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다해 연중 제25주일 강론 - 교황 베네딕토 16세 [성경공부]

인쇄

2007.09.23 [117.17.151.*]

2010-09-13 ㅣ No.960

 
 + 찬미 예수님

다음은,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2007년 9월 23일, 다해 연중 제25주일 강론 말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vatican/hf_ben-xvi_hom_20070923_ve_en.htm 

Last Sunday, St Luke the Evangelist, who was more concerned than others to show Jesus' love for the poor, offered us various ideas for reflection on the danger of an excessive attachment to money, to material goods and to all that prevents us from living to the full our vocation to love God and neighbour. Today too, through a parable that inspires in us a certain surprise since it speaks of a dishonest steward who is praised (cf. Lk 16: 1-13), a close look reveals that here the Lord has reserved a serious and particularly salutary teaching for us. As always, the Lord draws inspiration from the events of daily life: he tells of a steward who is on the point of being dismissed for dishonest management of his master's affairs and who, to assure a future for himself, cunningly seeks to come to an arrangement with his master's debtors. He is undoubtedly dishonest but clever: the Gospel does not present him to us as a model to follow in his dishonesty, but rather as an example to be imitated for his farsighted guile. The short parable ends, in fact, with these words: "The master commended the dishonest steward for his prudence" (Lk 16: 8). 

지난 주일에, 다른 복음사가들보다도 가난한 이들에 대한 예수님의 사랑에 더 관심을 보였던, 복음사가 성 루카는 돈에 대한, 물질적 재화들에 대한 그리고 하느님과 이웃을 사랑하고자 하는 우리의 완전한 소명에 따라 사는 것을 방해하는 모든 것들에 대한 지나친 애착(attachment)의 위험에 대한 묵상(reflection)을 위한 다양한 생각(ideas)들을 우리에게 제공하였습니다. 오늘 역시, 칭찬을 받는 정직하지 아니한 집사에 대하여 말하기 때문에 우리 안에 어떤 놀라움을 불어 넣는 비유 한 개를 통하여(루카 복음서 16,1-13을 참조하라), 자세히 살펴봄은 여기에 주님께서 우리를 위한 심각하고 그리고 특별히 유익한 가르침을 따로 남겨두셨음을 드러냅니다. 항상 그러하듯이, 주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일상의 삶에 있어서의 사건들로부터 영감을 끌어내십니다: 당신께서는 자신의 일들에 대하여 정직하지 아니한 관리(management) 때문에 드디어 해고되는 순간에 있는 그리고, 자기 자신을 위한 미래를 보장하기 위하여, 자신의 주인의 채무자들과 합의에 이르고자 약게 시도하는, 집사에 관하여 말씀하십니다. 그는 의심할 여지없이 정직하지 않으나 그러나 영리하며, 이 복음서는 그의 정직하지 않음을 따르기 위한 모범으로서 우리에게 그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선견지명이 있는 그의 교활 때문에 모방되어야 할 하나의 모범으로서 우리에게 그를 제시합니다. 사실 이 짧은 비유는 다음의 표현들과 함께 끝납니다: "주인은 그 불의한 집사를 칭찬하였다. 그가 영리하게 대처하였기 때문이다"(루카 복음서 16,8).

