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구원이라는 용어의 성경적 정의(definition) 외 [성경공부] [성경용어_구원] [_공로] [_대사] [_일시적구원] [_영원한구원] merits, good_works

인쇄

. [175.115.220.*]

2011-08-24 ㅣ No.1099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이 글에서는, 영원한 구원(eternal salvation)과 영원한 구원이 아닌 구원, 즉 일시적 구원(temporal salvation)의 차이점에 대하여 함께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적으로 우리가 가톨릭 교회가 사용하고 있고 또 가르치고 있는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에 대하여 분명하게 잘 알고 또 그 의미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예를 들어 개신교측의 신자들과의 효과적이고 건설적인 대화가 가능할 것입니다.
 
2.
2-1. 다음은 St. Joseph 판 NAB 의 부록인 Bible Dictionary에 주어진 "Salvation, Savior" 에 대한 설명입니다:
 
SALVATION, SAVIOR. Inasmuch as the terms express redemption (cf. REDEMPTION) and appear as a cause of salvation, the Hebrew uses one word: Yacha, which means to be generous, to deliver from slavery or from distress. This term in the Old Testament expresses the Work of God, assuring the deliverance of his people as a whole (Hos 5, 13; Is 31, 1; Ps 33, 16-17) and then personal salvation (Ps 51, 14) - the whole bound up in the messianic and eschatological perspective. This term provides the substantive "machia," translated as Savior (Is 45, 21). In the New Testament, the term is employed very frequently for a cure, the health of the body, but often, in connection with faith, of the soul (Mk 5, 34; Lk 8, 48; 18, 42). Thus, the work of the New Testament even in its temporal action is entirely oriented towardd the work of spiritual salvation, of remission of sins (Lk 17, 19) and the liberation from the servitude that sin brings to man (Mt 1, 21; Lk 1, 77; Act 5, 31 etc.) and leading the Christian to his highest destiny (Rom 1, 16; 5, 9-10; 1 Cor 15, 2; Jas 1, 21). This work will be definitely manifested at the last judgment (Rom 8, 22-25).
 
SALVATION, SAVIOR. 이 용어들이 구속/속량[속량(REDEMPTION, 구속)을 참조하라]을 표현하고(expresses) 그리고 구원(salvation)의 어떤 원인(a cause)으로서 보이는 한,(*) 히브리인들은 Yacha 라는 한 개의 단어를 사용하는데, 이 단어는 관대하다(be generous), 노예 상태로부터 혹은 고통(distress)으로부터 구조하다/구출하다(to deliver)를 뜻합니다. 구약 성경에 있어 이 용어는, 메시아적 및 종말론적 관점과 밀접하게 관계가 있는, 전체로서 당신의 백성의 구조/구출(deliverance)을 보증하는(호세아 5,13; 이사야 31,1; 시편 33,16-17) 그런 다음에 개인의 구원(personal salvation)(시편 51,14)을 보증하는,(*) 하느님의 위업(the Work of God)을 표현합니다. 바로 이 용어가 구원자(Savior)로 번역이 되는, 명사적(substantive) "machia" 를 제공합니다 (이사야 45,21). 신약 성경에 있어 이 용어는 어떤 치유, 몸의 건강을 위하여 매우 자주 사용되나, 그러나, 가끔은, 믿음(faith)과 관련하여, 영혼의 건강을 위하여 사용됩니다 (마르코 5,34; 루카 8,48; 18,42). 따라서, 신약 성경에 있어서의 일(work)은, 심지어 그 일시적 행위에 있어서도, 전적으로 영적 구원(spiritual salvation)의 일, 죄들의 사함(루카 17,19) 및 죄가 사람에게 가져온 노예 상태로부터의 해방(liberation)의 일로 (마태오 1,21; 루카 1,77; 사도행전 9-10 등.) 향하게 되어 있으며 그리하여 그리스도인을 그의 가장 높은 운명(destiny)으로 이끕니다 (로마 1,16; 5,9-10; 1코린토 15,2; 야고보 1,21). 이러한 일은 최후의 심판에서 결정적으로 분명하게 나타내어질 것입니다 (로마 8,22-25).

-----
(*) 번역자 주: 이 부분은, 그 의미를 정의하고자 하는 용어, "salvation"을, 이 용어으 의미를 정의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악순환(vicious cicle/cycle)의 문장이기 때문에, 아무리 정독을 하더라도,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독자들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
 
2-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alvation" 용어의 설명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발췌 시작) 
SALVATION

In biblical language the deliverance from straitened circumstances or oppression by some evil to a state of freedom and security. As sin is the greatest evil, salvation is mainly liberation from sin and its consequences. This can be deliverance by way of preservation, or by offering the means for being delivered, or by removing the oppressive evil or diffculty, or by rewarding the effort spent in co-operating with grace in order to be delivered. All four aspects of salvation are found in the Scriptures and are taught by the Church. (Etym. Latin salvare, to save.)
 
구원(SALVATION)
 
성경의 언어에 있어 어떤 악(some evil)에 의한 부자연스러운 여건들 혹은 억압(strained circumstances or oppression)으로부터 자유 및 안전(freedom and security)의 어떤 상태로의 구조/구출(deliverance)을 말합니다. 죄(sin)는 가장 커다란 악이기에, 구원(salvation)은 주로(mainly) 죄와 그 결과들로부터의 해방(liberation)을 말합니다. 이것은 (i) 예방(preservation)의 방식에 의한, 혹은 (ii) 구출되는 수단의 제공에 의한, 혹은 (iii) 억압하는 악(evil) 혹은 어려움의 제거에 의한, 혹은 (iv) 구출받기 위하여 은총(grace)과의 상호 협조에 소비된 노력에 대한 상을 줌(rewarding the effort)에 의한, 구조/구출(deliverance)일 수 있습니다. 구원에 대한 이 네 가지 양상들 모두는 성경의 본문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그리고 교회에 의하여 가르쳐지고 있습니다 (어원: Latin salvare, to save.).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2-2: 따라서, 논리적으로 다음의 관계들이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A) 구원(salvation)은 구조/구출(deliverance) 및 해방(liberation)이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B) 구원(salvation)은 구조/구출(deliverance)이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C) 구원(salvation)은 해방(liberation)이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논리적으로 다음의 관계들이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C) 해방(liberation) 안에만 오로지 구원(salvation)이 있을 수 있다.

(B) 구조/구출(deliverance) 안에만 오로지 구원(salvation)이 있을 수 있다.

(A) 구조/구출(deliverance) 및 해방(liberation) 안에만 오로지 구원(salvation)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논리적으로 다음의 관계들이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C) 해방(liberation) 된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구원(salvation)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다.

(B) 구조/구출(deliverance) 된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구원(salvation)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다.

(A) 구조/구출(deliverance) 된 자들 및 해방(liberation) 된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구원(salvation)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다.

(이상, 게시자 주 2-2 끝)

 
2-3.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용어집에 주어진 "salvation"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발췌 시작) 
SALVATION: The forgiveness of sins and restoration of friendship with God, which can be done by God alone (169).
 
구원(SALVATION): 죄들의 용서(forgiveness)와 하느님과의 우의의 상태(友誼, friendship)의 회복(restoration)을 말하는데, 이것은 오로지 하느님에 의하여 행해질 수 있다(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69항).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4. 여기를 클릭하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에 "salvation"이라는 용어가 총223개의 항들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5. 여기를 클릭하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에 "salvation"이라는 용어가 총273번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5.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에 "eternal salvation(영원한 구원)"이라는 용어가 총9번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영원한 구원(eternal salvation)"은, 지상에서의 삶을 마치면서 은총의 지위에서 죽음을 맞이하여, 그리하여 천상에서 하느님을 뵙는 것, 즉 지복직관을 뜻합니다.
 
 
3. 다음은 "Temporal and Eternal Salvation" 제목의 글입니다. 이 글의 저자는 가톨릭 옹호자로 알려져 있는 미국의 James Akin이며, 이 글이 동일한 용어들에 대하여, 가톨릭측의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와 개신교측 용어들의 정의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이해하는 데에 약간 도움을 주었으면 하는 생각으로 소개/안내해 드리게 된 한 개의 유익한 예제(example)이므로, 편안한 마음으로 읽어 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
게시자 주: 

(1) James Akin 은 개신교 신자였으나 1992년에 가톨릭으로 개종을 한 미국의 가톨릭 옹호자이다. 다음은,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그의 "Salvation Controversy(구원 논쟁)" 제목의 저서에 주어진 저자 소개이다:

About the Author

Jimmy Akin was born in Texas and raised in Arkansas. He grew up nominally Protestant but at age 20 experienced a profound conversion to Christ. Planning on becoming a Protestant pastor or seminary professor, he began an intensive study of the Bible. But the more he immersed himself in Scripture, the more he found it to support the Catholic faith. Eventually, he was compelled in conscience to enter the Catholic Church, which he did in 1992. His conversion story, "A Triumph and a Tragedy," appeared in "Surprised By Truth." Akin is director of apologetics at Catholic Answers, a contributing editor to "This Rock" magazine, a weekly guest on the global radio program "Catholic Answers Live," and the author of several books, including "Mass Confusion: The Do's and Don'ts of Catholic Worship."
 
(2) 그리고 그는, 여기를 클릭하면 접속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보편 교회의 자료들을 제공하는 서버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Catechism 란에 주어져 있는 자료들은 매우 유용하다. 
-----
  

Temporal and Eternal Salvation
일시적 및 영원한 구원

by James Akin


출처 1: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출처 2: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1. "AVOID DISPUTING ABOUT WORDS" (
2 Tim. 2:14)
1. "단어들에 관한 논쟁을 피하라" (2 티모테오 2,14)

 

It has long been noted that many of the accusations Protestants make against Catholics are based on semantic misunderstandings--places where the two groups fail to appreciate that they are using terms differently.

 

프로테스탄트들이 가톨릭 신자들에 반하여 일삼는 많은 비난들이, 이들 두 집단들이 그들이 용어들을 다르게 사용하고 있음을 올바로 이해하는 데에 실패하는 바로 그 장소들인,  어의(語義)에 있어서의 오해들(semantic misunderstandings)에 근거하고 있음은 오랜 기간 동안 목격되어 왔습니다.

 

For example, Catholics tend to use the term "faith" in the sense that it is used in Romans 14 and James 2--that is, as a synonym for "intellectual assent." Thus when Catholics deny that we are saved by "faith alone," they are denying that we are saved by "intellectual assent alone"--something that (the theologically able kind of) Protestant will also deny.

 

예를 들어, 가톨릭 신자들은 "믿음(faith)" 이라는 용어를 로마서 제14장 그리고 야고보서 제2장에서, 즉 "지성적 동의(intellectual assent)"의 한 동의어로서, 사용되고 있는 바로 그러한 의미로 사용하는 성향이 있습니다(tend to).1) 따라서 가톨릭 신자들이 "믿음만(faith alone)"에 의하여 구하여진다는 것을 부정할 때에, 그들은 우리가 "지성적 동의만(intellectual assent alone)"에 의하여, 즉 프로테스탄트도 또한 부정할 (신학적으로 가능한 종류의) 어떤 것에 의하여, 구하여진다는 것을 부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
1) 번역자 주: 여기서 이 글의 저자가 말하고 있는 "믿음(faith)"의 의미는, 13세기의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에 주어진 정의(definition)를 따르고 있는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통적 정의(definition)가 아니고, 로마서 14,2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다음의 글에서 말하는 "믿음(belief, 신념)"을 뜻한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912.htm 

그리고 이것은, 실제로 다음의 NAB 로마서 14,2에서 사용중인 동사가 "believes"임으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다:
http://new.usccb.org/bible/scripture.cfm?bk=Romans&ch=14 
-----

 

Protestants, for their part, tend to use the term "faith"--that is, living faith or saving faith--to mean "that faculty, given by God's grace, by which we believe God's teachings and trust in God for our salvation and which ends up producing produces good works in our lives as a consequence" (Gal. 5:6). However, when Protestants affirm that we are saved by "faith alone" in this sense, it is equivalent to the Catholic saying that we are saved by "faith, hope, and charity"--for the Protestants have defined faith in such a way that it includes the Catholic virtues of faith (belief), hope (trust), and charity (love/good works).

