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2,1-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6-09-20 ㅣ No.1725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25.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아래의 각 절의 우리말 번역문들에서 세 번째 번역문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졸번역입니다.

 

제 2 장 인간성: 카인과 노아 [이성배](*0)

 

1 亞伯         전아백         아벨 전승 전하건대 
                                             아벨에게 말씀 전하시자
                                             아벨에게 말씀 전하시자(2,1) <--- 번역 오류

 

[(2017년 8월 26일) 주: (i)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2,1에서 사용된 해당 낱글자와 "성교요지", 7,6에서 사욛된 입 구 "" 낱글자를 정밀하게 비교 검토하였을 때에, 왜냐하면 "" 낱글자의 경우에 "뜷을 곤 " 획을 그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 두 낱글자들 각각에 있어서의 가로 폭과 세로 폭의 비율이 크게 다른 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ii) "성교요지"의 작문자가, "성교요지"를 작문하기 전에, "(천주강생)성경직해"을 입수하여 이미 학습하였음이 "성교요지"의 다른 4자성구들에서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되기 때문에, 그리고 또한 (iii) "성교요지", 2,1에 있는 "亞伯(아벨, Abel)"의 "자구 출처" 및 "내용 출처""(천주강생)성경직해", 권13_34_성사덕망수선치명자첨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에 있는 한 개의 각주임이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의 내용이 "傳(구전)"이라고 결코 말할 수 없으며, (iv) 좌수본 "성교요지"에는, "傳" 대신에, 명확하게 "傳"으로 읽히는 점, 그리고 또한, (v)  구약 성경 창세기 제1장부터 제11장까지에 포함된 이야기들을 전달하는, 그 내용 출처 및 자구 출처들이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되는[주: 2017년 10월 15일에 엄밀한 확인을 함], "성교요지", 제1장 제2장 전체에 걸친 전후 문맥 안에서 "傳(구전)"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따라서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2,1에서, 이 4자성구를 필사하였던 필사자가 "가운 데 중 "을 필사하다가 "뜷을 곤 " 획을 긋는 것을 잊어버린 단순 필사 오류의 경우로 생각되며, 따라서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2,1에서 "傳"은, 좌수본 "성교요지", 2,1에서처럼, "傳"으로 바로잡아져야 할 것이다.]

 

필자에 의한 새 번역: 

[2017년 8월 26일] 

문서(文書)(中, 주: 한한대사전, 권1, 제417쪽)[즉, 고경(古經)]에 전(傳)하기를 아벨(亞伯, Abel)이

 

혹은, 상응하는(中, 주: 한한대사전, 권1, 제417쪽) [예로부터 전해오는 현인의 글이나] 책(傳, 주: 한한대사전, 권1, 제1132쪽)에 의하면 아벨(亞伯, Abel)이

 

혹은, 상응하는(中, 주: 한한대사전, 권1, 제417쪽) 경서의 주석(주: 한한대사전, 권1, 제1332쪽)에 의하면 아벨(亞伯, Abel)이

 

[내용 추가 일자: 2018년 5월 2일] 성경현전(聖經賢傳)(*1)에 의하면 아벨(亞伯, Abel)이

[내용 추가 일자: 2019년 8월 15일] 성경현전(聖經賢傳)(*1)에 의하면 버금 맏이(亞伯, 즉, 차자(次子), Abel)(*2)

 

-----

(*1) 번역자 주: 여기서 성경현전(聖經賢傳)은 "천주강생성경직해", 권13_34_성사덕망수선치명자첨례 (<--- 여기를 클릭하라) 의 전(傳, 즉, 주석)을 말한다.