But what does Jesus wish to tell us with this parable? And with its surprising conclusion? The Evangelist follows the parable of the dishonest steward with a short series of sayings and recommendations on the relationship we must have with money and the goods of this earth. These short sentences are an invitation to a choice that presupposes a radical decision, a constant inner tension. Life is truly always a choice: between honesty and dishonesty, between fidelity and infidelity, between selfishness and altruism, between good and evil. The conclusion of this Gospel passage is incisive and peremptory: "No servant can serve two masters; for either he will hate the one and love the other, or he will be devoted to the one and despise the other". Ultimately, Jesus says, "You cannot serve God and mammon" (Lk 16: 13). Mammon is a term of Phoenician origin that calls to mind economic security and success in business; we might say that riches are shown as the idol to which everything is sacrificed in order to attain one's own material success; hence, this economic success becomes a person's true god.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make a fundamental decision between God and mammon, it is necessary to choose between the logic of profit as the ultimate criterion for our action, and the logic of sharing and solidarity. If the logic of profit prevails, it widens the gap between the poor and the rich, as well as increasing the ruinous exploitation of the planet.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gic of sharing and solidarity prevails,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course and direct it to a fair development for the common good of all. Basically, it is a matter of choosing between selfishness and love, between justice and dishonesty and ultimately, between God and Satan. If loving Christ and one's brethren is not to be considered as something incidental and superficial but, rather, the true and ultimate purpose of our whole existence, it will be necessary to know how to make basic choices, to be prepared to make radical renouncements, if necessary even to the point of martyrdom. Today, as yesterday, Christian life demands the courage to go against the tide, to love like Jesus, who even went so far as to sacrifice himself on the Cross.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이 비유와 함께 무엇을 우리에게 말씀하시기를 원하실까요? 그리고 이 놀라운 결론과 함께 무엇을 우리에게 말씀하시기를 원하실까요? 이 복음사가는 돈과 이 세상의 재화들과 관련하여 우리가 가지고 있어야만 하는 짧은 일련의 말들과 권고들로써 이 정직하지 않은 집사라는 비유의 뒤를 잇습니다. 이들 짧은 문장들은 근본적인 결정, 지속적인 내적 긴장을 사실로서 가정하는 한 개의 선택으로의 초대입니다. 삶은 진실로 항상, 정직과 부정직 사이에서, 충성과 불충성 사이에서, 이기주의(selfishness)와 이타주의(altruism) 사이에서, 선과 악 사이에서의, 하나의 선택입니다. 이 복음서 구절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이 날카로우며(incisive) 그리고 거부할 틈을 주지 않습니다(peremptory): "어떠한 종도 두 주인을 섬길 수 없다. 한쪽은 미워하고 다른 쪽은 사랑하며, 한쪽은 떠받들고 다른 쪽은 업신여기게 된다". 궁극적으로, 예수님께서는 "너희는 하느님과 재물을 함께 섬길 수 없다" 라고 말씀하십니다(루카 복음서 16,13). 재물(mammon)은, 경제적 안전과 사업에 있어서의 성공을 마음(mind)에 상기시키는, 페니키아 어원(Phoenician origin)의 용어이며(*), 그리고 우리는 재물(riches)이, 자신 고유의 물질적 성공을 획득하기 위하여, 거기에 모든 것이 희생 제물로 바쳐지는, 하나의 우상(idol)으로서 보여질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로, 이 경제적 성공은 어떤 사람의 참된 신(god)이 됩니다. 그 결과, 하느님과 재물 사이에서 근본적인 결정을 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우리의 행위에 대한 궁극적 기준으로서 '이윤의 논리(the logic of profit)'와, 그리고 '함께 함 및 연대성의 논리(the logic of sharing and solidarity)' 사이에서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에 '이윤의 논리'가 널리 퍼지면(prevails), 이 논리는, 이 행성(planet)에 대한 파괴적인 착취를 증가시킬 뿐만이 아니라, 가난한 이들과 부유한 이들 사이의 격차(gap)를 넓힙니다. 다른 한편으로, '함께 함과 연대성의 논리'가 널리 퍼질 때에, 모두의 공동선(common good)을 위한 공정한(fair) 발전으로 그 과정을 바로잡고 그리고 그 과정을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이것은 이기주의와 사랑 사이에서, 정의(justice)와 부정직(dishonesty) 사이에서, 그리고 궁극적으로, 하느님과 사탄 사이에서의 선택의 문제입니다. 애정이 있으신 그리스도와 자신의 형제들이 우연이고 피상적인 어떤 것으로 생각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그 대신에, 우리 전체의 존재의 참된 그리고 궁극적인 목적으로서 생각되고자 한다면, 만약에 필요하다면 심지어 순교(martyrdom)라고 해도 좋을 정도까지, 근본적인 포기를 하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기 위하여, 기본적 선택들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에 대하여 알아야 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오늘날, 과거처럼, 그리스도인의 삶은 추세(the tide)에 반하여 나아가기 위한, 심지어 십자가 위에서 당신 자신을 희생하기에 이르기까지 멀리 가셨던, 예수님 처럼 사랑하기 위한, 용기를 요구합니다.

-----
(*) 번역자 주: 페니키아(Phoenicia) 지역은, 고대 지중해 해상 무역의 중심지였던, “티로(Tyre)와 시돈(Sidon) 지역”을 말한다.
-----

We could then say, paraphrasing one of St Augustine's thoughts, that through earthly riches we must procure for ourselves those true and eternal riches: indeed, if people exist who are prepared to resort to every type of dishonesty to assure themselves an always unpredictable material well-being, how much more concerned we Christians must be to provide for our eternal happiness with the goods of this earth (cf. Discourses, 359, 10). Now, the only way of bringing our personal talents and abilities and the riches we possess to fruition for eternity is to share them with our brethren, thereby showing that we are good stewards of what God entrusts to us. Jesus said: "He who is faithful in a very little is faithful also in much; and he who is dishonest in a very little is dishonest also in much" (Lk 16: 10). 

