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6월18일[수도생활]성 칼로제로 은수자♬10.Laetatus Sum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6-17 ㅣ No.1822

 

축일:6월18일

성 칼로제로 은수자

St. CALOGERUS
San Calogero Eremita in Sicilia
Born:fifth century Greek
Died:at Fragalata, Sicily
Calcedonia (Tracia), 466 ca. – Monte Cronios (Sciacca), 561 ca.
Canonized:Pre-Congregation
Calogero = di bella vecchiaia, dal greco
= of beautiful old age, from the Greek

 


성인은 침묵을 좋아하는 은수자였다.
그는 시실리아 섬의 남쪽 끝에 있는
에울리에 섬에 자리한 동굴에서 백년을 살았다고 한다.
특히 마귀들린 사람들을 위해 성인께 기도한다.
(성바오로딸수도회홈에서) 

 

 

성 그레고리우스(Gregorius) 주교와 성 데메트리우스(Demetrius) 부제 그리고
수도원장이었던 성 칼로게루스(또는 칼로제로)는 아리우스파의 반달족에 의해
그들의 고향으로부터 북아프리카로 쫓겨났다가 시칠리아(Sicilia) 섬 메시나(Messina) 부근
프라갈라타(Fragalata) 주변 지역에 정착하여 복음을 선포하였다.
성 칼로게루스는 원래 그리스의 은수자이자 선교사로 ‘은둔자’로 불렸는데,
교황으로부터 수도원의 관습을 받아들여
시칠리아 섬 지르젠티(Girgenti, 오늘날의 아그리젠토 Agrigento) 근처에서
30여년 이상을 은수자로서 살았다.
그는 또한 레파리(Lepari) 섬의 선교사로서 봉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가톨릭홈에서)


은수자

외딴 곳에 혼자 사는 수도자 4세기 초부터 특히 동방의 그리스도교도들에게는
이런 생활이 그리스도교적 금욕주의를 실천하는 방편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동방에서는 흔히 은수생활이 공주생활보다 높이 평가되었으며
한때 은수사들 간에 극단적이고 때로는 과도한 내핍생활이 행해졌으나
후대에 교회적 권위가 은수생활을 지배하게 되었고
은수사들로 하여금 수도원 근처에 살면서 상부의 지시를 받게 하였다.

 

서방은 동방보다 은수적 수도생활을 하는 경우가 드물었으나
11세기 및 13-14세기의 영성적 부흥시대에 재등장하였다.

 

11세기에 설립된 카르투시안 수도회와 카말돌리 수도회는
현재까지 반 은수적 수도생활의 형태를 잘 유지해 오고 있으며
은수사들의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가톨릭대사전에서)

 

*성교회의보석.카르투시안수도회와 성 브루노(축일:10월6일)게시판1407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수도생활  修道生活
라틴어 vita religiosa   영어 religious priest


1.개념:
수도생활이란 고등종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으로서
절대적 가치를 추구하기 위하여 현세적 가치를 포기하고 일반사회를 등진 생활양식이다.
공통된 점은, 재산의 포기[가난]와 가정생활이 포기[독신]이며,
경우에 따라서 여러 가지 고행과 집중적인 기도가 수반된다.

 

수도생활을 하는 사람을 불교나 힌두교의 경 우에는 `승려', `비구니'(比丘),
`수행자'(修行者)라고 하는데, 그리스도교의 경우에는 수도자([라]religiosus)라고 한다.

현재 천주교회에서는 교회(교황청이나 교구장)에서 정식으로 인준된 수도회에서
서원(誓願) 을 발한 자만을 수도자(남자:수사, 여자:수녀)라고 한다.

