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사도 신경/신조 - 영어 가톨릭 대사전 설명 [교회역사] [사도신경_유래] [사도신조_유래] 1202_

인쇄

. [175.115.221.*]

2012-06-25 ㅣ No.1220


게시자 주: 이 글은, 평소의 저의 글들에서처럼, 이 글의 게시자인 필자 개인의 개인적 견해/의견/주장을 말씀드리는 글이 아니라, 가톨릭 보편 교회가 전통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내용들을 담고 있는 대단히 신뢰할 수 있는 영문 자료들을 찾아, 여전히 그 벽이 높은 문화 장벽 혹은 언어 장벽 때문에, 오로지 국내의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그리고 내용 전달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위하여, 필요시에는 게시자가 마련한 우리말로의 직역 번역문의 추가와 함께, 전달해 드리는 글입니다. 그리고 지금 말씀 드린 바는, 이 글 중에서 대단히 충실하게 제시되고 있는 출처/근거들을 확인하면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 글은, 이 글의 독자들께서,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신학적 특정 주제에 대하여, 자신 고유의 견해/의견/주장과 가톨릭 보편 교회의 가르침을 스스로 비교/검토하고 또 스스로 판단 할 수 있도록 제공해 드리는, 신뢰할 수 있는 자료성 글이지, 이 글의 독자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마련된 글이 결코 아닙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

게시자 주: 혹시라도 아래의 우리말 번역문을 읽고서 처음으로 인지하게 된 바를 자신의 글 중에서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사용/인용할 경우에는, 그러한 자신의 글의 본문의 각주로서 다음과 같은 이 글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밝혀주실 것을 요구합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20.htm
-----



+ 찬미 예수님

다음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사도 신경"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위의 대사전에 주어진 "사도 신경/신조"에 대한 설명이, 지금까지 사도 신경/신조의 유래에 대한 간략한 내용 요약만을 접해 온 국내의 대부분의 그리스도교 신자들 (개신교 신자들 포함) 모두에게 대단히 중요하고 또 유익하다는 생각에, 우리말 번역을 하여 제공해 드리고자 마련되었습니다.

번역자 주: 초벌 번역을 끝낸 상태에서 제공해 드리므로, 아래의 우리말 번역문들 중의 일부는 향후에 다듬어 질 수도 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1629a.htm  (영어 가톨릭 대사전)


Apostles' Creed

사도 신경/신조

A formula containing in brief statements, or "articles," the fundamental tenets of Christian belief, and having for its authors, according to tradition, the Twelve Apostles. 

간략한 문장(statements)들, 혹은 "절(節, articles, 조항)들"로, 그리스도교 믿음에 대한 근본 교의(敎義)(fundamental tenets)들을 포함하는, 그리고 전승에 따르면, 그 저자들로서 열두 사도들을 가지는, 한 개의 정식(a formula)를 말합니다.

-----
번역자 주:
(1) 위의 문장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사도 신경/신조"로 불리는 가톨릭 보편 교회의 신경/신조(creed, credo)에 대한 용어 정의(definition)이다.

(2) 또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신경/신조(creed)", "신경(symbol)", 그리고 가톨릭측의 "신앙 고백(profession of faith)", 개신교측의 "신앙 고백(confessionn of faith)"으로 불리는 용어들이 나타내는 개념들의 정의(definition)와 이들 사이의 차이점들에 대한 글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18.htm

(3) "절(節, article, 조항)"로 불리는 용어가 사용되는 이유에 대하여서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1항에 주어진 설명을 읽도록 하라.
-----

Origin of the creed

이 신경/신조의 유래

Throughout the Middle Ages it was generally believed that the Apostles, on the day of Pentecost, while still under the direct inspiration of the Holy Ghost, composed our present Creed between them, each of the Apostles contributing one of the twelve articles. This legend dates back to the sixth century (see Pseudo-Augustine in Migne, P.L., XXXIX, 2189, and Pirminius, ibid., LXXXIX, 1034), and it is foreshadowed still earlier in a sermon attributed to St. Ambrose (Migne, P.L., XVII, 671; Kattenbusch, I, 81), which takes notice that the Creed was "pieced together by twelve separate workmen". About the same date (c. 400) Rufinus (Migne, P.L., XXI, 337) gives a detailed account of the composition of the Creed, which account he professes to have received from earlier ages (tradunt majores nostri). Although he does not explicitly assign each article to the authorship of a separate Apostle, he states that it was the joint work of all, and implies that the deliberation took place on the day of Pentecost. Moreover, he declares that "they for many just reasons decided that this rule of faith should be called the Symbol", which Greek word he explains to mean both indicium, i.e. a token or password by which Christians might recognize each other, and collatio, that is to say an offering made up of separate contributions. A few years before this (c. 390), the letter addressed to Pope Siricius by the Council of Milan (Migne, P.L., XVI, 1213) supplies the earliest known instance of the combination Symbolum Apostolorum ("Creed of the Apostles") in these striking words: "If you credit not the teachings of the priests . . . let credit at least be given to the Symbol of the Apostles which the Roman Church always preserves and maintains inviolate." The word Symbolum in this sense, standing alone, meets us first about the middle of the third century in the correspondence of St. Cyprian and St. Firmilia, the latter in particular speaking of the Creed as the "Symbol of the Trinity", and recognizing it as an integral part of the rite of baptism (Migne, P.L., III, 1165, 1143). It should be added, moreover, that Kattenbusch (II, p. 80, note) believes that the same use of the words can be traced as far back as Tertullian. Still, in the first two centuries after Christ, though we often find mention of the Creed under other designations (e.g. regula fidei, doctrina, traditio), the name symbolum does not occur. Rufinus was therefore wrong when he declared that the Apostles themselves had "for many just reasons" selected this very term. This fact, joined with the intrinsic improbability of the story, and the surprising silence of the New Testament and of the Ante-Nicene Fathers, leaves us no choice but to regard the circumstantial narrative of Rufinus as unhistorical.
 
