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9,1-24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1-09 ㅣ No.1748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48.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아래의 각 절의 우리말 번역문들에서 세 번째 번역문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졸번역입니다. 

 

제 9 장   예수님의 선교(*0)

 

 1 乘驢歡樂(9,1)       승려환락         나귀 타고 다니시며

                             나귀 타고 즐거워하며 / 나귀 타고 즐겁게 돌아다니시며 
  나귀에 오름(乘驢)을 기뻐하고 즐거워하여 / (2017.12.27) 나귀 타고 다님을 기뻐하고 즐거워하며

 

[2017년 12월 27일] 

주 9-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乘驢 은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 (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 (즉, 5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9%98%E9%A9%A2 2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9%98%E9%A9%A2 5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乘驢 가 한 개의 단어로 사용되는 시어(詩語)가 아님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key=%e4%b9%98%e9%a9%b4&st=3

 

주 9-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歡樂 은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 (즉, 2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 (즉, 12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D%A1%E6%A8%82 2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AD%A1%E6%A8%82 126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단어로 사용되는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key=%e6%ac%a2%e4%b9%90&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이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940DF5ED16B679D9EE9AB2B72FCB4AA&cult=TW&bv=1

(발췌 시작)

歡樂

 

    【1】快樂。{宋}{吳曾}《能改齋漫錄·事始二》:“{唐太宗}亦以降誕日﹐謂{長孫無忌}曰:‘今日是朕生日﹐世俗皆爲歡樂﹐在朕翻成感傷。’”{曹禺}《王昭君》第三幕:“我來﹐是為了兩家百姓的歡樂。”《莊子·漁父》:“飲酒則歡樂﹐處喪則悲哀。”{唐}{顧況}《棄婦詞》:“家家盡歡樂﹐賤妾空自憐。”

(이상, 발췌 끝)


 2 總集智愚       총집지우         현자 우자 모으시고

                                          똑똑한 사람이나 어리석은 사람 모두 모아 

     현자와 우자 모두 모아 / (2017.12.27) 지혜로운 자 와 어리석은 자(智愚) 한 곳으로 모아(總集)

 

주 9-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總集 은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 (즉, 2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8%BD%E9%9B%86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8%BD%E9%9B%86 2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단어로 사용되는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이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4DB97B66EBB67B3FFA22D58BD99E01A&cult=TW&bv=1

(발췌 시작0

總集

 

    【1】猶聚集, 集合。《南史·沈恪傳》:“以{嶺}南勳﹐除員外散騎侍郎。仍令總集宗從子弟。”【2】指匯集許多人的作品而成的詩文集。《隋書·經籍志四》:“總集者﹐以{建安}之後﹐辭賦轉繁﹐衆家之集﹐日以滋廣﹐{晉}代{摯虞}﹐苦覽者之勞倦﹐於是採摘孔翠﹐芟剪繁蕪﹐自詩賦下﹐各爲條貫﹐合而編之﹐謂爲《流別》。是後文集總鈔﹐作者繼軌。屬辭之士﹐以爲覃奧而取則焉。”{馬其昶}《<桐城古文集略>序》:“總集蓋源於《尚書》﹑《詩》三百篇﹐洎{王逸}《楚詞》﹑{摯虞}《流別》後﹐日興紛出﹐其義例可得而言。”{清}{龔自珍}《<自晉迄隋石刻文錄>序》:“何所據?據史。又何所據?總集﹑別集。”

(이상, 발췌 끝)

 

주 9-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智愚 은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 (즉, 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 (즉, 1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9%BA%E6%84%9A 7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9%BA%E6%84%9A 1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key=%e6%99%ba%e6%84%9a&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이 단어의 도치인, 愚智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044CDD3E23B6F7FD79EA928CA29A91D&cult=TW&bv=1

(발췌 시작)

愚智

 

    亦作“[愚知]”【1】愚笨與聰明。{宋}{歐陽修}《送吳生南歸》詩:“衆人爲不善﹐積微成滅身;君子能自知﹐改過不逡巡。唯於斯二者﹐愚智遂以分。”{北齊}{顏之推}《顏氏家訓·風操》:“{江}南風俗﹐兒生一期……男則用弓矢紙筆﹐女則刀尺鍼縷﹐並加飲食之物及珍寳服玩﹐置之兒前﹐觀其發意所取﹐以驗貪廉﹑愚智﹐名之謂試兒。”【2】謂似智而實愚。《西游補》第七回:“{項羽}道:‘美人﹐人要辨個智愚﹑愚智。{始皇}的智是個愚智。’”【3】愚者與智者。{明}{胡震亨}《唐音癸籤·談叢二》:“言國運且衰﹐旦夕有愚智同盡之禍也。”《呂氏春秋·勿躬》:“蒙厚純樸﹐以事其上。若此﹐則工拙﹑愚智﹑勇懼可得以故易官。易官﹐則各當其任矣。”《莊子·在宥》:“愚知相欺﹐善否相非。”{北魏}{楊衒之}《洛陽伽藍記·永寧寺》:“且{尒朱榮}不臣之跡﹐暴於旁午﹐謀{魏}社稷﹐愚智同見。”