 

프로테스탄트들은, 자신들에 관한 한, "믿음(faith)"이라는 용어를, 즉 살아 있는 믿음(living faith) 혹은 구하는 믿음(saving faith)을, "하느님의 은총에 의하여 주어진, 그것에 의하여 우리가 하느님의 가르침들을 믿으며(believe) 그리고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하느님을 신뢰하며 그리고 하나의 결과로서 우리의 삶들 안에서 선행을 산출함과 함께 끝나는 바로 그 능력(faculty)"(갈라티아 5,6)을 뜻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성향이 있습니다.2) 그러나, 프로테스탄트들이 이러한 의미로 "믿음만으로(faith alone)"에 의하여 구하여진다고 확언할 때에, 그것은 우리가 "믿음(신덕), 희망(애덕), 그리고 사랑(망덕)(faith, hope, and charity)"에 의하여 구하여진다는 가톨릭 표현과 동치인데, 이는 프로테스탄트들이 믿음(faith)을, 그것이 믿음(faith, 신덕)[믿음(belief)], 희망(hope, 망덕)[신뢰(trust)], 그리고 사랑(charity, 애덕)[사랑/선행(love/good works)]이라는 가톨릭 덕들을 포함하는 바로 그러한 방식으로 이미 정의하였기 때문입니다.

 

-----
2) 번역자 주: 여기서 말하는 "믿음(faith)"의 의미는, 13세기의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에 주어진 정의(definition)인, 세례시에 성화 은총과 함께 하느님께서 주입시켜 주시는 초자연적 덕(supernatural virtues)들인 향주삼덕(three theological virtues)들 중의 하나인, "신덕(faith, 믿음)"을 글자 그대로 뜻하는 것이 아니라, 통공교리 그리고 연옥교리를 인정하지 않는 개신교측에서, 가톨릭측의 향주삼덕들 중의 하나인 신덕(faith, 믿음)을, 자신들의 신조에 적합하도록 변형하였다(mutate)는 생각이다. 즉, 믿음(faith, 신덕)으로 불리는 초자연적 덕(supernatural virtue)을 사람의 어떤 능력(faculty)로 변형하였다는 생각이다. 이 지적에 대하여서는, 바로 이어지는 문장에서 주어지고 있는 이 글의 저자의 설명을 또한 주목하라.
----- 

 

The debate over whether we are saved by faith alone is thus largely a matter of semantics--at least so long as one is dealing with the kind of Protestant defined saving faith as including belief, trust, and the subsequent production of good works in our lives.

 

따라서 믿음만으로(by faith alone) 우리가 구하여지는지에 대한 토론은, 적어도 우리가 믿음(belief), 신뢰, 그리고 우리의 삶들 안에서 그 이후의 선행들의 산출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프로테스탄트에 의하여 정의된 구하는 믿음(saving faith)이라는 그러한 종류를 우리가 다루고 있는 한, 크게 어의론(semantics)의 문제입니다.

 

This is important because Paul positively forbids us to engage in fights about words. He warns us against the type of man who "is puffed up with conceit, he knows nothing; he has a morbid craving for controversy and for disputes about words, which produce envy, dissension, slander, base suspicions" (1 Timothy 6:4). Regrettably, this is exactly the picture of the more low-brow anti-Catholic controversialists (e.g., Jack Chick, Dave Hunt, Ralph Woodrow, Loraine Boettner, and numerous others).

 

이것은 중요한데 왜냐하면 바오로(Paul)는 우리가 단어들에 관한 싸움들에 개입하는 것을 금지하기 때문입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사람에 반하여 우리에게 경고합니다: "그는 교만해져서 아무것도 깨닫지 못할 뿐만 아니라 논쟁과 설전에 병적인 열정을 쏟습니다. 이러한 것에서부터 시기와 분쟁과 중상과 못된 의심과 ..." (1티모테오 6,4). 유감스럽게도, 이것이 바로 정확하게 더 교양 없는 반 가톨릭 논쟁가들 (예를 들어, Jack Dick, Dave Hunt, Ralph Woodrow, Loraine Boettner, 그리고 수많은 다른 이들)의 화신(化身, picture)입니다.

 

Thus Paul orders Timothy to speak to his congregation "and charge them before the Lord to avoid disputing about words, which does no good, but only ruins the hearers" (2 Timothy 2:14).

따라서 바오로는 티모테오(Timothy)가 그의 회중에게 다음과 같이 말할 것을 명령합니다: "설전을 벌이지 말라고 하느님 앞에서 엄숙히 경고하십시오. 그런 짓은 아무런 이득 없이, 듣는 이들에게 해를 끼칠 따름입니다." (2티모테오 2,14).

 

The principle Paul lays down is that so long as two sides of a debate are agreed in substance, they are not to quarrel about the words in which they express themselves. Thus Paul binds Christians not to debate over whether salvation is by "faith alone" or by "faith, hope, and charity" so long as the same thing is meant by these expressions.

 

바오로가 규정하는 원칙(principle)은, 어떤 논쟁의 두 당사자들이 본체(substance)에 동의하게 되는 한, 그들은 그 안에서 자신들을 표현하는 단어들에 관하여 말다툼을 하여는 아니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바오로는, 구원이 "믿음만으로"에 의하여서인지 혹은 "믿음, 희망 그리고 사랑(charity)"에 의하여서인지에 관하여, 이들 두 표현들에 의하여 동일한 것이 뜻하게 되는 한, 논쟁하지 말라고 그리스도인들에게 의무를 지웁니다.

 

This is not to say that there are not differences between Protestants and Catholics on matters of salvation. There are. For example, the common Protestant assertion that it is impossible for a true Christian to lose his salvation. This is a serious difference--not merely a matter of terminology--and it must not be swept under the rug, for it has dire spiritual consequences. But there are still semantic differences which must be identified, clarified, and removed from the area of theological dispute.

 

이것은 구원의 문제들에 관하여 프로테스탄트들과 가톨릭들 사이에 아무런 차이점들이 있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참된 그리스도인이 자신의 구원을 잃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통상의 프로테스탄트 단언(assertion). 이것은, 단순히 용어의 문제가 아니라, 심각한 차이점이며, 그리고 이것은 감추어져서는 아니 되는데(must not), 이는 무시무시한(dire) 영적 결과들을 초래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신학적 논쟁의 영역으로부터 반드시 식별되어지고, 명백하게 하여야 하고, 그리고 제거되어져야만 하는 어의적 차이점(semantic differences)들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2. TWO KINDS OF ATONEMENT
2. 속죄의 두 종류들

 

One of the greatest semantic misunderstandings concerns the way in which the terms "salvation," "atonement," and "redemption" are used by Catholics. Protestants have a distinctive and narrowly focused set of meanings for these terms, and when they read Catholic documents that use these terms in larger senses, it appears to them that Catholics are saying things that deny the sufficiency of Christ's cross.

 

가장 커다란 어의적 오해들 중의 하는 "구원(salvation)", "속죄(atonement)", 그리고 "속량(redemption, 구속)" 이라는 용어들이 가톨릭 신자들에 의하여 사용되는 방식에 관계합니다. 프로테스탄트들은 이들 용어들에 대한 어떤 분명하며 그리고 촛점이 맞추어진 의미들의 집합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그들이 더 큰 의미로 이러한 용어들을 사용하는 가톨릭 문헌들을 읽을 때에, 가톨릭 신자들이 그리스도의 십자가 수난의 충분성(the sufficiency of Christ's cross)을 부정하는 것들을 말하고 있다고 그들에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

 

For example, if many Protestants were reading a Catholic book and encountered the statement that one may atone for one's iniquity by faithfulness and love, they would have an attack of apoplexy. "No one can atone for their sins!" they would exclaim. "That is a denial of the sufficiency of the cross; only Christ can make atonement for us!"

 

예를 들어, 만약에 다수의 프로테스탄트들이 어떤 가톨릭 저서를 읽는 중에 어떤 이가 충실함과 사랑(faithfulness and love)에 의하여 자신의 죄악(iniquity)을 속죄할(atone for) 수도 있다는 문장을 접한다고 하면, 그들은 졸도할 것입니다. "어떤 자도 자신들의 죄들을 속죄할 수 없다!" 라고 그들은 외칠 것입니다. "그러한 것은 십자가 수난의 충분성에 대한 하나의 부정이며, 오로지 그리스도만이 우리를 속죄할 수 있다!"

 

Well, that's true. Only Christ can make atonement for us in one sense (the most important sense), because only he can deliver us from the eternal consequences from our sins. But this is not the only sense in which one can atone for sins.

 

그렇습니다, 그것은 사실입니다. 오로지 그리스도께서만 (가장 중요한 의미인) 한 개의 의미에 있어 우리를 위하여 속량하실 수 있는데, 왜냐하면 오로지 당신만이 우리의 죄들로부터의 영원한 결과들로부터 우리를 구해내실(deliver)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그 안에서 어떤 이가 죄들을 속죄할 수 있다는 유일한 의미는 아닙니다.

 

We can prove this because the statement that love and faithfulness atone for iniquity is straight out of the Bible. It happens to be Proverbs 16:6 -- "By love and faithfulness iniquity is atoned for, and by the fear of the Lord a man avoids evil."

 

우리는 이것을 증명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사랑과 충실함이 죄악을 속죄하는 것은 곧바로 성경으로부터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잠언서 16,6 에 있습니다 -- "자애와 진실로 죄가 덮이고 주님을 경외함으로 악이 멀어진다."3) 

 

-----
3) 번역자 주: 여기서 이 글의 저자는 지금 개신교측의 영어 성경을 인용하고 있는 생각이며, 우리말 표현은 "새 번역 성경"에 주어진 것이다. 그리고, 예를 들어, RSV 및 NAB 잠언서 16,6은 다음과 같다: 
출처: http://quod.lib.umich.edu/cgi/r/rsv/rsv-idx?type=DIV1&byte=2456543
출처: http://www.usccb.org/bible/scripture.cfm?bk=Proverbs&ch=16
(RSV) By loyalty and faithfulness iniquity is atoned for, and by the fear of the LORD a man avoids evil.
(NAB) By steadfast loyalty guilt is expiated, and by the fear of the LORD evil is avoided.
-----

 

Since it is true that only Christ can atone for our sins in one sense, we must therefore conclude that Proverbs 16 is speaking of atonement in a different sense. And since only Christ can atone for the eternal effects of our sins, we must conclude that Proverbs 16 speaks of love and faithfulness resulting in a non-eternal atoning for sin; in other words, a temporal atonement rather than an eternal atonement.

 

오로지 그리스도께서만 한 개의 의미에 있어 우리의 죄들을 속죄할 수 있으심이 참이기에, 따라서 우리는 잠언서 제6장은 어떤 다른 의미에 있어 속죄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고 결론지어야만 합니다. 그리고 오로지 그리스도께서만 우리의 죄들의 영원한 결과들을 속죄할 수 있으시기에, 우리는 잠엄서 제6장은 죄들에 대한 어떤 영원하지 않은 속죄함을, 달리 말하여, 어떤 영원한 속죄라기 보다는 오히려 어떤 일시적인 속죄함을, 초래하는 사랑과 충실함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고 결론지어야만 합니다.

 

Unfortunately, most Protestants have had such a lopsided presentation of the Biblical doctrine of the atonement presented to them that they are only aware of the eternal aspect of atonement and will be completely at a loss when they encounter passages in the Bible such as Proverbs 16:6. Some less experience and weaker in their faith might even be led into questioning the inerrancy of Scripture by perceiving this as a contradiction of the doctrine of atonement by Christ alone. At least it would provide many with a perplexing, mysterious passage that they aren't sure how to harmonize with their other beliefs.