 

(*2)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96.htm <----- 필독 권고

-----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11A879D22AC5BFE94D1F9B837178A82&p=499&cult=TW

(발췌 시작)

 

    《廣韻》陟弓切,平東,知。【1】內,里面。與“外”相對。《易·坤》:“象曰:黃裳元吉,文在中也。”{高亨}注:“中,猶內也。”{唐}{韓愈}《和侯協律詠筍》:“外恨苞藏密,中仍節目繁。”{清}{蒲松齡}《聊齋志異·鼠戲》:“背負一囊,中蓄小鼠十餘頭。”{毛澤東}《卜算子·詠梅》詞:“待到山花爛漫時,她在叢中笑。”【2】特指宮禁之內。亦借指朝廷。《史記·秦始皇本紀》:“{趙高}用事于中。”{唐}{韓愈}《祭董相公文》:“公來自中,天子所倚。”{宋}{蘇舜欽}《論西事狀》:“惟攻守之策,必須中授。”{明}{葉盛}《水東日記·議王琦事》:“其正事體一章,且留中,於是言者有愧色。”【3】指一個時期內或其中間。《漢書·馮奉世傳》:“{本始}中,從軍擊{匈奴}。”{晉}{陶潛}《桃花源記》:“{晉}{太元}中,{武陵}人捕魚爲業。”{宋}{蔡絛}《鐵圍山叢談》卷一:“祕書省自{政和}末既徙於{東觀}之下,{宣和}中始告落成。”【4】指一個地區之內。{南朝 宋}{謝靈運}《還舊園作見顏范二中書》詩:“{閩}中安可處,日夜念歸旋。”{清}{管同}《寶山記游》:“夏四月,{荊溪}{周保緒}自{吳}中來。”【5】指內心。《莊子·天運》:“中無主而不止。”{成玄英}疏:“若使中心無受道之主,假令聞於聖説,亦不能止住於胸懷,故知無佗也。”《史記·樂書》:“情動於中,故形於聲。”{張守節}正義:“中猶心也。”{宋}{蘇軾}《常州居住表》:“中雖無愧,敢不自明。”{清}{蒲松齡}《聊齋志異·雷曹》:“君之惠好,在中不忘。”【6】引申為感情。《國語·晉語五》:“若中不濟,而外彊之,其卒將復,中以外易矣。”{韋昭}注:“謂情不足,而貌彊爲之。”【7】指內臟。《素問·陰陽類論》:“五中所主,何藏最貴。”{明}{謝肇淛}《五雜俎·人部一》:“〔治痘瘡〕藥匕之方,則始終以解毒和中爲主。”【8】身體。《禮記·檀弓下》:“{文子}其中退然,如不勝衣。”{鄭玄}注:“中,身也。”{唐}{李德裕}《次柳氏舊聞·張果》:“吾聞奇士至人,外物不能敗其中。”{宋}{蘇舜欽}《依韻和勝之暑飲》:“不知余中虛,外冷得所托。”【9】中間;當中。《書·召誥》:“王來紹上帝,自服於土中。”{孔}傳:“言王今來居{洛邑}……於地勢正中。”《孫子·九地》:“擊其中,則首尾俱應。”{北魏}{酈道元}《水經注·河水四》:“二城之中,有{段干木}冢。”《三國演義》第十六回:“{布}乃居中坐,使{靈}居左,{備}居右。”【10】居于其中。《孟子·盡心上》:“中天下而立。”《漢書·鄭吉傳》:“{吉}於是中西域而立莫府。”{宋}{梅堯臣}《矮石榴樹子賦》:“有矮石榴,高倍尺,中訟庭,麗戒石。”【11】中等。