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자료실

[교리]생활성서 자료 모음 목차

인쇄

인터넷선교분과 [dangin] 쪽지 캡슐

2002-04-24 ㅣ No.4

 

삭제될 게시판중 자료실의 교리자료에 있던

김은영 세실리아 자매님이 올렸던 내용입니다.

본인이 이사를 가셨기 때문에 dangin 아이디로 복사해서 올릴 예정입니다.

지난번 자료실에 글을 올리신분들은

필요한 자료는 복사해서 통합 자료실에 올려 주시기 바랍니다.

 

생활 성서 자료 모음집에 나오는 내용을 2-3일 간격으로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요약 정리해서 올리려 하니 신자 여러분들의 신앙 생활에 많은 도움 되었으면 합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내용의 목차에 의해 올리겠습니다.

 

1. 한국인의 신앙: 고금을 통하여 여러 민족들 사이에서는 사물의 변화와 인생의 역사속에 현존하는 심오한 힘을 어느정도 느껴왔다. 때로는 최고의 신이나 아버지를 긍정하였다. 이 같은 느낌과 긍정은 그들의 생활에 종교적 깊은 뜻을 부여한다.

 

 - 제 2차 바티칸공의회 문헌 ’비그리스도교에 관한 선언’에서 -

 

1) 설화를 통해서 본 종교 심성               2) 세시 풍속에 드러난 ’민간신앙’

 

3) 한국인의 종교 심성에 끼친 무속의 영향

 

4) 새 방법으로 종교 인구를 조사했죠-윤 이흠 교수와 생활성서 송향숙 기자와의 대담내용

 

5) 말 속에 스며있는 종교성

 

2. 죄와 예수

 

1) 성서에서 본 죄                           2) 죄란 무엇인가?

 

3) 대담/이럴땐 어떻게 해야 합니까? "보다 더 성숙한 신앙인이 돼야...."

 

   안명옥 신부(광주 가톨릭대 윤리학 교수)와 조한유씨의 대담 내용

4) 죄인을 부르러 오신 예수

 

 

3. 늘 배우는 신앙인: 현실진단/신자 재교육, 어디까지 와 있나?

 

1) 평생 교육의 장(場)으로 이어져야 할 신자 재교육

 

2) 기도와 영성 생활을 통해 신앙을 키워야

 

3) 교회의 바람직한 신자 재교육 - 김수창 신부와의 대담내용

 

   성서의 근본 정신이 우리 문화에 영향을 주어야......

 

4) 이 사회에서 신자로 산다는 것은

 

4. 주일을 어떻게 지내십니까?

 

1) 가톨릭 신자들의 주일에 대한 자세, 실태 및 문제점

 

2) 주일을 이웃과 함께하는 이들 - 명동 성당 안내부 -

 

3) 어느 공원의 주일                         4) 주일 성화(聖化)와 그 의의

 

5) 主日, 酒日, 日曜日 ?

 

5. 냉담자 그리고 교회: 냉담자 듣기에도 석연치 않은 말이다. 그건 가슴이 식었다는 말이다. 하느님과 예수님을 이제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들리기도 한다. 만약에 냉담자가 되는 것이 죄라면 그 죄를 유발시킨 사람들은 더 큰죄를 범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교회는 신자들이 현실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끊임없는 영신적 힘과 용기를 주고 복음과 세상 사이의 간격속  에 새로운 가치를 향해 나아가도록 이끌어가야 할 것이다.

 

1) 교회를 떠나는 이들                       2) 가난한 이들을 먼저 선택해야 한다.

 

3) 권위를 섬김에서 찾을 수 없을까?          4) 냉담한 교회가 냉담자를 만든다.

 

4) "그 죄책감이 교회를 떠나게 했습니다." - 채 정인씨의 구슬내용

 

5) 내가 바라는 교회상                       5) 냉담자와 본당 사목

 

 

 

6. 신흥종교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한국의 신흥종교                          2) 신흥 종교를 찾는 사람들

 

3) 그리스도교계 신흥종교의 성서 해석        4) 시한부 종말 임박설과 신흥 종교

 

5) 기성 종교가 바로서야 한다. - 신흥 종교의 선교 행태와 그 피해 상황들

 

 

7. 현대인의 우상

 

1) 우상이란 무엇인가?                       2) ’누룩’이 ’빵’에게 하는 말이

 

3) 대중의 우상 제조기 - 매스콤              4) 분단국의 우상 국가 안보 이데올로기

 

5) 우상에 대한 예수의 태도 - 유혹사화를 중심으로 -

 

8. 용서와 화해

 

1) 어디까지 용서할 수 있는가.               2) 용서와 화해가 이루어지려면

 

3) 자비와 용서의 야훼 하느님                4) 용서의 기쁨을 알려주신 예수

 

5) 화해 체험기 - 25년 만에 화해한 저마네

 

 

 

9. 냉담자 이대로 좋은가?

 

1) 과연 누가 냉담자인가                     2) 냉담자, 어쩔 수 없는 사연들

 

3) 회두 체험기 - 나의 냉담 시절을 돌아보며

 

   (1) 냉담 아닌 냉담 기간이었던 나의 22년 - 안 득수 교수

 

   (2) 11년의 냉담 후, 다시 5년을 기다려 축성된 혼배 반지 - 김 경숙 교사

 

   (3) 냉담이란 어둡고 긴 터널을 지나 - 천 창구

 

   (4) ’밀가루 신자’였다가 냉담했던 나의 20년 - 황 요셉

 

4) 탐방 - 냉담자를 찾아 갑시다

 

   (1) 매일 오후 세시면 시작되는 성남 단대동 성당 ’전교 기도회’

 

   (2) 나눔 생활 속에서 냉담자를 찾아가는 인천 답동 성당

 

   (3) 세명이 한조가 되어 냉담자를 방문하는 대전 대흥동 성당 레지오

 

5) 소위 냉담자에 관한 사목적 배려

 

 

 

10. 미사, 기쁨과 생명이 넘쳐야

 

1) 당신은 얼마나 기쁘게 미사에 참석하십니까?

 

2) 귀에 쏙쏙 들어오는 강론                  3) 고개만 숙인다고 친교가 이루어지나

 

4) 신자들은 살아있는 미사를 원한다.

 

 

 

11. 유혹에 빠지지 말게 하시고

 

1) 구약성서가 보여주는 유혹 이야기          2) 유혹 시대의 한 모퉁이에서

 

3) 예수는 정말 유혹을 받으셨나?             4) 유혹을 이기는 비결



93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