 

불행하게도, 대부분의 프로테스탄트들은 그러한 성경의 속죄 교리(the Biblical doctrine of the atonement)에 대한 어떤 한쪽으로 기운 표상(表象, presentation)을 가지고 있기에 그 결과 그들은 오로지 속죄의 영원한 양상만을 알고 있으며 그리하여 그들이 성경에 있어 잠언서 16,6과 같은 구절을 우연히 만날 때에 전적으로 어찌할 바를 모를 것입니다. 자신들의 믿음에 있어 경험이 적은 그리고 나약한 일부는 심지어 그리스도만에 의한 속죄 교리에 대한 하나의 모순으로서 이것을 인지함으로써 성경 본문의 무오성(the inerrancy of Scripture)에 대한 의심으로 이르게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적어도 이것은 자신들의 다른 믿음(beliefs)들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야 할지 확신하지 못하는 어떤 당황하게 하는(perplexing), 불가해한(mysterious) 구절을 많은 이들에게 제공할 것입니다.  

 

In addition, many Protestants have received such an indoctrination into anti-Catholicism that they unconsciously operate with a double standard when reading Catholic works. If they are reading the Bible, they will accept its terminology concerning temporal atonement, but if Catholics start using in real life the same language the Bible uses on this subject, they instantly accuse their Catholic brothers of teaching all kinds of blasphemous, anti-Christian doctrines that deny the sufficiency of Christ's cross.

 

더구나, 수많은 프로테스탄트들은 그러한 어떤 반 가톨릭 교회 교리로의 고취(indoctrination)를 이미 받아들였기에 그 결과 그들은 가톨릭 저술들을 읽을 때에 어떤 이중 잣대를 무의식적으로 교묘히 다룹니다. 그들이 성경을 읽고 있다면, 그들은 일시적 속죄에 관한 그 전문 술어를 받아들일 것이나, 그러나 가톨릭 신자들이 실제 삶에 있어 바로 이러한 주제에 대하여 성경이 사용하고 있는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그들은 즉시 자신들의 가톨릭 형제들을 그리스도의 십자가 수난의 충분성을 부인하는 모든 종류의 신성 모독의, 반 그리스도교 교리를 가르친다고 비난합니다.

The only way to cure this tendency is to point it out -- to bring it out into the light, even at the risk of offending some -- and then stepping back, looking at the Bible's teaching, and then applying it to the misunderstandings of Catholic teaching that pervade anti-Catholic literature.

이러한 풍조(tendency)를 치유하는 유일한 방법은, 심지어 어떤 이들의 마음을 상하게 하는 위험을 무릅쓰고라도, 이것을 지적하는 것, 즉 이것을 밝은 곳으로 꺼집어 내는 것, 그런 다음에 한발 뒤로 물러나, 성경의 가르침을 바라보면서, 그런 다음에 이것을 반 가톨릭 문헌에 널리 퍼져 있는 가톨릭 가르침에 대한 오해들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3. TEMPORAL AND ETERNAL SALVATION
3. 일시적 및 영원한 구원

 

In order to understand the idea of temporal atonement, we need to set it in its larger Biblical context, which includes the concepts of temporal salvation and temporal redemption.

 

일시적 속죄라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는 일시적 구원 및 일시적 속량을 포함하는, 이 개념을 더 큰 성경 문맥 안에 배치할 필요가 있습니다.

 

When they begin to read the Bible, most Christians quite naturally begin by reading the New Testament and only then going back to read the Old. This can cause perplexity about the use of certain terms, such as salvation, which are employed in different ways in the Old Testament.

 

대부분의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그들이 성경을 읽기 시작할 때에, 상당히 자연스럽게 신약 성경을 읽음으로써 시작하며 그리고 그런 다음에야 비로소 구약 성경을 읽는 것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합니다. 이것은, 구약 성경에 있어 서로 다른 방식들로 사용되고 있는 구원(salvation) 등과 같은 특정한 용어들의 사용에 관한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The New Testament focuses on the idea of eternal salvation -- salvation from the eternal consequences of sin (i.e., hell) -- but when one turns to the Old Testament one finds the term "salvation" most often used to refer to salvation from temporal dangers such as war, famine, disease, oppression, and physical (rather than eternal) death. In fact, the focus on temporal salvation is so great that out of the over two hundred references to salvation in the Old Testament, it is very hard to find any unambiguously referring to eternal salvation.

 

신약 성경은 영원한 구원, 즉 죄의 영원한 결과들(즉, 지옥)로부터의 구원이라는 개념에 촛점을 맞추고 있으나, 그러나 어떤 이가 구약 성경으로 향하면 그는 "구원"이라는 용어가 전쟁, 기근, 질병, 억압, 그리고 (영적인 죽음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물리적 죽음 등의 일시적 위험들로부터의 구원을 언급하기 위하여 대부분 자주 사용되었음을 발견합니다. 사실, 일시적 구원에 대한 초점이 너무도 커서 구약 성경에 있어 구원에 대한 2백 번 이상의 언급들로부터, 영원한 구원에 대한 어떤 명료한 언급을 찾아내는 것은 매우 힘듭니다.

 

A few examples will suffice to give one a taste of the way in which the Old Testament most often conceives of salvation:

 

구약 성경이 구원에 대하여 대부분 자주 생각하는 방식을 맛보게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개의 예제(examples)들이 충분할 것입니다:

 

"I wait for thy salvation, O Yahweh. Raiders shall raid Gad, but he shall raid at their heels." (Genesis 49:18-19)

 

"주님, 제가 당신의 구원을 기다립니다. 가드는 약탈자들의 습격을 받겠지만 그 자신이 그들의 뒤를 습격하리라." (창세기 49,18-19)

 

"And Moses said to the people, 'Fear not, stand firm, and see the salvation of Yahweh, which he will work for you today; for the Egyptians whom you see today, you shall never see again. Yahweh will fight for you, and you have only to be still.'" (Exodus 14:13-14)

 

"그러자 모세가 백성에게 대답하였다. '두려워하지들 마라. 똑바로 서서 오늘 주님께서 너희를 위하여 이루실 구원을 보아라. 오늘 너희가 보는 이집트인들을 다시는 영원히 보지 않게 될 것이다. 주님께서 너희를 위하여 싸워 주실 터이니, 너희는 잠자코 있기만 하여라.'" (탈출기 14,13-14)

 

"Because Yahweh your God walks in the midst of your camp, to save you and to give up your enemies before you, therefore your camp must be holy, that he may not see anything indecent among you, and turn away from you." (Deuteronomy 23:14)

 

"주 너희 하느님께서 너희를 구원하시고, 너희 적들을 너희에게 넘겨주시려고 너희의 진영 가운데를 다니시므로, 너희의 진영은 거룩해야 한다. 그래야 주님께서 더러운 것을 보시고 너희에게서 돌아서지 않으실 것이다." (신명기 23,15)

 

"Now therefore stand still, that I [Samuel] may plead with you before Yahweh concerning all the saving deeds of Yahweh which he performed for you and for your fathers." (1 Samuel 12:7)

 

"그러니 이제 여러분은 그대로 서 있으시오. 내가 주님께서 여러분과 여러분의 조상들에게 베푸신 의로운 업적을 모두 들어, 주님 앞에서 여러분과 시비를 가려야겠소." (1사무엘 12,7)

 

In these passages the salvation Yahweh gives concerns deliverance from dangers that the Israelites may not have brought on themselves by sin. It is simply a fact of life in this world that the wicked oppress the righteous and bring trouble on them that is not being given as a punishment for sin (the fact that not all suffering is a punishment for sin is, of course, a major theme--in fact, the key point--of the book of Job).

 

이들 절들에 있어 야훼께서 제공하시는 구원은, 이스라엘의 자손들이 죄 때문에 그들 스스로 유발할 수 없었을, 위험들로부터의 구출에 관계합니다. 사악한 자들이 의로운 자들을 억압하며 그리고 그들에게, 죄에 대한 어떤 벌로서 주어지고 있지 않는, 괴로움들을 가져다 주는 것은 단순히 이 세상에서 삶에 대한 한 개의 사실 (모든 고통이 죄에 대한 어떤 벌이 아님은, 당연히, 사실은, 욥기의 기본 주제인, 한 개의 주된 주제라는 사실)입니다.

God saves from this kind of calamity, but he also saves from calamities that people bring on themselves by sinning. For example, in Job we read:

 

하느님께서는 이러한 재앙의 종류로부터 구하시나, 그러나 당신께서는 죄를 지음으로써 사람들이 자신들 스스로에게 초래하는 재앙들로부터 또한 구하십니다. 예를 들어 욥기에서 우리는 다음을 읽습니다:

 

"Man is also chastened with pain upon his bed, and with continual strife in his bones . . . [But if] there be for him an angel, a mediator, one of the thousand, to declare to man what is right for him; and he is gracious to him, and says, 'Deliver him from going down into the Pit, I have found a ransom' . . . then man prays to God, and he accepts him, he comes into his presence with joy. He recounts to men his salvation, and he sings before men, and says: `I sinned and perverted what was right, and it was not requited to me. He has redeemed my soul from going down into the Pit, and my life shall see the light.'" (Job 33:19, 23-24, 26-28)

 

"그는 잠자리에서 고통을 당하고 뼈마디가 끊임없이 쑤시는 형벌을 받아 ... 사람에게 바른 것을 알려 주려고 그 옆의 천사가, 천 명 가운데 한 중개자가 그를 불쌍히 여겨 '그가 구렁으로 내려가지 않게 해 주십시오. 제가 그를 위한 속전을 찾았습니다.' 하고 말한다면 ... 그가 하느님께 기도하면 그를 받아들이시어 그는 환호하며 그분의 얼굴을 뵙고 그분께서는 사람에게 그의 의로움을 되찾아 주신답니다. 그러면 그는 사람들 앞에서 노래하며 말할 것입니다. '내가 죄를 짓고 바른 것을 왜곡하였지만 그에 마땅한 벌을 받지 않았네. 그분께서 구렁으로 떨어지는 내 목숨을 구하시어 내 생명이 빛을 즐거이 바라보네.'" (욥 33,19.23-24.26-28)

 

In this passage the sickness is brought on the man by his own sin, so he is chastised, but an angel mediates for him, and God saves him from the temporal calamities that had come upon him for his sins. We thus have a reference to temporal salvation--not just from calamity in general--but from the temporal consequences of sin. It is this understanding of temporal salvation that we are most concerned about in this paper since it is the kind of temporal salvation Catholics most frequently focus on.

 

이 구절에 있어 질병은 이 사람에게 자신 고유의 죄 때문에 초래되었으며, 그 결과 그는 징벌을 받고 있으나, 그러나 한 명의 천사가 그를 위하여 중재하며, 그리하여 하느님께서는 자신의 죄들 때문에 그에게 이미 덮친 일시적 재앙들로부터 그를 구하십니다. 따라서 우리는, 단지 일반적인 재앙으로부터가 아닌, 죄의 일시적 결과들로부터의 일시적 구원에 대한 어떤 언급을 가집니다. 이 논문에서 우리가 가장 관계하게 되는 것은 일시적 구원에 대한 바로 이러한 이해인데, 이는 이것이 가톨릭 신자들이 가장 자주 초점을 맞추는 일시적 구원의 바로 그 종류이기 때문입니다.

 

Of course, Job 33 is nowhere near the only Old Testament passage dealing with salvation from the temporal consequences of sin. This idea positively dominates the deliverance passages in the writings of the prophets, since the prophets are almost invariably talking about God delivering his people from calamities they brought on themselves by their violence, oppression, and most of all their worship of false gods. The true God gave them these punishments to chastise and correct them, and once the people repent, God then saves them from the distress their sins brought down on them.