《莊子·徐無鬼》:“吾相狗也……中之質若視日。”{成玄英}疏:“意氣高遠,望如視日,體質如斯,中品狗也。”《漢書·溝洫志》:“待詔{賈讓}奏言:治河有上﹑中﹑下策。”【12】半,一半。《墨子·備城門》:“二步積石,石重中鈞以上者,五百枚。”{岑仲勉}注:“中,半也。三十斤爲鈞,中鈞約十五斤。”《列子·力命》:“其使多智之人量利害,料虛實,度人情,得亦中,亡亦中。”{張湛}注:“中,半也。”{宋}{曾鞏}《諸寺觀祈雨文》:“春氣已中,農功方急,而膏澤未洽,土脈尚乾。”{清}{方苞}《獄中雜記》:“方夜中,生人與死者並踵頂而臥,無可施避。”【13】間隔。《禮記·間傳》:“中月而禫。”{孔穎達}疏:“中,間也。大祥之後,更間一月而爲禫祭。”《儀禮·鄉射禮》:“上射先升三等,下射從之中等。”{鄭玄}注:“中,猶閒也。”【14】媒介,居間。《穀梁傳·桓公九年》:“{紀季姜}歸於京師,爲之中者歸之也。”{范寧}注:“中,謂關與婚事。”【15】指介紹人,中間人。{漢}{劉向}《說苑·尊賢》:“士不中而見,女無媒而嫁,君子不行也。”{明}{徐咸}《西園雜記》卷下:“{陸}挽出一無賴作中假寫賣券。”《收獲》1981年第4期:“最近教會方面托縣政府出面做中。”【16】正。《禮記·玉藻》:“頭頸必中。”{鄭玄}注:“頭容直。”《晏子春秋·問上十六》:“衣冠不中,不敢以入朝。”【17】均勻。《周禮·考工記·弓人》:“斲摯必中,膠之必均。”{鄭玄}注:“摯之言致也;中猶均也。”{清}{江永}《周禮疑義舉要·考工記二》:“中與均皆謂無厚薄不勻也。”【18】合適;恰當。《戰國策·齊策二》:“是{秦}之計中,{齊}{燕}之計過矣。”{姚宏}注:“中,得。”《漢書·成帝紀》:“朕涉道日寡,舉錯不中,乃戊申日蝕地震,朕甚懼焉。”{宋}{葉適}《袁聲史墓志銘》:“余觀君疎於世故,而謀國無不中。”【19】指正確的標準。《荀子·儒效》:“事行失中謂之姦事,知説失中謂之姦道。”【20】猶言可,行,成。{漢}{張仲景}《傷寒論·太陽病上》:“此爲壞病,桂枝不中與也。”{唐}{王建}《隱者居》詩:“何物中長食,胡麻慢火熬。”《二刻拍案驚奇》卷二十:“正要來與姐姐﹑姐夫商量了,往府裏討去,可是中麼?”《醒世姻緣傳》第四十回:“做中了飯沒做?中了,拿來吃。”{李英儒}《野火春風斗古城》第十八章:“旁的看我的眼色行事,就中啦。”【21】指中庸之道。《論語·堯曰》:“允執厥中。”{劉寶楠}正義:“執中者,謂執中道用之。”《禮記·中庸》:“〔{舜}〕隱惡而揚善,執其兩端,用其中於民。”{鄭玄}注:“兩端,過與不及也。用其中於民,賢與不肖皆能行之也。”【22】指中和之氣。《左傳·成公十三年》:“民受天地之中以生,所謂命也。”《漢書·律歷志上》引此文,{顏師古}注云:“中,謂中和之氣也。”【23】指二十四節氣的中氣。《左傳·文公元年》:“先王之正時也,履端於始,舉正於中,歸餘於終。”{杜預}注:“步厤之始,以爲術之端首,期之日三百六十有六日。日月之行又有遲速,而必分爲十二月,舉中氣以正月。”《史記·歷書》:“舉正於中,民則不惑。”一說指正朔之月。{清}{江永}《群經補義·春秋》:“{杜}云:‘舉中氣以正月’,亦非也。