2.신학적 고찰:
그리스도교에서는 수도생활이 그리스도에 대한 추종의 한 형태로 나타난다.
수도자들은 "동정이며 가난하신 그리스도 십자가의 죽음에 이르기까지 복종하심으로써
인간을 구속하시고 성화이신 그리스도를 따라 자기를 하느님께 특별한 방법으로 봉헌하는 것이다."
(제2차 바 티칸 공의회 수도생활의 쇄신적응에 관한 교령 1조. )


하느님 나라에 전적으로 종사하기 위해 예수는 재산과 가정을 포기하고 아버지의 뜻에 끝까지 복종하였다.
이와 같이 그는 가난(청빈)과 독신(정결)과 순명의 본보기가 되었다.
그래서 중세기 이후에 수도자들은 하느님의 나라를 위한 가난과 독신, 그리고 수도규칙(회칙)과

장상에 대한 순종을 3가지 복음적 권고라고 했으며, 수도서원을 통해 이 3가지를 선서하였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에 관한 교의헌장> 5장과 6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음적 권고를 지키는 것은 모든 신자들에게 제시되는 완덕의 길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소수의 사람들에게 내리시는 은사와(1고린 7:7) 이 은사 를 내리심으로써
하느님은 개인을 수도생활에 부르신다.(=부르심, `성소').
그런데 은사는 성신이 교회의 건설을 위해 자유롭게 나누어주시는 것이므로
수도자들이 교회에 봉사하는 범위는 각 수도회의 특별한 은사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복음적 권고의 실천에 의한 수도신분의 공통된 직능은 표지(標識, signum)와 증거의 역할이다.
수도자들은 그 생활양식으로 "진복팔단(眞福八端)의 정신이 아니고서는 세상을 변형시킬 수도 없고
하느님께 봉헌할 수도 없다는 사실을 증명하며"(교회헌장 31 조) "
이 세상에 이미 현존하는 천상 보화"와 풍부한 그리스도의 생명을 제시하고 모든 신자들이 고대하는 "천국의 영광 을 예고한다"(44조).
그래서 수도신분을 종말론적 존재라고 한다.


위의 생활양식을 유기(有期)로 영위하는 일이 가능하지만,

수도자는 일생토록 수도서원을 서약하여 자신을 완전히 하느님께 봉헌하여 축성을 받는다.
그래서 최근에 교회에서는 수도생활을 봉헌된 또는 축성된 생활(vita consecrata)이라고 즐겨 부른다.

 

 

3.수도생활의 역사:
넓은 의미에서의 수도생활은 예수와 사도들로부터 이미 시작되었다.
재산을 포기하고 독신을 지키며 교회의 봉사를 위해 개인의 욕망을 버린 사람은
교회역사 초기부터 있었으며 남자의 경우 는 금욕자(禁慾者, asceta)로, 여자의 경우는 동정녀(童貞女)로 불렀다.
이미 2세기부터 그들은 특별한 존경을 받았으며, 특히 동정녀들의 신분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거주나 복장으로는 일반사회인이나 신자들과 구별되지 않는다.

 

엄밀한 의미에서의 수도생활은 기원후 300년 전후에 시작되었다.
열렬한 신자들은 도시를 떠나 광야에 은거하며 정신적 공간적으로 사회와 전혀 다른 특수한 생활양식을 개척하였다.
이런 운동은 먼저 근동지방에서 일어났으며,
그중 특히 이집트의 은수자(隱修者, eremita, anchoreta)들이 다른 지방의 금욕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성 안토니오(St. Antonius, Ere-mitus, 251 356)는 이집트 수도승들의 아버지 및 천주교 수도생활의 시조(始祖)로 알려졌다.

당시 수도생활의 특징은 고행이었다.
수도자들은 단식과 철야기도 및 육체노동으로 하느님께 대한 사랑을 입증하려고 하였으며,
외딴 곳에 혼자 사는 은수자와 함께 모여 사는 공주수도자(共住修道者, coenobita)와
서로 가까이 사는 반 은수 자(半 ,semi-eremita) 등이 있었다.

 

이집트의 공주생활을 조직하고 최초의 수도규칙서를 쓴 분은 성 파코미오(St. Pachomius, 292 - 346)였으며,
아타나시오 성인(295 - 373)이 ≪안토니오전(傳)≫을 저술하여 동방의 수도생활을 지방에 소개,

선전한 이후 서방에서도 이 운동이 크게 퍼졌다.