 

당연히, 욥기 제33장은 죄의 일시적 결과들로부터의 구원을 다루고 있는 유일한 구약 성경 구절에는 도저히 미치지 못합니다. 이러한 개념은 예언자들의 저술들에 있어 구출 구절들을 명확하게 지배하고 있는데, 이는 예언자들이 하느님께서 당신의 백성을, 그들의 폭력, 억압, 그리고 무엇보다도 거짓 신(false gods)들에 대한 그들의 예배에 의하여 그들이 그들 자신들에게 야기하였던, 재앙들로부터 구출하심에 관하여 거의 변함없이 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참 하느님께서는 그들을 징벌하고 교정하기 위하여 이러한 벌들을 그들에게 주셨으며, 그리하여 일단 이 백성이 회개하면, 하느님께서는 그들의 죄들이 그들에게 초래하였던 고통으로부터 그들을 구하십니다(saves). 

 

What most people aren't aware of is that the idea of temporal salvation is also found in the New Testament. Though the New Testament mostly focuses on eternal salvation, the idea of temporal salvation is certainly present as well. In fact, it is far more common than many would suppose. Let us look at just a few examples: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는 바는 신약 성경에서도 일시적 구원에 대한 개념이 또한 발견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비록 신약 성경이 대부분 영원한 구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는 하나, 일시적 구원에 대한 개념도 또한 확실하게 있습니다. 사실, 이것은 많은 이들이 예상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일상적입니다. 단순히 다음과 같은 몇 개의 예제들을 함께 살펴보도록 합시다:

 

"And when he got into the boat, his disciples followed him. And behold, there arose a great storm on the sea, so that the boat was being swamped by the waves; but he was asleep. And they went and woke him, saying, 'Save us, Lord; we are perishing!'" (Matthew 8:23-25)

 

"예수님께서 배에 오르시자 제자들도 그분을 따랐다. 그때 호수에 큰 풍랑이 일어 배가 파도에 뒤덮이게 되었다. 그런데도 예수님께서는 주무시고 계셨다. 제자들이 다가가 예수님을 깨우며, “주님, 구해 주십시오. 저희가 죽게 되었습니다.” 하였다." (마태오 복음서 8,23-25)

 

"And if those days had not been shortened, no human being would be saved; but for the sake of the elect those days will be shortened." (Matthew 24:22)

 

"그 날수를 줄여 주지 않으시면 어떠한 사람도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선택된 이들을 위하여 그 날수를 줄여 주실 것이다." (마태오 복음서 24,22)

 

"He saved others; he cannot save himself. He is the King of Israel; let him come down now from the cross, and we will believe in him." (Matthew 27:42)

 

"다른 이들은 구원하였으면서 자신은 구원하지 못하는군. 이스라엘의 임금님이시면 지금 십자가에서 내려와 보시지. 그러면 우리가 믿을 터인데." (마태오 복음서 27,42)

 

"Blessed be the Lord God of Israel, for he has visited and redeemed his people, and has raised up a horn of salvation for us in the house of his servant David, as he spoke by the mouth of his holy prophets from of old, that we should be saved from our enemies, and from the hand of all who hate us" (Luke 1:68-71)

 

"주 이스라엘의 하느님께서는 찬미받으소서. 그분께서는 당신 백성을 찾아와 속량하시고 당신 종 다윗 집안에서 우리를 위하여 힘센 구원자를 일으키셨습니다. 당신의 거룩한 예언자들의 입을 통하여 예로부터 말씀하신 대로 우리 원수들에게서, 우리를 미워하는 모든 자의 손에서 우리를 구원하시려는 것입니다." (루카 복음서 1,68-71)

 

Another passage in Luke 1, which is almost certainly a reference to salvation from temporal trouble, is almost always misread as a reference to eternal salvation. It occurs in the Magnificat:

 

루카 복음서 제1장에 있는, 거의 확실하게 일시적 곤란으로부터의 구원에 대한 언급인, 다음과 같은 또 하나의 구절은 영원한 구원에 대한 언급으로서 거의 항상 잘못 읽혀지고 있습니다:

 

"And Mary said, 'My soul magnifies the Lord, and my spirit rejoices in God my Savior, for he has regarded the low estate of his handmaiden--for behold, henceforth all generations will call me blessed; for he who is mighty has done great things for me, and holy is his name. And his mercy is on those who fear him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e has shown strength with his arm, he has scattered the proud in the imagination of their hearts, he has put down the mighty from their thrones, and exalted those of low degree; he has filled the hungry with good things, and the rich he has sent empty away. He has helped his servant Israel, in remembrance of his mercy, as he spoke to our fathers, to Abraham and to his posterity for ever.'" (Luke 1:46-55)

 

"그러자 마리아가 말하였다. '내 영혼이 주님을 찬송하고 내 마음이 나의 구원자 하느님 안에서 기뻐 뛰니 그분께서 당신 종의 비천함을 굽어보셨기 때문입니다. 이제부터 과연 모든 세대가 나를 행복하다 하리니 전능하신 분께서 나에게 큰일을 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분의 이름은 거룩하고 그분의 자비는 대대로 당신을 경외하는 이들에게 미칩니다. 그분께서는 당신 팔로 권능을 떨치시어 마음속 생각이 교만한 자들을 흩으셨습니다. 통치자들을 왕좌에서 끌어내리시고 비천한 이들을 들어 높이셨으며 굶주린 이들을 좋은 것으로 배불리시고 부유한 자들을 빈손으로 내치셨습니다. 당신의 자비를 기억하시어 당신 종 이스라엘을 거두어 주셨으니 우리 조상들에게 말씀하신 대로 그 자비가 아브라함과 그 후손에게 영원히 미칠 것입니다.' " (루카 복음서 1,46-55)

 

This passage is almost always used by Protestants in a polemical attempt to show that Mary was a sinner because she refers to God as her Savior. This is a fruitless attempt since Catholic theology teaches that God was Mary's Savior--in fact, he saved her in a more spectacular way than others since he not only saved her from the consequences of having fallen into sin, he saved her from falling into sin in the first place, making her "the most excellent fruit of redemption"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508). Mary is the most saved person there is since by God's grace she was saved from things he let the rest of us fall into.

 

이 구절은, 마리아는, 그녀가 하느님을 자신의 구원자로서 언급하고 있기에, 죄인이었음을 보이고자 하는 논쟁적 시도에 있어 프로테스탄트들에 의하여 거의 항상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한 개의 헛된 시도인데, 이는 가톨릭 신학이 하느님께서는 마리아의 구원자라고 가르치기 때문입니다 -- 사실, 당신께서는 그녀를 다른 이들보다 더 굉장한 방식으로 그녀를 구원하셨는데 이는 당신께서 그녀를 죄에 이미 떨어진 상태의 결과들로부터 구하셨던 것이 아니라, 당신께서는 그녀를 그보다 먼저 죄로 떨어지는 것으로부터 구하시어, 그리하여 그녀를 "구속(redemption)의 가장 탁월한 열매"로 만드셨기 때문입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508항]. 여기에 있어 마리아는 가장 구하여진 자인데 이는 하느님의 은총에 의하여 그녀는, 당신께서 나머지 우리들이 떨어지는 것을 허락한 것들로부터, 구하여졌기 때문입니다.

 

Not only is it fruitless to argue that Mary must be a sinner because she has a Savior, it is also a complete misreading of this passage. The misreading stems from the fact that Protestants generally assume all references to salvation are references to eternal salvation. But this is an assumption that is patently false given the Biblical evidence. Whenever one encounters a reference to salvation in the Bible, one must always ask whether it is temporal or eternal salvation under discussion. Thus we must ask ourselves how Mary is conceiving of God in this passage--as saving from temporal or eternal calamity.

 

마리아는, 그녀가 구원자를 가지고 있기에, 죄인임에 틀림없다는 주장은 헛된 것일뿐만이 아니라, 그러한 주장은 또한 이 구절에 대한 완전한 오독(misreading)입니다. 이 오독은 프로테스탄트들이 구원에 대한 언급들은 모두 영원한 구원에 대한 언급들이라고 일반적으로 가정하는 사실로부터 유래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성경의 증거를 고려하면 명백하게 거짓인 가정입니다. 성경에 있어 어떤 이가 구원에 대한 언급을 접할 때마다, 그는 토의 중인 구원이 일시적인 혹은 영원한 구원인지를 항상 질문하여야만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바로 이 구절에서, 일시적인 혹은 영원한 재앙으로부터의 구함으로서, 어떻게 마리아가 하느님을 잉태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스스로에게 물어야만 합니다.

 

When we do this it is almost certain that the idea of God as Savior from temporal circumstances is at the forefront of her mind. She declares: "[M]y spirit rejoices in God my Savior, for he has regarded the low estate of his handmaiden--for behold, henceforth all generations will call me blessed; for he who is mighty has done great things for me." As the explanatory connective term "for" indicates, the reason Mary rejoices in God as her Savior is that "he has regarded the low estate of his handmaiden" and done marvelous things for her. God has thus saved her from her low estate and given her an exalted on that will be remembered and honored forever: "for behold, henceforth all generations will call me blessed."

 

우리가 이것을 할 때에 일시적 상황들로부터의 구원자로서의 하느님에 대한 개념은 그녀의 마음의 맨 앞부분에 있음은 거의 확실합니다. 그녀는 다음과 같이 선언합니다: "내 영혼이 주님을 찬송하고 내 마음이 나의 구원자 하느님 안에서 기뻐 뛰니 그분께서 당신 종의 비천함을 굽어보셨기 때문입니다. 이제부터 과연 모든 세대가 나를 행복하다 하리니 전능하신 분께서 나에게 큰일을 하셨기 때문입니다." 해명의 연결 용어인 "때문입니다"가 나타내듯이, 마리아가 그녀의 구원자로서의 하느님 안에서 기뻐하는 이유는 "당신께서 당신 종의 비천함을 굽어보셨기 때문이며" 그리하여 그녀를 위하여 놀라운 일들을 행하셨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느님께서는 그녀를 그녀의 비천함으로부터 구하셨으며 그리고 다음과 같이 영원히 기억되고 공경받을 어떤 고양(an exaltation)을 그녀에게 허락하셨습니다: "이제부터 과연 모든 세대가 나를 행복하다 하리니 ..."

 

The fact it is salvation from temporal circumstances that Mary has in mind is reinforced by the fact she then proceeds to name a bunch of different kinds of temporal salvation ("He has shown strength with his arm, he has scattered the proud in the imagination of their hearts, he has put down the mighty from their thrones, and exalted those of low degree; he has filled the hungry with good things, and the rich he has sent empty away. He has helped his servant Israel, in remembrance of his mercy, as he spoke to our fathers, to Abraham and to his posterity for ever") and by the parallel canticle in which Zechariah proclaims the praise of God as temporal Savior (Luke 1:68-75).

 

마리아가 마음에 가지고 있는 것이 일시적인 상황들로부터의 구원이라는 사실은 그러고 나서 그녀가 한 다발의 다른 종류들의 일시적 구원의 이름을 계속하여 부르기 시작하는 사실에 의하여("그분의 이름은 거룩하고 그분의 자비는 대대로 당신을 경외하는 이들에게 미칩니다. 그분께서는 당신 팔로 권능을 떨치시어 마음속 생각이 교만한 자들을 흩으셨습니다. 통치자들을 왕좌에서 끌어내리시고 비천한 이들을 들어 높이셨으며 굶주린 이들을 좋은 것으로 배불리시고 부유한 자들을 빈손으로 내치셨습니다. 당신의 자비를 기억하시어 당신 종 이스라엘을 거두어 주셨으니 우리 조상들에게 말씀하신 대로 그 자비가 아브라함과 그 후손에게 영원히 미칠 것입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 즈카르야가 일시적 구원자로서의 하느님에 대한 찬양을 선포하는 병행하는 노래(canticle)에 의하여(루카 복음서 1,68-75) 보강됩니다.

