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천주강생성경직해에서 성 레오 1세 대교황님을 나타내는 표현인 聖良(성량)의 자구적 의미와 출처[良 - 중국 관어 발음: 량; 광동어 발음: Leong 레옹]

인쇄

. [121.190.18.*]

2023-07-25 ㅣ No.3214

 

 

1. 들어가면서

 

1-1. 혹시, 그 전반부는 1636년에 초간되고 그 후반부는 1642년에 초간된, 한문본 "천주강생성경직해"를 학습하고자 바로 이 주일 전례성경 책을 들여다본 분들은 다들 잘 알고 계시겠지만, 각 주일 혹은 첨례일(즉, 대축일)의 "잠"(箴)에는 다수의 성인들의 가르침들이 제공되고 있는데, 그러나 이들 성인들 중의 일부는 중국어로 표현된 그 이름들이, 이들 이름들로부터 대응하는 라틴어 이름들을 연상할 수 없는, 상당히 난해한 경우들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성 기소(聖基所), 성 액아략(聖額我略), 성 량(聖良) 등입니다.

 

그리고 이분들이 누구를 말하는지는, 그동안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안한 바에 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1-1. 성 기소(基所)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St. John Chrysostom(金口, 금구))를 말하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108.htm

 

1-1-2. 성 액아략(額我略)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성 그레고리오 1세 대교황(St. Gregorius I, Pope the Great)을 말하며,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49.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39.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42.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50.htm

 

1-1-3. 그리고 성 량()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읏이, 성 레오 1세 대교황(St. Leo I, Pope the Great)을 말합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40.htm

 

1-2. 또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최근에 들어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작성된, 한문 문화권 천주교회 성인명 음역 대조표를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한문문화권_천주교회_성인명_음역어_대조표.htm <----- 필독 권고 

 

게시자 주 1-2: 바로 위에 있는 한문 문화권 천주교회 성인명 음역 대초표와, 이 대조표의 부록으로서 제공되고 있는 바로 이 대조표를 만들 때에 필자가 들여다본 자료들를 필요시 또한 참조하면, 1583년과 그 이후에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 파견된 예수회 소속의 신부님들에 의하여 저술된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을 학습할 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1-3.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천주강생성경직해"에서 성 레오 1세 대교황님을 나타내는 표현이 聖良(성량)임을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하는 졸고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제3항 유관 사료 분석 II를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40.htm <----- 꼭 필독 권고 

 

게시자 주 1-3: (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지금까지 총 266분의 교황님들 중에서, 그 자구적 의미가 "사자"(lion)인, "Leo"(레오; 프랑스어: Léon(레옹))라는 이름을 사용한 역대 교황님들이 13분이심을 확인할 수 있는데,

https://www.newadvent.org/cathen/12272b.htm 

 

다음의 이름을 가진 교황님들 John(23명), Gregory(16명), Benedict(16명), Clement(14명), 다음으로, 5번째로 많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이 이름이 세례명으로서 서양에서 상당히 많이 사용되었음을 또한 의미한다는 생각입니다.

 

(2) 그러나, 이와는 달리, 우리나라 조선에서, 예를 들어, "병인치명사적"을 들여다보면, "레오"라는 세례명을 가진 분들을 거의 찾아볼 수 없는데, 본글에서는 그 주된 이유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하여도 또한 함께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게시자 주 1-3)

 

 

2. 유관 사료 분석 I

 

부제(副題): 아무리 늦더라도 17세기 초부터 그리고 아무리 빠르더라도 19세기 말에 이르기까지, 중모음 "eo"(에오)는 한자 낱글자들의 관화 발음(즉, 북경어 및 남경어)의 구성 음값이 아니었다. 

 

1626년: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77-1629_니콜라_트리고우/음운경위총국_in_1626_서유이목자_권1_제65-75쪽.pdf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77-1629_니콜라_트리고우/음운경위전국_in_1626_서유이목자_권1_제81-107쪽.pdf

 

1684년 이전 - 한서자전: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684_한서자전/에오_eo_음값의_한자_낱글자_없음_in_1684_한서자전_제243쪽.jpg  

 

그리고 다음의 귀중한 정보들을 필자가 또한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684_한서자전/레앙_Leang_良_in_1684_한서자전_제240쪽.jpg 

 

1819년경 낱글자 ""의 광동어 발음: Leong 레옹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782-1834_로버트_모리슨/良_관어_leang레앙_광동어_leong레옹_in_5거운부_p2_ch01_자전_1819_제530-532쪽.pdf 

 

다른 한편으로, 1583년에 중국 본토 안의 조경에 진입하였고 그리고 1600년에 명나라의 수도인 북경에 진입하여 그곳에 계속하여 머무를 수 있었던. 예수회 소속의 마태오 리치 신부님의 한문본 천주교 문헌 저술 작업을 많아 도와주었던 사대부 중국인인 이지조(李之藻, 1630년 졸)의 세례명./교명이 ""이었음은,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李之藻" "leo" "良"  (구글 검색 결과)

 

https://zh.wikipedia.org/zh-tw/%E6%9D%8E%E4%B9%8B%E8%97%BB 

http://www.chinatogod.com/main/z3s_c_v.php?no=4850&ctg_no=227&div=2&PHPSESSID=8ff9b96693622f32d1a54471a90743f4 

 

따라서, 음역된 세례명 ""의 라틴어 세례명의 음값이 "Leo"(레오)임은, 이지조 자신이 마태오 리치 신부님과 그 일행인 예수회 소속의 신부님들로부터 자신의 두 귀들로 직접 들어서 잘 알고 있었을 것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바로  위에서 이미 확인하였듯이, 왜냐하면 바로 이 음값 "Leo"(레오)를 나타내는 한자 낱글자가 남경 관화어 중에 없기 때문에, 부득불, "Leo"(레오)의 프랑스어 표기/음값 Léon(레옹)과 거의 동일한 광동어 방언의 음값 "leong"(레옹)에 상당히 근접하는, 남경 관화어 중국어 음값 "leang"(레앙)을 가진, 한자 낱글자 ""[주: "어질 인"(仁) 낱글자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 "어질 량"(良), 그리하여 "어진 사람"(良)], 이지조가 라틴어 세례명 "Leo"(레오)에 대응하는 중국어 세례명/교명으로 채택하여 사용하였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기고글에서, 위에서 필자가 추정한 바가 실체적 사실에 매우 근접함을, 또한 확인 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출처: http://www.icm.gov.mo/rc/viewer/10095/2440 

(발췌 시작)

南懷仁的《窮理學》與西方邏輯學的引進——《名理探》與《窮理學》邏輯概念研究

 

張西平

 

[...] 李之藻 (1565-1630,字振之,教名Leo,稱 Dottore Leone,即博士) 開始翻譯這部教材, [...]

(이상, 발췌 끝) 

 

 

작성 중입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6 0

추천

게에고리오,에오랴오,액아략,額我略,Gregorius,그레고리오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