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 다해 그리스도 왕 대축일(다해 연중 제34주일) 전례성경 공부/묵상 |
|---|
|
2025-11-26 ㅣ No.4813
+ 찬미 예수님! 1. (제1항) 다음의 바로가기... 에 접속하면, 위의 제목의 전례성경 공부/묵상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을 활용하여 필요시 언제든지 이 동영상 중의 콘텐츠들을 손쉽게 엑세스 할 수 있습니다[저작권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스마트폰용] 다해 그리스도 왕 대축일(다해 연중 제34주일) 전례성경 공부/묵상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으로 바로가기... <----- 여기!
[PC 혹은 노트북용] 다해 그리스도 왕 대축일(다해 연중 제34주일) 전례성경 공부/묵상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으로 바로가기... <----- 여기!
[더 상세한 세부 내용 목록] 오늘의 전례성경 묵상 동영상에서 교재 본문 중의 세부 주제(specific topics)들에 대한 추가 설명들이 주어지고 있는 부분들:
* 시작 기도 및 복습 안내: 00:00-00:30-01:15-01:26 * 가톨릭 교회의 주일 전례력에 대한 간단한 안내: 예를 들어, '가해'(Cycle A)는 왜 3년 주기로 '가해'(Cycle A)로 불릴까?: 01:26-02:30 * 오늘의 독서들 안내: 02:30-02:55 %%%%%%%%%% * (#) 오늘의 독서들의 주제; [꼭필청] 성부 하느님과 인류 사이의 유일한 ‘중보’(中保, mediator)로서 예수님의 구속(救贖)/속량(贖良) 위업(redeeming work); 성모님의 친자 외아들이신 예수님은 아브라함과 다윗의 적예(的裔, 즉, 적확(的確)한 후예(後裔))이시다[주: '的裔'(적예)의 출처: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9,11]: 02:55-05:23; 07:16-08:24; 53:45-58:16 http://pds.catholic.or.kr/Archives/300/1/gnattboard/2839/159/다해그리스도왕대축일.mp4 <----- 여기!! 클릭 후, 02:55-05:23; 07:16-08:24; 53:45-58:16 시간 동안 필청 권고 또한,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18.htm <----- 필독 권고 [제목: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9,11에서 적예(的裔) 의 출처와 의미, 각주 오류에 대하여; 게시일자: 2016-08-11] %%%%%%%%%% * 오늘의 독서들에서 발췌된 바들: 05:23-08:40 * [꼭필청/꼭필독] 히브리인들은 언제부터 '이스라엘'과 '유다' 둘로 구분되어 불리기 시작하였을까?; ‘이스라엘’과 ‘유다’의 구분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 요약[화면의 해설 필독 권고]: 05:23-06:52; 16:01-17:20; 36:08-36:35-38:44-39:38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이스라엘_vs_유다_구분의_시발점_2804.htm <-----여기! * 오늘의 성경/교리 용어들: 08:40-26:48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직후인 1969년에 개정된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의 첫 적용 시점은 1970년 1월 1일부터' 이다: 08:40-08:53 * [꼭필청][꼭필독] 예수 성심 호칭 기도(Litany of the Sacred Heart)에서 ‘성심’(the Sacred Heart)은, ‘예수님의 마음’이 결코 아니고, ‘예수님의 심장/염통’을 말한다; 다산 정약용 선생님의 '아학편'에서도 '염동 심'하였지 '마음 심'하지 않았다[대단히 심각한 번역 오류]: 08:53-10:33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예수성심호칭기도_2804.htm <-----여기! * [꼭필청요망AAA][꼭필독요망AAA] 오늘 전례성경에서 '나라'는 '하늘 나라'를 말한다; 성삼위의 제2위걱이신 예수님/성자의 정체성에 대하여; '주님이신 예수님'에서 피휘(避諱)의 존칭인 '아도나이'/'주님'은 또한 '통치권자'(sovereign)를 의미한다; 하느님 쪽으로 파스카 신비의 완미한 구현 - 승천하시는 예수님께서, 성부 하느님에 의하여, '아도나이'/'주님'(통치권자) 반열에 오르게 되는 과정: 10:33-13:44 * 또한 1역대기 11,1-5에서 또한 발견될 수 있는 다해 그리스도 왕 대축일 제1독서(2사무엘 