古厤惟八節,後世乃有二十四氣。以冬至爲始,以閏餘爲終,故舉正朔之月爲中。”【24】中午,日中的時候。{南朝}{梁武帝}《責賀琛敕》:“朕三更出理事。隨事多少,或中前得竟;或事多,至日昃方得就食。”{南朝 宋}{劉敬叔}《異苑》卷二:“又別有異物籐花,形似菱菜,朝紫﹑中緑﹑晡黃﹑暮青﹑夜赤,五色迭耀。”《翻譯名義集·齋法四食》:“今釋氏以不過中,食。”【25】指中年。{鄧小平}《在軍委座談會上的講話》:“老的要結合中﹑青。”【26】指中宿(xiù)。亦泛指星象。{南朝 梁}{陸倕}《石闕銘》:“乃命審曲之官,明中之士,陳圭置臬,瞻星揆地。”【27】指北斗第一星魁中。《公羊傳·文公十四年》:“孛者何?彗星也。其言入于北斗何?北斗有中也。”{何休}注:“中者,魁中。”【28】指官府簿書。(졸번역: 관부의 문서를 가리킨다)《周禮·春官·天府》:“凡官府鄉州及都鄙之治中,,受而藏之。”{鄭玄}注引{鄭司農}云:“治中謂其治職簿書之要。”{清}{江永}《周禮疑義舉要·秋官》:“凡官府簿書謂之中,故諸官言治中,受中;《小司寇》:‘斷庶民訟獄之中’,皆謂簿書,猶今案卷也。此中字之本義,故掌文書者謂之史,其字從又﹑從中;又者,右手以手持簿書也。”{魯迅}《且介亭雜文·門外文談》:“況且‘升中于天’他(指巫)本職上也得將記載酋長和他的治下的大事的冊子,燒給上帝看。”【29】古代投壺時盛放計數籌碼的器皿。《周禮·春官·大史》:“凡射事,飾中舍。筭(算),執其禮事。”{鄭玄}注引{鄭司農}云:“中所以盛筭也。”《禮記·投壺》:“投壺之禮,主人奉矢,司射奉中,使人執壺。”{孔穎達}疏:“中,謂受算之器。中之形,刻木爲之,狀如兕鹿而伏,背上立圜圈,以盛算也。”【30】指盛文具的器皿。《逸周書·嘗麥》:“宰乃承王中,升自客階。”{朱右曾}校釋:“中,本盛算器,此蓋盛作策之具筆及鉛槧也。”【31】指中服。古代一車駕四馬,居中的兩匹馬稱服,也稱為中。《詩·秦風·小戎》:“騏駵是中,騧驪是驂。”{鄭玄}箋:“中,中服也。”{孔穎達}疏:“騏馬駵馬是其中。謂爲兩中服也。”{清}{鳳韶}《鳳氏經說·車前馬》:“夾轅兩馬曰服。《詩》曰:‘兩服上襄。’亦曰中,《詩》曰:‘騏駵是中。’”【32】古代戶役的年齡,{北齊}以十六以上﹑十七以下為中;{隋}以十一以上﹑十七以下為中;{唐}以十六為中。《資治通鑒·唐高祖武德七年》:“初定均田租﹑庸﹑調法。丁﹑中之民,給田一頃。”【33】通“[忠]”。《周禮·春官·大司樂》:“以樂德教國子,中和祇庸孝友。”{鄭玄}注:“中猶忠也。”《呂氏春秋·誣徒》:“故不能學者,遇師則不中,用心則不專。”{俞樾}《諸子平議·呂氏春秋一》:“中讀爲忠,古字中忠通用。遇師則不中,言其事師不忠誠也。{高}注以不中爲不正,非是。”【34】{中國}的簡稱。如{中}{法}戰爭﹑中醫﹑中藥等。【35】佛教語。指“三諦”(空﹑假﹑中)的第一義諦。謂不二之至理。{隋}{智顗}《法華玄義》卷四:“心性即是,即空,即假,即中。”{清}{龔自珍}《釋二門三點同異》:“二門三點有二種解。先釋二門:止﹑觀是。乃釋三點:空﹑假﹑中是。”【36】姓。{周}有{中旄父}。見《逸周書·作雒》。

