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다해-II_부록3] 구원을 허락하기 위한 표징들인 그리스도의 기적들 -요한 바오로 2세 교리교육 1987.12.02 869_KH_JPII [하늘나라_요한바오로2세] 832_

인쇄

1987.12.02. [122.128.37.*]

2009-12-17 ㅣ No.893

 

+ 찬미 예수 

 

아래의 번역문은 1992년에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초판 발행이 있기 몇년 전인 1987년에 주신, "하느님의 나라", "하늘 나라", 그리고 "가톨릭 교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일반 알현 교리 교육 강론 말씀입니다.
 
이 글은 가톨릭 교회가 전통적으로, 마태오 복음서에서 언급되고 있는 "하늘 나라"가 사실은 "가톨릭 교회"라고 가르쳐 왔고 또 지금도 가르치고 있음을 국내의 가톨릭 교우님들께서 분명하게 이해하시는 데에 도움을 드리고자 마련한 번역문들 중의 하나이오니, 지상에서 펼쳐지는 구원의 여정에 있어 핵심인 이 중요한 신앙적 진실을 여태 모르고 계셨던 교우님들께서는, 별도의 시간을 내어서라도, 아래의 글을 차분히 차근 차근 잘 읽어 보실 것을 강력하게 요청합니다.
 
인터넷으로 검색을 해 보면 생각보다도 많은 가톨릭 교우님들이 강생하신 성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핵심 가르침에 대한 교도권의 전통적 해석에 대하여 모르고 계시는 듯하여, 개인적으로 상당히 우울합니다.
 
"하늘 나라(천국, kingdom of heaven)"와 "천당(heaven, 하늘)"의 차이점에 대하여, 그리고 예수 재림의 날까지의 "가톨릭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신 바로 그 "하늘 나라(천국, kingdom of heaven)"임에 대하여 분명하게 언급하고 있는 우리말로 번역된 자료들이 별로 없는 듯 하며, 심지어 굿뉴스 제공 가톨릭 대사전 및 용어 사전에도 잘못 언급하고 있기에, 누구나 손쉽게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드리고자, 매우 고통스럽지만 부득불, 우선적으로, 이 가르침을 주시는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강론말씀들 몇 개를, 향후 약 한 달 동안, 시리즈의 형식으로 우리말로 번역하여 올려드릴 계획입니다.
 
다음의 번역문은,
지금 다루고 있는 주제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87년 12월 2일자 강론 말씀입니다.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전체 일반 알현 강론 말씀들 중에서 약 17개 정도이 하늘 나라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가르침들인데, 이번의 글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10개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올려드렸습니다. 주변의 분들에게 이 중요한 신앙적 진실/사실을 많이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올려드리는 글들을 읽어 보라고 권고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다음의 주소들을 클릭하시면 그동안 이 하늘 나라를 제대로 인식하기 위하여 제가 올려드린, 그리고 앞으로 제가 올려드릴, 글들을 손쉽게 읽으실 수 있겠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Kingdom_of_heaven.htm <----- 필독 권고 

[주: 하늘 나라에 관한 졸글들의 전체 모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John_Paul_II4Kingdom_of_heaven.htm <----- 필독 권고  

[주: 하늘 나라에 대한 직접적인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일반 알현 강론 말씀 모음]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question_and_answer <----- 클릭한 후에 살펴보십시오

[주:(저의 졸글들을 모아두는,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인터넷 주소]

 

제가 올려드리는 글들을 읽어 보라고 권고하실 때에, 위의 주소들을 함께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Christ's Miracles—Salvific Signs
General Audience — December 2, 1987

출처: Christ's Miracles-Salvific Signs
(General Audience, 1987년 12월 2일)

 

구원을 허락하기 위한 표징들인 그리스도의 기적들
일반 알현 - 1987년 12월 2일
요한 바오로 2세

 