중세(中世) 전반에 걸쳐, 성령강림일(the day of Pentecost)에, 사도들이, 여전히 성령의 직접적인 영감 하에, 그들 사이에서, 우리의 현재의 신경/신조를, 사도들 각각이 이 열두 개의 절들 중의 한 개를, 작성하였다고 일반적으로 믿어졌습니다. 이러한 전승[legend, 구전(口傳)]은 6세기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며(see Pseudo-Augustine in Migne, P.L., XXXIX, 2189, and Pirminius, ibid., LXXXIX, 1034), 그리고 이 전승[구전(口傳)]은 성 암브로시오(St. Ambrose, 337/340-397년)의 것으로 생각되는 강론에서 여전히 더 이른 시기에 미리 암시되고 있는데(Migne, P.L., XVII, 671; Kattenbusch, I, 81), 이 강론은 이 신경/신조가 "열두 명의 개별적인 작업자들에 의하여 짜맞추어졌음"에 주목합니다. 동일한 연대(400년경)쯤에 루피노(Rufinus, 340/350-410년)(Migne, P.L., XXI, 337)는 이 신경/신조의 구성(composition)에 대한 상세한 이야기를 제공하는데, 그는 이 이야기를 더 이른 시기로부터 이미 받았다(tradunt majores nostri)고 공언합니다(professes). 비록 그가 각 절을 개별 사도의 저작(authorship)으로 분명하게 할당하지는 않으나, 그는 이 신경/신조가 [열두 사도들] 모두의 공동 작업이었다고 분명히 말하며, 그리고 성령강림일(the day of Pentecost)에 심의가 있었음을 암시합니다.(*) 게다가, 그는 "그들이 수많은 올바른 이유들 때문에 이러한 신앙의 규정이 신경(Symbol, 信經)으로 불려야만 한다고 결정하였습니다" 라고 단언하면서(declares), 그는 [신경(symbol)에 대응하는] 그리스어 단어가 indicium, 즉 그것에 의하여 그리스도 사람들이 서로를 알아볼 수도 있을 한 개의 증표(證票)/정표(情表) 혹은 암호말(a token or password)(**), 그리고 collatio, 달리 말하여, 개별의 공헌들로 구성된 한 개의 봉헌(an offering), 둘 다를 뜻한다고 설명합니다. 이것보다 몇 년 전(390년경)에, 밀라노 공의회(the Council of Milan)에 의하여 교황 시리치오(Ciricus)에게 보내진 서신 (Migne, P.L., XVI, 1213)은 다음과 같은 두드러지는 표현으로의 사도 신경 결합[the combination Symbolum Apostolorum ("Creed of the Apostles")]에 대한 가장 초기의 알려진 사례(instance)입니다: "만약에 당신이 사제들의 가르침을 신뢰할 수 없다면 ... 적어도 로마 교회가 항상 보존하고 그리고 침범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사도 신경(the Symbol of the Apostles)에 신뢰가 주어지도록 하십시오." 홀로 독립적인, 이러한 의미에 있는 신경(Symbol)이라는 단어는 성 시피리아노(St. Cyprian)과 성 피르미리아(St. Firmilia)의 서신 왕래에서, 후자가 특별히 "성삼위에 대한 신경(Symbol of the Trinity)"으로서 이 신경/신조에 대하여 말하며, 그리고 세례 예식의 없어서는 안 될 부분으로서 이것을 인식하는, 3세기 중반경에 우리를 처음 만납니다(Migne, P.L., III, 1165, 1143). 더구나, Kattenbusch (II, p. 80, note)는 이 단어들의 동일한 사용이 테르툴리아노(Tertullian, 160년경 - 225년경)에 이르기까지 뒤로 멀리 추적될 수 있음을 믿었음이 덧붙여 말해져야만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 이후 두 세기들에 있어, 비록 우리가 (예를 들어, regula fidei, doctrina, traditio 등의) 다른 명칭들 하에서 이 신경/신조에 대한 언급을 가끔 발견하기는 하나, 신경(symbol)이라는 이름은 발견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루피노(Rufinus)는, 그가 사도들 자신들이 "수많은 올바른 이유들 때문에" 바로 이 용어를 이미 선택하였다고 언명하였을 때에, 틀렸습니다. 바로 이 사실은, 이 이야기의 내재하는 있음직 하지 않음과 신약 성경 및 니케아 이전(Ante-Nicene) 교부들의 놀라운 침묵과 결합되어, 우리로 하여금 루피노(Rufinus)의 정황적(情況的) 이야기를 역사적이지 않다(unhistorical)고 생각하는 오로지 한 가지 선택을 하지 않을 수 없도록 합니다.

-----
(*) 번역자 주: 루피노(Rufinus)는 자신의 저술인 "사도 신경에 대한 주석"의 제2항에서, 이 글에서처럼, "성령강림일 당일"이 아니라, 열두 사도들이, 주님의 명령에 의하여 각자가 여러 나라로 주님의 가르침을 전하기 위하여 "헤어지기 직전"에 심의가 있었다는 전승(tradition)을 전달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심의가 있게 된 동기/사정 그리고 사도들에 의하여 결정된 바 등에 대한 더 자세한 전달 내용은,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의 제2항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22.htm  

(**) 번역자 주:
(1)그리스어 symbolon이 그 어원인 라틴어 "symbolum"의 의미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어떤 물건의 깨뜨리거나 쪼개진 반쪽. 따라서, "사도 신경"은 "나머지 반쪽을 가지고 계시는 하느님과의 완전한 일치를 이루기 위하여 우리가 믿고 받아들여 간직하면서 입으로 고백하여야 하는 반쪽"일 것이다.

(2) 다음은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symbol 단어의 어원에 대한 설명이다:

symbol

Etymology: in sense 1, from Late Latin symbolum baptismal creed, from Late Greek symbolon, literally, token, sign, from Greek; in other senses, from Latin symbolus, symbolum token, sign, from Greek symbolon token of identity (verified by comparing its other half) [(그것의 다른 반쪽과 비교함으로써 확인되어지는) 신원 확인을 위한 증표(證票)/정표(情表)], sign, symbol, from symballein to throw together, compare, contribute, from syn- + ballein to throw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mw/u_d.htm

(3) 따라서, 비록 "symbol"을, 통상적으로 "creed(신경/신조)"의 동의어로서, "신경(symbol)"로 번역하고 있기는 하나, 그러나 실제로 "symbol" 이라는 단어의 어원의 의미가 "(그것의 다른 반쪽과 비교함으로써 확인되어지는) 신원 확인을 위한 증표(證票)/정표(情表)" 임에 꼭 유념하여야 할 것이다.

(4) 다른 한편으로, 다음은 중국의 天主? 英漢袖珍辭典 에 주어진 설명들이다. 비록 이들 용어들의 어원에 대한 아무런 설명 없이, "Creed" 와 "Symbol"을 동일한 "신경(信經)"으로 번역을 하고 있으면서도, 또한 "Creed"를 "신조(信條)"로 번역하고 있음에 주목하라:
 
출처 1: http://www.peterpoon.idv.hk/Resource/Dictionary/C.htm
출처 2: http://www.peterpoon.idv.hk/Resource/Dictionary/S.htm

Credo L. ): (1) 信經。 (2) 信仰。拉丁原文 Credo ?「我信」,後面接下來是各端信條。參閱 Apostles' Creed 宗徒信經及 Athanasian Creed 達修信經。