서방의 고행은 동방만큼 심하지는 않았으며 은수자 보다 수도원이 많은 것이 특색을 이루었다.
서방에서 생긴 많은 수도규칙 가운데 성 베네딕토(480 - 547)가 저술한 규칙서가 가장 합리 적이며 실용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이 규칙서를 지키는 수도원이 점차 늘어 800년 이후에는 베네딕토의 전통을 지키는 수도자들은 정주(定住, stabili-tas)를 약속하여
일생 동안 같은 수도원에 머무르면서 비교적 큰 공동체를 이루고 공동으로 바치는 성무일도에 많은 시간을 보냈다.

수도원들은 중세사회의 종교와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경제적 내지는 정치적 세력도 막강하였다.

 

13세기 초에 도미니코 성인과 프란치스코 성인의 등장으로 아주 새로운 수도생활의 형태가 생겨났다.
이들은 가난과 설교를 강조해서 노동과 경우에 따라서는 구걸로 생계를 유지하였으며,
소단위의 공동체에 살면서 자주 이동하였다.
또 조직면에서 자립수도원을 만들어 온 베네딕토의 전통과는 달리 총장이 다스리는 수도회를 조직하여

서울, 지방에 따라 관구(管區)로 나누었다.
그리고 외딴 곳보다 도시 가운데 살면서 사목 (司牧)에 힘썼다.


그 뒤 1534년에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가 혁명적이라 할 수 있는 새로운 생활양식을 구상하였다.
그가 설립한 예수회(會)는 교회를 위한 봉사단으로서 회원들은 수도복을 입지 않고 공동예배를 드리지 않으며
속세 를 떠나기는 커녕 오히려 파고 들어가 가장 위급하게 여기는 일들을 맡아서 처리하였다.

그 뒤에 생긴 근세의 수도회들은 예수회의 영향을 받아 대개 교회를 위한 봉사를 그 목적으로 삼았다.
그 가운데는 아주 구체적인 필요성을 위하여 설립된 회도 많은데 교육, 포교, 간호 등의 전문분야를 가진 수도회들이 지배적으로 많다.


반면 중세기보다 더 엄격한 봉쇄를 지키는 가르멜회도 근세에 번성하여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1515 - 1582), 십자가의 성 요한(1542 - 1591), 소화(小化) 데레사 (1873 - 1897)와 같은 성인들이 배출되었으며,
20세기에는 샤를르 드 포코(1858 - 1917)의 규칙에 따라 빈민들과 함께 살면서
사회 한복 판에서 관상(觀想)생활을 영위하는 예수의 작은 형제회와 자매회가 탄생하였다.

 

현대에는 수도자라는 명칭을 거부하고 사회인으로서 복음적 권고를 지키는 사람들이 생겼는데,
이들의 집단을 재속회(在俗會) ,초대 교회의 동정녀 와 금욕자처럼 속세를 떠나지 않는 수도자(아니면 평신도)의 모습을 보여 주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생활 은 다른 수도회와 같이 교황청의 `수도자 및 재속회 성성'의 감독을 받고 있다.

 

*성 안토니오 아빠스 축일:1월17일.게시판1572번.

*성 파코미오 아빠스 축일:5월9일.게시판1751번.

*성 아타나시오 주교 학자 축일:5월2일.게시판1742번.

*성 베네딕토 아빠스 축일:7월11일.게시판1267번.

*성 도미니코 사제 축일:8월8일.게시판1308번.

*성 프란치스코 축일:10월4일.게시판1403번:오상축일:9월17일.게시판1369번.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사제 축일:7월31일.게시판1295번.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 축일:10월15일.게시판1420번.

*십자가의 성 요한 사제 학자 축일:12월14일.게시판1523번.

*리지외의 성녀 소화데레사 동정학자 축일:10월1일.게시판1398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4.한국의 수도생활:
한국 교회 창립부터 신심 두터운 신자 가운데는 수도생활에 관한 서적을 보거나
신부의 권유를 듣고 독신생활과 고행을 하면서 교회를 위한 봉사에 전념한 분들이 있었다.
이 중 특기할 만한 것은 그 당시 유교사회에서 공공연하게 동정을 지키기가 너무 어려워서 동정부부의 길을 택했던 예들이다.