There is no doubt about the fact that in the Gospels Christ's miracles are presented as signs of the kingdom of God which has entered the history of mankind and of the world. "If I drive out demons by the Spirit of God, then the kingdom of God has come upon you," Jesus said (Mt 12:28). Whatever may be said or has been said on the subject of miracles (and this was answered by the Christian apologists), it is certain that one cannot separate from the authentic Gospel context the "mighty deeds, wonders and signs" attributed to Jesus, and even to his apostles and disciples "working in his name." In the apostolic preaching from which the Gospels principally derive, the early Christians heard the testimony of eyewitnesses about those extraordinary events which had occurred in the recent past and could therefore be checked under the critical-historical aspect. For that reason they were not surprised that they were included in the Gospel. Regardless of the objections of later times, one thing emerges as certain from the genuine sources of Christ's life and teaching. The apostles, the evangelists, and the whole primitive Church saw in each of those miracles the supreme power of Christ over nature and its laws. He who reveals God as Father, Creator and Lord of creation, when performing miracles by his own power, reveals himself as Son, one in being with the Father and equal to him in lordship over creation.

 

복음서들에서 예수님의 기적들이, 인류의 역사 및 세계의 역사에 이미 시작한, 하느님 나라에 대한 표징(signs)들로서 제시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하여서는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예수님께서 “내가 하느님의 영으로 마귀들을 쫓아내는 것이면, 하느님의 나라가 이미 너희에게 와 있는 것이다.”(마태오 복음서 12,28) 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무엇이든지 기적들에 관하여 말해질 수 있거나 혹은 이미 말해졌다고 하더라도 (그리고 이것은 그리스도교의 호교론자들에 의하여 답변되었습니다), 우리가, 예수님께 귀속되는, 그리고 심지어 “당신의 이름으로 활동 중인” 당신의 사도들과 제자들에게 귀속되는, “기적들, 이적들 그리고 표징들”을 믿을 만한 복음서 문맥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음은 확실하다고 생각합니다. 거기로부터 복음서들이 주로 비롯되는, 사도들의 설교들에서, 초기의 그리스도인들은 최근의 과거에 발생하였기에 그리하여 역사 비평적 관점 하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이러한 놀랄 만한 사건들에 관한 목격자들의 증언을 들었습니다. 바로 이 이유 때문에 그들은 이 사건들이 복음에 포함되었음에 대하여 놀라워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시기들의 반대들에 상관없이,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의 참된 원천들로부터 한 개의 뚜렷한 사실(one thing)가 분명하게 나타납니다. 사도들, 복음사가들, 그리고 초기 교회 전체는 이들 기적들 각각에서 자연과 자연 법칙들에 대한 그리스도의 지고한 권능(power)을 보았습니다. 하느님을 성부, 창조자 그리고 피조물의 주님으로 드러내시는 당신께서, 당신 고유의 힘으로써 기적들을 행하실 때에, 성부와 한 본체이시며 그리고 피조물에 대한 주님 되심에 있어 성부와 동등하신, 성자(Son)로서 당신 자신을 드러내십니다.

 

Some miracles, however, present other aspects which complement the basic significance of proof of the divine power of the Son of Man in the order of the economy of salvation.

 

그러나 어떤 기적들은 구원 경륜의 질서 안에서 사람의 아들의 신성한 힘에 대한 증명의 근본적 중요성을 보완하는 다른 양상들을 제시합니다.

 

Speaking of the first sign performed at Cana of Galilee, the evangelist John observed that by means of that sign Jesus "manifested his glory and his disciples believed in him" (Jn 2:11). The miracle therefore has a finality of faith, but it took place during a wedding feast. One may therefore say that, at least in the evangelist's intention, the "sign" serves to emphasize the whole divine economy of the covenant and of grace which is frequently expressed in the image of marriage in the books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The miracle at Cana of Galilee could therefore be related to the parable of the wedding feast which a king had prepared for his son, and with the eschatological kingdom of heaven which is similar to such a banquet (cf. Mt 22:2). Jesus' first miracle could be understood as a sign of this kingdom, especially since "Jesus' hour," that is, the hour of his passion and glorification, had not yet arrived (Jn 2:4; cf. 7:30; 8:20; 12:23-27; 13:1; 17:1). That "hour" was to be prepared by the preaching of the "Gospel of the kingdom" (cf. Mt 4:23; 9:35). The miracle obtained through Mary's intercession can be considered as a sign and a symbolic announcement of what was about to happen.