(이상, 발췌 끝)

 

2 羊祭信心         양제신심         신심으로 양 바치니 
                                              양으로 제사 올려 마음에 믿었는데
                                  신심으로 양 바치니(2,2)

[2017년 8월 26일] 양제()의[즉, 의로운(義)] 믿음(信心, faith)을 가졌는데

 

3 長子若兄         장자약형         맏아들 형 되는 이가 
                                              맏아들로 형 되는 이가
                                              맏아들 형 되는 이가

[2017년 8월 26일] 장자(長子, 맏아들)는 자실(自失)하였을/슬퍼하였을/황연(怳然)하였을(兄, 怳)(*) 뿐만이 아니라(若)

 

-----

(*) 번역자 주: 兄이 怳의 의미를 가짐은, 예를 들어 다음의 "한어대자전"을 참조하라: http://www.guoxuedashi.com/kangxi/pic.php?f=dzd&p=291 

-----

[이상, 2017년 8월 26일자 내용 추가 끝]

 

4 敵殺及今         적살급금         그를 죽여 지금까지 
                                              그를 죽여 오늘에까지 이르렀도다
                      적으로 여겨 죽임이 지금까지(及今)(2,4)

[2018년 5월 2일] 적으로 여겨 죽임이 지금까지 있구나(及今)

 

5 以致彼族         이치피족         죄에 물든 저 족속들 
                                              그 결과 저 종족(宗族)
                               바로 이(彼) 족속들에게 이름으로써(2,5)

[2018년 5월 2일] 그 결과로서(以致, as a result) 저 족속들이

 

6 但安利名         단안이명         부귀공명 안일하니 
                                              명리(名利)를 편안히 여겨
                                   다만 편안함과 명예를 탐하고(利)(2,6)

 

7 愛身尼色         애신니색         몸 아끼고 여색 빠져 
                                              육신 아끼고 여색에 빠져
                                              몸을 사랑하고 색을 가까이하며

 

8 列馬羅金         열마라금         세력 황금 내세웠네 
                                              말과 황금만 늘어놓았구나
                                              세력(馬)에 순서를 매기고 돈을 망라하는구나(2,8)

 

9 父意非昔         부의비석         아버지 뜻 다르므로 
                                              아버지 뜻 옛날과 달라져
          이러한 구악(舊惡)들에 대한 아버지의 생각(意, thought)이 바뀌어져(2,9)

 

10 其僕已明       기복이명         종에게 이를 밝히고 
                                              그 종 노아에게 이미 밝히시더니
                                              그 종에게 이미 밝히시더니(2,10)

 

11 卽由是時       즉유시시         정해진 때 다다르자 
                                              바로 이때에 이르러
                                              이로 말미암아 정해진 때에

 

12 大水四行       대수사행         대홍수가 사방 덮쳐 
                                              대홍수가 사방에 일어나
                                              큰물이 사방에 들어

 

13 卷撒全死       권살전사         온갖 족속 몰사하니 
                                              권속(眷屬)이 흩어져 모두 죽으니
                                              권속(眷屬)이 흩어져 모두 죽으니

 

14 何問儕群       하문제군         구원된 무리 묻건대 
                                              그 무리 어찌 다 물어볼 수 있으랴   
                                              그 무리 어찌 다 물어볼 수 있으랴


15 第歸方蓋       제귀방개         방안에 들어간 자들 
                                              다만 방주(方舟)에 귀의한 이들은
                                      순서대로 네모 난 덮개에 몸을  맡김은(2,15)

 

16 則同義人       즉동의인         그들 바로 의인이라 
                                              바로 의인(義人)과 함께 하니
                                              즉 의인들을 말함이라(同)(2,16)

[2017년 10월 26일자 수정]

곧 [노아] 의인(義人)과 함께 함인데(同, 주: 한한대사전, 권2, 제1193쪽)(2,16)

[이상, 2017년 10월 26일자 수정 끝]

 