Creed (1) 信經 (2) 信仰;信條:是主要信理的撮要。參閱 Apostles' Creed

symbol (1) 信經 (2) 象徵;表記;標記;符號:? symbols ,如十字架是基督?的象徵,魚是基督徒的象徵。同 symbolon 。拉丁文? symbolum

symbolon (Gr.) :信經;象徵。同 symbol
-----

Among recent critics, some have assigned to the Creed an origin much later than the Apostolic Age. Harnack, e.g., asserts that in its present form it represents only the baptismal confession of the Church of Southern Gaul, dating at earliest from the second half of the fifth century (Das apostolische Glaubensbekenntniss, 1892, p. 3). Strictly construed, the terms of this statement are accurate enough; though it seems probable that it was not in Gaul, but in Rome, that the Creed really assumed its final shape (see Burn in the "Journal of Theol. Studies", July, 1902). But the stress laid by Harnack on the lateness of our received text (T) is, to say the least, somewhat misleading. It is certain, as Harnack allows, that another and older form of the Creed (R) had come into existence, in Rome itself, before the middle of the second century. Moreover, as we shall see, the differences between R and T are not very important and it is also probable that R, if not itself drawn up by the Apostles, is at least based upon an outline which dates back to the Apostolic age. Thus, taking the document as a whole, we may say confidently, in the words of a modern Protestant authority, that "in and with our Creed we confess that which since the days of the Apostles has been the faith of united Christendom" (Zahn, Apostles' Creed, tr., p, 222). The question of the apostolicity of the Creed ought not to be dismissed without due attention being paid to the following five considerations:

최근의 비판자들 중에서, 어떤 이들은 이 신경/신조에 사도들의 시대보다 훨씬 더 이후의 기원을 이미 할당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Harnack은 그것의 현재의 형태로 이 신경/신조는, 빨라도 5세기 후반부까지 연대가 매겨지는, 서쪽 가울(Southern Gaul) 지역 교회의 세례 고백문을 오로지 나타낸다고 주장합니다(Das apostolische Glaubensbekenntniss, 1892, p. 3). 엄밀하게 해석하여, 비록 이 신경/신조가 그 최종 모습을 취하였던 것이, 가울 지역에서가 아니라, 로마 지역에서였음이 거의 확실한(probable) 것으로 보임에도 불구하고(see Burn in the "Journal of Theol. Studies", July, 1902), 바로 이 문장의 어구(terms)들은 충분히 정확합니다. 그러나 우리에 의하여 받아들여진 본문(T)의 늦음(lateness)에 대하여 Harnack에 의하여 고안되었던 강조(stress)는 다소 그릇된 인상을 줍니다(misleading). Harnack가 인정하듯이, 이 신경/신조(R)의 또다른 그리고 더 오래된 형식이, 2세기 중반 이전에, 로마 지역 자체에, 이미 존재해 왔던 것은 확실합니다. 더구나, 우리가 장차 볼 것이지만, R T 사이의 차이점들은 그리 중요하지 않으며 그리하여 R 은, 설사 그 자체가 사도들에 의하여 작성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사도들의 시대까지 소급되는 어떤 줄거리(an outline)에 근거되어 있음은 또한 거의 확실합니다. 따라서, 이 문헌을 전체적으로 받아들여, 우리는, 현대의 프로테스탄트 권위자의 말들로, 다음과 같이 자신있게 말할 수도 있습니다(may): "우리의 신경/신조로 그리고 우리의 신경/신조로써 우리는 바로 이 신경/신조가 사도들의 날들 이후부터 결합된 전체 그리스도교 사람들의 믿음이 되어오고 있음을 고백합니다" (Zahn, Apostles' Creed, tr., p, 222). 이 신경/신조의 사도성(apostolicity, 즉 사도들로부터 이어옴)에 대한 의문(question)은, 다음의 다섯 개의 고찰들에 기울이게 되는 마땅히 주어져야 할 주의(due attention) 없이, 더 이상의 고찰을 그만두게 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1) There are very suggestive traces in the New Testament of the recognition of a certain "form of doctrine" (typos didaches, Romans 6:17) which moulded, as it were, the faith of new converts to Christ's law, and which involved not only the word of faith believed in the heart, but "with the mouth confession made unto salvation" (Romans 10:8-10). In close connection with this we must recall the profession of faith in Jesus Christ exacted of the eunuch (Acts 8:37) as a preliminary to baptism (Augustine, "De Fide et Operibus", cap. ix; Migne, P.L., LVII, 205) and the formula of baptism itself in the name of the Three Persons of the Blessed Trinity (Matthew 28:19; and cf. the Didache 7:2, and 9:5). Moreover, as soon as we begin to obtain any sort of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eremonial of baptism we find that, as a preliminary to the actual immersion, a profession of faith was exacted of the convert, which exhibits from the earliest times a clearly divided and separate confession of Father, Son, and Holy Ghost, corresponding to the Divine Persons invoked in the formula of baptism. As we do not find in any earlier document the full form of the profession of faith, we cannot be sure that it is identical with our Creed, but, on the other hand, it is certain that nothing has yet been discovered which is inconsistent with such a supposition. See, for example, the "Canons of Hippolytus" (c. 220) or the "Didascalia" (c. 250) in Hahn's "Bibliothek der Symbole" (8, 14, 35); together with the slighter allusions in Justin Martyr and Cyprian.

(1) 말하자면, 그리스도의 율법으로의 새로운 개종자들의 믿음을 형성하였던(moulded), 그리고 심장(heart, 본심)으로 믿었던 신앙(the faith)의 표현뿐만이 아니라, 또한 "구원으로까지 달성되는 입으로의 고백과 함께 하는" (로마 10,8-10) 한 개의 특정한 "교리적 규범(form of doctrine)"(typos didaches, 로마 6,17)에 대한 인식을 대단히 암시하는 흔적들이 신약 성경에 있습니다. 이것과의 가까운 관련 안에서 우리는, 세례를 향하는 한 개의 사전 준비로서, 내시에 대하여 요구되었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 고백(사도행전 8,37)(*)(Augustine, "De Fide et Operibus", cap. ix; Migne, P.L., LVII, 205) 그리고 복되신 성삼위의 세 위격들의 이름으로서의 세례 그 자체의 정식(formula)을 상기하여야만 합니다(Matthew 28:19; and cf. the Didache 7:2, and 9:5). 더구나, 어느 종류의 세례 예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획득하기 시작하자마자 우리는, 실제적 물에 담금(actual immersion)을 향하는 한 개의 사전 준비로서, 한 개의 신앙 고백이 개종자에 대하여 요구되어졌음을 발견하는데, 이것은 가장 초기의 시기부터, 세례 정식 안에서 불러내어지는 하느님의 위격들에 대응하는, 성부, 성자, 그리고 성령에 대한 분명하게 분리된 그리고 구분되는 고백을 나타냅니다. 우리가 신앙 고백의 충만한 형식을 어느, 더 이른 시기의, 문헌에서 발견하지 못하기에, 우리는 이것이 우리의 신경/신조와 동일한 것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으나,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그러한 추정(supposition)과 불일치를 이루는 어떠한 것도 여태 발견되지 않고 있음은 확실합니다. 예를 들어, 순교자 유스티노(Justin Martyr)치프리아노(Cyprian)에 있는 더 적은 암시와 함께, Hahn 의 "Bibliothek der Symbole" (8, 14, 35)에 있는 "Canons of Hippolytus" (c. 220) 혹은 "Didascalia" (c. 250) 를 보십시오.

-----
(*) 번역자 주:
(i) 다음은 "성경" 본문에서 삭제된 사도행전 8,37 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 전문이다:

(발췌 시작)
특히 2세기 이후의 서방 본문들에는('신약 성경 입문 3 참조) "'마음을 다하여 믿으시면 받을 수 있습니다' 하고 필리포스가 대답하자, '나는 예수님께서 하느님의 아드님이심을 믿습니다' 하고 그가 말하였다." 라는 37절이 있다. 이는 틀림없이 아주 오래된 세례 전례문을 반영하는 문구일 것이다 (9,20 각주 참조).
(이상, 발췌 끝).

