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1월6일 세쩨의 성 가롤로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12-06-12 ㅣ No.2135



축일 1월6일
세쩨의 성 가롤로, Reformati
San Carlo da Sezze Frate laico francescano
Sezze (Latina), 19 ottobre 1613 - San Francesco a Ripa, 6 gennaio 1670
Etimologia: Carlo = forte, virile, oppure uomo libero, dal tedesco arcaico
Saint Charles of Sezze
(19 October 1616 – 6 January 1670),
born Giancarlo Marchioni, was an Italian Franciscan lay brother.
He died in Rome, in 1670.
beatified : by Pope Leo XIII in the year 1882,
canonized : by Pope John XXIII on 12 April 1959.



   카롤루스(Carolus, 또는 가롤로)의 원래 이름은 요한 카롤루스 마르치오니(Joannes Carolus Marchioni)인데, 그는 이탈리아의 세체에서 가난한 부모 슬하에서 태어나 목동이 되었다가 사제가 되려는 간절한 소망을 가지고 살았다. 그러나 그는 읽고 쓰는 법을 제대로 배우지도 못한 그의 보잘 것 없는 학력 때문에 나지아노에서 수사가 되어 그때부터 부엌, 문지기, 정원 등등 수도원의 허드렛일을 도맡다시피 하였지만, 그의 높은 성덕과 단순성 그리고 애덕은 놀라울 정도여서 주위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또한 신비적인 서적도 몇 권 기록했고, 더할 수 없을 정도로 금욕생활을 하였으며, 1656년에 발생한 흑사병 유행 때에는 참으로 영웅적으로 주민들을 도와 그의 위대성이 더욱 돋보였다. 그의 가족명은 원래 멜키오르이나 그는 세그레의 카롤루스로 널리 알려졌다. 그는 1959년 요한 23세(Joannes XXIII)에 의하여 시성되었다.
(가톨릭홈에서)








* 참고

3) 옵세르반트의 확장

요한 22세의 교황기가 끝나자 공동체 형제들의 대수도원주의(Con- ventualismo) 를 반대하여 회칙의 ‘총체적인 준수’를 열망하는 여러 그룹들이 이탈리아와 스페인과 프랑스에 나타났다. 영적 형제들과 그들의 ‘개혁’ 의지가 암암리에 각 지역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었던 것이다. 1334년 발레의 요한은 교황의 회칙을 준수하며 살 수 있는 허락을 총봉사자로부터 얻어냈다. 이것은 초기 단순성으로 돌아가려는 운동의 시발이었다. 1350년 스폴레토의 젠틸레는 회칙 준수 보장과 수련자들을 받을 수 있는 권한을 클레멘스 6세로부터 얻었다. 그러나 1354년 총회는 개혁운동과 반대노선을 지향했다. 젠틸레는 이단자로 고발되었고 쇄신의 첫 시도는 무산되었다. 젠틸레 그룹의 바올루쵸가 은둔소 생활을 하자 움브리아 지방의 버려진 은둔소에 형제들이 살기 시작했다. 1373년에 이 개혁운동은 12개의 집을 갖게 되었다. 이 운동은 1390년경 이탈리아 전역에 확산되어 있었다. 개혁운동의 초기형제들은 교육을 받지 못한 평형제들이었다. 그러나 우수한 개혁자들이 직접 회칙 준수파에 들어왔다.  

이탈리아에서의 개혁 그룹인 리포르마티(Riformati)는 1402년에 시에나의 성 베르나르디노, 1414년에는 카페스트라노의 성 요한, 1415년에는 살테아노의 성 알베르토, 1416년에는 마르카 관구의 성 야고보가 입회를 했다. 이들은 모두 옵세르반트의 방향을 결정짓는 인물들이었다.  

