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님을 사랑하는 이들의 작은터

이달의 친일인물 " 박정희 "

인쇄

조현동 [nuri] 쪽지 캡슐

1999-08-14 ㅣ No.2111

 

          박 정 희   그 치욕과 영광의 삶

 

 

            

    1942 만주 신경군관학교 졸업

    1944 일본 육사 졸업

    1946 조선 경비사관학교 졸업

    1961 5.16 군부 쿠데타 주도

    1963 제5대 대통령 당선

  

  

 

 

 

 오카모토 미노루 생도의 답사

 

 

--------------------------------------------------------------------------------

 

 

 

1942년 3월 어느 날 만주의 신경군관학교 졸업식장에서 오카모토미노루(關本實)라는 한 졸업생이 ’어전강연’이란 답사를 하고 있었다.

 

답사의 내용은 일본 천황과 일제의 만주 괴뢰국 황제 부의(輝儀)에게 충성을 다하겠다는 것으로, "대동아공영권을 이룩하기 위한 성전(聖戰)에서 나는 목숨을 바쳐 사쿠라와 같이 훌륭하게 죽겠습니다"라는 선서도 포함되어 있었다.

 

오카모토 미노루, -그는 그후 20여 년 뒤 5 16군부 쿠데타를 통해 한국의 대통령이 되었던 박정희 바로 그였다.

 

중국인과 조선인 생도 240명 가운데 수석을 차지했기 때문에 그 대표로서 답사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졸업식장에서 그는 우등상으로 만주 괴뢰국 부의 황제로부터 금시계도 받았다.

 

만주에서 박정희가 군관학교 생활을 시작한 것은 1940년 봄부터였다. 그 전 해 만주로 왔던 그가 그 해 봄에 신경군관학교 제2기로 입학했던 것이다. 신경군관학교로 말하면, 그 정식 명칭이 ’만주제국육군군관학교’로서 일제의 만주 괴뢰국인 만주 제국의 육군사관학교였다.

 

당시 그와 함께 입학한 신입생들은 일본인 240명, 만주인 228명, 조선인 12명이었다. 그의 입학 성적은 240명 중 15등이었다(일본인 신입생의 성적은 별도). 당시 같이 입학한 조선인 중에는 나중에 5 16군부 쿠데타 당시 이에 반대한 제1군 사령관 이한림(李輪林)도 끼여 있었다.

 

입학 당시 23세였던 박정희는 5년제 사범학교를 마친 후 3년간 교사 생활을 한 후에 군관학교에 들어왔기 때문에 3∼4년제 중학교 과정을 마치고 곧장 입학한 다른 학생들보다 대여섯 살 많은 편이었다. 그렇지만 그는 선배들에게 항상 깍듯이 예절을 지켰고, 졸업시 수석을 했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학교 생활에 매우 열심이었다고 한다.

 

신경군관학교를 졸업한 박정희는 이한림, 김재풍(金在豊), 이섭준(李燮俊) 등과 더불어 일본 육사 3학년에 편입하게 된다. 일본 육사 편입은 당시 만주계 및 조선인 생도 중에서 성적이 좋은 사랑에게 베풀어지는 일종의 특전이었다.

 

일본 육사의 교육은 만주군관학교보다 더욱 혹독했다. 박정희의 일본 육사 생활 역시 만주군관학교에서의 생활과 별로 다르지 않아, 여전히 그는 모범적이었다. 이러한 그를 보고 육사 교장이었던 나구모 쥬이치(南雲忠一) 장군은

 

"다가키 생도는 태생은 조선일지 몰라도 천황폐하에 바치는 충성심이라는 점에서 그는 보통의 일 본인보다 훨씬 일본인다운 데가 있다』고 생도들을 모아놓고 말할 정도였다.

 

다가키 마사오(高木正雄)는 박정희를 부르는 또 하나의 일본식 이름이었다.

 

주위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일본 육사 시절 그는 감정이 없는 사람처럼 보였다고 한다. 말도 없고 표현도 없었으며, 속에 무언가 생각하는 것 같았는데 그것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그러한 사람으로 비추어졌다. 그렇지만 그는 19)6년 일본 청년장교들이 쿠데타를 시도했다 실패로 돌아간 2 26사건에 관해서는 매우 많은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여하튼 만주와 일본의 사관학교 생활에 박정희가 만족했던 것만은 틀림없다. 그가 사관학교 생활에 열심이었던 것은 자신이 원했던 군인이 되기 위해서였으리라. 그러나 사관학교 시절 그가 말없이 자신의 내면 세계에서 만들어 나갔던 꿈은 무엇이었을까? ’사무라이 정신’으로 무장한 군인으로서 목숨을 걸고 시도해 볼 만한 그 무엇을 꿈꾸고 있지 않았을까? 일본 청년장교들의 2 26쿠데타 기도에 대한 관심은 그의 그러한 생각의 반영이 아니었을까?

 

아무튼 1944년 4월 박정희는 일본 육사를 졸업했다. 졸업 성적은 )등, 조선인으로서는 유일하게 일본교육총감상을 받았다...계속

 

 

 

더 알고 싶으신 분들은 밑에를 꾸~~욱 눌러보세요 링크 밑에 내용을 볼수 있습니다....

 

www.banmin.or.kr/main.html

 

 

 

■ 어린시절, 학창 시절, 교사 시절의 박정희

 

■ 박정희의 독립운동?

 

■ 배신과 생존

 

■ 쿠데타의 꿈

 

■ 쿠데타의 새벽

 

■ 황태성 사건과 박정희

 

■ 경제성장의 공과(功過)

 

■ 장기 독재의 길

 

■ 박정희에 대한 야누스적 두 평가

 

■ 참고문헌

 

 

 

   정 해 구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원, 한국정치연구회 부회장)

 

 

 

 

 



26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