그러면 우리는,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의 생각들 중의 하나를 알기 쉽게 바꾸어 말하면서, 세속의 재물을 통하여 우리가 우리 자신을 위하여 바로 그 참이며 영원한 재물들을 힘써 손에 넣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는데, 정말로, 만약에 항상 예상할 수 없는 물질적인 복지(material well-being)를 스스로 보증하기 위하여 모든 종류의 부정직(dishonesty)에 의존할(resort to)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들이 존재한다면, 염려를 하고 있는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우리의 영원한 행복을 위하여 얼마나 더 많이 이 땅의 재화들을 제공하여야만 할까요(Discourses, 359, 10을 참조하라)그런데, 우리가 가지고 있는 우리의 개인적 탈렌트들과 능력들과 재물을 영원을 위한 성취(fruition)로 이르게 하기 위한 유일한 방식은 바로 이들을 우리의 형제들과 함께 하는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가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맡기신 바에 대한 착한 집사들임을 보이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아주 작은 일에 성실한 사람은 큰일에도 성실하고, 아주 작은 일에 불의한 사람은 큰일에도 불의하다"(루카 복음서 16,10)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Today, in the First Reading, the Prophet Amos speaks of the same fundamental decision to be made day by day. Using strong words, he stigmatizes a lifestyle typical of those who allow themselves to be absorbed by a selfish quest for profit in every possible form and which is expressed in the thirst for gain, contempt for the poor and their exploitation, to one's own advantage (cf. Am 8: 5). 
The Christian must energetically reject all this, opening his heart on the contrary to sentiments of authentic generosity. It must be generosity which, as the Apostle Paul exhorts in the Second Reading, is expressed in sincere love for all and is manifested in prayer. Actually, praying for others is a great act of charity. The Apostle invites us in the first place to pray for those who have tasks of responsibility in the civil community because, he explains, if they aspire to do good, positive consequences derive from their decisions, assuring peace and "a quiet and peaceable life, godly and respectful in every way" (I Tm 2: 2). Thus, may our prayer never be lacking, a spiritual contribution to building an Ecclesial Community that is faithful to Christ and to the construction of a society in which there is greater justice and solidarity.

오늘, 제1독서에서, 예언자 아모스(Amos)는 날마다 꼭 같은 근본적인 결정이 내려져야 함에 대하여 말합니다. 강한 표현들을 사용하여, 그는, 자기 자신에게 유리하게, 가난한 이들에 대한 모욕(contempt)이며 그들에 대한 착취인, 모든 가능한 형태로 그리고 그것이 이득(gain)을 위한 목마름으로 표현되고 있는, 이윤(profit)을 위한 이기적인 추구에 의하여 자기 자신이 몰두하게 되는 것을 허락한 자들의 전형적인 생활방식에 낙인을 찍습니다(stigmatizes)(아모스 8,5를 참조하라). 그리스도인들은, 이에 반하여 진정한 관용(generosity)의 정서(sentiments)로 자신의 본심(heart)을 열어, 이러한 모든 것들을 강력하게(energetically) 거부하여야 합니다. 제2독서에서 사도 바오로가 권고하듯이, 모두에 대한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사랑 안에서 그리고 기도 안에서 명백하게 드러나게 되는(is manifested) 것이 바로 관용임은 틀림 없습니다. 실제로, 다른 이들을 위하여 기도함은 커다란 사랑의 행위(act of charity)입니다. 이 사도는 우선적으로 시민 공동체에 대한 책임 질 일들을 하고 있는 자들을 위하여 기도하도록 우리를 초청하는데, 이는, 그들이 선을 행하고자 열망한다면, 평화와 그리고 모든 방식에 있어 "신심 깊고 품위있게, 평온하고 조용한 생활"(1티모테오 2,2)을 보증하는, 긍정적인 결과들이 그들의 결정들로부터 나오기 때문이라고, 그는 설명합니다. 따라서, 그리스도께 충실하며 그리하여 그 안에 더 커다란 정의(justice)와 연대성(solidarity)이 존재하는 사회의 건설(construction)에 충실한 교회적 공동체(Ecclesial Community)의 설립(building)에 대한 영적 기여에 있어, 우리의 기도가 결코 부족하지 않도록 합시다. 

----------

작업자: 소순태 마태오 교수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4시간 정도.

 



734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