(ii) 사도행전의 가장 오래된 그리고 최상의 사본들이 이 절, 즉 사도행전 8,37을 생략하고 있다는 설명이, 다음의 주소에 있는, NAB의 사도행전 8,37의 주석에 주어져 있다:
http://old.usccb.org/nab/bible/acts/acts8.htm
-----

(2) Whatever difficulties may be raised regarding the existence of the Disciplina Arcani in early times (Kattenbusch, II, 97 sqq.), there can be no question that in Cyril of Jerusalem, Hilary, Augustine, Leo, the Gelasian Sacramentary, and many other sources of the fourth and fifth centuries the idea is greatly insisted upon; that according to ancient tradition the Creed was to be learned by heart, and never to be consigned to writing. This undoubtedly provides a plausible explanation of the fact that in the case of no primitive creed is the text preserved to us complete or in a continuous form. What we know of these formulae in their earliest state is derived from what we can piece together from the quotations, more or less scattered, which are found in such writers, for example, as Irenaeus and Tertullian.

(2) 초기의 시대에 Disciplina Arcani 의 존재와 관련하여 어떠한 어려움들이 제기되든지간에(Kattenbusch, II, 97 sqq.), 예루살렘의 치릴로(Cyril of Jerusalem, 315?-387년), 힐라리오(Hilary, 310/320?-367/368?년), 아우구스티노(Augustine, 354-430년), 레오(Leo, 레오 1세 대 교황, 재위기간: 440-461년), 젤라시오 전례서(the Gelasian Sacramentary), 그리고 4세기와 5세기의 다수의 다른 출처들에 있어 이 생각이 커다랗게 주장되고 있음, 그리고 오래된 전승에 따라 이 신경/신조는 암송하여(by heart) 배워야 하는 것이었지, 쓰기(writing)에 결코 맡겨지지 않았음에는 아무런 의문이 있을 수가 없습니다. 이것은 어느 초기 신경/신조의 경우에 있어서도 완전하거나 혹은 연속의 형식으로 우리에게 그 본문이 보존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에 대한 한 개의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설명을 틀림없이 제공합니다. 이들 정식들에 대하여, 그들의 가장 초기의 상태에 있어, 우리가 아는 바는, 예를 들어, 이레네오(Irenaeus, 130/140?-202년경) 및 테르툴리아노(Tertullian, 160년경-225년경)와 같은 저술가들에서 발견되는,
다소 흩어져있는, 인용문들로부터 우리가 함께 결합할 수 있는 바로부터 도출됩니다.

(3) Though no uniform type of Creed can be surely recognized among the
earlier Eastern writers before the Council of Nicaea, an argument which has been considered by many to disprove the existence of any Apostolic formula, it is a striking fact that the Eastern Churches in the fourth century are found in possession of a Creed which reproduces with variations the old Roman type. This fact is full admitted by such Protestant authorities as Harnack (in Hauck's Realencyclopädie, I, 747) and Kattenbusch (I, 380 sq.; II, 194 sqq., and 737 sq.). It is obvious that these data would harmonize very well with the theory that a primitive Creed had been delivered to the Christian community of Rome, either by Sts. Peter and Paul themselves or by their immediate successors, and in the course of time had spread throughout the world.

(3) 비록, 많은 이들에 의하여 어떤,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정식(any Apostolic formula)의 존재를 논박하기 위하여 이미 고찰되었던 주장인, 신경/신조라는 동일 표준의 전형(type)이 니케아 공의회(the Council of Nicaea) 이전에 더 이른 시기의 동방 저술가들 중에서 확실하게 인지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4세기에 동방 교회들이, 변형들과 함께, 오래된 로마 전형(the old Roman type)을 재산출하는, 한 개의 신경/신조(a Creed)를 소유하였음이 발견되는 것은 한 개의 주목할 만한 사실(a striking fact)입니다. 바로 이러한 사실은 Harnack (in Hauck's Realencyclopädie, I, 747) 및 Kattenbusch (I, 380 sq.; II, 194 sqq., and 737 sq.)와 같은 프로테스탄트 권위자들에 의하여 충분히 인정됩니다.
이러한 자료들이 한 개의 초기 신경/신조(a primitive Creed) 로마 지역의 그리스도교 공동체에,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Sts. Peter and Paul) 혹은 그들의 직계 후계자(immediate successors)들 둘 중의 하나에 의하여, 이미 전달되었으며, 그리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이 세상 전체에 걸쳐 이미 퍼졌다는 이론(theory)과 매우 잘 조화를 이룰 것입니다.

(4) Furthermore note that towards the end of the second century we can extract from the writings of St. Irenæus in southern Gaul and of Tertullian in far-off Africa two almost complete Creeds agreeing closely both with the old Roman Creed (R), as we know it from Rufinus, and with one another. It will be useful to translate from Burn (Introduction to the Creeds, pp. 50, 51) his tabular presentation of the evidence in the case of Tertullian. (Cf. MacDonald in "Ecclesiastical Review", February, 1903):

(4) 더군다나 2세기의 끝 무렵에 남쪽 가울(southern Gaul) 지역에 있었던 성 이레네오(St. Irenaeus)와 멀리 떨어진 아프리카(Africa) 지역에 있었던 테르툴리아노(Tertullian)의 저술들로부터 두 개의 거의 완전한 신경/신조들을 우리가 발췌할(extract) 수 있는데, 이들은, 우리가 루피노(Rufinus)로부터 그것을 알고 있는 오래된 로마 신경/신조 (R) 과, 그리고 서로 서로와, 둘 다에 있어 밀접하게 부합함(closely agreeing)에 주목하십시오. Burn (Introduction to the Creeds, pp. 50, 51)으로부터 테르툴리아노의 경우에 있어 이 증거에 대한, 그에 의하여, 표로 만들어진 제시를 다음과 같이 번역하는 것은 유익할 것입니다 (Cf. MacDonald in "Ecclesiastical Review", February, 1903):

THE OLD ROMAN CREED AS QUOTED BY TERTULLIAN (c. 200)

테르툴리아노에 의하여 인용되는 오래된 로마 신경/신조 (200년경)


De Virg. Vel., 1 Against Praxeas 2 De Praecept., 13 and 26
(1) Believing in one God Almighty, maker of the world, (1) We believe one only God, (1) I believe in one God, maker of the world,
(2) and His Son, Jesus Christ, (2) and the son of God Jesus Christ, (2) the Word, called His Son, Jesus Christ,
(3) born of the Virgin Mary, (3) born of the Virgin, (3) by the Spirit and power of God the Father made flesh in Mary's womb, and born of her
(4) crucified under Pontius Pilate, (4) Him suffered died, and buried, (4) fastened to a cross.
(5) on the third day brought to life from the dead, (5) brought back to life, (5) He rose the third day,
(6) received in heaven, (6) taken again into heaven, (6) was caught up into heaven,
(7) sitting now at the right hand of the Father, (7) sits at the right hand of the Father, (7) set at the right hand of the Father,
(8) will come to judge the living and the dead (8) will come to judge the living and the dead (8) will come with glory to take the good into life eternal, and condemn the wicked to perpetual fire,
  (9) who has sent from the Father the Holy Ghost. (9) sent the vicarious power of His Holy Spirit,
    (10) to govern believers (In this passage articles 9 and 10 precede 8)
(12) through resurrection of the flesh.   (12) restoration of the flesh.

