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Exsultate Deo - Palestrina, 시편 81

인쇄

작성중입니다 [218.55.90.*]

2014-01-19 ㅣ No.1508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질문 1:

팔레스트리나(G. P. da Palestrina, 1525-1594년)의 5성부(SAATB) 모테트 "Exsultate Deo(주님을 찬양하라)" 의 가사는 시편 81,1-4인데, 유다교 전례력 혹은 축제력에 있어, 언제 이 시편 81이 노래되었는지요?

 

질문 2: 그리고,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시편 81에서 화답송이 발췌되는 날둘은 언제인지요?

--------------------

 

답변: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1-1. (질문 2에 대한 답변) 우선적으로,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i)
시편 81,3-4.5-6.7-8.10-11은 나해 연중 제9주일 화답송으로 노래불리고,

(ii) 시편 81,3-4.5-6ㄱㄴ.10-11ㄱㄴ홀수해 연중 제17주간 금요일 화답송(<--- 클릭하십시오)으로 노래불리고, 그리고

(iii) 시편 81매달 두 번째 주간 목요일 성무일도(시간경) 아침기도(<--- 클릭하십시오)에서 노래불리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게시자 주 1-1:
(1)
사제들 혹은 수도자들이 아닌 대다수의 평신도들은 매일 성무일도(시간경) 기도를 의무로서 바치지 않아도 되므로 위의 (iii)항은 잘 모르고 있을 것이고, 그리고,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연중 제9주일에 해당하는 주일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음력의 영향 때문에, 대신에, 성령강림 대축일, 삼위일체 대축일, 혹은 그리스도 성체 성혈 대축일을 경축하므로 위의 (i)항의 나해 연중 제9주일 화답송은 미사 중의 말씀 전례에서 들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평신도들의 경우에,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시편 81에서 발췌되는 노래는 (ii)항 홀수 해 연중 제17주간 금요일 화답송으로서 미사 중의 말씀 전례에서 듣게되는 기회뿐이라는 생각입니다.

 

(2) 다른 한편으로, 주일 미사 중의 말씀 전례에서 발췌되는 시편 화답송은 제1독서와 복음 말씀의 연결 고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나해 연중 제9주일 제1독서(신명 5,12-15),  시편 81,3-4.5-6.7-8.10-11, 그리고 이어서, 복음 말씀(마르코 2,23-3,6) 을 읽고 묵상하는 것은 신앙적으로 유의미할 것이며, 따라서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이 권장하는 바라는 생각입니다. 

 

(3) 그리고 아래의 제1-2항에 주어진 유다교 전례 노래들에 대한  탈무드 전통에 따르면, (iii)항은 시편 81이 노래되었던 유다교 전례의 전통을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 안에서 보존하고 있음을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목요일에 주목하십시오.

 

2.

2-1. (질문 1에 대한 답변) 다음은 유다 백과사전에 주어진 "Psalms" 에 대한 설명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jewishencyclopedia.com/articles/12409-psalms

Liturgical Songs.

According to Talmudic tradition, psalms were sung by the Levites immediately after the daily libation of wine; and every liturgical psalm was sung in three parts (Suk. iv. 5). During the intervals between the parts the sons of Aaron blew three different blasts on the trumpet (Tamid vii. 3). The daily psalms are named in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recited: on Sunday, xxiv.; Monday, xlviii.; Tuesday, lxxxii.; Wednesday, xciv.; Thursday, lxxxi.; Friday, xciii.; and Sabbath, xcii. (Tamid l.c.). This selection shows that it was made at a time when Israel was threatened with disaster (see Rashi on Suk. 55a). The fifteen "Songs of Degrees" were sung by the Levites at the Feast of Tabernacles, at the festive drawing of water. Ps. cxxxv. and cxxxvi. were recited antiphonally by the officiating liturgist and the people. As New-Year psalms, lxxxi. and the concluding verses of xxix. were used (R. H. 30b). Those designated for the semiholy days of Sukkot are enumerated in Suk. 55a. Massek. Soferim xviii. 2 names those assigned for Passover. At New Moon a certain psalm (number not given in the Talmud) was sung in the Temple (Suk. 55a); Soferim names Ps. cv. with the concluding verses of civ. For ?anukkah Ps. xxx. is reserved (Soferim xviii. 2). From So?ah ix. 10 (see Tosefta ad loc.) it is apparent that at one time Ps. xliv. constituted a part of the Temple morning liturgy, while xxx. was sung during the offering of the First-Fruits. The same psalm, as well as iii. and xci., was sung to the accompaniment of musical instruments on the occasion of the enlargement of Jerusalem (Shebu. 14a).

 

2-2. 다음에 있는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Psalms" 에 대한 설명에는 위의 질문 1에 대한 답변에 도움이 되는 언급은 없다는 생각입니다:
http://www.newadvent.org/cathen/12533a.htm

 

3.

이번 항에서는, 시편 81에 대한 가톨릭 그리스도교의 주석들/해설들을,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지금까지 파악한 신뢰할 수 있는 자료들의 범위 내에서, 연대순으로 함께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3-1. St. Augustine

 

3-2.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경우에,  시편 1-54장까지만 해설을 남겼음은 다음의 출처들에서 확인됩니다:

 

출처 1: http://www.corpusthomisticum.org/iopera.html

출처 2: http://dhspriory.org/thomas/PsalmsAquinas/index.htm

 

 

3-3. Haydock

 

3-4. NAB

 

3-5. "주석 성경"

 

3-6. 복자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는 당신의 마지막 시기의 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으로서,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성무일도(시간경) 중의 아침기도 및 저녁기도에서 인둉되고 있는 시편들에 대한 해설을 남기셨는데, 노환으로 마무리하시지 못한 부분은 후임 교황님이신 베네딕토 16세 교황님께서 마무리하셨습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출처 제공의 설명을 읽도록 하십시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psalter/jp2_b16_commentaries.htm

 

그리고 시편 81에 대한 복자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해설은 다음에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필독 권고

 

 

 

 

 

 

 

작성 중입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923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