 

Fortunately, some Protestants, such as R.C. Sproul (an otherwise very anti-Catholic guy), are recognizing the force of the evidence backing up the fact that Mary's reference to God as Savior refers to his role as temporal Savior. Hopefully, their admission of this fact will lead to a broader understanding among Protestants of the Biblical teaching on temporal salvation.

 

다행스럽게도, (다른 경우라면 매우 반 가톨릭 자인) R.C. Sproul 등과 같은 일부 프로테스탄트들은, 구원자로서의 하느님에 대한 마리아의 언급이 일시적 구원자로서의 당신의 역할에 대한 언급이라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이 증거의 힘을 알아차리고 있습니다. 잘 되면(hopefully), 이러한 사실에 대한 그들의 자인(自認, admission)은 프로테스탄트들 사이에서 일시적 구원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에 대한 더 폭넓은 이해를 불러일으킬 것입니다.

 

As with the Old Testament, the New Testament also includes the idea of salvation from the temporal consequences of sin. A rather off-beat and comical example of this is found in the account of when the apostles saw Jesus walking toward them on the Sea of Galilee:

 

구약 성경과 마찬가지로, 신약 성경은 죄의 일시적 결과들로부터의 구원이라는 개념을 또한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것에 대한 약간 파격적인 그리고 익살맞은 예제(example)는 다음과 같이 갈릴래야 호수 위에서 예수님께서 그들을 향하여 걸어오시는 것을 사도들이 보았을 때의 이야기에서 발견됩니다:

 

"And Peter answered him, 'Lord, if it is you, bid me come to you on the water.' He said, 'Come.' So Peter got out of the boat and walked on the water and came to Jesus; but when he saw the wind, he was afraid, and beginning to sink he cried out, 'Lord, save me.' Jesus immediately reached out his hand and caught him, saying to him, 'O man of little faith, why did you doubt?'" (Matthew 14:28-31)

 

"그러자 베드로가 말하였다. '주님, 주님이시거든 저더러 물 위를 걸어오라고 명령하십시오.' 예수님께서 '오너라.' 하시자, 베드로가 배에서 내려 물 위를 걸어 예수님께 갔다. 그러나 거센 바람을 보고서는 그만 두려워졌다. 그래서 물에 빠져 들기 시작하자, '주님, 저를 구해 주십시오.' 하고 소리를 질렀다. 예수님께서 곧 손을 내밀어 그를 붙잡으시고, '이 믿음이 약한 자야, 왜 의심하였느냐?' 하고 말씀하셨다. 그러고 나서 그들이 배에 오르자 바람이 그쳤다. 그러자 배 안에 있던 사람들이 그분께 엎드려 절하며, '스승님은 참으로 하느님의 아드님이십니다.' 하고 말하였다." (마태오 복음서 14,28-31)

 

Here Peter's transgression is the sin of unbelief and the temporal consequence from which he is saved is sinking into the water.

 

여기서 베드로의 잘못은 불신(unbelief, 의심)의 죄이며 그리고 거기로부터 그가 구하여진 일시적 결과는 물 속으로 가라앉음입니다.

 

A point of special interest in this text is the way in which Jesus saves him from it--simply by reaching out a hand and pulling him up. To save Peter Jesus did something that any one of us could have done if we were close enough to Peter--assuming we had a firm base to stand upon. Jesus, of course, was standing on the water, but anyone standing on a boat, a rock, or a platform could have done the same thing.

 

이 본문에 있어 특별한 관심의 요지 한 개는 그 안에서 예수님께서, 단순히 손을 내밀어 그를 붇잡으심에 의하여, 가라앉음으로부터 그를 구하시는 그 방식에 있습니다. 베드로를 구하기 위하여 만약에 우리가 베드로에게 충분히 가까이 있었더라면, 의지할 어떤 확고한 기반을 우리가 가지고 있다는 가정 하에서, 우리들 중의 누구도 행하였을 수 있는 그 무엇을 예수님께서 행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연히, 물 위에 서 계셨으며, 그러나 배, 바위, 혹은 단(壇, platform) 위에 서 있는 누구도 동일한 것을 행하였을 수 있었습니다. 

 

4. TEMPORAL AND ETERNAL SAVIORS 
4. 일시적 및 영원한 구원자들

 

This reveals to us a very important point about the mechanics of temporal salvation: One does not have to be God to be a temporal savior.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일시적 구원의 역학(mechanics)에 관한 매우 중요한 점을 우리에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일시적 구원자이기 위하여 그는 하느님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This is something I can testify from very recent experience. The day before I began this paper I went to a doctor to see about getting some medicine for lower back pain I have been experiencing. You see, contrary to all the advice, contrary to my own knowledge of what I should have done, I have recently lifted some heavy objects and bent at the waist rather than the knees when doing it. And as a result, I have now been suffering the consequences of my transgression. Thus I went to a doctor who prescribed some medicine for my back pain and thus helped save me from the consequences of my own folly.

 

이것은 매우 최근의 경험으로부터 제가 증언할 수 있는 어떤 것입니다. 제가 이 논문을 시작하기 하루 전에 저는 제가 겪고 있는 아랫부분의 등의 통증을 위한 어떤 내복약을 구하는 데에 대하여 고려하기 위하여 의사에게 갔습니다. 실은, 모든 조언들에 반하여, 제가 행하였어야만 하는 바에 대한 제 고유의 지식에 반하여, 저는 최근에 어떤 무거운 물건들을 들어 올렸으며 그리고 이것을 행할 때에 무릎들 대신에 오히려 허리에서 구부렸습니다. 그리하여 그 결과, 저는 자신의 잘못의 결과들을 지금 겪고 있는 중입니다. 따라서 저는 저의 등의 아픔을 위하여 어떤 내복약을 처방해준 의사에게 갔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나 자신 고유의 어리석음의 결과들로부터 저를 구하는 것을 도왔습니다.

 

And, under the providence of God, I am sure that it was the Lord's will that I receive this salvation, since I am now committed to taking better care of my back (stretching exercises are on the program, for example).

 

그리고, 하느님의 섭리 하에, 저는 제가 이러한 구원을 받는 것이 주님의 뜻이었음을 확신하는데, 이는 제가 저의 등을 더 잘 돌보기에 이제 전념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이 프로그램에 신장 운동들이 있습니다).

 

This situation of God using a physician to heal someone after they have sinned is reflected in sacred Scripture. Though it is a passage that the Reformers cut out of the Bible, the principles it expresses are so good that I imagine most Protestant would wish it was in their Bibles for its value in combating health and wealth preachers:

 

하느님께서 그들이 죄를 이미 지은 후에 어떤 자를 치유하기 위하여 의사를 사용하는 바로 이러한 상황은 성스러운 성경 본문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개혁자(the Reformers)들이 성경으로부터 제외해 버린 한 구절이기는 하나, 다음과 같이 그것이 표현하는 원칙들이 너무도 좋아서 저는 대부분의 프로테스탄트가 건강하고 부자인 설교가들과 싸우는 데에 있어 그 가치 때문에 자신들의 성경들에 그 구절이 있기를 바랐을 것이라고 상상합니다: 

 

"Honor the physician with the honor due him, according to your need of him, for the Lord created him; for healing comes from the Most High, and he will receive a gift from the king. . . . The Lord created medicines from the earth, and a sensible man will not despise them. . . . [T]he pharmacist makes . . . a compound. His works will never be finished; and from him health is upon the face of the earth. . . . My son, when you are sick do not be negligent, but pray to the Lord, and he will heal you. . . . And give the physician his place, for the Lord created him; let him not leave you, for there is need of him. There is a time when success lies in the hands of physicians, for they too will pray to the Lord that he should grant them success in diagnosis and in healing, for the sake of preserving life. He who sins before his Maker, may he fall into the care of a physician." (Sirach 38:1-2, 4, 8-9, 12-15)

 

"남을 도와주는 의사를 존경하여라. 주님께서 그를 창조하셨다. 치유는 지극히 높으신 분에게서 오니 그는 임금에게서 선물을 받는다. ... 주님께서 땅에 약초를 마련해 놓으셨으니 현명한 사람은 그것을 소홀히 하지 않으리라. ... 약사도 이 약초로 약을 조제하니 주님의 위업은 끝없이 이어지고 그분에게서 평화가 온 땅 위에 퍼져 나간다. 얘야, 네가 병들었을 때 지체하지 말고 주님께 기도하여라. 그분께서 너를 고쳐 주시리라. ... 그다음에는 의사에게 맡겨라. 주님께서 그를 창조하셨다. 의사가 너를 떠나지 못하게 하여라. 그가 너에게 필요하다. 치유의 성공이 의사의 손에 달려 있는 때가 있다. 그들 역시 주님께 기도하여 자신들에게 올바른 진단과 생명을 구하기 위한 치유의 은혜를 베풀어 주시도록 청한다. 자신의 창조주 앞에서 죄를 짓는 자는 의사의 신세를 져야 마땅하리라." (집회서 38,1-2.4.8-9.12-15)

 

In any event, there can be no disputing that God sends some people to be temporal saviors, for even the Protestant Scriptures flatly describe individuals in this manner:

 

아무튼, 하느님께서 일시적 구원자들일 어떤 사람들을 보내신다는 것에 관한 논쟁은 결코 있을 수 없는데, 이는 심지어 개신교 성경 본문들도 명백히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개인들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And the anger of Yahweh was kindled against Israel, and he gave them continually into the hand of Hazael, king of Syria, and into the hand of Ben-hadad, the son of Hazael. Then Jehoahaz besought Yahweh, and Yahweh hearkened to him; for he saw the oppression of Israel, how the king of Syria oppressed them. Therefore Yahweh gave Israel a savior, so that they escaped from the hand of the Syrians; and the people of Israel dwelt in their homes as formerly." (2 Kings 13:3-5)

 

"의술은 그의 머리를 높여 주고 고관들 앞에서 칭송을 받게 한다. 주님께서 땅에 약초를 마련해 놓으셨으니 현명한 사람은 그것을 소홀히 하지 않으리라. 주님께서는 당신의 능력을 알아보도록 나뭇가지로 물을 달게 만들어 주지 않으셨더냐?" (2열왕 13,3-5)

 

"Nevertheless they were disobedient and rebelled against you and cast your law behind their back and killed your prophets, who had warned them in order to turn them back to you, and they committed great blasphemies. Therefore you gave them into the hand of their enemies, who made them suffer; and in the time of their suffering they cried to you and you heard them from heaven; and according to your great mercies you gave them saviors who saved them from the hand of their enemies." (Nehemiah 9:26-27)

 

"그러나 그들은 당신을 거역하고 반역하였으며 당신의 율법을 등 뒤로 내던져 버렸습니다. 당신께 돌아가라고 경고하는 당신의 예언자들을 죽여 큰 불경을 저질렀습니다. 그리하여 당신께서는 그들을 적의 손에 넘기시어 억압을 받게 하셨습니다. 그러나 곤경 중에 당신께 부르짖으면 당신께서는 하늘에서 들으시고 당신의 크신 자비에 따라 구원자들을 보내시어 그들을 적의 손에서 구원하도록 하셨습니다." (느헤미야 9,26-27)

 

"The exiles in Halah who are of the people of Israel shall possess Phoenicia as far as Zarephath; and the exiles of Jerusalem who are in Sepharad shall possess the cities of the Negeb. Saviors shall go up to Mount Zion to rule Mount Esau; and the kingdom shall be Yahweh's." (Obadiah 20-21)

 

"그리고 유배자들, 이스라엘 자손들의 이 무리는 사렙타에 이르기까지 가나안 땅을 소유하리라. 스파랏에 사는 예루살렘 출신 유배자들은 네겝의 성읍들을 소유하리라. 구원받은 이들은 시온 산으로 올라와 에사우 산을 다스리리니 이 나라는 주님의 나라가 되리라." (오바드야 20-21)

 

In each of these cases, God sends temporal saviors to deliver his people from the temporal consequences of their sins. We therefore have to say that God (and particularly Jesus Christ) is the only eternal Savior, but that numerous people are used by God to be temporal saviors.