 


Such a table serves admirably to show how incomplete is the evidence provided by mere quotations of the Creed, and how cautiously it must be dealt with. Had we possessed only the "De Virginibus Velandis", we might have said that the article concerning the Holy Ghost did not form part of Tertullian's Creed. Had the "De Virginibus Velandis" been destroyed, we should have declared that Tertullian knew nothing of the clause "suffered under Pontius Pilate". And so forth.

이러한 표(table)는 이 신경/신조의 단순한 인용들에 의하여 제공되는 증거가 얼마나 불완전한지를, 그리고 이 신경/신조가 얼마나 조심스럽게 다루어져야만 하는지를 훌륭하게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에 우리가 "De Virginibus Velandis" [즉, 위의 표에서 첫 번째 열] 만을 소유하였더라면, 성령(the Holy Ghost)에 관련한 절(조항, article)이 테르툴리아노의 신경/신조(Tertullian's Creed)의 일부분을 구성하지 않았다고 우리는 말하였을 것입니다. 만약에 "De Virginibus Velandis" 이 훼손되었더라면, 테르툴리아노가 "본시오 빌라도 통치 아래서 고난을 받으시고" 라는 절(clause)에 대하여 전혀 알지 못하였다고 우리가 단언하여야만 하였을 것입니다. 그 밖의 여러 가지.

 

(5) It must not be forgotten that while no explicit statement of the composition of a formula of faith by the Apostles is forthcoming before the close of the fourth century, earlier Fathers such as Tertullian and St. Irenæus insist in a very emphatic way that the "rule of faith" is part of the apostolic tradition. Tertullian in particular in his "De Praescriptione", after showing that by this rule (regula doctrinoe) he understands something practically identical with our Creed, insists that the rule was instituted by Christ and delivered to us (tradita) as from Christ by the Apostles (Migne. P.L., II, 26, 27, 33, 50). As a conclusion from this evidence the present writer, agreeing on the whole with such authorities as Semeria and Batiffol that we cannot safely affirm the Apostolic composition of the Creed, considers at the same time that to deny the possibility of such origin is to go further than our data at present warrant. A more pronouncedly conservative view is urged by MacDonald in the "Ecclesiastical Review", January to July, 1903.

(5) 사도들에 의한 신앙의 정식(a formula of faith)의 작성에 대한 어떠한 명백한 문장도 4세기의 끝 이전에 출현하지 못한다고 할지라도, 테르툴리아노 성 이레네오와 같은 더 이른 시기의 교부들은 매우 어조가 강한 방식으로 "신앙의 규범(rule of faith)"사도로부터 이어오는 전승(the apostolic tradition)의 한 부분이라고 주장합니다. 테르툴리아노는 특히 자신의 "De Praescriptione" 에서, 바로 이 규범(regula doctrinoe, 교리적 규범)에 의하여 그가 우리의 신경/신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어떤 것을 이해한다고 보여준 이후에, 이 규칙이 그리스도에 의하여 제정되었으며 그리고 그리스도로부터이듯이 사도들에 의하여 우리에게 전달되었다고 (tradita) 주장합니다 (Migne. P.L., II, 26, 27, 33, 50). 이러한 증거로부터의 결론으로서, 현재의 필자는, 전반적으로  Semeria 및 Batiffol과 같은 권위자들과 함께 우리가 이 신경/신조의 사도적 구성을 안전하게 확언할 수 없음에 동의하면서, 이와 동시에 그러한 유래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은 현재에 우리의 자료들이 보증하는 것보다 더 멀리 나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더 강하게 두드러지게 보수적인 견해는, 1903년, 1월부터 6월까지, "Ecclesiastical Review" 에서 MacDonald 에 의하여 재촉되고 있습니다.

 

The old Roman creed

오래된 로마 신경/신조

The Catechism of the Council of Trent apparently assumes the Apostolic origin of our existing Creed, but such a pronouncement has no dogmatic force and leaves opinion free. Modern apologists, in defending the claim to apostolicity, extend it only to the old Roman form (R), and are somewhat hampered by the objection that if R had been really held to be the inspired utterance of the Apostles, it would not have been modified at pleasure by various local churches (Rufinus, for example, testifies to such expansion in the case of the Church of Aquileia), and in particular would never have been entirely supplanted by T, our existing fo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ill best be seen by printing them side by side (Creeds R and T):

트리엔트 공의회(the Council of Trent)의 교리서 (즉, 로마 교리서)는 언뜻 보기에 우리의 현존하는 신경/신조에 대한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유래를 받아들이는 것 같으나, 그러나 그러한 선언은 어떤 교의적 힘(dogmatic force)을 가지지 못하며 그리하여 선택을 자유에 맡겨둡니다. 현대의 호교론자들은, 사도로부터 이어옴(apostolicity)에 대한 주장을 옹호함에 있어, 이 신경/신조를 오래된 로마 형식 (R) 에 까지만 오로지 확장하며, 그리하여, 만약에 R 이 실제로 사도들의 영감을 받은 유포(流布, utterance)이었더라면, 다양한 지역 교회들에 의하여 임의로 수정되어지지 않았을 것이며 [예를 들어, 루피노(Rufinus)는,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아퀼레이아 교회(Church of Aquileia)의 경우에 있어 그러한 상세한 설명(expansion)에 대하여 입증합니다], 그리하여 특히, 우리의 현존하는 형식인, T 에 의하여 결코 전체적으로 대체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반대에 의하여 다소 방해를 받습니다. 이들 두 신경/신조들 사이의 차이점은 그들(신경/신조들 R 과 T)을 다음과 같이 나란히 인쇄함으로써 가장 잘 보여질 것입니다:

R. T.
(1) I believe in God the Father Almighty; (1) I believe in God the Father Almighty Creator of Heaven and earth
(2) And in Jesus Christ, His only Son, our Lord; (2) And in Jesus Christ, His only Son, our Lord;
(3) Who was born of (de) the Holy Ghost and of (ex) the Virgin Mary; (3) Who was conceived by the Holy Ghost, born of the Virgin Mary,
(4) Crucified under Pontius Pilate and buried; (4) Suffered under Pontius Pilate, was crucified, dead, and buried;
(5) The third day He rose again from the dead, (5) He descended into hell; the third day He rose again from the dead;
(6) He ascended into Heaven, (6) He ascended into Heaven, sitteth at the right hand of God the Father Almighty;
(7) Sitteth at the right hand of the Father, (7) From thence He shall come to judge the living and the dead.
(8) Whence He shall come to judge the living and the dead. (8) I believe in the Holy Ghost,
(9) And in the Holy Ghost, (9) The Holy Catholic Church, the communion of saints
(10) The Holy Church, (10) The forgiveness of sins,
(11) The forgiveness of sins; (11)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and
(12)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12) life everlasting.