스페인에서의 옵세르반트(Alcantarini, Discalceati, Guadalupesi)는 통합성은 부족했지만, 아비뇽의 교황 보호 아래 이탈리아보다 더 열정적으로 일어났다. 이 개혁 그룹들은 제각기 독자적으로 움직였다. 이들은 은둔소 칩거의 형태로 살았다. 1415년에는 12개나 되는 은둔소가 설립되었다. 알칼라의 성 디에고(+1463)가 1441년 자신을 하느님께 봉헌한 것도 이 은둔소였다.  

프랑스에서의 옵세르반트(Recollect) 개혁 운동은 은수적 생활이 아닌 학문과 사도적 활동에 큰 비중을 두었다. 또 교황은 회칙의 영적 준수를 위해 집짓는 일을 허락하였다. 15세기 초에 프랑스 관구의 여러 수도원은 개혁을 받아들였다.  

그 후에 개혁 공동체들은 자신들의 관구봉사자들로부터 큰 고통을 당했다. 이들은 1415년에 자신들의 사정을 콘스탄츠공의회에 상정하여 교황들의 초기 해석을 가지고 회칙을 준수할 권리를 주장했다. 그리고 모든 관구의 옵세르반트 수도원들에게 개혁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모든 수도자들을 받을 수 있는 자유와 독자적인 장상을 달라고 요청했다.  

공의회는 1415년 9월 23일 칙서 <Supplicationibus personarum> 에서 옵세르반트에게 그들이 요청한 모든 것을 허락해 주었다. 더구나 관구 내 속관구들은 해당 관구봉사자들의 재치권 아래에 있지 않으며 나름의 총장 대리를 가지고 총봉사자는 시찰할 권한만 있다고 선언했다. 어떤 수도자라도 본인이 원하면 회칙 준수파 형제들에게 넘어갈 수 있게 되었다. 

옵세르반트 조직 체계를 확장시켜나간 그룹들 외에도 많은 다른 개혁 그룹들이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생겨났는데, 그들은 자치를 누리면서도 법적으로는 형제회에 속한 채 남아 있었다. 프랑스 북부와 독일의 콜레타니(Coletani), 이탈리아의 아매디테(Amaeditae), 클라레니(Clareni) 등이 있다.

4) 옵세르반트 운동의 프란치스칸 이상
옵세르반트 운동의 독립적이고 분파적인 성격 때문에 다양한 그룹들의 열망을 종합하기란 쉽지 않다. 한 가지 공통적인 것은 개혁(Riforma) 정신 안에서 찾을 수 있다. 이들은 형제회가 프란치스코의 이상에서 얼마나 멀어져 있는가 하는 깊은 우려에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공동체 형제들이 공식적으로 받아들인 적당한 교황청의 회칙 해석에 대한 항의 형식으로 표면화되었으며, 마침내 참된 ‘회칙 준수’를 찾아 분리된 그룹을 형성하는 데에 이르게 되었다.‘회칙 준수’는 옛 교황칙서에 따른 회칙 준수의 의무를 의미한다.
(김창재다미아노ofm,이현주ofs 엮음,재속프란치스코회역사,한국재속프란치스코회출판부,2011,123-125쪽)
 