(이상, 발췌 끝)


 3 條誡張布       조계장포         교리 계율 펼치시니

                                          조율과 계명 널리 펼치며
     조율과 계명을 널리 펼치시니 / (2017.12.27) 조리(條理)와 계명(誡命)을 널리 펼치시니

 

주 9-3-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條誡 은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사용되지 않았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2%9D%E8%AA%A1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A2%9D%E8%AA%A1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단어가 한 개의 시어(詩語)가 아님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

 

주 9-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張布 은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 (즉, 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 (즉, 3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C%B5%E5%B8%83 3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C%B5%E5%B8%83 36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단어가 한 개의 시어(詩語)가 아님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이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6A0846DC1AA7E5E770014F90D9DC28F&cult=TW&bv=1

(발췌 시작)

張布

 

    【1】張貼公布。{清}{俞樾}《<余蓮村勸善雜劇>序》:“官府教令﹐張布於通衢﹐不如院本﹑平話之移人速也。”

(이상, 발췌 끝)


 4 宰治(9,4)       재치오         하늘 나라 내게 있네 
                                          다스림은 내게 달렸도다 하셨네
  다스림을 주관함(宰治)은 내게 속한다 하셨네 / (2017.12.27) 맡아서 주관함(宰治)은 내게 속한다(, belong to) 하셨네

 

[2017년 12월 27일]

주 9-4-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宰治 은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 (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 (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E%B0%E6%B2%BB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E%B0%E6%B2%BB 1

 

그리고 이 단어는 마태오 리치 신부님의 한문본 책인 "기인10편"줄리오 알레니 신부님만물진원 등에서 사용되었음:

http://ctext.org/wiki.pl?if=en&res=804348&searchu=%E5%AE%B0%E6%B2%BB

만물진원_제8장_논천지만물주재섭치지_26-28 [(2017년 1월 10일) 주: 제18쪽 왼쪽면 제4줄에 "재치(宰治)"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음.]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82-1649_쥬리오_아레니/1628_만물진원.htm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단어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aspx?type=poem1&id=587104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이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6A21172A5F7E30FA2237DCA8D1BB162&cult=TW&bv=1

(발췌 시작)

宰治

 

    【1】掌管;治理。《漢書·王莽傳上》:“公({王莽})又有宰治之效﹐乃當上與{伯禹}﹑{周公}等盛齊隆。”{太平天囯}{洪仁玕}《英杰歸真》:“荷蒙天父﹑天兄大開天恩﹐親命我真聖主降凡宰治天下。”

(이상, 발췌 끝)


 5 攻擊違逆       공격위역         교만한 자 물리치고

                                          어긋나고 거스리는 자 물리치며
   어긋나고 거스리는 자 물리치며 / (2017.12.27) 불순종(違逆)을 말로써 심하게 논박하며(攻擊)

 

주 9-5-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攻擊 은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 (즉, 4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 (즉, 10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4%BB%E6%93%8A 49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4%BB%E6%93%8A 10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단어인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이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683FCD043A07B9CC3C5041366171005&cult=TW&bv=1

(발췌 시작)

攻擊

 

    【1】進攻打擊。{劉白羽}《火光在前》第十章:“師決定派出一個團到敵人側后方協同兄弟部隊一部份進行攻擊。”《史記·秦始皇本紀》:“{周}{文武}所封子弟同姓甚衆﹐然後屬疏遠﹐相攻擊如仇讎。”{唐}{武元衡}《塞下曲》:“白露溼鐵衣﹐半夜待攻擊。”【2】猶碰擊。{前蜀}{貫休}《冬末病中作》詩之二:“胸中有一物﹐旅拒復攻擊﹐向下還上來﹐唯疑是肺石。”【3】惡意指摘。{巴金}《寒夜》十八:“為什么這兩個他所愛而又愛他的女人必須像仇敵似地永遠互相攻擊呢?”{清}{周亮工}《書影》卷三:“不待{章蔡}復用﹐諸賢固已自相攻擊而去矣。”《後漢書·賈逵傳》:“諸儒內懷不服﹐相與排之……從是攻擊《左氏》﹐遂爲重讎。”

(이상, 발췌 끝)

 

