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 다해 연중 제21주일 전례성경 공부/묵상

인쇄

. [121.190.18.*]

2025-08-19 ㅣ No.4511

+ 찬미 예수님!


1. (제1항) 다음의 바로가기... 에 접속하면, 위의 제목의 전례성경 공부/묵상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을 활용하여 필요시 언제든지  이 동영상 중의 콘텐츠들을 손쉽게 엑세스 할 수 있습니다[저작권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스마트폰용]

다해 연중 제21주일 전례성경 공부/묵상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으로 바로가기... <----- 여기!

 

[PC 혹은 노트북용]

다해 연중 제21주일 전례성경 공부/묵상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으로 바로가기... <----- 여기!

 

[더 상세한 세부 내용 목록] 

오늘의 전례성경 묵상 동영상에서 교재 본문 중의 특정 주제(topics)들에 대한 추가 설명들이 주어지고 있는 부분들:

 

* 시작 기도 및 복습 안내: 00:00-01:01-01:25 

* 오늘의 독서들에서 발췌된 바들: 01:25-09:48

%%%%%%%%%%

* (#) [꼭필청요망B] 자유 의지를 행사하는 신성적 의지/뜻(divine will) 자유 의지를 행사하는 사람의 의지/뜻, 즉, 인성적 있음(human being)의 의지/뜻(human will)의 상호 작용(interactions)들이 인과 관계의 결과인 '상선벌악'를 산출한다; 마르틴 루터가 주장한 '은총만으로'매우 심각한 오류인 이유; 번역 용어들인 은혜(gift)와 은총(grace)의 커다란 차이점; '적정 공로'(condign merit)[주: 은총에 화답하여 실천한 바에 대한 지칭]의 댓가로서 주어지는 것은 '은총'이다[출처: 우리말본이 아닌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010항의 두 번째 문장; 우리말본의 경우에, 세 번째 문장]; 성사 생활; 당사자에게 수용된 은총은 당사자를 하느님 쪽으로 끌어당기는 힘(power)을 지니고 있다; 당사자에게 수용된 은총은 당사자의 영혼을 예수님의 모습 쪽으로 변화시키는 힘(power)을 지니고 있다; 1779년 겨울 '천진암 장촉담경 강학' 참여와 함께 개시(開始)된 이벽 성조의 선교/전교/복음화 활동은 이벽 성조에게 성령강림이 이미 있었음의 명확한 증거이다: 01:51-05:57-06:45; 25:02-27:00; 44:50-48:42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하느님_나_그리고_너_이들_3자들_사이에서_발생하는_인과_관계의_결과인_-상선벌악-_은_어떠한_과정_안에서_발생할까_2637.htm <----- 여기!!
혹은,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은총만으로의_문제점_2637.htm <----- 여기!  

또한,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은총에_화답하여_행해진_공로_즉_적정공로(condign merit)에_대한_하느님의_보상은_은총이다(가톨릭교회교리서2010항)_2166.htm <----- 필청/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지역_교회의_탄생_조건은_해당_지역에_성령_강림(진리의_영의_도래)인_것이지_수세_혹은_대세를_받음이_결코_아니다_4224.htm <----- 필청/필독 권고   

%%%%%%%%%%

* (#) [꼭필청요망B] 부성애(父性愛, love of fatherly piety)와 모성애(母性愛, love of motherly piety)의 커다란 차이점 및 전통적 역할들: 06:45-09:44; 58:13-59:53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부성애(父性愛_love_of_fatherly_piety)와_모성애(母性愛_love_of_motherly_piety)의_커다란_차이점_및_전통적_역할들_2637.htm <----- 여기!!

%%%%%%%%%%

* 오늘의 성경/교리 용어들: 09:48-27:21
* 성경에서 인류의 선조들은 노아의 세 아들들인 셈, 함, 야펫이다; 이사야서 66,18-19에 나열된 '모든 민족들과 언어가 다른 모든 사람들'에 대하여; '그들 가운데 살아남은 자들'은 누구를 말할까?; 'Who's who in the Bible' 참조; [주: 예를 들어, 화면에 녹화 중에 그린 이오니아 섬들의 약도 참조요]: 09:48-11:36; 39:23-42:32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성경에서_인류의_선조들인_노아의_세_아들들_2637.htm <----- 여기!  