5,1-3)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 안내[주: 해설의 우리말 번역은 필자가 한 것임]: 13:44-14:04; 26:48-26:58 * 필리스티아인들이 군사적으로 강력하였던 이유는 무엇 때문이었을까?;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들 중의 한 지파인 '단'(Dan) 지파의 일부는 왜 북쪽으로 이주를 하여야 하였을까?: 14:04-16:01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이벽_성조의_성교요지에서_갈의염충_2804.htm <-----여기! * [꼭필청/꼭필독] 예수님께서 요한 복음서 19,30에서 "다 이루어졌다"라고 하신 말씀의 의미는 무엇일까?[제2차 바티칸 공의회,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 「거룩한 공의회」(Sacrosanctum Concilium), 제5항의 두 번째 단락 필독요.]; '구속'(Redemption)과 '구원'(salvation)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영어 단어들이 다르듯이, 동일한 개념이 결코 아니다: 18:15-19:43; 43:44-44:40-46:52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요한19_30_다_이루어졌다_2804.htm <-----여기! * [꼭필청요망AAA][꼭필독요망AAA] 예수님에 의하여 지상에 개시된 '하늘 나라'(천국)은 과연 지상의 어디에 있는가?[화면의 해설 필독 권고]: 19:43-21:02; 01:15:01-01:17:25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하늘_나라(천국)은_과연_지상의_어디에_있는가_2804.htm <-----여기! * ‘신약 성경 소아시아의 도시들’ 지도 안내 및 성 바오로의 두 번째 선교 여행 지도 및 바오로의 발자취에 따른 성지순례 안내: 21:02-21:08 * 시리아의 안티오코스 3세 ‘대왕’(Antiochus III ‘The Great’)에 대한 추가 안내 및 역사가 요세푸스의 언급에 관한 안내: 20:08-21:25; 52:00-53:45 * 세례를 받을 때에 하느님에 의하여 영혼에 주입되는, 따라서 초자연덕인, 믿음(faith, 신앙)과 당사자의 고유한 그 무엇인 믿음(belief, 신념)의 커다란 차이점 안내: 21:25-22:00 *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의 ‘콜로새서에 대한 강론 2’ 영어본 안내: 22:00-22:31; 59:17-01:02:33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성_요한_금구_콜로새서_강론_2_2804.htm <-----여기! * [꼭필청요망AAA][꼭필독요망AAA] '그리스도의 나라'는, '천당'이 결코 아니고, '하늘 나라'(천국)을 말한다; '그리스도의 복음'은 무엇을 말할까?; 성경에 기록된 유일한 임종 회심(conversion): 22:31-22:46; 47:19-50:32; 59:16-01:02:33; 01:15:01-01:17:25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그리스도의_나라는_곧_하늘_나라를_말한다_2804.htm <-----여기! * [꼭필청][꼭필독] 새 번역 성경, 에페소 1,7 및 콜로새 1,14의 번역 과정에 '곧'의 추가는 대단히 심각한 번역 오류이다: 22:46-23:47; 01:02:33-01:07:05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에페소1_7_및_콜로새1_14_속량_곧_죄의_용서는_번역오류_2804.htm <-----여기! * [꼭필청][꼭필독] 미사 중에 , 사도 신경 대신에,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의 고백을 권고하는 '로마 미사 전례서 총지침' 안내 등: 23:47-24:30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미사_중_니케아-콘스탄티노플_신경고백_권고_2804.htm <-----여기! * [꼭필청요망AAA][꼭필독요망AAA] '화해', '평화'/'화목', ‘중보’(中保, mediator)[출처: 천주강생성경직해], '예수님의 구속(救贖)/속량(贖良) 위업', 그리고 ‘총귀(總歸)/총괄복귀’(總括復歸)라는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 마르틴 루터가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이단자로 단죄받은 주된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성모님의 무염시태 교의의 의미는 무엇일까?; 거룩한 지혜의 의미; 성 바오로가 말하는 '머리'의 의미; '새 아담', '새 하와', '새 