 

갈릴래아 지역의 카나에서 행해졌던 첫 표징에 대하여 말하면서, 복음사가 요한은 바로 이 표징으로 예수님께서 “당신의 영광을 드러내셨다. 그리하여 제자들은 예수님을 믿게 되었다”(요한 복음서 2,11)라고 말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이 기적은 믿음이라는 궁극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런데 이 기적은 혼인 잔치 동안에 발생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적어도 이 복음사가의 의도 안에서, 이 “표징”이, 구약 및 신약 성경들의 경전들에 있어 혼인에 대한 묘사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 계약의 그리고 은총의 신성한 경륜 전체를 강조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갈릴래아 지역의 카나에서의 이 기적은 어떤 왕이 자신의 아들을 위하여 마련하였던 혼인 잔치의 비유에 관련지어질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그러한 잔치와 유사한, 종말론적 하늘 나라와 관련될 수 있을 것입니다(마태오 복음서 22,2를 참조하라). 예수님의 첫 기적은, 특별히 “예수님의 때”가, 즉 당신의 수난과 영광의 시간이, 아직 오지 않았기 때문에, 이 나라에 대한 표징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요한 복음서 2,4; 그리고 7,30; 8,20; 12,23-27; 13,1; 17,1을 참조하라). 이 “때”는 “이 나라에 대한 복음”의 설교에 의하여 준비될 예정이었습니다(마태오 복음서 4,23; 9,35를 참조하라). 마리아의 중재(intercession)를 통하여 얻게 되었던 이 기적은 앞으로 발생할 바에 대한 하나의 표징으로서 그리고 하나의 상징적 공표(announcement)로 생각될 수 있습니다.

 

The miracle of the multiplication of the loaves which took place near Capernaum can be understood much more clearly as a sign of the economy of salvation. John linked it to the discourse held by Jesus the following day. He insisted on the necessity of acquiring through "faith in him who has sent me" (Jn 6:29), the food that does not perish. He spoke of himself as the true bread which "gives life to the world" (cf. Jn 6:33), and indeed as the one who gives his flesh "for the life of the world" (cf. Jn 6:51). The pre-announcement of the salvific passion and death is clear, not without reference to and preparation for the Eucharist which was to be instituted on the day before his passion, as the sacrament-bread of eternal life (cf. Jn 6:52-58).

 

카파르나움 근처에서 발생하였던 빵들의 증식 기적(the miracle of the multiplication of the loaves, 즉 오병이어 기적)은 훨씬 더 분명하게 구원 경륜의 표징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요한은 이것을 예수님에 의하여 그 다음 날 지속되었던 설교로 연결하였습니다. 당신께서는 썩지 않는 양식을, “나를 보내셨던 분에 대한 믿음”(요한 복음서 6,29)을 통하여, 자신 고유의 것으로 획득하여야 할 필요성에 대하여 강조하셨습니다. 당신께서는 당신 자신에 대하여 “세상에 생명을 주는”(요한 복음서 6,33을 참조하라) 참된 빵이라고, 그리고 진실로 "세상에 생명을 주기" 위하여 당신의 살을 주시는 분이시라고(요한 복음서 6,51을 참조하라) 말씀하셨습니다. 영원한 생명의 성사-빵으로서, 당신의 수난 전날에 제정될 예정이었던 성찬례에 대한 암시 그리고 이에 대한 준비가 없지 아니한, 구원하는 혹은 구속하는 의지 혹은 힘을 가진(salvific) 수난 그리고 죽으심에 대한 예고(pre-announcement)가 분명합니다(요한 복음서 6,52-58을 참조하라).

 

The calming of the storm on the Lake of Genesareth can be understood as a sign of the constant presence of Christ in the barque of the Church, which is frequently exposed to the fury of the wind during stormy periods in the course of history. Awakened by the disciples, Jesus rebuked the wind and the sea and there was a great calm. Then he said to them, "Why are you terrified? Do you not yet have faith?" (Mk 4:40). In this, as in other events, one perceives Jesus' will to inculcate in the apostles and disciples faith in his operative and protective presence. This is true even in the most tempestuous periods of history in which the human spirit might possibly be tempted by a doubt about Jesus' divine assistance. Christian preaching and spirituality frequently interpret the miracle as a sign of Jesus' presence and a guarantee of trust in him on the part of Christians and of the Church.