그러나 박해시대에는 조직적인 수도생활이 불가능하였으며
한불조약(韓佛條約)이 체결된지 1년 뒤인 1888년에야 비로소 최초의 정식 수도회가 들어올 수 있었다.
이때에 한국에 진출한 프랑스출신의 `샤르트르 성 바오로회'는 그 설립목적에 따라서
자선 사업과 사회사업에 힘썼으며 1900년 이후에는 교육과 본당사목에도 종사하기 시작하였다.

 

남자수도회로서 최초로 한국에 진출한 회는 교회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성 베네딕토회'였다.
1909년 독일에서 온 이 회원들은 당시 조선교구장이었던 뮈텔(Mutel, 閔) 주교의 요청에 따라 서울에 수도원을 두고 교육사업에 임하였다.
그러나 일제(日帝)의 탄압에 못이겨 학교를 그만둔 다음 북한의 넓은 포교지역을 맡아서 수도원을 덕원(德源)으로 옮겼다.
그밖에 광복 전에 한국에 들어온 수도회는 메리놀 전교회와 함께 함경도에 온 메리놀수녀회(1942년),
원산에 온 포교 성베네딕토 수녀회(1925년), 대전에 온 프란치스코회(1937년),
그리고 한국에 처음으로 관상수도원을 세운 가르멜여자수도회(1939년) 등이다.

 

이 무렵에 한국인으로만 구성된 방인(邦人) 수도회들이 탄생하기 시작하였다.
즉 1932년 평양에서는 메리놀회의 도움으로 영원한 도움의 성모회가 창설되었고,
1935년부터 영남 지방에서는 훗날 포항 예수성심시녀회가 될 동정녀들의 작은 모임이 시작되었다.
방인수녀회들의 창립은 광복 후에도 계속되었으며,

1953년에는 방유룡(方有龍) 신부가 한국 순교복자회라는 이름으로 최초의 남자 방인수도회를 세웠다.

 

6.25전쟁 이후에 한국 교회의 발전이 세계의 주목을 끌기 시작하자
살레시오회와 예수회를 비롯한 많은 남녀수도회가 한국에 진출하여, 현재(1983년도말)
한국 교회에는 14개의 남자수 도회(선교단체 제외)와 40개의 수녀회가 있다.
방인 수도단체라도 대체로 서구의 수도생활을 모방하고 있으니 수도생활의 토착화는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한국은 성소가 많지만 남자 수도생활은 부진한 편이다.
수녀들은 매연 수백명으로 늘어나지 만(한국 천주교회 교세통계 1982년말 현재 , 서원수녀:3,617명, 외국인 150명 포함)
한국 방인사제 가운데 수도자는 64명밖에 되지 않으며(6%, 세계평균치:36%),수사의 수도 이와 비슷하다.
한국 수도생활의 특성은, 대다수의 수녀들이 일선사목에서 활동 하는 것이다. (진 토마스)

참고문헌 오늘의 수도자들, 한국천주교남녀수도회 소개, 분도출판사, 1983 /

 라디슬라스 M 오 르시, 성령께 마음을 열다, 성 바오로 출판사, 1974 /

르네 카방리에, 천국의 증인 들, 가톨릭출판사, 1966 /
A. 니콜라스, 희망의 지평-부르심과 응답, 성 바오로 출판 사, 1977과 1981 /
조정옥, 축성된 생활, 효성여자대학교, 1982 / 사목, 33호 특집.

(가톨릭대사전에서)

 

 

 

♬10.Laetatus Sum-베네딕도수도원


 

 

San Calogero Eremita in Sicilia
18 giugno 
Calcedonia (Tracia), 466 ca. – Monte Cronios (Sciacca), 561 ca.

Le notizie sulla sua vita sono così confuse tanto che si è pensato che potessero riferirsi a più santi con lo stesso nome. Con il nome Calogero che etimologicamente significa " bel vecchio " venivano infatti designate quelle persone che vivevano da eremiti. E Calogero è venerato in Sicilia presso Sciacca, nel monastero di Fregalà presso Messina, e in altre città. L'unica cosa sicura su di lui è l'esistenza in Sicilia di un santo eremita, con poteri taumaturgici. A Fragalà è stata scoperta alla testimonianza più antica legata al suo culto, alcune odi scritte nel IX secolo da un monaco di nome Sergio, da cui risulterebbe che Calogero proveniva da Cartagine e morì nei pressi di Lilibeo. le lezioni dell'Uffizio, stampate nel 1610, lo dicono invece proveniente da Costantinopoli ed eremita sul monte Gemmariano.