17 居七從八       거칠종팔         가족 일곱 여덟 쌍이 
                                              권속 일곱과 따르던 짐승 여덟 마리
           [노아와 그 아내, 노아의 세 명의 아들들과 그 아내들로 구성된] 8인의 노아의 가족을 뒤쫓아 [정결한 온갖 짐승들] 7쌍을 방개(즉, 방주) 안에 머무르게 하였으니(2,17)

 

[2017년 10월 26일자 수정]

[노아와 그 아내, 노아의 세 명의 아들들과 그 아내들로 구성된] 8인의 노아의 가족과 이들을 뒤쫓는 [정결한 짐승들] 7쌍을 방개(즉, 방주) 안에 머무르게 하였으니(2,17)

[이상, 2017년 10월 26일자 수정 끝] 

 

18 各拉入門       각랍입문         각기 따라 들어갔네 
                                              각각 데리고 문으로 들어갔다오
                             각각은 문 안쪽으로 끌려서 들어갔네(2,18)

 

[2017년 10월 26일자 수정]

[이 짐승들] 각각은 문 안쪽으로 이끌려(拉) 들어갔네(入)(2,18)

[이상, 2017년 10월 26일자 수정 끝]
 
右節記, 世人之犯禁, 墮惡殘殺, 貪暴造孼日深, 所以洪水橫行,
우절기, 세인지범금, 타악잔살, 탐폭조얼일심, 소이홍수횡행,
  上主賓惡其汚穢也. 非有義人, 則人類幾絶滅矣.
상주빈오기오예야, 비유의인, 즉인류기절멸의.


  尼, 暱也. 僕謂, 挪亞也. 方蓋, 方舟也. 居入者, 挪亞卷屬共有入人,
니, 닐야. 복위, 나아야. 방개, 방주야. 거입자, 나아권속공유입인,
從八者, 所有携潔畜牝牡各八也.
종팔자, 소유휴결축빈모각팔야.

윗절은 세상 사람들이 상주의 금령을 범하여 악으로 빠져 들어가 잔인, 살상, 탐욕, 포악하여 죄를 짓는 일이 날로 깊어가므로 큰 홍수가 일어나 사방을 횡행하였는데 이는 상주께서 그 더러움을 미워하신 때문이었으며, 만약 이때 의인이 아니었다면 인류가 완전히 전멸하였을 것을 기록한 것이다.


니(尼)란 닐(暱)을 말하며, 종이란 노아를 말하고, 방개란 방주를 말한다. 거입자(居入者)란 노아와 함께 들어가서 거처하게 된 가족 일곱 명을 말하며, 종팔자(從八者)란 그들이 각각 소유하고 있던 깨끗한 짐승이 암수 여덟임을 말한다.(*)

 

-----
(*) 게시자 주:  이 각주는 성경 내용에 어긋나는 명백한 오류(error)의 각주이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09.htm

-----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성교요지 2,1-4: 창세기 4,1-8; 지혜서 10,3;
성교요지 2,5-8: 창세기 6,5-6
성교요지 2,9-18: 창세기 6,7-8,19; 지혜서 10,4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화합 복음서의 한 종류와 구약 성경 내용이 담긴 한문본 천주교 교리서 출처들


성교요지 2,1: "아백"
의 출처가 쥬리오 아레니 신부님(1582-1649년)의 1640년에 저술된 한문본 저서인 "천주강생인의"주니오르 디아스 신부님(1574-1659년)의 저서인 "천주강생성경직해"임 을 밝히는 글은 다음의 주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69.htm 


성교요지 2,2:
"양제신심"에서, "신심"의 출처가 "천주실의"임은 이미 다들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양제"의 출처가 쥬리오 아레니 신부님(1582-1649년)의 1635년에 초간된 한문본 저서인, 화합 복음서의 한 종류인, "천주강생언행기략"임을 밝히는 글은 다음의 주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11.htm 