 

이들 경우들의 각각에 있어,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을 그들의 죄들의 일시적 결과들로부터 구출하기 위하여 일시적 구원자들을 보내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느님(그리고 특히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유일한 영원한 구원자이시라고 말하여야 하나, 그러나 수많은 사람들이 일시적 구원자들이기 위하여 하느님에 의하여 사용되고 있다고 말하여야 합니다.

 

5. FORGIVENESS AND FELLOWSHIP 
5. 용서와 우의

 

With background in the concepts of temporal versus eternal salvation and temporal versus eternal saviors, we can proceed further in understanding the related biblical and Catholic teachings.

 

일시적 구원 및 영원한 구원 그리고 일시적 구원자들 및 영원한 구원자에 대한 개념들에 대한 배경과 함께, 우리는 관련된 성경 및 가톨릭 가르침들의 이해에 있어 계속하여 더 나아갈 수 있습니다.

 

For example, we opened this paper with the statement from Proverbs 16:6 that love and faithfulness atone for iniquity. At the time we noted that the verse was referring to temporal atonement, and now that we have gotten a little more familiar (and hopefully more comfortable) with the Bible's teaching on the subject, we are ready to delve into the meaning of Proverbs 16:6 a little more deeply.

 

예를 들어, 우리는 사랑과 충실함이 죄악을 속죄한다는 잠언서 16,6으로부터의 문장과 함께 이 논문을 시작하였습니다. 그 당시에 우리는 이 절이 일시적 속죄를 말하고 있음을 주목하였으며, 그리고 이제 우리는 이 주제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과 이미 약간 더 친숙하게 (그리고 바라건대 더 편안하게) 되었기에, 우리는 약간 더 깊게 잠언서 16,6의 의미로 파고들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The term that this verse uses for "atone" is kaphar, which is the ordinary Old Testament word for atonement. When this concept is viewed in relationship to salvation, it is atonement that brings about salvation. On the eternal scale, it was the eternal atonement of Christ that brought about eternal salvation for us, and on the temporal scale, it is temporal atonement that brings about temporal salvation, or freedom from the temporal consequences of sin.

 

이 절이 "속죄하다(atone)"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용어는 kaphar 인데, 이 용어는 속죄를 나타내기 위한 일상적인 구약 성경 단어입니다. 이 개념이 구원과의 관계 안에서 고찰되면, 이것은 구원을 가져다 주는 속죄를 말합니다. 영원한 저울로, 그것은 우리를 위한 영원한 구원을 가져다 주셨던 그리스도에 의한 영원한 속죄였으며, 그리고 일시적 저울로, 그것은 일시적 구원을 가져다 주는, 혹은 죄의 일시적 결과들로부터의 자유를 가져다 주는, 일시적 속죄입니다.

 

In this case, the consequences of iniquity which love and faithfulness repairs is the constriction that is put on one's relationship with God even if the eternal effects of the sin are forgiven. Protestants, especially those who assert that it is impossible to lose salvation, often stress the difference between forgiveness and fellowship. They will point out, rightly, that even when the eternal consequences of one's sins have been forgiven, one's relationship with God can still be impaired. Thus even though one is in a state of eternal forgiveness--what Catholics call the state of grace--one may still need to repent in order to restore one to fellowship, or at least full fellowship, with God.

 

이러한 경우에 있어, 사랑과 충실함이 벌충하는[repairs, 즉 보상(補傷)하는](*), 죄악의 결과들은, 심지어 죄의 영원한 결과들이 용서받게 되더라도, 하느님과 당사자의 관계에 입혀진(is put on) 압박하는 물건(the constriction)입니다. 프로테스탄트들은, 특별히 구원을 잃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자들은, 용서와 우의 사이의 차이점을 자주 강조합니다. 그들은 심지어 어떤 자의 죄들의 영원한 결과들이 이미 용서받은 후에도 하느님과 그의 관계는 여전히 손상되어 있다고, 올바르게, 지적할 것입니다. 따라서 비록 어떤 자가, 가톨릭 신자들이 은총의 지위(the state of grace)라고 부르는 바인, 어떤 영원한 용서의 지위(a state of eternal forgiveness)에 있다고 하더라도, 그는 하느님과의 우의로, 혹은 적어도 완전한 우의로, 자신을 회복하기 위하여 여전히 회개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Such impairment of one's fellowship with God is, of course, a temporal rather than an eternal consequence of sin, and by repenting--by being faithful and loving under the impetus of God's grace--the relationship one has with God will grow in strength and thus one's level of fellowship with God will grow. It is in this sense that love and faithfulness atone for iniquity.

 

그의 하느님과의 우의에 있어서의 그러한 손상은, 당연히, 죄의 어떤 영원한 결과라기보다는 오히려 어떤 일시적인 결과이며, 그리하여 반복함으로써, 즉 하느님의 은총의 자극 하에서 출실함과 사랑함으로써, 그가 하느님과 가지고 있는 관계는 굳셈에 있어 성장할 것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하느님과의 우의에 있어서 그의 수준(level)은 증가할 것입니다. 사랑과 충실함이 죄악을 속죄한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의미에 있습니다. 

 

6. MIDDLE SALVATION 
6. 중간적 구원
 

 

Thus far we have spoken of temporal and eternal salvation and their relationships to various doctrines, however the Scriptures also use another kind of language about salvation. We might call this the language of "middle salvation."

 

여태까지 우리는 일시적 구원 및 영원한 구원 그리고 다양한 교리들에 대한 그들의 관계들에 대하여 말하였으나, 그러나 성경 본문들은 또한 구원에 관한 또 다른 종류의 언어를 또한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중간적 구원(middle salvation)"이라는 언어로 불러야 할 것입니다.

 

Middle salvation is what happens when God uses one person as the agent of bringing eternal salvation to another. Thus by preaching the gospel, rebuking sinners, administering the sacraments, etc., one human may, under the providence of God, bring God's grace of eternal salvation to another.

 

중간적 구원(middle salvation)은 어떤 자를 다른 이에게 영원한 구원을 가져다주는 대리인(agent)로서 사용할 때에 발생하는 바를 말합니다. 따라서 복음을 설교함으로써, 죄인들을 꾸짖음으로써, 성사들을 집전함으로써, 등, 한 명의 인간(one human)은, 하느님의 섭리 하에서, 다른 이에게 영원한 구원이라는 하느님의 은총을 가져다 줄 수도 있을 것입니다.

 

This language rubs many Protestants the wrong way, but in fact it is the language of the New Testament:

이 언어는 수많은 프로테스탄트들의 비위를 건드리나, 그러나 사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신약 성경의 언어입니다: 

 

"Now I am speaking to you Gentiles. Inasmuch then as I am an apostle to the Gentiles, I magnify my ministry in order to . . . save some of them" (Romans 11:13-14).

 

"이제 나는 다른 민족 출신인 여러분에게 말합니다. 나는 이민족들의 사도이기도 한 만큼 내 직분을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그것은 내가 내 살붙이들을 시기하게 만들어 그들 가운데에서 몇 사람만이라도 구원할 수 있을까 해서입니다." (로마서 11,13-14).

 

"Wife, how do you know whether you will save your husband? Husband, how do you know whether you will save your wife?" (1 Corinthians 7:16)

 

"아내 된 이여, 그대가 남편을 구원할 수 있을지 혹시 압니까? 그리고 남편 된 이여, 그대가 아내를 구원할 수 있을지 혹시 압니까?" (1코린토 7,16).

 

"To the weak I became weak, that I might win the weak. I have become all things to all men, that I might by all means save some" (1 Corinthians 9:22).

 

"약한 이들을 얻으려고 약한 이들에게는 약한 사람처럼 되었습니다. 나는 어떻게 해서든지 몇 사람이라도 구원하려고, 모든 이에게 모든 것이 되었습니다." (1코린토 9,22).

 

"I, Paul, write this with my own hand, I will repay it -- to say nothing of your owing me even your own self" (Philemon 19).

 

"나는 아무에게도 매이지 않은 자유인이지만, 되도록 많은 사람을 얻으려고 스스로 모든 사람의 종이 되었습니다." (필레몬 19).

 

"Take heed to yourself and to your teaching; hold to that, for by so doing you will save both yourself and your hearers" (1 Timothy 4:16).

 

"사실은 내가 복음을 선포한다고 해서 그것이 나에게 자랑거리가 되지는 않습니다. 나로서는 어찌할 수 없는 의무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복음을 선포하지 않는다면 나는 참으로 불행할 것입니다." (1티모테오 4,16).

 

"My brethren, if any one among you wanders from the truth and some one brings him back, let him know that whoever brings back a sinner from the error of his way will save his soul from death and will cover a multitude of sins" (James 5:19-20).

 

"나는 아무에게도 매이지 않은 자유인이지만, 되도록 많은 사람을 얻으려고 스스로 모든 사람의 종이 되었습니다.  유다인들을 얻으려고 유다인들에게는 유다인처럼 되었습니다. 율법 아래 있는 이들을 얻으려고, 율법 아래 있는 이들에게는 율법 아래 있지 않으면서도 율법 아래 있는 사람처럼 되었습니다." (야고보 5,19-20).

 

"And convince some, who doubt; save some, by snatching them out of the fire; on some have mercy with fear, hating even the garment spotted by the flesh" (Jude 22-23).

 

"의심하는 이들에게 자비를 베푸십시오. 어떤 이들은 불에서 끌어내어 구해 주십시오. 또 어떤 이들에게는 그들의 살에 닿아 더러워진 속옷까지 미워하더라도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자비를 베푸십시오." (유다 22-23).

 

The fact is that, as these verses show, the Bible speaks of humans saving other humans not just with respect to temporal salvation (such as delivering them from physical disasters, illnesses, wars, etc.), but with respect to eternal salvation as well. Of course it does not mean that humans bestow eternal salvation on other humans the way Christ does, by meriting it for them, but it does mean that humans serve as agents of Christ in bringing his graces to others (a point Martin Luther makes very well in the section on baptism in his Long Catechism).

 

이들 절들이 보여주듯이, 인간들이 다른 인간들을, (그들을 물리적 재난들, 질변들, 전쟁들 등과 같은) 일시적 구원에 관련하여서뿐만이 아니라, 또한 영원한 구원에 관련하여서, 구하는 것에 대하여 성경이 말하고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당연히 이것은 인간이 다른 인간들 위에, 그리스도께서 행하시는 그 방식으로, 그들을 위하여 그것을 얻을 수 있을만 하도록 하심으로써, 영원한 구원을 수여하는 것을 뜻하지 않으나, 그러나 이것은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가 자신의 Long Catechism 에서 세례에 대한 한 섹션에서 매우 잘 밝혔던 한 개의 주장인] 인간들의 다른 이들에게 당신의 은총들을 가져다 줌에 있어 그리스도의 대리인(agents)들로서 봉사함을 정말 뜻합니다.

Yet for many Protestants this language is embarrassing and any talk of one mortal human saving another makes them extremely uncomfortable. Catholic have no problem, however, because they have not rejected this modality of biblical language in a drive to speak of salvation exclusively in terms of God's actions.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프로테스탄트들에게 있어 이 언어는 난처하게 하며 그리하여 한 명의 구제 받을 수 없는 인간(one mortal human)이 다른 이를 구하는 것에 대한 어떠한 이야기도 그들을 극단적으로 불편하게 만듭니다. 그러나 가톨릭 신자들은 아무런 문제를 가지고 있지 았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하느님의 행위들이라는 말로(in terms of) 배타적으로 구원에 대하여 말하기 위한 어떤 도정(道程, a drive)에 있어 성경 언어의 이러한 양식(modality)을 거부하지 않아 왔기 때문입니다.