Neglecting minor points of difference, which indeed for their adequate discussion would require a study of the Latin text, we may note that R does not contain the clauses "Creator of heaven and earth", "descended into hell", "the communion of saints", "life everlasting", nor the words "conceived", "suffered", "died", and "Catholic". Many of these additions, but not quite all, were probably known to St. Jerome in Palestine (c. 380.--See Morin in Revue Benedictine, January, 1904) and about the same date to the Dalmatian, Niceta (Burn, Niceta of Remesiana, 1905). Further additions appear in the creeds of southern Gaul at the beginning of the next century, but T probably assumed its final shape in Rome itself some time before A.D. 700 (Burn, Introduction, 239; and Journal of Theol. Studies, July, 1902). We know nothing certain as to the reasons which led to the adoption of T in preference to R.

차이에 있어서의 중요하지 않은, 그들에 대한 적절한 논의는 라틴어 본문에 대한 학습을 요구할, 점들을 무시하면서, 우리는 R 이 "천지의 창조주(Creator of heaven and earth)", "저승에 가시어(descended into)", "성인들의 통공(the communion of saints)", "영원한 삶(life everlasting)" 이라는 절들을 포함하지 않음을, 그리고 또한 "잉태되어(conceived)", "고난을 받으시고(suffered)", "돌아가시고(died)", 그리고 "보편된(Catholic)" 이라는 단어들을 포함하지 않음을 주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추가들 중의, 전부는 아니지만, 다수는 팔레스티나에 있었던 성 예로니모(St. Jerome) (380년경.--Morin in Revue Benedictine, January, 1904 를 보라)에게 그리고 동일한 시기쯤에 달마티아 사람들(the Dalmatian)에게 (Burn, Niceta of Remesiana, 1905) 아마도 알려져 있었을 것입니다. 더 이상의 추가들은 그 다음 세기의 초기에 남쪽 가울 지역의 신경/신조들에서 나타나나, 그러나 T 는 기원후 700년 이전 어떤 시기에 로마 지역 그 자체에서 그 최종 모습을 아마도 취할 것입니다 (Burn, Introduction, 239; and Journal of Theol. Studies, July, 1902). R 에 우선하여 T 의 채택으로 이르게 하였던 이유들에 관하여 확실하다고 생각하는 어떠한 것도 우리는 알지 못합니다..

Articles of the creed

이 신경/신조의 조항들


Although T really contains more than twelve articles, it has always been customary to maintain the twelvefold division which originated with, and more strictly applies to, R. A few of the more debated items call for some brief comment. The first article of R presents a difficulty. From the language of Tertullian it is contended that R originally omitted the word Father and added the word one; thus, "I believe in one God Almighty". Hence Zahn infers an underlying Greek original still partly surviving in the Nicene Creed, and holds that the first article of the Creed suffered modification to counteract the teachings of the Monarchian heresy. It must suffice to say here that although the original language of R may possibly be Greek, Zahn's premises regarding the wording of the first article are not accepted by such authorities as Kattenbusch and Harnack.

비록 T 가 열두 개의 조항들보다 더 많이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R 에서 비롯되었던, 그리고 R 에 더 엄밀하게 적용되는 열두 겹의 구분을 유지하는 것은 항상 관습적이 되어 왔습니다. 더 많이 숙고되었던 항들 중의 몇 개들은 얼마간의 간략한 주석을 요구합니다. R 의 첫 번째 조항은 어떤 어려움을 제시합니다. 테르툴리아노의 언어로부터 R 은 원래(originally) 성부(Father)라는 단어를 포함하지 않았으며(omitted) 그리고 한 분(one)이라는 단어를 덧붙여 말하였는데(added), 그리하여 "저는 믿습니다 전능하신 하느님 한 분쪽으로(I believe in one God Almighty)" 이었다고 주장됩니다.(**) 따라서 Zahn은 니케아 신경/신조에 여전히 부분적으로 잔존하고 있는 잠재적인(underlying) 그리스어 원천을 추론하며, 그리하여 이 신경/신조의 첫 번째 조항이 [2세기와 3세기의] 단일신 이단(Monarchian heresy)의 가르침들을 좌절시키기 위하여 수정을 겪었다고 생각합니다(holds). 비록 R 의 원 언어가 그리스어일 가능성도 있을 것이나, 첫 번째 조항의 표현(wording)과 관련한 Zahn의 전제(premises)들은 Kattenbusch 및 Harnack과 같은 권위자들에 의하여 받아들여지지 않음을 여기서 말하는 것은 틀림없이 충분합니다.

-----
(**) 번역자 주: 위에 또한 제시되어 있는 테르툴리노에 의하여 인용되는 "오래된 로마 신경/신조"의 첫 조항을 참고하라.
-----

Another textual difficulty turns upon the inclusion of the word only in the second article; but a more serious question is raised by Harnack's refusal to recognize, either in the first or second article of R, any acknowledgment of a pre-existent or eternal relation of Sonship and Fatherhood of the Divine Persons. The Trinitarian theology of later ages, he declares, has read into the text a meaning which it did not possess for its framers. And he says, again, with regard to the ninth article, that the writer of the Creed did not conceive the Holy Ghost as a Person, but as a power and gift. "No proof can be shown that about the middle of the second century the Holy Ghost was believed in as a Person." It is impossible to do more here than direct the reader to such Catholic answers as those of Baumer and Blume; and among Anglicans to the very convenient volume of Swete. To quote but one illustration of early patristic teaching, St. Ignatius at the end of the first century repeatedly refers to a Sonship which lies beyond the limits of time: "Jesus Christ . . . came forth from one Father", "was with the Father before the world was" (Letter to the Magnesians 6-7). While, with regard to the Holy Ghost, St. Clement of Rome at a still earlier date writes: "As God lives, and the Lord Jesus Christ lives, and the Holy Spirit, the faith and hope of the elect" (cap. lviii). This and other like passages clearly indicate the consciousness of a distinction between God and the Spirit of God analogous to that recognized to exist between God and the Logos. A similar appeal to early writers must be made in connection with the third article, that affirming the Virgin Birth. Harnack admits that the words "conceived of the Holy Ghost" (T), really add nothing to the "born of the Holy Ghost" (R). He admits consequently that "at the beginning of the second century the belief in the miraculous conception had become an established part of Church tradition". But he denies that the doctrine formed part of the earliest Gospel preaching, and he thinks it consequently impossible that the article could have been formulated in the first century. We can only answer here that the burden of proof rests with him, and that the teaching of the Apostolic Fathers, as quoted by Swete and others, points to a very different conclusion.