Compagni di San Francesco

 
 ◆ 수도회칙엄수파 ◆        한자  修道會則嚴守派 ,  영어  Observantines 
   1368년 이탈리아 영성주의자들에 의해 생겨난 1897년 공식적으로 폐지된 일부 프란치스코회의 명칭으로 원시회칙파라고도 한다. 1223년 11월 29일 교황 호노리오 3세에 의해 공인된 성 프란치스코의 회칙(Regula II)을 문자 그대로 엄수하고 꼰벤투알회에서 채택한 복음적 청빈의 완화를 인정하지 않으며 그레고리오 9세, 니콜라오 3세, 글레멘스 5세 교황들의 회칙의 권위 있는 해석을 기준으로 삼았다. 성 레오 10세는 대칙서 (1517)를 통하여 이 수도회에 총회장직과 수도회의 표지를 주었고, 꼰벤투알회는 대칙서 (1517)를 통하여 자체의 총회장직을 받드는 독립 수도회로 분리되었다. 원시회칙파는 ‘원시회칙 준수’(regularis observantiae)라는 명칭을 덧붙여 쓰거나 또는 그냥 프란치스코 수도회(Fratres Minores)라고 불렸으며 원시회칙파에 소속되어 있던 단체들은 이 프란치스코회에 들어가도록 하였다.
   얼마 뒤 원시회칙파 중에서도 개혁파가 생겨 1518년에 카푸친회는 독립된 수도회로 갈라져 나갔으며, 개혁파인 아르칸타라의 성 베드로의 ‘선족파’(Discalceati), ‘대원시회칙파’(Recollecti Strictiosi)는 이 수도회에 남았다. 1897년 10월 4일 레오 13세는 교황령으로 특별한 칭호를 모두 없애고 모든 단체들을 프란치스코회(Ordo Fratrum Minorum) 즉 이른바 ‘갈색의 프란치스코회’로 통일시켰다.
출처 : [가톨릭대사전] 




San Carlo da Sezze Frate laico francescano
6 gennaio 
Sezze (Latina), 19 ottobre 1613 - San Francesco a Ripa, 6 gennaio 1670

Giancarlo Marchionne nacque a Sezze (Latina) nel 1613 da genitori contadini. Fece anche lui il pastore e l'agricoltore. A 17 anni fece voto di castità in onore della Vergine e poco dopo entrò nell'Ordine dei Frati minori come fra Carlo. Fu in numerosi conventi del Lazio come cuoco. portinaio, questuante e sacrestano. Ma, nonostante gli scarsi studi, aveva doni di scienza straordinari e ciò gli permise di realizzare una vasta produzione di opere ascetico-letterarie. Fu consigliere di Alessandro VII e Clemente IX. Morì nel 1670 ed è santo dal 1959. E' patrono di Sezze e della diocesi di Latina-Terracina Sezze-Priverno. (Avvenire)

Etimologia: Carlo = forte, virile, oppure uomo libero, dal tedesco arcaico

Martirologio Romano: A Roma, san Carlo da Sezze, religioso dell’Ordine dei Frati Minori: costretto fin dalla fanciullezza a procurarsi il vitto quotidiano, esortava i compagni all’imitazione di Cristo e dei santi; indossato finalmente, come desiderava, l’abito francescano, si dedicò all’adorazione del Santissimo Sacramento.


Ascolta da RadioVaticana: 