 

8. GENERAL SALVATION 
8. 일반적 구원

 

There is yet one final mode of speaking about salvation which needs to be noted. We will call this the "general salvation" mode of speech. When the general mode is being used, a person uses the term "salvation" without differentiating between temporal, middle, and eternal deliverance.

 

구원에 관하여 주목할 필요가 있는 말하기의 마지막 양식 한 개가 여전히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말하기의 "일반적 구원(general salvation)" 양식이라고 부를 것입니다. 이 일반적 양식이 사용되고 있을 때에, 화자는 "구원" 이라는 용어를 일시적, 중간적, 그리고 영원한 구출 사이에서 아무런 구별함 없이 사용합니다.  

 

It would be a mistake to assume, merely because there are three kinds of saving spoken of in Scripture, that every use of the term "salvation" must refer either to one or the other. This would be as big a mistake as assuming that, because there are two kinds of humans --men and women--that in every use of the term "human" must either have in mind exclusively men or exclusively women. Just as the term "human" can have a general reference including both men and women without differentiation, so the term "salvation" can have a general reference including temporal, middle, and eternal salvation without having in mind any particular one of them exclusively.

 

성경 본문에서 말해지고 있는 구원에 있어 세 가지 종류들이 있다는 단순한 이유 때문에, "구원" 이라는 용어의 각 사용이 한 가지 혹은 다른 것들 중의 하나를 언급하여야만 한다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일 것입니다. 이것은, 사람(men)들과 여자(women)들이라는, 인간들에 있어 두 가지 종류들이 있기에, "인간"은 이 용어의 모든 사용에 있어 마음 안에서 배타적으로 사람들 혹은 여자들이어야만 한다고 가정하는 것만큼이나 어떤 커다란 잘못일 것입니다. "인간"이라는 용어가, 사람들 및 여자들 둘 다를 아무런 구별함 없이 포함하는, 어떤 일반적 언급을 할 수 있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구원"이라는 용어는, 일시적, 중간적, 그리고 영원한 구원을 그들 중의 어느 특정한 하나를 마음 안에서 배타적으로 가짐 없이, 어떤 일반적 언급을 할 수 있습니다.

 

This is, in fact, the sense of salvation that is behind some of the descriptions of God as "Savior." In many passages, such as the ones we saw above, one particular aspect of his role as Savior may be in the forefront. He may in a given passage be spoken of as a Savior from temporal distress or as a Savior from eternal distress, but he may be spoken of as a Savior in a general sense without intending either kind of salvation he gives to be highlighted.

 

이것은, 사실, "구원자"로서의 하느님에 대한 서술들의 일부 뒤에 있는 구원의 의미입니다. 많은 구절들에 있어, 우리가 위에서 보았던 것들처럼, 구원자로서의 당신의 역할에 대한 한 개의 특별한 양상이 맨 앞부분에 있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어떤 주어진 구절에 있어 당신께서는 일시적 고통으로부터의 어떤 구원자로서 혹은 영원한 고통으로부터의 어떤 구원자로서 말해질 수도 있을 것이나, 그러나 당신께서는 당신께서 제공하시는 구원의 어떠한 종류도 두드러지게 되고자 의도함 없이 어떤 일반적 의미 안에서 어떤 구원자로서 말해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This mode of speech is found in Scripture, for example, when it speaks of humans participating in the sufferings and work of Christ:

 

이러한 말하기의 양식은 다음과 같은 성경 본문에서, 예를 들어, 그것이 그리스도의 고통들 및 위업에 참여하는 인간들에 대하여 말할 때에, 발견됩니다:

 

"For as we share abundantly in Christ's sufferings, so through Christ we share abundantly in comfort too" (2 Corinthians 1:5).

 

"그리하여 그리스도의 고난이 우리에게 넘치듯이, 그리스도를 통하여 내리는 위로도 우리에게 넘칩니다." (2코린토 1,5).

 

"Now I rejoice in my sufferings for your sake, and in my flesh I complete what is lacking in Christ's afflictions for the sake of his body, that is, the church" (Colossians 1:24).

 

"이제 나는 여러분을 위하여 고난을 겪으며 기뻐합니다. 그리스도의 환난에서 모자란 부분을 내가 이렇게 그분의 몸인 교회를 위하여 내 육신으로 채우고 있습니다." (콜로새 1,24).

 

"But rejoice in so far as you share Christ's sufferings, that you may also rejoice and be glad when his glory is revealed" (1 Peter 4:13).

 

"오히려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하는 것이니 기뻐하십시오. 그러면 그분의 영광이 나타날 때에도 여러분은 기뻐하며 즐거워하게 될 것입니다." (1베드로 4,13).

 

This speaking of uniting our sufferings with Christ's and sharing in his sufferings is something that Catholics talk about all the time, yet Protestants almost never do because they have almost totally lost the language of general salvation.

 

우리의 고난들을 그리스도의 그것과 결함함 및 당신의 고통들을 함께 나눔에 대한 이러한 말하기는 가톨릭 신자들이 항상 말하는 그 무엇입니다만, 그러나 프로테스탄트들은 거의 전혀 그러지 않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일반적 구원이라는 언어를 전적으로 이미 잃어버렸기 때문입니다.

 

Humans do share in Christ's sufferings in the sense that they are persecuted for the sake of Christ or because they suffer in the service of Christ, and both of these forms of suffering bring salvation to others. In the case of being persecuted for Christ it brings salvation to others for "the blood of the martyrs is the seed of the Church," and in the case of suffering in the service of Christ one spreads the gospel and brings salvation to others.

 

인간들은, 그들이 그리스도를 위하여 처형되거나 혹은 그리스도에 대한 봉사에 있어 고통을 겪기 때문에, 그리고 고통에 있어서의 이들 두 형식들 둘 다가 다른 이들의 구원을 가져다 준다는 의미에 있어, 그리스도의 고통들에 정말로 함께 합니다. 그리스도를 위하여 처형되는 경우에 이것은 "순교자들의 피는 교회의 씨앗이기" 때문에 다른 이들에게 구원을 가져다 주며, 그리고 그리스도에 대한 봉사에 있어 고통의 경우에 그는 복음을 퍼뜨리며 그리하여 다른 이들에게 구원을 가져다 줍니다.

 

In all these cases, however, ordinary humans are merely serving as temporal or middle saviors, not eternal saviors, as Christ is. Humans may bring temporal salvation to others by direct action (such as pulling them out of a flood) or by indirect action (such as praying for those in a flooded area). And they may bring Christ's eternal salvation to others by direct action (such as preaching the gospel or administering the sacraments) or by indirect action (such as praying for conversions). But in no case do humans merit eternal salvation for others and thus serve as eternal saviors the way Christ does.

 

그런, 이들 경우들 모두에 있어, 보통의 인간들은, 그리스도께서 그러하신 것 처럼, 영원한 구원자들로서가 아니라. 단순히 일시적 혹은 중간적 구원자들로서 봉사히고 있는 것입니다. 인간들은 (홍수로부터 그들을 꺼집어 내는 등의) 직접적 행위에 의하여 혹은 (물에 잠긴 지역에 있는 자들을 위한 기도 등의) 간접적인 행위에 의하여 다른 이들에게 일시적 구원을 가져다 줄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복음을 설교 하거나 혹은 성사들을 집전하는 등의) 직접적 행위에 의하여 혹은 (회심들을 위한 기도 등의) 간접적 행위에 의하여 다른 이들에게 그리스도에 의한 영원한 구원을 가져다 줄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사람은 다른 이들을 위하여 영원한 구원을 (상으로) 얻을만 하지 않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그리스도께서 행하셨던 방식으로 영원한 구원자로서 봉사하지 못합니다.

 

Catholics are entirely comfortable with this "general salvation" mode of speech, which is the one Paul is using when he says he "complete[s] what is lacking in Christ's afflictions," though Paul like modern Catholics know perfectly well that with regard to eternal saving Christ's afflictions were not only not lacking anything but that they were superabundant in value for the salvation of the world.

 

가톨릭 신자들은 말하기의 이러한 "일반적 구원" 양식과 전적으로 편안한데, 이 양식은, 비록 바오로(Paul)가 현대의 가톨릭 신자들처럼 영원한 구함(eternal saving)과 관련하여 그리스도의 환난(afflictions)들이 어떠한 것도 부족하지 않다는 것뿐만이 아니라, 또한 이 세상의 구원을 위한 가치에 있어 그들이 매우 풍부하다는(superabundant) 것을 대단히 완미하게(perfectly)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그리스도의 환난에서 모자란 부분을 채우고 있다" (콜로새 1,24) 라고 그가 말할 때에, 바오로가 사용하고 있는 바로 그 양식입니다.

 

Paul's statement that he makes up what is lacking in Christ's sufferings is horrifying to Protestant ears, and if any Protestant heard a Catholic make such a statement (not knowing or remembering that Paul had said exactly the same thing in Scripture), he would immediately denounce the Catholic as a heretic due to his lack of familiarity with the Bible's manner of speaking of salvation in a general manner, without differentiating the role an ordinary human is playing with respect to temporal, middle, or eternal salvation.

 

그리스도의 고통들에서 모자라는 바를 그가 채운다는 바오로의 서술은 프로테스탄트의 귀들에는 큰 충격을 주며, 그리고 만약에 (바오로가 성경 본문에서 동일한 것을 정확하게 이미 말하였다는 것을 알고 있지 않거나 혹은 기억하고 있지 않은) 어느 프로테스탄트라도 어떤 가톨릭 신자가 그러한 서술을 하는 것을 듣는다면, 그는, 일반적 방식으로 구원에 대하여 말하는 성경의 방식과의 자신의 친숙함의 결여로 인하여, 일시적, 중간적, 혹은 영원한 구원과 관련하여 보통의 인간이 하고 있은 역할을 구별함 없이, 즉시 그 가톨릭 신자를 한 명의 이단자로 비난할 것입니다.

 

This is the reason Protestants hop up and down so much when they hear Catholics talking about Mary as a coredemptrix or the saints as playing a role in our salvation by their prayers. They fail to identify the fact that the language of general salvation is being used and that, as in the Bible, ordinary humans are being spoken of in a manner that does attribute to them a role in salvation but not the role of serving as eternal saviors, which is something only Christ can do. Mary and the saints do, like living humans, serve as temporal and middle saviors, though in their case they do this through indirect action only (i.e., through their prayers) since they are not on earth and cannot take direct action (such as pulling someone out of a flood, preaching the gospel, etc.).

 

이것이 바로 프로테스탄트들이, 가톨릭 신자들이 마리아에 대하여 구속 협조녀(coredemptrix)로서 혹은 성인들에 대하여 그들의 기도들에 의하여 우리의 구원에 있어 어떤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말하는 것을 그들이 들을 때에, 매우 심하게 이리저리 뛰는 그 이유입니다. 그들은, 보통의 인간들이 구원에 있어 그들에게 어떤 역할이 돌려지고 있는, 그러나 오로지 그리스도만이 행할 수 있는 그 무엇인, 영원한 구원자들로서 봉사하는 역할은 아닌, 어떤 방식으로, 일반적 구원이라는 언어가 사용되고 있음과 그리고, 성경에서처럼, 말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식별하는(identify) 데에 실패합니다. 마리아와 성인들은, 비록 그들의 경우에 있어, 그들이 지상에 있지 않기에 그리하여 (홍수로부터 어떤 자를 꺼집어내거나, 봉음을 설교하는 등의) 직접적 행위를 취할 수 없기에, 비록 그들이 이것을 오로지 간접적인 행위를 통하여 (즉 그들의 기도들을 통하여) 하고 있기는 하나, 살아있는 인간들처럼, 일시적 및 중간적 구원자들로서 봉사합니다.

