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번역오류: 우리말본과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 [Ia IIae q26 a4 신학대전] [번역누락] [번역오류]

인쇄

필독권고 [218.55.90.*]

2015-05-17 ㅣ No.1636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질문: 다음은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문장입니다: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
110610121307&page=666

(발췌 시작)

1766 “사랑은 누군가 잘되기를 바라는 것이다.”44

 

-----

44. 성 토마스 데 아퀴노, 「신학 대전」 , 1-2, q. 26, a. 4, c: Ed. Leon. 6, 190.

-----

(이상, 발췌 끝)

 

그리고 다음은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문장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3s1c1a5.htm#1766

(발췌 시작)

1766 "To love is to will the good of another."41

 

1766 "사랑하는 것(to love, amo)은 다른 이(another)의 선(善)을 의도(意圖)하는 것(to will)입니다."41

 

-----

41 St. Thomas Aquinas, STh I-II,26 4, corp. art.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질문 1: 위의 두 문장들을 언뜻 비교하더라도, 우선적으로, 이들이 서로 논리적으로 등가(logically equivalent)가 아님을 바로 알아차릴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그렇지 않는지요?

 

질문 2: 지역 언어들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발생한 것인지요??? 아니, 우리말로 "누군가" 로 번역된 표현이, 어떻게 영어로 "another(다른 이)" 로 번역될 수 있는지 참으로 의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사진 원 출처: http://trinitas.mju.ac.kr/frames/fiatlux2000.jpg 

 

 

질문: 다음은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문장입니다: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
110610121307&page=666

(발췌 시작)

1766 “사랑은 누군가 잘되기를 바라는 것이다.”44

 

-----

44. 성 토마스 데 아퀴노, 「신학 대전」 , 1-2, q. 26, a. 4, c: Ed. Leon. 6, 190.

-----

(이상, 발췌 끝)

 

그리고 다음은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문장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3s1c1a5.htm#1766

(발췌 시작)

1766 "To love is to will the good of another."41

 

1766 "사랑하는 것(to love, amo)은 다른 이(another)의 선(善)을 의도(意圖)하는 것(to will)입니다."41

 

-----

41 St. Thomas Aquinas, STh I-II,26 4, corp. art.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질문 1: 위의 두 문장들을 언뜻 비교하더라도, 우선적으로, 이들이 서로 논리적으로 등가(logically equivalent)가 아님을 바로 알아차릴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그렇지 않는지요?

 

질문 2: 지역 언어들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발생한 것인지요??? 아니, 우리말로 "누군가" 로 번역된 표현이, 어떻게 영어로 "another(다른 이)" 로 번역될 수 있는지 참으로 의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질문 1과 질문 2에 대한 답변 시작:

 

1. 들어가면서

1-1. 우선적으로, "누군가"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의 의미부터 알 필요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다음은 "표준국어대사전" 에 주어진, 차용(借用) 번역 용어가 아닌, 순수한 우리말인 "누구" 라는 대명사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124.137.201.223/search/List_dic.jsp

(발췌 시작)

누구

 

대명사
「1」((의문문에 쓰여)) 잘 모르는 사람을 가리키는 인칭 대명사.
「2」특정한 사람이 아닌 막연한 사람을 가리키는 인칭 대명사. ≒수하06(誰何)[Ⅱ].
「3」가리키는 대상을 굳이 밝혀서 말하지 않을 때 쓰는 인칭 대명사.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1-1:

(1) (중간 결론 1) (번역 오류) 문제는 기존의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문장은,

 

(i) 라틴어 정본 및 다른 지역 언어본들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문장들과는 달리, 동사 "to love(사랑하다, amo)" 의 의미를 정의하는 문장(defining statement)아니며, 그리고

 

(ii) 위의 세 개의 설명들 중의 어떤 것을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누군가" 에 대입하더라도,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번째 문장이 도대체 무슨 소리를 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데에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서 선택된 "누군가"가 있는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번째 문장에 명백한 번역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2) 아래의 제3항에서 더 자세하게 말씀드리겠지만,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문장은, 그리스도교 교의(dogma)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용어인 "사랑하다(to love, amo)" 라는 동사의 그리스도교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정의(definition)를, 자연법에서 출발하여 그리고 유비(類比, analogy)에 의하여,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대단히 중요한 문장입니다. 즉, 강생하신 하느님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모든 이의 구원을 위하여 당신의 몸을 제물로 바치기 전에 직접 명령하신, 참으로 소중한 사랑의 계명,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랴" (요한 복음서 13,34; 요한 복음서 15,12) 에서 사용되고 있는 동사 "사랑하다(to love, amo)"자구적 의미(literal sense)/정의(definition)를, 자연법에서 출발하여 그리고 유비(類比, analogy)에 의하여,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대단히 중요한 문장입니다.