창조'에서 '새'라는 형용사의 의미는 무엇일까?; 그리스도교 부활 신앙의 근거는 무엇일까?: 24:30-26:48; 59:16-01:07:05-01:14:55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Redemption_2804.htm <-----여기! %%%%%%%%%% * (#) 그리스도 왕 대축일 입문; [꼭필청요망] 라테라노 조약이 체결된 1929년 직전인 1926년에 처음으로 그리스도 왕 대축일이 보편 교회 전례력에 도입된 이유는 무엇일까?; 거룩한 영혼과 불쌍한 영혼의 차이점에 대하여: 26:58-27:04-31:55 http://pds.catholic.or.kr/Archives/300/1/gnattboard/2839/159/다해그리스도왕대축일.mp4 <----- 여기!! 클릭 후, 26:58-27:04-31:55 시간 동안 필청 권고 %%%%%%%%%% * 오늘의 제1독서 입문; 사무엘서_입문; 노아의 자손들인 필리스티아인들, 암몬인들, 모압인들, 에돔인들, 아람인들; 다윗 임금 및 솔로몬 임금 시절(기원전 1000-925년) 지도 참조: 31:55-36:35 [오류 바로잡음 1: 바로 위의 동영상 32:18에서 "역대기"라고 잘못 읽은 것을 "연대기"로 바로잡습니다.] * 기름부음(anointing)의 의미: 37:44-38:44 * 오늘의 복음 말씀 입문: 39:39-40:24 * 성경 용어인 'to save'의 번역 표현은, '구하다'의 명사형의 동사형인 '구원하다'가 아니라, 미사 경본에서 처럼 '구하다'로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번역 오류]: 40:24-42:39-47:40 *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님께서 "나는 이제부터 하느님의 나라가 올 때까지 포도나무 열매로 빚은 것을 결코 마시지 않겠다"(마태오 복음서 26,29, 마르코 복음서 14,25, 루카 복음서 22,18)라고 말씀하신 바의 의미는 무엇일까?[화면의 해설 필독 권고]: 46:50-46:51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kingdom_of_God_2410.htm *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낙원'의 의미는 무엇일까?: 47:19-50:36 * [꼭필청] 오늘의 제2독서 입문: 콜로새서_입문; 요세푸스; 무당이 굿을 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50:36-58:16 * 콜로새서 1,12에 있는 직역 번역이 아닌 것으로 보이는 바에 대하여; 콜로새서 1,12에서 상속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58:16-59:16-01:02:33; 01:02:33-01:07:05-01:14:55 %%%%%%%%%% * (#) 오늘의 3분 복음/교리 묵상: [꼭필청요망AAA][꼭필독요망AAA] CCCC_433; CCCC_598; 강생하신 하느님이신 예수님에 의하여 지상에 개시된 '그리스도의 복음', 즉(LG 5), '하늘 나라(천국)의 도래'에 대한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수요일 일반 알현 교리교육 가르침 12개 안내; '아멘'의 의미는 무엇일까?: 01:15:01-01:17:53 http://pds.catholic.or.kr/Archives/300/1/gnattboard/2839/159/다해그리스도왕대축일.mp4 <----- 여기!! 클릭 후, 01:15:01-01:17:53 시간 동안 필청 권고 %%%%%%%%%% * 마침 기도 및 복습 안내: 01:17:53-01:18:20-01:18:29
2. (제2항)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341.htm <----- 필히 시청 요망
"KF94 마스크 미착용, 착용 시의 커다란 차이점을 잘 보여주는 실험 동영상들 - 오미크론 출현 이전인 2021년 10월 14일에 확보한 자료들임" 제목의 졸글에 추가된 중요한 방역 수칙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1: 위의 주소에 있는 글은, 예를 들어, 그 내용 보강(각주들의 추가 포함)이 추후에도 이루어지는 등, 저작권자에 의한 글의 지속적인 관리상의 문제로, 이곳에 본문을 게시하는 대신에 다음의 주소에 있는 한 군데의 장소로 독자들께서 직접 접속하여 읽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이 점을 널리 이해해 주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 제목, 내용 검색으로 다른 졸글들 찾아 읽기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0 2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