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사추덕(四樞德) 이라는 용어의 최초 출처는 구탁일초 권6, 제7쪽 보다 더 이전인 서학범(1623년)이다 1242_

인쇄

. [119.194.105.*]

2017-03-24 ㅣ No.1790

 

질문 1: "현명/지덕(prudence), 정의/의덕(justice), 절제/절덕(temperance), 그리고 용기/용덕(strength)"로 구성된, 소위 말하는 본성적(natural) 주된(principal) 윤리덕(moral virtues)들인, "4추덕"이 최초로 나열되고 또 이들에 대한 서술이 주어진 교리서는 무엇인지요?

 

1. 질문 1에 대한 답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파악한 바에 의하면, 다음에 발췌된, 알퐁소 바뇨니 신부님(1566-1640년)의 저서로서 1615년에 초간된 "교요해략"입니다. 그런데 이들은 여기서, "4추덕"이라고 불리지 않고, "4종상덕"라고 불립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66-1640_알퐁소_바뇨니/1615_교요해략.htm

(발췌 시작)

교요해략_권지하_12_4종상덕_93-95 (<----- 클릭하십시오)[주: 4추덕들과 그 해설들]

(이상, 발췌 끝)

 

2. 질문 2: 그렇다면, 이들이 요즈음처럼 "4추덕"이라고 불린 것은 언제부터입니까?  

 

내용 보강 일자: 2022년 1월 18일] 

질문 2에 대한 답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파악한 바에 의하면, 1630년-1640년 사이에 줄리오 알레니 신부님(1582-1649년)루도미나 신부님 외 두 분의 선교사 신부님들에 의하여 저술된, 다음에 발췌된, "구탁일초", 권6, 제7쪽보다 [내용 보강 시작] 더 오래된, 줄리오 알레니 신부님의 저술인 서학범(1623년)입니다 [이상, 내용 보강 끝].

 

2-1. 다음은,  "구탁일초", 권6, 제7쪽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발췌 시작)


(이상, 발췌 끝)

 

[내용 보강 시작]

2-2.

2-2-1. 다음은,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 파견된 예수회 소속의 줄리오 알레니 신부님(1582-1649년)의 저술로서, 1623년에 초간되었고 그리고 이지조(1565-1630년)에 의하여 1629년에 발행된 "천학초함""리" 편에 포함된, "서학범", 제17a쪽에서 발췌한 바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82-1649_쥬리오_아레니/1623_서학범.htm

(발췌 시작)

사추덕_향주삼덕_주지칠은_진복팔단_사피리삼다지십이실효_in_1623_서학범_제17b쪽.jpg

 

게시자 주: 바로 위에 발췌된 바에서, 오른쪽에서 첫 번째 열(column)을 보라.

(이상, 발췌 끝)

 

2-2-2. "서학범""천학초함"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우리나라 조선에, 또한 "천학초함"에 포함된 "천주실의" 등과 함께, 일찌기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에 발췌된 바을 언뜻 들여다보면, "주지7은" "성령칠은"(이사야 11,1-3)[즉, 성령의 일곱 선물들(seven gifts of the Holy Spirit)]을 말하고, "사피리삼다지십이실효""성령의 열두 열매들"(대중 라틴말 성경, 갈라티아 5,22)을 말함을 알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2-2-2: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이들 성렬의 선물들과 성령의 열매들의 차이점 등에 대한 글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969.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60.htm <----- 필독 권고

 

2-2-3. 그리고 그 다음 페이지, 즉, 제18a쪽에, "신망애""지의용절"이, 각각 "향주삼덕들""사추덕들"을 말한다는 설명이 전혀 없이, 그냥 기술되어 있는데,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할 때에, "서학범"은 알퐁소 바뇨니 신부님의 저술로서 1615년에 초간된 "교요해략"의 용어들을 대체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생각이며, 따라서, 저술 연대 등을 또한 고려할 때에, 한문 문화권의 유학자들로서 특히 위의 제1항에 안내된 알퐁소 바뇨니 신부님의 저술로서 1615년에 초간된 "교요해략"을 입수하여 학습하고자 하였던 분들이 "교요해략" 제시된 바들를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이상, 2022년 1월 18일자 내용 보강 끝]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529 3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