* 판토하 신부님의 "인류원시"(1610년)와 줄리오 알레니 신부님의 "4자경문"(1642년)은 우리나라 조선이 포함되는 한문 문화권의 동양인들은 노아의 큰아들인 셈(Shem)의 후손들이라고 가르쳤다: 11:36-11:59; 33:30-39:23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한문문화권_동양인들은_셈의_후손들_2637.htm <----- 여기!  

* [꼭필청] 이적(wonders), 기적(miracles), 표징(signs)의 커다란 차이점; 예수님은 주님, 즉, 신성적 통치권자이시므로 따라서 강생하신 하느님이시므로, 예수님께서 행하신 이적들은 모두 기적들이다: 11:59-14:35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wonder_vs_miracle_vs_sign_2637.htm <----- 여기!  

* [꼭필청] 하느님께서 우리들 안에 머무르시기 위한 충분 조건들, 즉, 실천 원리(practical principles)들은 성경 본문에 없을까?; 세례 시 도유 예식의 중요성에 대하여; 변성(變成)함/성변(becoming)은 무엇을 말할까? [주: 본 교안에 근거한 녹화 중 화면에 그린 도식 필히 참조요]: 14:35-20:59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John4_12_2637.htm <----- 여기!  

* 가톨릭 교회의 예정론과 요한 칼빈의 이중 예정설의 커다란 차이점: 20:59-22:42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가톨릭_교회의_예정론과_요한_칼빈의_이중_예정설의_커다란_차이점_2637.htm <----- 여기!  

* [꼭필청] 향주삼덕들 중의 첫 번째인 믿음(faith, 신덕)은 마르틴 루터가 말하는 나의 주관적인 고유한 믿음(belief, 신념)과 결코 동의어가 아니다: 22:42-23:28; 23:36-25:02; 53:51-56:08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faith_vs_belief_2637.htm <----- 여기!  

* [꼭필청] 마태오 복음서 8,12에서 ‘하느님 나라상속자들’은 '그 나라의 자녀들'로 교체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우선적으로, 하느님 나라가 이미 지상의 영성체 있는 그리스도교 교회 안에 존재하며 자라고 있기에, 전후 문맥상 ‘하느님 나라의 상속자들’이라는 우리말 번역 표현 자체가 이해할 수 없는 표현이기 때문이다. [대단히 심각한 번역 오류]: 23:28-23:36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마태오_복음서8_12에_있는_번역_오류_-하느님_나라의_상속자들-_은_선택된_백성인_당시의_유다인들을_의미하는_직역_번역_-그_나라의_자녀들-_로_교체되어야_한다_2637.htm <----- 여기!!   

%%%%%%%%%%

* (#) [꼭필청요망B] 오늘의 독서들의 주제: [영원한] 구원 쪽으로 보편적 부르심[바로 이 부르심에 대한 당사자의 화답(response)이라는] 자유로움(freedom)이라는 기초 위에 있는 커다란 헌신(commitment)의 상호 작용(interaction); 심지어 감정 등이 포함되는 정(情, passions)들도 선용의 용도로 항상 사용하라고 하느님께서 허락하신 것이다; 하느님의 자비: 27:21-31:14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영원한_구원_쪽으로_부르심과_바로_이_부르심에_대한_당사자의_화답이라는_자유로움(freedom)이라는_기초_위에_있는_커다란_헌신의_상호_작용_2637.htm <----- 여기!!  