(이상, 게시자 주 1-1 끝)

 

2.

2-1. 다음은,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번째 문장의 각주인, 라틴어 정본 및 영어본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a IIae, q26, a4 co 전문입니다. 그리고, 아래에 발췌된 라틴어 정본 본문에서, [ ] 안의 글자들은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삽입한 것입니다:

 

출처 0: http://www.corpusthomisticum.org/sth2026.html#34663 [라틴어 정본]

출처 1: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a-26-29.htm#q26a4co 
[라틴어 정본 및 영어본]

(출처 2: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74.htm [영어본]

(출처 1로부터 발췌 시작)

Ia IIae q. 26 a. 4 co. Respondeo dicendum quod, sicut philosophus dicit in II Rhetoric., amare est velle (<----- 클릭하십시오) alicui bonum. Sic ergo motus amoris in duo tendit, scilicet in bonum quod quis vult alicui  [some (<----- 클릭하십시오)], vel sibi [either himself(<--- 클릭하십시오)] vel alii [or another(<--- 클릭하십시오)]; et in illud cui vult bonum. Ad illud ergo bonum quod quis vult alteri, habetur amor concupiscentiae, ad illud autem cui aliquis vult bonum, habetur amor amicitiae. Haec autem divisio est secundum prius et posterius. Nam id quod amatur amore amicitiae, simpliciter et per se amatur, quod autem amatur amore concupiscentiae, non simpliciter et secundum se amatur, sed amatur alteri. Sicut enim ens simpliciter est quod habet esse, ens autem secundum quid quod est in alio; ita bonum, quod convertitur cum ente, simpliciter quidem est quod ipsum habet bonitatem; quod autem est bonum alterius, est bonum secundum quid. Et per consequens amor quo amatur aliquid ut ei sit bonum, est amor simpliciter, amor autem quo amatur aliquid ut sit bonum alterius, est amor secundum quid.

 

I answer that, As the Philosopher says (Rhet. ii, 4), "to love is to wish (velle) good to someone." Hence the movement of love has a twofold tendency: towards the good which a man wishes (velleto someone (to himself or to another)(*) and towards that to which he wishes (velle)  some good. Accordingly, man has love of concupiscence towards the good that he wishes (velle) to another, and love of friendship towards him to whom he wishes (velle) good. Now the members of this division are related as primary and secondary: since that which is loved with the love of friendship is loved simply and for itself; whereas that which is loved with the love of concupiscence, is loved, not simply and for itself, but for something else. For just as that which has existence, is a being simply, while that which exists in another is a relative being; so, because good is convertible with being, the good, which itself has goodness, is good simply; but that which is another's good, is a relative good. Consequently the love with which a thing is loved, that it may have some good, is love simply; while the love, with which a thing is loved, that it may be another's good, is relative love.

 

-----

(*) 게시자 주 2-1: 

(1) 바로 위의 라틴어 정본 신학 대전 본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는 "이 철학자(the Philosopher)", 즉,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가 말하는 "to love is to will (velle <----- 클릭하십시오) good to someone (사랑하는 것어떤 이의 선을 의도하는 것이다)." 를 자신의 "to love(사랑하다, amo)" 라는 동사의 정의(definition)로 받아들이면서, 또한 바로 이어지는 문장에서 추가적으로, 이 아리스토텔레스의 "to love(사랑하다, amo)" 정의(definition)에 있어서의 "someone" 이 누구를 말하는지를, "someone, himself or another," 라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는 분명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2) 그리고 위의 영문본 문장에서 소괄호 ( ) 안의 글자들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삽입한 것이 아니라, 기존의 영어본 신학대전 본문에, "vel sibi vel alii" 에 대응하는 번역 표현으로서, 이미 있습니다. 따라서, 영어본으로의 번역 작업 과정에서 번역자가 삽입한 것은 단지 소괄호 ( ) 이나, 그러나 바로 이 소괄호의 사용 때문에, 이 소괄호 안에 있는 영어 직역 번역 표현이 라틴어본 본문에 포함되어 있는 라틴어 표현에 대응함을, 영어본 신학 대전의 독자들에게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였을 수도 있었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2-2. 다음은,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5항과 제1766항 전문입니다. 그리고 [ ] 안의 글자들은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삽입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atechism_lt/p3s1c1a5_lt.htm#ARTICULUS 5 
PASSIONUM MORALITAS