Nato a Sezze (Latina) il 19 ottobre 1613 da Ruggero Melchiori (o Marchionne) e Antonia Maccione, contadini piissimi e di buona condizione, Carlo fu battezzato il 22 dello stesso mese, come risulta dall'unico registro contemporaneo esistente tuttora presso la cattedrale di S. Maria. Per motivi di salute dovette sospendere gli studi elementari: fece il pastore e poi il contadino. A diciassette anni emise il voto di perpetua castità in onore della Vergine e quindi, contro il parere dei genitori e dei parenti che lo avrebbero voluto sacerdote, preferì, per spirito di umiltà, rendersi religioso converso. Vestì, pertanto, l'abito dei Frati Minori nel convento di S. Francesco in Nazzano il 18 maggio 1635 e, dopo aver superato molte difficoltà, professò il 18, o il 19 maggio dell'anno seguente. Risiedette successivamente nei conventi di S. Maria Seconda in Morlupo, di S. Maria delle Grazie in Ponticelli, di S. Francesco in Palestrina, di S. Pietro in Carpineto Romano, di S. Pietro in Montorio e di S. Francesco a Ripa in Roma. Tra il 1640 e il 1642 dimorò per breve tempo nei conventi di S. Giovanni Battista al Piglio e in quello di S. Francesco in Castelgandolfo. NelI'ottobre 1648, ascoltando la Messa nella chiesa di San Giuseppe a Capo le Case in Roma, al momento dell'elevazione, ricevette dall'Ostia divina una ferita di amore al petto.
Impiegato negli uffici propri del suo stato, di cuoco, ortolano, portinaio, questuante e sagrestano, Carlo si distinse per l'umiltà, l'ubbidienza, la pietà serafica e l'amore verso il prossimo, riuscendo ad unire alla più intensa vita interiore e contemplativa una instancabile attività caritativa e apostolica che lo condusse a Urbino, a Napoli, a Spoleto e in altre città.
Laici, sacerdoti, religiosi, vescovi, cardinali e pontefici si giovarono dell'opera di Carlo, che aveva avuto da Dio doni straordinari, tra i quali, in particolare, quelli del consiglio e della scienza infusa (riconosciuto, questo prorsus mirabile dal breve stesso della beatificazione). Ad Alessandro VII, che lo interrogava su Girolama Spada, giustiziata come eretica a Campo de' Fiori il 5 luglio 1659, Carlo rispose che non si era mai recato a casa della donna, sapendo che in lei non v'era nulla di buono. Clemente IX lo inviò a Montefalco per esaminarvi lo spirito di una monaca, falsamente ritenuta santa. Carlo predisse il supremo pontificato ai cardinali Fabio Chigi (Alessandro VII), Giulio Rospigliosi (Clemente IX), Emilio Altieri (Clemente X) e Gianfrancesco Albani (Clemente XI).
Dopo la morte, avvenuta il 6 gennaio 1670 a San Francesco a Ripa, comparve sul petto di Carlo un singolare stigma, che fu riconosciuto di origine soprannaturale da un'apposita commissione medica e fu addotto come uno dei due miracoli richiesti per la beatificazione. I processi canonici, iniziati poco dopo la morte, subirono notevoli ritardi dovuti a contingenze storiche. Clemente XIV dichiarò l'eroicità delle virtù il 14 giugno 1772; Leone XIII, con breve del 1° ottobre 1881, lo beatificò il 22 gennaio 1882, e Giovanni XXIII lo canonizzò il 12 aprile 1959. La sua festa si celebra il 6 gennaio. Benché a scuola avesse imparato a leggere e a scrivere malamente, Carlo fu autore straordinariamente fecondo.

Autore: Severino Gori

Fonte: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2001-02-01

 

 

January 6
St. Charles of Sezze
1613 - 1670
John Charles Marchioni was born at Sezze, Italy, on October 19, of humble parents. A shepherd as a child; he wanted to become a priest. When unable to do so because of his poor scholarship (He barely learned to read and write), he became a lay Franciscan brother at Naziano. Served in assorted menial positions at friaries near Rome and became known for his holiness, simplicity, and charity. Once a friary superior ordered Charles, as porter, to give food only to traveling friars. While Charles strictly adhered to the new rule, simultaneously the alms to the friars decreased. He  convinced the superior the two facts were related. When the friars resumed giving goods to all who asked at the door, alms to the friars increased.

He wrote several mystical works, and at the direction of his confessor, his autobiography, The Grandeurs of the Mercies of God. St. Charles wrote, “God does not command us to live in hair shirts and chains, or to chastise our flesh with scourges, but to love Him above all things and our neighbor as ourselves.” Fr. Severino Gori wrote, “The autobiography of Charles stands as a very strong refutation of the opinion, quite common among religious people, that saints are born saints, that they are privileged right from their first appearance on this earth. This is not so. Saints become saints in the usual way, due to the generous fidelity of their correspondence to divine grace. They had to fight just as we do, and more so, against their passions, the world and the devil.”

Charles lived a life of great mortifications, and worked heroically to help the stricken in the plague of 1656. He was sought out for spiritual advice, and the dying Pope Clement IX called Charles to his bedside for a blessing. He was canonized by Pope John XXIII in 1959.