%%%%%%%%%%

* 오늘의 제1독서 입문: 31:18-32:59

* 레위인들의 사제 직무에 이방인들이 장차 참여할 것이라는 예언(이사야 66,21): 42:32-43:50

* 오늘의 복음 말씀 입문: 43:50-44:50  
%%%%%%%%%%

* (#) [꼭필청요망B] 그리스도교에서 전통적으로 말하는 '구원''죽은 후에 본향인 천당에 올라가 하느님을 지목지관하는 것', 즉, '영원한 구원'(eternal salvation)을 말하는 것이지, 어떠한 경우에도 예를 들어, 환자들에 대한 치유 기적들, 라자로의 소생 등과 같은, '일시적 구원'(temporal salvation)을 말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카르타고 공의회(418년)에서 단죄된 펠라지오 이단에 대하여; '적정 공로'(condign merit)[주: 은총에 화답하여 실천한 바에 대한 지칭]의 댓가로서 주어지는 것은 '은총'이다[출처: 우리말본이 아닌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010항의 두 번째 문장; 우리말본의 경우에, 세 번째 문장]; 당사자에게 수용된 은총은 당사자를 하느님 쪽으로 끌어당기는 힘(power)을 지니고 있다; 당사자에게 수용된 은총은 당사자의 영혼을 예수님의 모습 쪽으로 변화시키는 힘(power)을 지니고 있다; 1779년 겨울 '천진암 장촉담경 강학' 참여와 함께 개시(開始)된 이벽 성조의 선교/전교/복음화 활동은 이벽 성조에게 성령강림이 이미 있었음의 명확한 증거이다44:50-48:42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당사자의_화답에_의하여_당사자에게_수용된_은총은_당사자를_하느님_쪽으로_끌어당기는_힘(power)을_지니고_있다_2637.htm <----- 여기!!  

%%%%%%%%%%

* (#) [꼭필청]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좁은_문'(narrow gate, narrow door, 마태오 복음서 7,13; 루카 복음서 13,24)은 무엇을 말할까?; '좁은 문'이 그 입구인, 아래의 제(ii)항에 발췌된, 베들레헴 소재 주님 탄생 기념 성당 정문 사진; 오늘의 제1독서와 연결되는 부분; 우리들 모두는, 알게 모르게 죄를 짓기에, 죄인들이다; 성령을 거스르는 6개의 죄들 중의 한 개인 망망(presumption)이라는 죄; 당사자 자신을 위한 신성적 사랑(divine love)은 향주삼덕들 중의 두 번째 덕인 '망덕'/'희망'을 말한다: 48:42-53:51-56:08-57:33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필자가_촬영한_베들레헴_소재_예수_탄생_기념_성당_정문인_-겸손의_문(좁은_문)-_사진_촬영일자_2009-07-16_2637.htm <----- 여기!!

(i)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바로 이 '좁은 문''천국', 즉, '하늘 나라'(the kingdom of heaven), 즉, '하느님 나라'(the kingdom of God)들어가기 위한 조건(the conditions)들을 말한다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학습할 수 있다. 예수님의 '산중성훈'의 시작 부분인 마태오 복음서 5,1에 대한 해설을 학습하도록 하라. 우리말 번역은 상당히 오래 전에 필자가 수행한 것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_ot_4.htm <----- 필독 권고
또한,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루카복음서12_49에서_--_은_무엇을_말할까_2624.htm <----- 필철/필독 권고

(ii) (발췌 시작)

베들레헴_소재_예수_탄생_기념_성당_정문인_-겸손의_문(좁은_문)-_촬영일자_2009-07-16_DSC08108.jpg [주: 필자가 촬영함.]

 

그리고 바로 위의 성당 지하에 위치한 예수님의 탄생 장소: 

출처: https://www.mikemasonbooks.com/wp-content/uploads/2015/04/Nativity_Church15.jpeg#main 

Nativity_Church15.jpg

 

더 자세하게,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베들레헴 소재 주님 탄생 기념 성당 성지 드 순례 안내는, 2010년 이후 예수님 무덤 성당에 살고 계신 김상원 테오필로 수사 신부님 제공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이스라엘_성지순례_안내_김상원_테오필로_수사신부_제공/베들레헴/베들레헴_주님_탄생_성당.pdf

주님_탄생_성당_등_성지_도면.jpg

주님_탄생_성당_지하동굴_도면.jpg

 

출처: https://terrasanta.tistory.com/category/%EB%B2%A0%EB%93%A4%EB%A0%88%ED%97%B4 

[제목: 베들레헴]

https://terrasanta.tistory.com/8295886 

[제목: 베들레헴 : 역사적 배경과 예수님 성탄 성당 내부 [1]]

https://terrasanta.tistory.com/8299449 <----- 꼭 살펴보십시오!