 

Protestants similarly fail to recognize the language of general salvation when they read Catholic language about the sacraments. For example, professional anti-Catholic Dave Hunt has in the last couple of years been making a big deal about the fact that the first page of Vatican II's Constitution on the Sacred Liturgy (the first Vatican II document) states: "For it is the liturgy through which, especially in the divine sacrifice of the Eucharist, the work of our redemption is accomplished" (Sacrosanctum Concilium 2). Hunt thus starts waving his arms and modulating his voice and declaring: "You see! The liturgy saves us! Vatican II preaches a false gospel from the very first page!"

 

마찬가지로 프로테스탄트들은 그들이 성사들에 대한 가톨릭 언어를 읽을 때에 일반적 구원이라는 언어를 알아차리는(recognize) 데에 실패합니다. 예를 들어, 전문적인 반 가톨릭인 Dave Hunt는 최근의 몇 년들에 있어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거룩한 전례에 대한 헌장(Constitution on the Sacred Liturgy)(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첫 번째 문헌)의 첫 페이지가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는 사실에 관하여 과장하여 떠들어댑니다: "우리의 속량에 대한 일이 수행되는 것은 바로 이 전례를 통하여, 특별히 성체성사라는 하느님에 의한 희생 제사(divine sacrifice of the Eucharist) 안에서 입니다" [거룩한 공의회(Sacrosanctum Concilium ) 제2항]. 따라서 Hunt는 자신의 팔들을 흔들면서 그리고 자신의 목소리를 바꾸면서 그리고 다음과 같이 선언하면서 시작합니다: "여러분 보십시오! 전례가 우리를 구합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바로 그 첫 번째 페이지에서부터 어떤 잘못된 복음을 설교합니다!"

 

Yet Hunt has gone wrong because he has failed to distinguish the language of general saving from the language of eternal saving. No Catholic theologian anywhere would say that the liturgy accomplished the work of our redemption the way Christ did on the cross, by meriting our eternal salvation. The Church has, as at the Council of Trent, been very explicit about the fact that the liturgy and the Eucharist in no way substitute or supplement what Christ did on the cross -- that sacrifice being superabundant for all our needs. Instead, it is through the liturgy and the Eucharist that what Christ did on the cross is applied to us -- playing a role with respect to "middle salvation" (either by applying to us eternal graces or by elevating our thoughts and reinforcing habit patterns such that we will cling to God's gifts more tightly and pursue Christ more zealously), and Hunt has failed to recognize it because he, like most Protestants, has almost totally lost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language of general salvation.

 

그러나 Hunt 는 이미 길을 잃었는데 이는 그가 일반적 구함(general saving)이라는 언어를 영원한 구함(eternal saving)이라는 언어로부터 구별하는 데에 이미 실패하였기 때문입니다. 어디에 있는 가톨릭 신학자 어느 누구도 우리의 영원한 구원을 (상으로) 얻을만 하게 함으로써, 그리스도께서 십자가 위에서 행하셨던 방식인 우리의 속량에 대한 위업을 전례가 수행한다고 말하지 아니 할 것입니다. 교회는, 트리엔트 공의회(the Council of Trent, 1545-1563년)에서처럼, 전례 및 성체성사가 그리스도께서 십자가 위에서 행하셨던 바를, 바로 이 희생이 우리의 필요들 모두를 위하여 매우 풍부하기에, 결코 대체하거나 혹은 보충하지 못한다는 사실에 관하여 매우 분명히 해 왔습니다. 대신에, 그리스도께서 십자가 위에서 행하셨던 바가 우리에게 적용되는 것은 (우리에게 영원한 은총들을 가함으로써 혹은 우리의 생각들을 들어 올림으로써 둘 중의 하나에 의하여 그리하여 우리가 하느님의 선물들에 더 단단히 매달리고 그리하여 그리스도를 더 열정적으로 추구하도록 하는), "중간적 구원"에 대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 바로 이 전례 및 성체성사를 통하여서나, 그러나 Hunt 는 이것을 알아차리는 데에 실패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프로테스탄트들처럼, 그가 일반적 구원이라는 언어를 알아차릴 능력을 거의 전적으로 이미 잃어버렸기 때문입니다.

 

The same is also true when Protestants hear Catholics talk about indulgences and their basis on the merits of the saints. In fact, it is quite odd but Protestants seem to have developed their own language about this doctrine which they believe Catholics use, though in reality Catholics don't.

 

또한 가톨릭 신자들이 대사(indulgences)들과 성인들의 공로들의 이유로 내세우는 이들의 논거에(their basis on) 대하여 말하는 것을 프로테스탄트들이 들을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실, 프로테스탄트들이, 실제에 있어 가톨릭 신자들이 그러하지 아니함에도 불구하고,가톨릭 신자들이 사용하고 있다고 자신들이 믿는(believe), 이 교리에 관한 그들 고유의 언어를 이미 발전시켰는 것 같음은 상당히 이상합니다(odd).

 

For example, Protestants will say Catholic believe in something called "the transfer of merit," but Catholics never use that term. I have specifically check with multiple Catholic theologians and apologists who have been Catholic all their lives, and none of them have ever heard of "the transfer of merit." That is a Protestant phrase, not a Catholic one. Catholics will talk about, as part of the doctrine of indulgences, God being gracious to one Christian as a reward to a departed Christian (a saint), and thus on the basis of the saint's merits (that is, the saint's rewards -- see the piece on Righteousness and Merit to understand this doctrine). But Catholics never speak of God transferring merit from one person to another.

 

예를 들어, 프로테스탄트들은 가톨릭 신자들이 "공로의 양도(讓渡)(the transfer of merit)" 라고 불리는 그 무엇 쪽으로 믿고 있다(believe in)고 말할 것이나, 그러나 가톨릭 신자들은 바로 이 용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 저는 구체적으로, 자신들의 전 생애에 걸쳐 가톨릭 신자들인, 다수의 가톨릭 신학자들과 옹호자들에게 이미 조회하였으며, 그리고 그들 중의 구도 "공로의 양도(讓渡)"에 대하여 들어본 적이 전혀 없다고 합니다. 그것은 한 개의 프로테스탄트 표현이지, 한 개의 가톨릭 표현이 아닙니다. 대사들에 대한 교리의 한 부분으로서, 어떤 타계한 그리스도인 (한 명의 성인)에 대한 어떤 상급으로서, 그리하여 그 결과 그 성인의 공로들[즉, 그 성인에 대한 상급들 - 이 교리를 이해하기 위하여 의로움과 공로(Righteousness and Merit)에 대한 한 부분을 보라]에 근거하여, 하느님께서 한 명의 그리스도인(a Christian)에게 자애로우심에 대하여 가톨릭 신자들은 말할 것입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 한 인격으로부터 다른 인격으로 공로를 양도하심(transferring)에 대하여 가톨릭 신자들은 전혀 말하지 않습니다.

In fact the old Catholic Encyclopedia happens to state: "Each good action of the just man possesses a double value: that of merit and that of satisfaction, or expiation. Merit is personal, and therefore it cannot be transferred; but satisfaction can be applied to others, as St. Paul writes to the Colossians (1:24) of his own works: 'Who now rejoice in my sufferings for you, and fill up those things which are wanting of the sufferings of Christ, in my flesh, for his body, which is the Church'" (7:784).

 

사실 옛 가톨릭 대사전(the old Catholic Encyclopedia)5)은 우연히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습니다: "의로운 사람의 각 선한 행동(good action)은 다음과 같은 이중의 가치를 소유한다: 공로의 그것 그리고 보속(satisfaction) 혹은 속죄(expiation)의 그것. 공로는 본인의 것(personal)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이것은 앙도(讓渡)될 수 없으나(cannot be transferred), 그러나 보속은 성 바오로가 콜로새인들에게 자신 고유의 일들에 대하여 '이제 나는 여러분을 위하여 고난을 겪으며 기뻐합니다. 그리스도의 환난에서 모자란 부분을 내가 이렇게 그분의 몸인 교회를 위하여 내 육신으로 채우고 있습니다.' (콜로새 1,24) 라고 기록하였듯이, 다른 이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can be applied to)." (7:784).  

-----
5)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여기서 인용하고 있는, "옛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대사(indulgences)들"에 대한, 즉 전대사 및 한대사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다:
http://oce.catholic.com/index.php?title=Indulgences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도 동일한 설명을 읽을 수 있다:
http://www.newadvent.org/cathen/07783a.htm
-----

 

In the same way, Protestants also talk about the treasury of merits consisting of Christ's merits and the merits of the saints which are "more than what was needed for their salvation." I've checked the official documents, and I can't find anything like this language in them, neither does one encounter it in Catholic theological conversation. As a matter of fact, the official document discussing the basis for this doctrine (Pope Clement VI's 1343 bull, Unigenitus) states: "to the mass of this treasure the merits of the Blessed Mother of God and of all the elect from the first just one to the last, are known to give their help."

 

동일한 방식으로, 프로테스탄트들은 또한 그리스도의 공로들과 그리고 "자신들의 위하여 필요하게 되었던 바 보다 더 많은" 성인들의 공로들로 이루어진 공로들의 보고에 대하여 말합니다. 저는 공식적인 문헌들을 이미 확인하였으며, 그리고 저는 그들에게 있는 이러한 언어같은 어떠한 것도 발견할 수 없으며, 그리고 가톨릭 신학 대화에서 어떤 자도 그것을 우연히 만나지도 못합니다. 사실은, 이 교리의 근거를 논의하고 있는 공식적인 문헌[교황 클레멘트 6세(Clement VI)의 1343년 교서(bull)인 Unigenitus]은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보물의 풍부함에 대하여 복되신 성모님과 그리고 첫 번째 의로운 자로부터 마지막 의로운자에까지 모든 선택된 자들의 공로들은, 자신들의 도움(their help)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If a Catholic did use language to the effect of doing more than what was required for one's salvation, it would not be a reference to doing what was required for one's eternal salvation, since Christ did all that was needed and the minute one is justified one given eternal life, but it would be a reference to temporal salvation in the sense of removing the temporal barriers (divine discipline, penance, purification/sanctification in purgatory) between one and final entrance into glory. It would thus be a kind of "middle salvation" language.

 

만약에 어떤 가톨릭 신자가 자신의 구원을 위하여 요구되는 바 보다 더 많이 행함의 영향에 대한 언어를 사용하였다면, 그것은, 그리스도께서 요구되는 모든 것을 행하셨으며 그리하여 미소한 자가 한 개의 주어진 영원한 생명으로 의롭게 되기에, 자신의 영원한 구원을 위하여 요구되는 바를 행함에 대한 어떤 언급이 아니었을 것이고, 그것은 당사자와 영광으로의 최후의 들어감 사이에 있는 [하느님에 의한 단련(discipline), 참회(penance), 연옥(purgatory)에서의 정화(purification)/성화(sanctification) 등의] 일시적인 장애물들을 제거하는 의미에 있어서의 일시적 구원에 대한 언급이었을 것입니다. 따라서 그것은 "중간적 구원(middle salvation)" 언어의 한 종류일 것입니다.

In any event, one can see the endless confusion that has been caused in the minds of Protestants because of the loss of the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the language of eternal, middle, temporal, and general salvation. It is truly tragic that those who pride themselves the most on fidelity to the Bible have in fact been unfaithful and forgotten the language of the Bible itself.

 

아무튼, 영원한(eternal), 중간적(middle), 일시적(temporal), 그리고 일반적(general) 구원의 언어 사이에서 구별하는 능력의 상실 때문에, 프로테스탄트들의 마음에 이미 야기되어버린 끝없는 혼란을 우리는 볼 수 있습니다. 성경에 대한 충실함에 대하여 스스로를 가장 자랑하고 있는 자들이 사실은 성경 그 자체의 언어에 이미 충실하지 않게 되어버렸으며 그리고 성경 그 자체의 언어를 이미 잊어버리게 되었음은 진실로 비극입니다.

 

----------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30시간 

 


2,587 4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