 
 
The Desire of God to Save Sinners
It is indeed very surprising that man, a worm of the earth, should dare to offecd his Creator and turn his back upon him, by despising his graces after God has favoured and loved him as to lay down his life to save him. But it is still more surprising that God, after having been thus despised by man, should seek after him, invite him to repentance and offer him his pardon, as though God stood in need of us and not we of him. O Jesus! Though seekest me, and I sse after Thee. Thou desirest me, and I desire only Thee.
“For Christ,” says the Apostle, “we beseech you, be reconciled to God.” (2 Cor 5:20) “And does God,” exclaims St. John Chrysostom, “call thus upon sinners? And what does he ask of them? To be reconciled, and be in peace with him.” (In 2 Cor hom. II)
My Redeemer, Jesus Christ, how could Thou have had so much love for me, who have so often offended Thee? I detest all my offences againtst Thee; give me still greater grief, still greater love that I may deplore my sins, not so much on account of the punishments I have deserved by them, as for the injury I have offered to Thee, my God, who aret infinitely good and amiable.
“What is man, that Thou should magnify him? Or why dost thou set thy heart upon him?” (Job 7:17) What good, O Lord! Has Thou ever derived from me? And what canst Thou expect from me that Thou lovest me so much, and comest so near to me? Hast Tou then forgotten all theinjuries and treasons which I have committed against Thee? But since Thou hast so much loved me, I a miserable worm, must also love Thee, my Creator and my Redeemer. Yes, I do love Thee, my God; I love Thee with my whole heart, I love Thee more than myself, and because I love Thee I will do everything to please Thee. Help me for the sake of that precisous blod which Thous hast shed for me. Help me aslo, O holy Mary! For the love of thy Son who died for me.
Prayer
Lord God, you kept St. Charles of Sezze faithful to Christ’s pattern of poverty and humility. May his prayers help us to live in fidelity to our calling and bring us to the perfection you have shown us in your Son, who lives and reigns with you and the Holy Spirit, one God, for every and ever.

 

 

Charles of Sezz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search
Saint Charles of Sezze
Confessor
Born c. (1613-10-19)October 19, 1613[1]
Sezze, Roman Campagna, Papal States (now modern-day Province of Latina, Lazio, Italy)
Died January 6, 1670(1670-01-06) (aged 56)
Rome, Papal States
Honored in Roman Catholic Church
Beatified 1882, Rome by Pope Leo XIII
Canonized 12 April 1959, Rome by Pope John XXIII
Major shrine Church of St Francis, Rome, Italy
Feast 7 January
Saint Charles of Sezze (19 October 1616 – 6 January 1670), born Giancarlo Marchioni, was an Italian Franciscan lay brother.

He lived the life of a lay brother of the order, never requesting or receiving ordination to the priesthood. He died in Rome, in 1670.

Brother Charles was recognized as having lived a life of outstanding holiness as a lay brother, was beatified 212 years later by Pope Leo XIII in the year 1882, and was canonized by Pope John XXIII on 12 April 1959.

Saint Charles's feast day is on 6 January.[2] If the Epiphany is celebrated on that day, the celebration of Saint Charles is moved to the day before or the day after.

[edit] Notes^ Patron Saints Index: "Saint Charles of Sezze"
^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1 ISBN 88-209-7210-7)
[edit] ReferencesDonald Attwater and Catherine Rachel John (1995). The Penguin Dictionary of Saints, 3rd Edition. New York: Penguin Books. ISBN 0-14-051312-4. 
Raphael Brown (1960). The Wounded Heart: St. Charles of Sezze. Chicago: Franciscan Herald Press. OCLC 3247159. 
St. Charles of Sezze (1963). St. Charles of Sezze: an autobiography, Leonard Perotti (trans). London: Burns & Oates. OCLC 221056796. 
This page was last modified on 7 April 2012 at 20:17
 



1,048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