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2008년~2009년)

행복한 부부생활

인쇄

정홍기 [baolo43] 쪽지 캡슐

2009-08-16 ㅣ No.945

* 행복한 부부생활

 

 

1.들어가는 말

        우리가 바라는 가족에 대한 정의는 “가족은 서로 사랑하고, 돌보는 사

   람”이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가족들이 이 정의에 부합되지는 않는다.

   오늘날 가족이 경험하는 갈등과 불안정은 위험수위를 넘어 가족해체로 까

   지 이어져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건강의 터전인 가족은 결혼을 하면 그냥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라, 가족구

   성원이 서로의 차이를 수용하고 갈등과 불일치를 지혜롭게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 결과이다.

   가족 구성원 중 부부는 독특한 관계이다. 인간은 부부관계 속에서 삶의

   가장 깊은 친밀감, 즉 우정과 위로, 그리고 배신과 가장 가능성이 큰

   상처를 경험하게 된다.

   부부는 상호 소중한 보살핌을 주고받으면서 서로에게 보호막의 역할을 해

   야 한다. 그 어느 때보다도 부부생활에 대한 전문적인 능력과 통찰력이 필

   요하며 부부간의 정서, 팀웍, 감성 관리 등이 더욱 요구 된다.

2.부부사랑을 더욱 키워간다.

   부부생활은 도(道)를 닦는 일의 연속 과정이다. 도를 제대로 닦아 가면

   서 행복한 부부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는 대화가 필

   요하다. 무작정 말만 한다고 대화가 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 말 속에 설득이나 강요가 넘쳐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화라는 것은 나를 표현 하고 상대방을 받아 주려는 작업이다.

   상대방의 마음을 읽으려 하는 것 이 바로 대화의 시작이다.

   “부부의 날”제정위원회가 만든 “부부 수칙’을 귀 기울여 보자.

     ① 칭찬에 인색하지 말라.

     ② 같이 즐기는 오락이나 취미를 만들라.

     ③ 금연, 절주하고 건강을 지켜라.

     ④ 경제적, 심리적으로 적당히 독립하라.

     ⑤ 부부교육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라.

   *카드만 박사의 처방도 의미 있다.

     ① 시시비비를 너무 가리지 말라.

     ② 둘 다 행복한 게 더 중요하다.

     ③ 감사 표시를 자주하라. 하루에 세 번하여도 행복지수가 올라간다.

     ④ 대화의 내용을 기술해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을 구분해 보아라.

        좋은 부부는 긍정과 부정의 비율이 5:1, 이혼으로 방향을 트는 부부

        는 긍정과 부정의 비율이 1:1,25 지점부터 시작된다.

3.부부로써 지켜야 수칙을 준수하자.

   부부의 정을 저축하라. 부부는 나이가 들수록 함께할 시간이 크게 늘어 난

   다.

   ① 일주일에 한 번은 대화의 시간을 가져라.

   ② 공동의 취미를 가져라.

   ③ 따뜻한 관심을 보여라.

      나이에 상관없이 관심을 받고 싶어 하고 관심을 받은 만큼 돌

      려 주려는 마음도 커지게 된다.

   ④ 입으로 애정을 표현하라.

      애정표현이 인색할수록 마음도 굳어진다. 나이가 들어서도 자신이

      상대방을 사랑하고 있음을 자주 많이 표현해야 한다.

   ⑤ 배우자의 건강을 먼저 보살펴라.

      아픈 곳을 챙겨주는 만큼 고마운 것은 없다. 배우자가 아플 때일수록

      가장 가까이서 자리를 지켜주고 건강에 관심을 가져주라~~ 그 마음 이

      전해져서 그 이상의 관심과 애정을 받을 것이다.

   ⑥ 집안일을 함께 하라.

   ⑦ 둘만의 여행지를 만들어라.

      기분 전환이 필요할 때 조용히 쉬고 싶을 때 쉽게 찾아갈 수 있는 둘

      만의 여행지를 만들어 일상의 생활을 벗어나서 찾아가자.

