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계동성당 게시판

홍신부님 강론(7월 2일) 2

인쇄

김현경

2002-07-04 ㅣ No.4143

사람이 다른 사람의 앞날을 걱정해주는 것은 사랑입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걱정하는 것은 사랑이 아닙니다. 그것은 집착입니다.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부모나 자식이나 또 어떤 사람이든지 간에 당신보다 더 사랑하지 말라--

그 말의 의미가 무엇입니까.

내 자식도 하느님이 내게 준 것이지 내것이 아닙니다.

내것이라고 생각할 때에는 잃어버릴까봐 불안해지기 시작합니다.

그냥 하느님이 주신 선물로 하느님께 맡겨야 합니다.

대개 자식의 앞날에 대해 불안해하는 분들이 하느님께 대한 믿음이 없거나 그 믿음이 약한 분들입니다.

그런 분들은 기도는 많이 하지만 그러나 하느님을 믿지는 않습니다.

하느님이 내 뜻대로 이루어주길 바라지 하느님 뜻대로 자식을 봉헌하지는 못합니다.

그런데 그것은 자식에 대한 사랑을 가진 것이 아니라 자식에 대한 집착을 가진 것입니다.

그 집착이 자식을 병들게 하고 자식의 앞날을 망가지게 하는 가장 큰 위험요소라는 것을 어른들은 잘 모릅니다.

내가 이렇게 하는 것이 자식의 앞날을 위해서 좋은 것이라고 생각을 하는데

천만의 말씀입니다.

너무나 많이 자녀들이 그런 부모님밑에서 망가져가고 있습니다.

자식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못하는 것입니다....

내 자식이건 내 남편이건 내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은 다 내것이 아닙니다.

하느님이 나에게 보내준 사람들입니다.

하느님이 보내준 사람들이기에 하느님이 데려가실 수도 있고,

내가 원치 않는 다른 곳으로 데려갈 수도 있습니다.

그럴때 마음이 덜 아프려면 자식들이나 남편이나 다른 사람들에 대한 집착에서 손을 떼어야 합니다.

그래야 덜 아픕니다.

어느정도 거리를 두어야지 내가 자식을 키울때도 건강하게 키울 수 있습니다.

가끔 자녀들이 고민을 상담하러 옵니다.

뭘 하고 싶은데 엄마 때문에 못하겠다고 합니다.

엄마가 쓰러질까봐.

제발 자식걱정좀 지나치게 하지 마십시오.

애들이 쓰러집니다.

 



167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