성교요지 2,15: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할 때에,이벽 성조께서는, 판토하 신부님(1571-1618년)"인류원시",에서 "1독상하3층(一櫝上下三層)"에 대한 설명과 쥬리오 아레니 신부님(1582-1649년)"천주강생인의_상권_제2장_인익죄악_천주강벌수계_11-12 "에서 "대독여항(大櫝如航)"에 대한 설명을 전후 문맥 안에서 읽고서, 대우(大雨)/대홍수에도 가라앉지 않았던 "바로 이 독(櫝)"에는 [마치 요즈음의 교회(Church)의 지붕처럼] 반드시 뚜껑/덮개가 또한 있었을 것이 분명하므로, "이 독"을 뚜껑/덮개가 있는 큰 배로서 인지한 후에, 고사성어(故事成語) "저원[, 출처: 氏家), 저자: 안지추(顔之推, 520-590년)]" (바닥이 네모난 그릇에 둥근 뚜껑)와 "방개[方蓋 (<---- 클릭하여 꼭 확인하라), 고관(高官)이 타는 수레]" 등으로부터 "방개(方蓋)(바닥이 네모난 그릇에 뚜껑) 형태의 큰 배(航)"를 상상하였고(imagine), 그리고 "바로 이 배"를, "성교요지"의 작문 시에, "방개(方蓋, 조각(彫刻)을 한 네모진 덮개)"라는 단어를 4자성구 표현을 위한 한 개의 시어(詩語)로서 차용(借用)하여, 표기한 것으로 생각됨.

성교요지 2,16: 방자유전: "덕인", 고금경천감 상권 제39절, 753, p.53 in pdf: 

 

(고금경천감 상권 제39절 에서 발췌 시작)
凡人或自始至於終為善;或先不善,然後悔悟,而終為善者。皆為敬主,為有,為義人也。終後上主一定憐之,以永年之吉,真福其命。若不終己善,終而有辜,此為不敬主,為無德,不義人也。終後上主一定不憐之,不但絕己永命,亦致至畏之天罰於己躬。即敬主與不敬主,真福真禍之機也。
(이상, 발췌 끝)
 

성교요지 2,17: "거7종8"의 출처가 판토하 신부님(1571-1618년)"방자유전"에 수록된 한문본 저서 "인류원시"임을 밝히는 글은 다음의 주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09.htm 

 

게시자 각주들: 

[내용 추가 일자: 2017년 10월 26일]

(2,1-4; 2,9-18) 위에서 이미 말씀드렸듯이, 이 부분들의 성경 출처들에는 창세기의 해당 절들 뿐만이 아니라 또한 지혜서 10,3-4이 포함되는데, 지혜서에는 다음에 발췌된 바와 같이 서술되고 있습니다. 즉, 노아의 시대에 홍수가 일어났던 이유가 분노와 질투 때문에 동생 아벨을 살해한 불의한 자인 형 카인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info.catholic.or.kr/bible/bbl_read_sori.asp?gubun=old2&code=127&JangNo=10

(발췌 시작)

3 그러나 불의한 자가 분노하며 지혜에게 등을 돌리더니 광분하여 제 동기를 살해한 탓에 죽어 없어지고 말았다. 4 그 사람 때문에 세상이 홍수에 잠기자 지혜는 한 의인을 변변찮은 나뭇조각에 실어서 이끈 끝에 세상을 다시 구하였다.

(이상, 발췌 끝)

[이상, 2017년 10월 26일자 내용 추가 끝]


(2,4)
"及今"는 한자 숙어이다: http://www.zdic.net/c/a/8/13608.htm 

(2,5) "彼"는 "that/this(바로 이들)"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http://www.zdic.net/z/19/js/5F7C.htm

(2,6) - (2,8) 이 부분은, 이벽 성조께서 "칠극""해탐" 부분을 읽고서 작문하였을 것이라는 생각이며, 교리적으로, 아담과 하와가 범한 원죄(original sin)의 결과로서 인류에게 드러난, 소위 말하는,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가 말하는, "cupiditas[cupidity, 즉, 애덕(caritas)의 부재/결여, 즉, 세상이 사랑받게되는 사랑]"에 대한 압축된 서술일 것이다. 이 사랑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을 다루는 글들은 다음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37.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53.htm

