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마학당 (영상) 및 강의 (송천오 안드레아)신부님

4월 14일 쉐마학당 제 9 강의

인쇄

신천동성당 [shinchon] 쪽지 캡슐

2009-04-15 ㅣ No.15

.

* 요나서를 통해 본 신앙의 본질적인 방식

요나서에는 하느님의 부르심에 인간이 응답하는 신앙의 본질적인 방식이 잘 나타나 있다

예수님의 강생으로 우리는 하느님의 자녀가 되는 특권을 받게 되었는데

하느님의 초대와 인간의 응답 관계를 잘 이해하지 못하면 그 특권을 누리지 못한다

그러므로 하느님의 초대에 응답하는 우리의 신앙은 완덕을 향하여 철저하게 나가야 한다

아울러  이론적으로서가 아니라 실존적으로 나의 삶의 자리에서 이 신앙의 본질적인 방식이 이뤄져야 한다 

* 요나서의 각장과 각절의 주해

1장 9절....

신앙인은 말로서 과시하는 것으로 멈추면 하느님의 초대를 거부하는 것이다

실천이 따르지 않은  위선적인 신앙인의 모습이다

(예를 들면 고해성사를 볼 때 모고해(冒告解)를 하는 행위)

또한 하느님의 말씀을 경청하고 그 분의 복음적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즘처럼 다원화된 사회에서는 매사에 지혜로운 선택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성서말씀을 삶의 지렛대로 삼는 것이다

1장 10-11절...

뱃사람들은 하느님을 몰랐다

오히려 요나처럼 하느님을 안다는 사람이 다른 사람들을 걸려 넘어지게 한다

요나는 아직도 자기 중심적인 방식에 갇혀서 빛과 소금의 역활을 못하고 있다

1장 15절...

요나를 바다에 던지자 바다가 잔잔해짐으로 세상을 다스리시는 하느님의 실체가 드러난다

2장 1-2절...

요나가 사흘 낮과 사흘 밤을 머문 물고기 배속은  예수님의 무덤을 예시한 것

(마태 복음 12장 41절을 참고)

물고기 배속은 신학적으론 죽음을 의미하며

인간적으론 여러가지 어려움에 처함을 뜻한다

2장 2절

요나는 자신의 구원을 위해 기도를 시작한다

신앙을 선택사항으로 전락시키면 하느님의 주권을 인정하는게 아니다

요나는 기도를 통해서 자신의 의화(義化 : 의로움)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2장 4절

요나가 던져진 바닷속은  헤어날 수 없는 곳이었다


2장 5-7절

요나는 이제야 하느님의 초대에 순명한다

하느님은 태초의 혼돈 상태인 심연에서 요나를 건져 올리신다

이로써 요나의 성전 중심 구원관은 하느님 중심의 구원관으로 바뀐다  

2장 9절

신의 (信義)는 하느님의 본질이다

요나서의 原文에는 신의를 하느님, 야훼로 표기했다

신의 자체이신 하느님을 체험하기 위해서는 내 자신이 신의를 저버리지 않아야 한다


2장 10절

요나는 드디어 "구원은 주님의 것입니다" 라고 고백하면서 하느님의 자비를 깨닫는다


3장 1절

1장에서 하느님의 부르심을 거부했던 요나가 3장에서는 응답한다


3장 3절

요나는 보편적 구원 의지를 지니신 주님의 말씀에 순명한다

(마태 복음 12장 38-45절 참고)


3장 4절

40일간의 회개 시간을 주신 것은  하느님의 선물이며 인간에 대한 인내심과 자비를 보여주시는 것이다

 
3장 5-6절

니네베 사람들은 요나의 회개 선포 소식에 극단적이고 절박한 결단의 행동을 취한다  

현재 우리의 삶에서도 이러한 결단이 필요하다


3장 7-8절

니네베는 큰 도시였기에 물질적으로 풍요로웠고 죄악에 빠져 있었다

그러나 모두 힘껏 부르짖으며 기도한다


3장 9-10절

회개하는 니네베 사람들을 보시고 하느님은 심판 계획을 취소하신다

인간의 회심에 대해 하느님은 자비를 베푸신다

(예레미아  18장 7-8절 참고)


*  다음 주 과제

 요나式 구원관과 니네베式 구원관에 대하여 묵상해 보십시오

 

- 정리 : 홍보분과 편집실 -




279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