(발췌 시작)

1765 Passiones multae sunt. Passio maxime fundamentalis est amor attractione boni provocatus. Amor desiderium causat boni absentis et spem illud obtinendi. Hic motus in fruitione boni possessi et in gaudio de illo expletur. Mali apprehensio odium, aversionem causat et metum mali futuri. Hic motus expletur in tristitia mali praesentis et in ira quae illi opponitur.

 

1766 « Amare est velle alicui [some, some one(<--- 클릭하십시오)] bonum ».64 Omnes aliae affectiones suum habent fontem in hoc motu originali cordis hominis in bonum. Nihil aliud amatur nisi bonum.65 « Proinde mala sunt ista, si malus amor est; bona, si bonus ».66

 

게시자 주 2-2(i) 위의 제2-1항에 발췌된, 1997년에 초판 발행된라틴어 정본 및 영어본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a IIae, q26, a4 co 전문과 (ii) 바로 위의 라틴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면, 우리는 라틴어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문장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또한 받아들인,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to love(사랑하다, amo)"정의(definition)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이 "to love(사랑하다, amo)" 의 정의(definition)에 있어서의 "someone""himself or another" 을 말함이  라틴어 정본 및 영어본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a IIae, q26, a4 co 의 두 번째 문장에 구체적으로 명기되어 있습니다

(이상, 게시자 주 2-2 끝)

  

2-3. 다음은,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5항과 제1766항 전문입니다. 그리고 [ ] 안의 글자들은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삽입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FRA0013/__P5P.HTM
(발췌 시작)

1765 Les passions sont nombreuses. La passion la plus fondamentale est l’amour provoqué par l’attrait du bien. L’amour cause le désir du bien absent et l’espoir de l’obtenir. Ce mouvement s’achève dans le plaisir et la joie du bien possédé. L’appréhension du mal cause la haine, l’aversion et la crainte du mal à venir. Ce mouvement s’achève dans la tristesse du mal présent ou la colère qui s’y oppose.

 

1766 Aimer, c’est vouloir du bien à quelqu’un [someone, somebody(<--- 클릭하십시오)] " (S. Thomas d’A., s. th. 2-2, 26, 4).(*) Toutes les autres affections ont leur source dans ce mouvement originel du cœur de l’homme vers le bien. Il n’y a que le bien qui soit aimé (cf. S. Augustin, Trin. 8, 3, 4). " Les passions sont mauvaises si l’amour est mauvais, bonnes s’il est bon " (S. Augustin, civ.14, 7).

 

-----

(*) 게시자 주: 여기 출처에서, "th. 2-2, 26, 4" 가 아니고, "th. 1-2, 26, 4" 가 정확하다.

-----

(이상, 발췌 끝)

  

2-4. 다음은, 이탈리아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5항과 제1766항 전문입니다. 그리고 [ ] 안의 글자들은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삽입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it/documents/2663cat473-668.PDF

(발췌 시작)

1765 Le passioni sono molte. Quella fondamentale è l’amore provocato dall’attrattiva del bene. L’amore suscita il desiderio del bene che non si ha e la speranza di conseguirlo. Questo movimento ha il suo termine nel piacere e nella gioia del bene posseduto. Il timore del male causa l’odio, l’avversione e lo spavento del male futuro. Questo movimento finisce nella tristezza del male presente o nella collera che gli si oppone.


1766 « Amare è volere il bene di qualcuno [someone, somebody(<--- 클릭하십시오)] ».44 Qualsiasi altro affetto ha la sua sorgente in questo moto originario del cuore dell’uomo verso il bene. Non si ama che il bene.45 « Le passioni sono cattive se l’amore è cattivo, buone se l’amore è buono ».46

(이상, 발췌 끝)

 

2-5. 다음은, 스페인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5항과 제1766항 전문입니다. 그리고 [ ] 안의 글자들은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삽입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atechism_sp/p3s1c1a5_sp.html

(발췌 시작)

1765 Las pasiones son numerosas. La más fundamental es el amor que la atracción del bien despierta. El amor causa el deseo del bien ausente y la esperanza de obtenerlo. Este movimiento culmina en el placer y el gozo del bien poseído. La aprehensión del mal causa el odio, la aversión y el temor ante el mal que puede sobrevenir. Este movimiento culmina en la tristeza a causa del mal presente o en la ira que se opone a él.

