*) 번역자 주: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말하는 "중상(中傷, slander, calumny)" 이라는 용어의 의미/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94.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4. 그러므로, 요한 복음서 5,15에 대하여, 만약에 지금까지 이 글에서 전달해 드렸던 전통적 가톨릭 주석들의 내용들이 국내의 가톨릭계에 이미 널리 알려졌더라면, 예를 들어, 이 절에 대한 다음과 같은 주관적이고 개인적 느낌 수준의 주석은 어쩌면 제시될 수가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발췌 시작)
[200주년 신약성서 “요한복음서” 주석서, 분도출판사]
“치유된 자의 밀고행위(?)가 언급된 내용이다. 이 행위로 인해 예수와 유대인들의 논쟁(16절 이하)이 야기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치유된 자의 배은망덕(?)도 시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 발췌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8시간 (자료조사 및 우리말 번역 포함)



936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