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의인관(擬人觀, anthropomorphism)의 정의(definition) 외

인쇄

작성중입니다 [218.55.90.*]

2014-01-14 ㅣ No.1506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이번 글에서는, 의인관(擬人觀, anthropomorphism)정의(definition)에 대하여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1-1. 다음은 Merrai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anthropomorphism" 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발췌 시작)
anthropomorphism

의인관(擬人觀)


Main Entry: an·thro·po·mor·phism
Function: noun
Date: 1753
: an interpretation of what is not human or personal in terms of human or personal characteristics [인간적 혹은 인격적이지 않은 바를 인간적 혹은 인격적 특징의 말들로 해석하는 행위] : humanization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1-1: 바로 위의 사전의 설명으로부터, 우리는 의인관(擬人觀, anthropomorphism)이, 경험의 한계에 따른 판단 오류(errors)들이 많이 발생하는, 인간들의 귀납적 추론(inductive reasoning)에 주로 의존함을 알 수 있습니다.

 

1-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antropomorphism"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a/a293.htm 
(발췌 시작)
ANTHROPOMORPHISM

 

The attribution of human form and qualities to the Deity, a common literary method in the Bible to depict or dramatize God's dealings with humanity. Some of the early Christians, interpreting such texts in Genesis literally, held that God had human form. To obviate this error, the Church teaches that God is an infinitely perfect spiritual being who has no body or spatial dimensions. (Etym. Greek anthropomorphos, of human form.)

 

의인관(擬人觀, anthropomorphism)

 

하느님께서 인류를 다루심들을 묘사하거나(depict) 혹은 극화하기(dramatize) 위한 성경에 있는 한 개의 공통의 문학적(literary) 방법인, 하느님(Deity)께 인간의 형상(form) 및 특성(qualities)들이 있다고 생각함(attribution)을 말합니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일부는, 글자 그대로 창세기에 있는 본문들을 그렇게 해석함으로써, 하느님께서 인간의 형상을 지녔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바로 이 [논리적] 오류(error)를 제거하기(obviate) 위하여, 교회는 하느님은 아무런 몸(body) 혹은 공간적 양상(spatial dimensions)들을 가지고 있지 않으신 무한히 완미(完美)하신(**) 영적인 있음(an infinitely perfect spiritual being)이라고 가르칩니다.(***) [어원. Greek anthropomorphos, of human form(인간의 형식의).]

 

-----

(*) 번역자 주:
(1) 따라서, "의인관(anthropomorphism)"에 따른 성경 본문에 대한 해석이 어떤 종류의 "미신(superstition)"을 야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미신(superstition)"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의 제3-2항에 있으니 또한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26.htm <----- 필독 권고


(2)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우리와 비슷하게 우리 모습으로 사람을 만들자" (창세기 1,26) 에서, "비슷함(likeness)" 과 "모습(image)" 이라는 용어들의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 의미에 대하여 가르치고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q93, 하느님의 모습으로서 사람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55.htm <----- 필독 권고


(**) 번역자 주: 가톨릭 보편 교회의 가르침과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 전반에 걸쳐 반드시 숙지하여야 하는, "완전한(complete)""완미한(perfect)"의 의미상의 대단히 커다란 차이점에 대한 글은 다음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08.htm <----- 필독 권고

 

(***) 번역자 주: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q3, 하느님께서 존재하심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61.htm <----- 필독 권고

-----

 

1-3.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anthropomorphism"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www.newadvent.org/cathen/01558c.htm

 

작성 중입니다.

 

http://www.newadvent.org/summa/3094.htm

http://catholiceducation.org/articles/education/ed0294.htm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915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