 

1766Amar es desear el bien a alguien [someone, somebody(<--- 클릭하십시오)]” (Santo Tomás de Aquino, Summa theologiae, 1-2, q. 26, a. 4, c). Los demás afectos tienen su fuerza en este movimiento original del corazón del hombre hacia el bien. Sólo el bien es amado (cf. San Agustín, De Trinitate, 8, 3, 4). “Las pasiones son malas si el amor es malo, buenas si es bueno” (San Agustín, De civitate Dei, 14, 7).

(이상, 발췌 끝)

 

2-6. 다음은, 1997년에 초판 발행된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5항과 제1766항 전문입니다. 그리고 [ ] 안의 글자들은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삽입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3s1c1a5.htm#1765

(발췌 시작)

1765 There are many passions. The most fundamental passion is love, aroused by the attraction of the good. Love causes a desire for the absent good and the hope of obtaining it; this movement finds completion in the pleasure and joy of the good possessed. The apprehension of evil causes hatred, aversion, and fear of the impending evil; this movement ends in sadness at some present evil, or in the anger that resists it.

 

1766 "To love is to will the good of another[주: 번역 오류]."41 All other affections have their source in this first movement of the human heart toward the good. Only the good can be loved.42 Passions "are evil if love is evil and good if it is good."43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6: (중간 결론 2) (번역 오류) 이 영어본은, 영어로 "someone" 으로 번역되어야 하는 대응하는 프랑스어 표현을 영어로 "another" 로 대단히 잘못 번역하였기에, 이것은 명백한 번역 오류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어찌하여, "someone(어떤 이)"의 의미와 "another(다른 이)"의 의미가 논리적으로 등가일(logically equivalent) 수가 있습니까???

 

2-7. 다음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5항과 제1766항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
110610121307&page=665

(발췌 시작)

1765 감정에는 여러 유형이 있다. 가장 근본적인 감정은 선에 대한 이끌림에서 일어나는 사랑이다. 사랑은 이루어지지 않은 선에 대한 갈망과, 그 선을 달성하려는 희망을 불러일으킨다. 이 움직임은 얻은 선에 대한 즐거움과 기쁨으로 충족된다. 악에 대한 지각은 앞으로 일어날 악에 대한 증오와 혐오와 공포를 불러일으킨다. 이 움직임은 현존하는 악에 대한 슬픔이나 거기에 대항하는 분노로 결말이 난다.

 

1766 “사랑은 누군가가 잘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44) 다른 모든 애정의 근원은 선을 향한 인간 마음의 원초적인 움직임이다. 사랑해야 할 것은 오직 선뿐이다. 45) “사랑이 악하면 감정이 악하고, 사랑이 선하면 감정이 선하다.” 46)

 

-----

44. 성 토마스 데 아퀴노, 「신학 대전」 , 1-2, q. 26, a. 4, c: Ed. Leon. 6, 190.
45. 성 아우구스티노, 「삼위일체론」 ,  8,  3,  4: CCL 50, 271-272(PL 42, 949) 참조.
46. 성 아우구스티노, 「신국론」 , 14, 7: CSEL 40/2, 13(PL 41, 410).

-----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7: (번역 오류)

(1) 이미 위의 게시자 주 1-1: (중간 결론 1)에서 이미 지적하였듯이, 바로 위의 기존의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문장의 문제는,

 

(i) 라틴어 정본 및 다른 지역 언어본들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문장들과는 달리, 동사 "to love(사랑하다, amo)" 의 의미를 정의하는 문장(defining statement)이 아니며 (따라서, 명백한 번역 오류임), 그리고

 

(ii) 라틴어 정본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a IIae, q26, a4 co 의 첫 문장에서의 라틴어 표현, "alicui" 이, 라틴어 정본 및, 영어본이 아닌, 다른 지역 언어본들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문장들에서처럼, 제한을 하면서도 그러나 누구인지를 구체적으로 지적하지 않은, "어떤 이(someone, somebody)" 로 직역 번역이 되지 않고, "어떤 이(someone, somebody)" 보다도, 제한하기는 커녕 오히려 임의성(任意性, arbitrariness)을 나타내기에 그 어감에 있어 훨씬 더 강한 강조의 표현인, "누군가(anyone, anybody)" 로 번역된 것은 또다른 종유의 명백한 번역 오류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여기서, 지적 (i)은 자명하고, 그리고 지적 (ii)에 대한 사전적 근거 및 용례적 근거로서, 이어지는 제(2)항 - 제(4-ii)항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면서 읽도록 하십시오.