또다른 본문상의 어려움은 두 번째 조항에만 오로지 있는 단어를 주된 주제로서 가지게 합니다만(turns upon), 그러나 더 심각한 질문이, R 의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조항 둘 중의 한 군데에 있어, 하느님의 위격들에 있어서의 아드님되심(Sonshop)과 아버지되심(Fatherhood)이라는 선재하는(pre-existent) 혹은 영원한 관계에 대한 어떠한 인정도 인지하는 것을 거부하는, Harnack의 거부에 의하여 제기됩니다. 그는, 이후의 시대의 삼위일체 신학이, 이 본문이 그 구성자들을 위하여 지니지 않았던 어떤 의미로, 이 본문을 이미 해석하였다고, 단언합니다(declares). 그리고 그는, 또다시, 아홉 번째 조항과 관련하여, 이 신경/신조의 저술자가 성령을 한 분의 위격으로서가 아니라, 어떤 힘 혹은 선물(a power or gift)로서 인식하였다고 말합니다. "2세기 중반경에 성령이 한 분의 위격으로서 믿어졌음에 대한 어떠한 증명도 제시될 수 없습니다" [라고 그는 말합니다]. 이 글의 독자를 BaumerBlume의 그것들과 같은 가톨릭 답변들로, 그리고 성공회 신자들 중에서 Swete의 매우 편리한 책으로 향하게 하는 것보다 많이 하는 것은 여기서 불가능합니다. 초기 교부의 가르침의 예제 한 개를 오로지 인용하자면,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St. Ignatius of Antioch, 기원후 35년경-108년경)는 1세기 말에 시간의 제한을 넘어 있는 아드님되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반복적으로 언급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 한 분이신 성부로부터 오셨습니다", 세상이 존재하기 전부터 성부와 함께 계셨습니다" (Letter to the Magnesians 6-7). 한편, 성령과 관련하여, 로마의 성 클레멘스(St. Clement, 기원후 30년경-101년경)는 여전히 더 이른 시기에 다음과 같이 씁니다: "하느님께서 살아 계시듯이, 그리고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살아 계시듯이, 선택된 자들의 믿음이고 희망인, 성령께서도 살아 계십니다" (cap. lviii). 이것과 그리고 다른 유사한 구절들은, 하느님과 로고스(Logos) 사이에 존재한다고 인지되는 바로 그것에 유비하여(analogous to), 하느님과 하느님의 영(the Spirit of God) 사이에 있어서의 어떤 구분(a distinction)에 대한 자각(consciousness)을 분명하게 나타냅니다. 초기의 저술가들로의 유사한 호소는, 동정 출산을 확언하는, 세 번째 조항과의 관련 안에서 마련되어야만 합니다. Harnack는 "성령으로 인하여 잉태되시고(conceived of the Holy Ghost)" (T) 라는 표현이 "성령에 의하여 태어나시고(born of the Holy Ghost)" (R) 에 어떠한 것도 실제로 추가하지 않음을 시인합니다(admits). 그는 "2세기의 시작부분에 이 기적적인 잉태에 대한 믿음은 교회의 가르침의 한 개의 확립된 한 부분이 이미 되어버렸음"을 결과적으로 시인합니다. 그러나 그는 가장 초기의 복음 설교의 한 부분을 형성하였던 교리를 부정하며, 그리하여 그는 이 조항이 첫 번째 세기에 이미 정식화 되었을 수도 있음이 결과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입증의 부담이 그에게 달려 있음과, 그리고 사도들의 시기의 교부들(Apostolic Fathers)의 가르침이, Swete와 다른 이들에 의하여 인용되고 있듯이, 대단히 다른 결론을 가리키고 있다고 여기서 다만 답변할 수 있을 뿐입니다. 
 
Rufinus (c. 400) explicitly states that the words descended into hell were not in the Roman Creed, but existed in that of Aquileia. They are also in some Greek Creeds and in that of St. Jerome, lately recovered by Morin. It was no doubt a remembrance of 1 Peter 3:19, as interpreted by Irenaeus and others, which caused their insertion. The clause, "communion of saints", which appears first in Niceta and St. Jerome, should unquestionably be regarded as a mere expansion of the article "holy Church". Saints, as used here, originally meant no more than the living members of the Church (see the article by Morin in Revue d'histoire et de litterature ecclesiastique. May, 1904, and the monograph of J.P. Kirsch, Die Lehre von der Gemeinschaft der Heiligen, 1900). For the rest we can only note that the word "Catholic", which appears first in Niceta, is dealt with separately; and that "forgiveness of sins" is probably to be understood primarily of baptism and should be compared with the "one baptism for the forgiveness of sins" of the Nicene Creed.

루피노(Rufinus)는 (400년경) 저승에 가시어(descended into hell) 라는 단어들이 로마 신경/신조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아퀼레이아 신경/신조(that of Aquileia)에 존재하였다고 분명하게 서술합니다. 이 단어들은 또한 일부 그리스어 신경들에 그리고, 모린(Morin)에 의하여 최근에 찾아내어진, 성 예로니모(St. Jerome, 347년경-420년)의 신경/신조에 또한 있습니다. [사도 신경에] 이 단어들의 삽입을 야기하였던 것이 바로, 이레네오(Irenaeus, 130/140?-202년경)와 다른 이들에 의하여 해석되었듯이, 1 베드로 3,19 에 대한 한 개의 상기(a remembrance)였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니체타(Niceta, 335-414년)성 예로니모에서 처음으로 나타나는 "성인들의 통공(communion of saints)" 이라는 절은 논란의 여지 없이(unquestionably) 단지 "거룩한 교회(holy Church)" 조항의 상세한 설명(expansion)에 불과한으로서 간주되어야만 합니다.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성인(saints)들은 애초에 교회의 살아 있는 구성원들만 의미하였습니다(Revue d'histoire et de litterature ecclesiastique. May, 1904, 에 있는 Morin에 의한 논문(article)과 the monograph of J.P. Kirsch, Die Lehre von der Gemeinschaft der Heiligen, 1900 을 보라). 나머지들에 대하여 우리는, 니체타(Niceta)에게서 처음으로 나타나는 단어인 "보편된(Catholic)"이라는 단어는 별도로 다루어져야 한다고, 그리고 "죄들의 용서(forgiveness of sins)"는 아마도 세례에 대하여 주로 이해되어져야 하며 그리하여 니케아 신경/신조(Nicene Creed)의 "죄들의 용서를 위한 유일한 세례(one baptism for the forginess of sins)" 와 비교되어져야만 한다고 오로지 주목하여야 합니다.