(2,9)
(i) 만약에 우리가 "意" 글자의 의미를 "뜻(will)"이라고 해석하면, "아버지의 뜻"은 곧 조물주이신 "하느님의 뜻(God's will, the will of God)"을 말할 것이다. 그런데 바로 이 "하느님의 뜻"의 동사형이, "하느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신다"에서, "사랑하다(to love)"의 의미인데,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정의(definition)를 수용한 이 동사의 그리스도교 신학적 의미는, "우리들에게 있어 [원죄 이전의 상태로] 선(good)의 회복을 의도함"임을 상기하라.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86.htm 

 


[내용 추가 일자: 2016년 10월 25일] 

그런데 문제는, 바로 이 "하느님의 뜻(God's will, the will of God)"은, 그 영원성 및 항구성 때문에, 변하거나 달라질 수 있는 바가 결코 아니므로, 여기서의 전후 문맥 안에서 "父意非昔"라는 압축된 4자성구 표현을, 예를 들어, "아버지 뜻 옛날과 달라져"로 번역하는 것은, 그리스도교 교리적으로, 특히 2차 번역 중에 발생하는번역 오류라 아니 할 수 없다.

 

(ii) 다른 한편으로, "意" 글자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漢典" 등에 주어진 설명에 의하면, "thought(생각)", "idea(관념)", "opinion(견해)"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http://www.zdic.net/z/19/js/610F.htm <---- 클릭하여 꼭 확인하라 [주: "漢典"].

http://ctext.org/dictionary.pl?if=en&char=%E6%84%8F <---- 클릭하여 꼭 확인하라[주: http://ctext.org 제공의 "字典(Dictionary)", 특히 이 "자전" 제공의 "意" 글자의 용례들을 또한 검토하라].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의 제2-2-2항에 발췌된, "새 번역 성경" 창세기 6,6에서 사용되고 있는 "하느님의 후회"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에 따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94.htm <----- 필독 권고


(창세기 6,6에서 언급되는 "하느님의 후회"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 발췌 시작)
같은 표현이 1사무 15,11에도 나온다. 성경 저자는 하느님을 마치 인간과 같은 존재로 묘사함으로써 인간의 자유 앞에서 하느님께서 겪으시는 어려움을 표현하려 한다. 성경은 여러 곳에서,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선을 위하여 악을 겨냥해서 당신의 생각을 바꿀 수 있는 분임을 강조한다(요나 3,10 참조 <--- 또한 클릭하여 꼭 참조하라).
(이상, 발췌 끝)

 

(iii) 따라서, 여기서의 전후 문맥 안에서 "父意非昔"라는 표현은, "새 번역 성경"의 창세가 6,6에서의 "하느님의 후회"에 대한, 교리적으로 문제가 없는, "주석 성경"의 주석에 따라"이러한 구악(舊惡)들에 대한 아버지의 생각(意, thought)이 바뀌어져"로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2016년 10월 25일자 내용 추가 끝]


(2,10)
전후 문멕 안에서, 여기서의 "종(servant)""노아(Noah)"를 말하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2,9) - (2,18) 여기에 있는 내용은 판토하 신부님(1571-1618년)"방자유전"에 수록된 한문본 저서 "인류원시"에 서술된 내용의 요약일 것이다.

 

[내용 추가 일자: 2016년 10월 16일] 

(2,16)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방대한 분략의 한문 문헌들 중에서의 이 글자 "同"의 용례들을 접할 수 있다:

http://ctext.org/dictionary.pl?if=en&char=%E5%90%8C

[이상, 2016년 10월 16일자 내용 추가 끝]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207 2

추천

Sun_T_SOH,방주,방개,조선의방개,조선의건고,악학궤범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