 

(2) 다음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소장중인, Merriam-Webster's Thesaurus 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특히 (i) anyone 혹은 anybody가, (ii) someone 혹은 somebody 의 비슷한 말이라는 언급이 없음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왜냐하면, (i)(ii) 는 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비슷한 말들이 결코 아니기 때문입니다 :

 

(발췌 시작)

someone pron syn SOMEBODY

 

somebody pron one or some individual of no certain or knoown identity #somebody should be home#(#) syn someone

(이상, 발췌 끝)

 

(#) 게시자 주: "Someone should be home." 이라는 용례로부터 우리는, "someone" 이, 일반적으로, 타인뿐만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포함할 수도 있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따라서, 라틴어 정본 및, 우리말본과 영어본을 제외한, 여러 지역 언어본들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문장들에서의 "someone" 은 타인뿐만이 아니라 또한 자기 자신을 포함할 수도 있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3-i) 다음은, 다음은,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someone" 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someone

(발췌 시작)

someone pronoun, Full Definition of SOMEONE: some person: SOMEBODY

 

Examples of SOMEONE
Someone left you a message.
Is that someone you know?
We need someone who can work nights and weekends.(#)
Someone took the last piece of cake.
I'll do it because someone has to.(#)
She offered the job to someone else.

(이상, 발췌 끝)

 

(#) 게시자 주: 이들 용례들로부터 우리는, "someone" 이, 일반적으로, 타인뿐만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포함할 수도 있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따라서, 라틴어 정본 및, 우리말본과 영어본을 제외한, 여러 지역 언어본들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문장들에서의 "someone" 은 타인뿐만이 아니라 또한 자기 자신을 포함할 수도 있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3-ii) 다음은, 다음은,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somebody" 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somebody

(발췌 시작)

somebody pronoun, Full Definition of SOMEBODY: one or some person of unspecified or indefinite identity #somebody will come in"

 

Examples of SOMEBODY
Somebody left you a message.
The singer waved to somebody in the crowd.
We need somebody who can work nights and weekends.(#)
Is that somebody you know?
Somebody has to do it.(#)
After I turned down the job, she offered it to somebody else. 

(이상, 발췌 끝)

 

(#) 게시자 주: 이들 용례들로부터 우리는, "someone" 이, 일반적으로, 타인뿐만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포함할 수도 있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따라서, 라틴어 정본 및, 우리말본과 영어본을 제외한, 여러 지역 언어본들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의 첫 문장들에서의 "someone" 은 타인뿐만이 아니라 또한 자기 자신을 포함할 수도 있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4-i) 다른 한편으로, 다음은,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anyone" 에 대한 설명입니다. "any ... at all" 이라는 강조의 표현이 설명 중에 또한 사용되고 있음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출처:  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anyone 

(발췌 시작)

anyone pronoun, Full Definition of ANYONE: any person at all

 

Examples of ANYONE
If anyone calls, take a message.
I don't know how anyone can believe that.
An accident like that could happen to anyone.
You have to be a member to go there. They won't let just anyone in.

(이상, 발췌 끝)

 

(4-ii) 그리고 다음은,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anybody" 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anybody

(발췌 시작)

anybody pronoun, Full Definition of ANYBODY: any person: ANYONE

 

Examples of ANYBODY
I don't know how anybody can believe that.
An accident like that could happen to anybody.
You have to be a member to go there. They won't let just anybody in.

(이상, 발췌 끝)

 

3.

이 글을 작성할 때에, 위의 게시자 주 1-1제(2)항에서 말씀드린 바에 대하여 이번 항에서 더 자세하게 말씀드리려고 하였으나, 별도의 글을 작성하는 것이 독자들에게 더 도움이 될 수도 있겠다는 판단에 따라, 다음의 글에서 다루게 되었습니다. 한 번 더 클릭하는 수고를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47.htm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지금까지 약4시간

 



898 2

추천

새계명,사랑하다의정의=의지의동사형,아리스토텔레스,CCC1766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