[제목: 베들레헴 : 예수님 성탄 성당의 성탄 동굴과 구유 동굴 [2]]

(이상, 발췌 끝)
 

(iii) 또한,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성령을_거스르는_행위를_하는_자들은_가장_깊은_속_내면의_성향들이_순수하지_않은_자들에_포함될_것이다_2193.htm <----- 필청/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성령을_거스르는_행위를_하는_자들은_가장_깊은_속_내면의_성향들이_순수하지_않은_자들에_포함될_것이다_2235.htm <----- 필청 및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성_아우구스티노가_6개로_나열한_성령을_거스르는_죄들_2232.htm <----- 필청 및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성_아우구스티노가_6개로_나열한_성령을_거스르는_죄들_3439.htm <----- 필청 및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729.htm <----- 꼭 필독 권고

[제목: [필독] 성령을 모독하는 죄들 여섯 개는, 이벽 성조에게 전달된, 1635년에 초간된 줄리오 알레니 신부님의 '천주강생언행기략', 권3의 주석에 이미 제시되었다; 게시일자: 2022-10-06]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blasphemy2Holy_Spirit.htm <----- 꼭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divine_love_for_myself_2637.htm <----- 꼭 필청/필독 권고  

%%%%%%%%%%

* [꼭필청] ‘희망’(hope, 망덕)이란 곧, 하느님(God), 너(you), 그리고 나(I)로 구성된 3자들 사이에서, ‘나를 위한 신성적 사랑’(divine love)을 말한다; 53:51-56:08-57:33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divine_love_for_myself_2637.htm <----- 여기!  

* 오늘의 제2독서 입문: 57:36-58:13

%%%%%%%%%%

* (#) [꼭필청] '새 번역 성경'의 본문은 피조물인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입양된 하느님의 자녀들(the adopted children of_God)임을 분명하게 기술하지 않고 있다[대단히 심각한 번역 오류]: 58:13-58:41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하느님의_아드님(친자)과_하느님의_자녀들(입양자들_의자들)의_커다란_차이점에_대하여_2637.htm <----- 여기!!

%%%%%%%%%%

* 히브리서 12,13ㄱ에서 '바른길을 달려 가십시오'는, 히브리서 12,13ㄴ아무런 모순 없도록, '바른길을 걸어 가십시오'로 교체되어야 할 것이다[상당히 심각한 번역 오류]; 성 바오로가 말하는 '그 길'(the Way): 59:53-01:01:16

* 오늘의 3분 복음/교리 묵상: 01:01:16-01:03:53

* 한문 문화권 천주교회의 고유한 번역 용어인 '가상칠언'(架上七言)이란 무엇을 말할까? 그 출처는?: 01:01:16-01:03:05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가상칠언_2637.htm <----- 여기!  

마침 기도 및 복습 안내: 01:03:53-01:04:18-01:04:56

 

2. (제2항)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341.htm <----- 필히 시청 요망

 

"KF94 마스크 미착용, 착용 시의 커다란 차이점을 잘 보여주는 실험 동영상들 - 오미크론 출현 이전인 2021년 10월 14일에 확보한 자료들임" 제목의 졸글에 추가된 중요한 방역 수칙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1: 위의 주소에 있는 글은, 예를 들어, 그 내용 보강(각주들의 추가 포함)이 추후에도 이루어지는 등, 저작권자에 의한 글의 지속적인 관리상의 문제로, 이곳에 본문을 게시하는 대신에 다음의 주소에 있는 한 군데의 장소로 독자들께서 직접 접속하여 읽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이 점을 널리 이해해 주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 제목, 내용 검색으로 다른 졸글들 찾아 읽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3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