Etimologia:Calogero = di bella vecchiaia, dal greco
E' presente nel Martirologio Romano. Sul monte Gemmariaro presso Sciacca in Sicilia occidentale, san Calogero, eremita.

Il termine Calogero, di origine greca, significa “bel vecchio”; nell’ideale greco della bellezza, ciò che è bello, è anche giusto e buono, basti pensare che nel Vangelo di Giovanni, l’originale greco definisce Gesù il “bel pastore”, che poi è stato tradotto in il “buon Pastore”.
L’uso di questo termine venne applicato in Oriente e nel Sud Italia ai monaci eremiti, che vennero chiamati così ‘calogeri’, pertanto alcuni studiosi pensano che il nome del santo eremita Calogero non fosse questo, ma bensì l’appellativo con cui veniva riconosciuto; altri studiosi comunque sono convinti che fosse proprio il suo nome.
Secondo la tradizione, giacché mancano documentazioni certe, Calogero nacque verso il 466 a Calcedonia sul Bosforo, una cittadina dell’antica Tracia, che nel 46 d.C. divenne provincia romana e che poi seguì le sorti dell’impero bizantino; fin da bambino digiunava, pregava e studiava la Sacra Scrittura e secondo gli ‘Atti’ presi dall’antico Breviario siculo-gallicano, in uso in Sicilia dal IX secolo fino al XVI, egli giunse a Roma in pellegrinaggio, ricevendo dal papa Felice III (483-492), il permesso di vivere in solitudine in un luogo imprecisato.
Qui egli ebbe una visione angelica o un’ispirazione celeste, che gli indicava di evangelizzare la Sicilia; tornato dal papa ottenne l’autorizzazione di recarsi nell’isola, con i compagni Filippo, Onofrio e Archileone, per liberare quel popolo dai demoni e dall’adorazione degli dei pagani.
Mentre Filippo si recò ad Agira e Onofrio e Archileone si diressero a Paternò, Calogero si fermò durante il viaggio a Lipari, nelle Isole Eolie, dove su invito degli abitanti si trattenne per qualche anno, predicando il Vangelo ed insegnando loro come ricevere i benefici per i loro malanni, utilizzando le acque termali e stufe vaporose; ancora oggi un’importante sorgente termale porta il suo nome, come pure le grotte dai vapori benefici.
Durante la sua permanenza nell’isola di Lipari, ebbe anche la visione della morte del re Teodorico († 526) che negli ultimi anni aveva preso a perseguitare quei latini che riteneva un pericolo per il suo regno, fra i quali furono vittime il filosofo Boezio (480-524) suo consigliere, il patrizio romano capo del Senato, Simmaco († 524) e il papa Giovanni I († 526).
Ciò è riportato nei ‘Dialoghi’ del papa s. Gregorio I Magno, la visione si era avverata nell’esatto giorno ed ora della morte del re, e Calogero vide la sua anima scaraventata nel cratere del vicino Vulcano.
In seguito ad altra visione, Calogero lasciò Lipari per sbarcare in Sicilia a Syac (Sciacca), chiamata dai romani ‘Thermae’ per i bagni termali, presso i quali sorgeva; convertì gli abitanti e poi decise di cacciare per sempre “le potenze infernali” che regnavano sul vicino monte Kronios, consacrato al dio greco Kronos, che per i romani era il dio Saturno.
Sul monte Giummariaro, altro nome derivante dagli arabi che lo chiamarono monte “delle Giummare”, dalle palme nane che crescevano sui suoi fianchi e che poi prese il nome di Monte San Calogero, come oggi è conosciuto insieme al nome Cronio, il santo eremita prese ad abitare in grotte e spelonche e intimò ai demoni di lasciare quei luoghi.
Gli ‘Atti’ dicono che il monte sussultò fra il fragore di urla e poi tutto si quietò in una pace di paradiso; Calogero si sistemò in una grotta adiacente a quelle vaporose, che come a Lipari, anche qui esistono abbondanti.