 

겐네사렛 호수(갈릴래아 호수) 상의 폭풍우를 가라앉히심은, 역사의 과정에서 격동의 시대(stormy periods)들 동안 바람의 분노(the fury of the wind)에 자주 노출되는, 교회라는 돛단배(barque) 안에 그리스도의 지속적 현존에 대한 표징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제자들에 의하여 깨어나, 예수님께서는 바람과 호수를 꾸짖으셨으며 그 결과로 커다란 고요가 있었습니다. 그런 다음에 당신께서는 그들에게, “왜 겁을 내느냐? 아직도 믿음이 없느냐?” 하고 말씀하셨습니다(마르코 복음서 4,40). 이 사건에 있어, 다른 사건들에서처럼, 우리는 사도들과 제자들 안에 당신의 활동하시며 보호하시는 현존에 대한 믿음을 가르쳐 심고자 하는 예수님의 의지를 인식합니다. 이것은 심지어, 그 안에서 인간의 영이 아마도 예수님의 거룩한 도우심에 관한 의심 때문에 유혹을 받을 수도 있는, 역사의 가장 소란스러운 기간들에 있어서도 사실입니다. 그리스도교의 설교와 영성은 이 기적을 그리스도의 현존과 그리스도인들의 그리고 교회의 당신에 대한 신뢰에 대한 보증으로 자주 해석합니다.

 

Going toward his disciples walking on the water, Jesus offered them another sign of his presence, and gave an assurance of a constant watchfulness over his disciples and the Church. "Take courage, it is I, do not be afraid!" Jesus said to the apostles who had thought he was a ghost (cf. Mk 6:49-50; cf. also Mt 14:26-27; Jn 6:16-21). Mark notes the apostles' astonishment "because they had not understood the incident of the loaves and their hearts were hardened" (Mk 6:52). Matthew recounts Peter's question and his desire to get out of the boat and walk on the water toward Jesus. Matthew records Peter's fear and his cry for help when he saw that he was beginning to sink. Jesus saved him but rebuked him gently, "O you of little faith, why did you doubt?" (Mt 14:31). Matthew also adds that "those who were in the boat did him homage, saying, 'Truly, you are the Son of God'" (Mt 14:33).

 

물위를 걸어서 당신의 제자들에게 다가가시면서,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당신의 현존에 대한 또 하나의 표징을 제공하셨으며, 그리고 당신의 제자들과 교회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주의깊게 지켜보시고 경청하실 것(watchfulness)임을 보증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유령으로 생각하였던 당신의 제자들에게 “용기를 내어라.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라고 말씀하셨습니다(마르코 복음서 6,49-50를 참조하라; 그리고 또한 마태오 복음서 14,26-27; 요한 복음서 6,16-21을 참조하라). 마르코는 “그들은 빵의 기적을 깨닫지 못하고 오히려 마음이 완고해졌던 것이다”(마르코 복음서 6,52)라고 사도들의 놀람(astonishment)을 특별히 언급합니다. 마태오는 베드로의 질문 그리고, 배에서 내려 예수님을 향하여 물 위로 걷고자 하는, 그의 바람(desire)을 자세히 말합니다. 마태오는 베드로의 두려움 그리고 자신이 물에 빠져들기 시작하는 것을 그가 보았을 때에 도움을 청하는 그의 외침을 기록합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를 구해주셨으나 온화하게 그를 “이 믿음 약한 자야, 왜 의심하였느냐?” 라고 꾸짖으셨습니다(마태오 복음서 14,31). 마태오는 또한 “배 안에 있던 사람들이 그분께 엎드려 절하며, ‘스승님은 참으로 하느님의 아드님이십니다’”(마태오 복음서 14,33) 라고 덧붙여 말합니다.