Use and authority of the creed

이 신경/신조의 사용과 권위

As already indicated, we must turn to the ritual of Baptism for the most primitive and important use of the Apostles' Creed.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Creed was originally nothing else than a profession of faith in the Father, Son, and Holy Ghost of the baptismal formula. The fully developed ceremonial which we find in the seventh Roman Ordo, and the Gelasian Sacramentary, and which probably represented the practice of the fifth century, assigns a special day of "scrutiny", for the imparting of the Creed (traditio symboli), and another, immediately before the actual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 for the redditio symboli, when the neophyte gave proof of his proficiency by reciting the Creed aloud. An imposing address accompanied the traditio and in an important article, Dom de Puniet (Revue d'Histoire Ecclesiastique, October, 1904) has recently shown that this address is almost certainly the composition of St. Leo the Great. Further, three questions (interrogationes) were put to the candidate in the very act of baptism, which questions are themselves only a summary of the oldest form of the Creed. Both the recitation of the Creed and the questions are still retained in the Ordo baptizandi of our actual Roman ritual; while the Creed in an interrogative form appears also in the Baptismal Service of the Anglican "Book of Common Prayer". Outside of the administration of baptism the Apostles' Creed is recited daily in the Church, not only at the beginning of Matins and Prime and the end of Compline, but also ferially in the course of Prime and Compline. Many medieval synods enjoin that it must be learnt by all the faithful, and there is a great deal of evidence to show that, even in such countries as England and France, it was formerly learnt in Latin. As a result of this intimate association with the liturgy and teaching of the Church, the Apostles' Creed has always been held to have the authority of an ex cathedra utterance. It is commonly taught that all points of doctrine contained in it are part of the Catholic Faith, and cannot be called in question under pain of heresy (St. Thomas, Summa Theologica, II-II:1:9). Hence Catholics have generally been content to accept the Creed in the form, and in the sense, in which it has been authoritatively expounded by the living voice of the Church. For the Protestants who accept it only in so far as it represents the evangelical teaching of the Apostolic Age, it became a matter of supreme importance to investigate its original form and meaning. This explains the preponderating amount of research devoted to this subject by Protestant scholars as compared with the contributions of their Catholic rivals.

이미 지적하였듯이, 우리는, 사도 신경/신조의 가장 초기의 그리고 중요한 사용과 관련하여, 세례 예식으로 되돌아가야만 합니다. 이 신경/신조가 원래 단지 세례 정식(babtismal formula)에 있어서의 성부, 성자, 그리고 성령에 대한 신앙 고백에 지나지 않았을 것임은 거의 확실합니다(highly probable). 우리가 일곱 번째 로마 오르도(Roman ordo), 그리고 젤라시오 전례서(the Gelasian Sacramentary)에서 발견하는, 그리고 아마도 5세기의 관습을 나타내었던, 충분히 발전된 전례서(典禮書, ceremonial)는, 이 신경/신조의 전달(imparting)[신경 전수(traditio symboli), communication of the Creed]을 위한, 특별한 "시험(scrutiny)"의 날을, 그리고, 초심자가 이 신경/신조를 큰 소리로 암송함으로써 자신의 능숙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였던 때인, 신조 수락(redditio symboli)을 위한, 이 성사의 집전 직전에, 또다른 "시험"의 날을 지정하고 있습니다. 이 전수(the traditio)에 수반되었던 인상적인 연설과 그리고 중요한 논문에서, Dom de Puniet (Revue d'Histoire Ecclesiastique, October, 1904)는 최근에 이 연설이 거의 확실하게 성 레오 대 교황(St. Leo the Great)의 작성임을 이미 보였습니다. 더구나, 세 개의 질문들(interrogationes)이 세례의 바로 그 행위에 있는 지원자에게 묻게 되었는데, 이러한 질문들은 그 자체로 오로지 이 신경/신조의 가장 오래된 형식의 요약일 뿐이었습니다. 이 신경/신조의 암송 그리고 질문들 둘 다는 여전히 우리의 실제적 로마 전례의 Ordo baptizandi 에 여전히 존속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질문 형식으로 있는 이 신경/신조는 또한 성공회의 "공통 기도서(Book of Common Prayer)"의 세례 예배(Baptismal Service)에 또한 나타납니다. 세례 집전의 바깥에서 사도 신경/신조는, [성무일도(聖務日禱)의] 조과(朝課, Matins) 및 제1시과(時課)(Prime)의 시작 부분  그리고 종과(終課)(Compline)의 끝 부분에서 뿐만이 아니라, 또한 제1시과 및 종과의 과정에서 연중 주간일에(ferially), 교회 안에서 날마다 암송됩니다. 많은 수의 중세 시노드들은 이것이 믿는 이들 모두에 의하여 배워져야만 한다고 명하며, 그리고, 심지어 잉글란드와 프랑스와 같은 나라들에서는, 이것이 이전에 라틴어로 배워졌음을 보여주는 대단히 많은 증거가 있습니다. 교회의 전례 및 가르침과의 바로 이러한 친밀한 관련의 결과로서, 사도 신경/신조는 교황좌 유포(流布)(ex cathedra utterance)의 권위를 가진다고 항상 생각되어져 왔습니다. 이것에 포함되어 있는 교리의 모든 요점들은 가톨릭 신앙(Catholic Faith)의 한 부분이며, 그리하여 이단에 처해지는 위험을 무릅쓰고 의문으로 불러내어질 수 없다고 통상적으로 가르쳐집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II:1:9).(*) 따라서 가톨릭 신자들은 이 신경/신조를, 그 안에서 이 신경/신조가 교회의 살아 있는 목소리에 의하여 권위있게 상세히 설명되어 온, 그 형식으로, 그리고 그 의미로, 이미 일반적으로 기꺼이 받아들여 왔습니다. 오로지 이 신경/신조가 사도들의 시대의 복음적 가르침을 나타내는 한 이 신경/신조를 받아들이는 프로테스탄트들의 경우에 있어, 이 신경/신조의 원래 형식과 의미를 조사하는 것은 지고의 중요성을 가지는 문제가 되었습니다. 바로 이 문제가, 그들의 가톨릭 경쟁자들의 기여들과 비교하여, 프로테스탄트 학자들에 의하여 이 주제에 전념하게 되었던 과중한 양의 연구의 원인를 설명합니다. 

-----
(*) 번역자 주: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어본 신학 대전 IIa, IIae, q1, a9 에서는, "creed(신조/신경)"이라는 용어의 사용 대신에, 그 동의어인 "symbol(신경, 信經)"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 신학 대전의 본문을 학습하고자 하는 자는,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에 있는 "신학 대전 여행(the tour of Summa)"의 해당 항을 먼저 학습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03.htm
-----

[내용 추가 일자: 2012년 7월 9일]

다음의 파란 글자들을 클릭하면, 평화방송 제공의, 2012년 6월 1일자에 시작된 차동엽 신부님의 사도신경해설 동영상들을 청취할 수 있습니다:

1. 차동엽신부의 사도신경해설: 제1강 프롤로그 

2. 차동엽신부의 사도신경해설: 제2강 나는 믿나이다 Credo 

3. 차동엽신부의 사도신경해설: 제3강 전능하신 천주 성부

4. 차동엽신부의 사도신경해설: 제4강 천지의 창조주

5. 차동엽신부의 사도신경해설: 제5강 그 외아들 주 예수 그리스도

6. 차동엽신부의 사도신경해설: 제6강 성령으로 인하여 동정 마리아께 잉태되어 나시고


이 글에서 번역문과 함께 전달해 드린 바가, 특히 위의 "제1강 프롤로그"의 더 자세한 이해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차동엽신부" key word로 평화방송 서버 통합검색 결과 (클릭하십시오)

[이상, 내용 추가 끝].

----------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41시간.

 



2,342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