In detta grotta vi è murata sulla roccia, l’immagine in maiolica di s. Calogero, posta sopra un rustico altare, che si dice costruito da lui stesso; l’immagine è del 1545 e rappresenta l’eremita con la barba che tiene nella mano destra un libro e un ramo-bastone, ai suoi piedi vi è un fedele inginocchiato e una cerbiatta accasciata e ferita da una freccia.
L’immagine si rifà ad un episodio degli ultimi suoi giorni, essendo ormai ultranovantenne, egli non riusciva più a cibarsi, per cui Dio gli mandò una cerva, che con il suo delicato latte lo alimentava; un giorno un cacciatore di nome Siero, scorgendo l’animale, prese l’arco e trafisse con una freccia la cerva, la quale riuscì a trascinarsi all’interno della grotta di Calogero, morendo fra le sue braccia.
Il cacciatore pentito e piangente, riconobbe nel vegliardo colui che l’aveva battezzato anni prima, chiese perdono e Calogero lo portò nella vicina grotta vaporosa, dandogli istruzioni per le proprietà curative di quel vapore e delle acque che sgorgavano da quel monte. Il cacciatore Siero, divenuto suo discepolo, salì spesso sul monte a visitarlo, ma 40 giorni dopo l’uccisione della cerva, trovò il vecchio eremita morto, ancora in ginocchio davanti all’altare; secondo la tradizione era morto nella grotta fra il 17 e il 18 giugno 561 ed era vissuto in quel luogo per 35 anni.
Diffusasi la notizia accorsero gli abitanti delle cittadine vicine, che lo seppellirono nella grotta stessa, poi trasferito in altra caverna di cui si è persa la memoria lungo i secoli.
Nel IX secolo un monaco che si firmava Sergio Cronista, cioè abitante del monte Cronios o Kronios, compose in lingua greca alcuni inni in suo onore, in cui veniva citato che s. Calogero non era approdato a Sciacca come si riteneva, ma a Lilybeo, l’odierna Marsala, senza indicare dove fosse morto, ma sollecitando a visitare e onorare la grotta in cui il santo era vissuto, scacciando i demoni e operando tante guarigioni di ammalati.
Uno studioso contemporaneo Francesco Terrizzi, sostiene che s. Calogero, perduti i compagni martirizzati dai Vandali, si recò dapprima a Palermo passando poi per Salemi, Termini Imerese, Fragalà, Lipari, Lentini, Agrigento, Naro e infine Sciacca; si spiegherebbe così le tante tradizioni e le diverse grotte abitate e attribuite ad un unico e medesimo santo.
C’è da aggiungere che le reliquie del santo, secondo un’altra tradizione, erano state successivamente trasferite in un monastero a tre km dalla grotta, nel 1490 furono traslate a Fragalà (Messina) dal monaco basiliano Urbano da Naso e poi nell’800 a Frazzanò (Messina), nella chiesa parrocchiale; qualche sua reliquia è custodita anche nel santuario di San Calogero, sorto vicino alla sua grotta sull’omonimo monte di Sciacca nel XVII secolo e che è meta di pellegrinaggi.
Ad ogni modo s. Calogero è veneratissimo in tutta la Sicilia e in tutte le città sopra citate è onorato con suggestive processioni e celebrazioni, tipiche della religiosità intensa dei siciliani, quasi tutte si svolgono nel giorno della sua festa il 18 giugno.

Autore: Antonio Borrelli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12-Dec-2003

 

 

CALOGERUS
Also known as
Calogero; Calogerus the Anchoret
Memorial
18 June
Profile
Monk, receiving the habit in Rome. abbot. Driven into North Africa by Arian Vandals with Saint Demetrius and Saint Gregory. Settled and preached in Fragalata, Sicily. Missionary to the Lepari islands. Hermit for 35 years near Girgenti, Sicily.
Born
fifth century Greece
Died
c.486 at Fragalata, Sicily of natural causes
Name Meaning
venerable in old age - greek
Canonized
Pre-Congregation
Patronage
Aragona, Sicily; Fragalata, Sicily



919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