 

The miraculous catches of fish are, for the apostles and the Church, the signs of the fruitfulness of their mission if they remain deeply united to Christ's saving power (cf. Lk 5:4-10; Jn 21:3-6). Indeed Luke includes in the narrative the fact that Peter threw himself at the knees of Jesus exclaiming, "Depart from me, Lord, for I am a sinful man" (Lk 5:8). Jesus replied, "Do not be afraid; from now on you will be catching men" (Lk 5:10). John in his turn follows up the catch of fish after the resurrection with Christ's command to Peter, "Feed my lambs, feed my sheep" (cf. Jn 21:15-17). It is a significant association.

 

사도들과 교회에 있어, 이 기적적인 고기잡이들은 그들이 그리스도의 구원하시는 힘에 깊숙이 일치되어 머물러 있으면 그들의 임무가 열매를 많이 맺을 것임에 대한 표징들을 말합니다(루카 복음서 5,4-10; 요한 복음서 21,3-6을 참조하라). 실제로 루카는 이 이야기에 베드로가, “주님, 저에게서 떠나 주십시오. 저는 죄 많은 사람입니다”(루카 복음서 5,8)라고 외치면서, 예수님의 무릎 앞에 엎드렸다는 사실을 포함시킵니다. 예수님께서는 “두려워하지 마라. 이제부터 너는 사람을 낚을 것이다”라고 응답하셨습니다(루카 복음서 5,10). 요한은 자신의 차례에서 이 고기잡이를 당신의 부활 후에, “내 어린 양들을 돌보아라. 내 양들을 돌보아라”(요한 복음서 21,15-17)라는, 베드로를 향한 그리스도의 명령과 함께 뒤따라갑니다. 이것은 의미 깊은 연상(association)입니다.

 

So it can be said that Christ's miracles are a manifestation of the divine omnipotence in regard to creation, which is revealed in his messianic power over people and things. At the same time, they are signs which reveal the divine work of salvation. This is the economy of salvation which is introduced with Christ, is realized definitively in human history, and is thus inscribed in this visible world which is also a divine work. The people—like the apostles on the lake—seeing Christ's miracles ask themselves, "Who is this whom even the wind and the sea obey?" (Mk 4:41). Through these signs they are prepared to welcome the salvation offered to humanity by God in his Son.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기적들은 창조와 관련된 하느님 전능하심의 현시(顯示, manifestation)인데, 이 현시는 사람들과 사물들에 대한 메시아로서의 당신의 무한한 힘(omnipotence) 안에서 드러나게 됩니다. 동시에, 이 기적들은 구원에 대한 하느님의 위업을 드러내는 표징들입니다. 이것이 바로, 그리스도와 함께 도입되고, 인간의 역사 안에서 결정적으로 실현되어, 그리하여 그 결과로, 또한 하느님의 위업인, 이 가시적인 세상에 새겨져 있는, 구원 경륜입니다. 사람들은, 호숫가에서의 사도들처럼, 예수님의 기적들을 보면서 자기 자신에게 “도대체 이분이 누구시기에 바람과 호수까지 복종하는가?”(마르코 복음서 4,41)라고 묻습니다. 이러한 표징들을 통하여 그들은 당신의 아드님 안에서 인류에게 제공되는 구원을 기쁘게 맞이하도록 준비되어집니다.

 

This is the essential scope of all the miracles and signs wrought by Christ in the presence of his contemporaries, and of those miracles which, in the course of history, would be performed by his apostles and disciples in reference to the saving power of his name: "In the name of Jesus Christ of Nazareth, walk!" (Acts 3:6).

 

이것이 바로, 예수님께서 당신의 동시대 사람들 앞에서 행하셨던 기적들과 표징들 전부의 핵심 범위이며, 그리고, 역사의 과정에서 사도들과 제자들에 의하여, “나자렛 사람 예수의 이름으로 말합니다. 일어나 걸으시오!”(사도행전 3,6)라고, 당신의 이름에 기인하는 구원의 힘에 대한 언급 안에서 행하게 될, 바로 그 기적들의 핵심 범위입니다.

----------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6시간

 



915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