      새로운 환경이 주어지면 대화의 내용과 깊이가 훨씬 풍부해질 것이다.

   ⑧ 풍요로운 성 생활이 이루어 져야 한다.

      여자는 먼저 로맨틱한 기분, 사랑받고 소중한 존재라는 느낌 등 정서적

      만족감을 필요로 한다. 마음이 이렇게 먼저 열리면 비로소 육체가 열리

      고, 섹스의 중요성은 놀랍게 커진다.

4.부부가 싸울 때는 승승(win-win)전략을 구사하자.

   부부생활을 하다보면 싸우지 않을 재간이 없다. 오히려 부부싸움을 잘 하

   는 사람들이 더 성공적인 부부생활을 유지할 수도 있다.

   물론 잘 싸 우는 데는 규칙이 있다.

    ① 문제가 된 것만 가지고 싸운다.

       과거사까지 들춰가며 싸우는 것은 큰 싸움을 만든다.

    ② 싸움의 룰을 정한다.

       폭력은 절대 안 되고, 물건을 부수지 않으며, 집을 나가지 말 것 등

       을 정한다.

    ③ 아이들 앞에서는 싸우지 않는다.

    ④ 제 3자를 끌어들이지 않는다.

       장인, 장모, 시누이, 자식들을 끌어들이는 것은 집안싸움으로 번지는

       첩경 이다. 결코 제3자를 들먹이지 말자.

    ⑤ 보복성 행동을 하지 않는다.

       싸웠다고 다음날 식사준비를 안한다든지 술 마시고 늦게 들어오는 것

       은 문제를 더 키운다.

    ⑥ 인격적인 모욕은 하지 않는다.

       부부싸움은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일부러 상처를 입히는 발언을 하

       는 것은 상대를 불행하게 만든다. 한 사람이 불행하면 상대방도 불행

       하다.

    ⑦ 타임 아웃제(Time-out)를 만든다.

       싸움이 극도로 달아올랐을 때 누군가 한쪽이 타임아웃을 부르면 싸움

       을 멈추고 잠깐 휴지기를 갖는 것만으로도 상황을 보다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⑧ 존댓말을 쓴다.

       싸울 때 존댓말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극단적인 상황을 막을 수 있

       다.

    ⑨ 절대적인 말을 쓰지 않는다.

       당신은 “절대로” 안 된다. 당신은 ‘항상’ 그렇다. 당신은‘한번

       도’잘한 적이 없다. 당신은 ‘언제나’‘그렇다’는 등의 절대적인

       말을 쓰지 않도록 한다.

    ⑩‘장난요법’을 적시에 활용한다.

        혀를 내밀거나 엉덩이를 흔들어주는 것 등 어린 아이들이 흔히 쓰는

        약 올리기 전법은 부부가 싸울 때 유용한 화해의 기회를 제공한다.

 

5. 맺는 말

   인생의 목적은 “행복한 삶”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행복이란 주관적인 것이고 사람마다 어디에서 행복을 얻느냐는 다르

   지만 가족생활이 행복 하지 않으면 그 사람의 삶이 온전히 행복하다고 할

   수 없고 가족생활의 행복은 원만한 부부 관계를 기초로 한다.

   이러한 생각에 동의한다면 부부 관계의 개선을 위한 노력은 정말로 중요

   한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보약이나 레저에는 많은 돈과 시간을 투자 하

   면서도 인생의 행복을 가져다주는 지름길인“부부 관계의 개선”에 대하여

   는 무관심한 경우가 많다.

   그런 점에서 부부관계의 질 높은 리모델 링은 단지 위기에 처한 부부뿐 아

   니라 부부 관계의 개선을 원하는 모든 부부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이다. 끝

    * 참고문헌

      ① 마리온퀴스텐마허,베르너 티키 퀴스텐마허,

        “단순하게 사랑하라”,정현숙 역, (주)웅진씽크빅, 2007.

      ② Wade luquet,“이마고 부부치료” 송정아 역,학지사, 2004.

      ③ 정 홍기, “도전받는 부부”, 수유사, 2006.

 



79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