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마학당 (영상) 및 강의 (송천오 안드레아)신부님

3월 2일 요한 묵시록 제 2 강의

인쇄

신천동성당 [shinchon] 쪽지 캡슐

2010-03-03 ㅣ No.18

 

   묵시록 집필 동기

전승에 의하면,  묵시록은 A.D 95년경 도미티아누스 황제 시대에

파트모스 섬으로 유배되었던 사도 요한과 그의 제자들이 집필했다고 한다 

그 당시  그리스도교에 대한 박해가 아무리 혹독했다 하더라도

다시 오실 예수그리스도는  반드시 악의 소굴을 소멸시키고 

새로운 세상이 시작된다는 희망을 주기 위해  당시의 유대적 역사관, 전설, 신화,

구약성경 인용, 그외  전통적인 상징들을  묵시문학 형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묵시록에 등장하는 상징적인 표현들

   <숫자>

1..... 하나, 유일함, 거룩함

3..... 완전함, 완성

4.....동서남북 4방향이 가리키는 인간세계

7..... 3+4. 즉,  하느님과 인간을 합친  완전, 충만함

12... 완성, 바빌론에서는 1일을 12시간으로  계산 .

1000.....많다, 전체를 뜻함,

3.5.... 7의 1/2.  길수 7를 파괴한  흉수

6.... ..12의 1/2   길수 12를 파괴한  흉수

       (예) 666은  흉수 중의 흉수, 네로 황제를 지칭하는 것

 

묵시록에 제시되는 숫자는 양적인 표현이 아니라 

그 내면에는 만사가 하느님의 진리에 따라 어김없이 움직인다는  뜻.

이와 같은 맥락으로 18세기 독일의 유명한 수학자 K.F 가우스는

 "하느님은 계산하시는 분"이라는 말을 했다

우리 교회 전례들도 이러한 숫자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사물>

옥좌, 뿔..... 권위, 권세  다니엘서 10장에서 인용한 말

일곱뿔 ......하느님의 무소불위의 권능. 고통을 극복해 나가는 힘.

                   에제키엘 , 즈카리아서 등에서 인용한 말

짐승.......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존재로 로마 황제, 관리 등을 뜻함

어린 양...  예수 그리스도

신부.....    교회, 하느님의 백성을 뜻함

일곱 교회...모든 교회를 지칭함

  

  <색깔>

흰색... 거룩함

흑색..  죽음

 

 

   묵시록을 읽는  우리의 자세

묵시록은 세상이 언제 어떻게 끝나는가에 관심이 있는게 아니라

어떤 모습으로 끝날 것인가를 보여주는 책입니다

흔히 묵시록을 세상 종말의 보고서처럼  잘못 해석하는 사이비 종파도 있지만

요한 복음 16, 33 " 여러분은 세상에서 환란을 겪겠지만 내가 세상을 이겼습니다 "

라는 말씀처럼 다시 오실 그리스도를 믿고 인내할 때 반드시

승리한다는 희망이 담긴 그리스도의 책이며  교회의 책 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묵시록을 포함한 모든 성경을 읽을 때

하느님이 나의 삶에서 어떻게 役事하시는지를  분별하고

새롭게 살아갈 힘을 얻어야 합니다

 

 



381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