주 9-5-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違逆 은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 (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 (즉, 1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1%95%E9%80%86 2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1%95%E9%80%86 1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단어인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이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4&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0C418BB857495A6CA1FC1D3FBB92EB4&cult=TW&bv=1

(발췌 시작)

違逆

 

    【1】違抗;不遵從。《東觀漢記·明德馬皇后傳》:“今遭變異﹐穀價數倍﹐憂惶晝夜﹐不安坐臥﹐而欲封爵﹐違逆慈母之拳拳。”《三國演義》第五五回:“{吳侯}乃大孝之人﹐怎敢違逆母言?”{康有為}《大同書》戊部第七章:“以言防則不能防之﹐而徒有虛名﹐致遏閼人權﹐違逆天理。”

(이상, 발췌 끝)


 6 常聚俊英       상취준영         여러 인물 모으시니

                      항상 준재와 영재 모아놓고 (2017.01.21: 준수하고 영특한 이 모아두고)

준걸(俊傑)과 영웅(英雄) 항상 모아놓고 / (2017.12.27) 재능이 출중한 자(俊英)들 항상 모아 놓고

 

주 9-6-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常聚 은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 (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 (즉, 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8%B8%E8%81%9A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8%B8%E8%81%9A 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시어(詩語)가 아님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

 

주 9-6-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俊英 은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 (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 (즉, 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F%8A%E8%8B%B1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F%8A%E8%8B%B1 3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단어인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key=%e4%bf%8a%e8%8b%b1&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이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558342394DF6506DAC1B8050CD3129B&cult=TW&bv=1

(발췌 시작)

俊英

 

    【1】才能出眾的人。{宋}{范成大}《但能之提刑相別十年自曲江遠寄二詩敘舊良厚次韻為謝》之一:“憶昔驂鸞識俊英﹐朱旛繡斧盡能名。”{三國} {魏}{曹丕}《弟蒼舒誄》:“猗歟公子﹐終然允臧。宜逢介祉﹐以永無疆。如何昊天﹐彫斯俊英?”{清}{陳夢雷}《贈秘書黨道弘五十韻》:“廟略資神武﹐軍諮待俊英。”【2】才能杰出。{清}{唐孫華}《挽張覲文》詩之一:“兄弟推時譽﹐馳驅並俊英。”{元}{張漢卿}《紅梨花》第二折:“早是他內性兒聰明﹐才調兒清正﹐這兩般消的人欽敬﹐不枉了風流俊英。”

(이상, 발췌 끝)


 7 旨斥氣責(9,7)       지척기책         안일 혈기 책하시며

                                          혈기(血氣)를 꼭 집어내 질책하며
                 맛있는 음식() 물리치라() 하시고 혈기() 꾸짖으시며()

 

주 9-7-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旨斥 은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사용되지 않았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7%A8%E6%96%A5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7%A8%E6%96%A5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시어(詩語)가 아님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 

 

주 9-7-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氣責 은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사용되지 않았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0%A3%E8%B2%AC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0%A3%E8%B2%AC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시어(詩語)가 아님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


 8 隱暗畢陳(9,8)      은암필진         감추인 것 드러나네

                                          남몰래 속인 일 모두 진술하라 하셨도다(???)

                 숨은() 어리석음() 마침내() 도와주어 혜택 받게 하셨네()

 

주 9-8-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隱暗 은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 (즉, 7번)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A%B1%E6%9A%97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A%B1%E6%9A%97 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시어(詩語)가 아님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key=%e9%9a%90%e6%9a%97&st=3

 

주 9-8-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畢陳 은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 (즉, 31번)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5%A2%E9%99%B3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5%A2%E9%99%B3 3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시어(詩語)가 아님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


 9 患遭獄陷(9,9)       환조옥함         투옥됨을 근심하여

                                          투옥될 것 근심하여
                                          모함()에 빠질까/당할까() 염려하여() / 2017.12.27 위험(獄, peril)과 모함()을 만날까(遭, encounter) 염려하여()

 

주 9-9-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患遭 은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사용되지 않았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2%A3%E9%81%AD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2%A3%E9%81%AD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시어(詩語)가 아님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key=%e6%82%a3%e9%81%ad&st=3

https://sou-yun.com/QR.aspx?ct=%e8%ab%ab&c=%e6%82%a3&qtype=2

 

주 9-9-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獄陷 은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사용되지 않았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D%84%E9%99%B7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D%84%E9%99%B7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시어(詩語)가 아님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  

 


10 謀亡沙洲(9,10)       모망사주         사마리아 피하시나

                                          사막으로 피했다가 (2017.01.12: 물가로 피했다가)
                                             갈릴래아 호숫가로 피하시나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C%80%E4%BA%A1 3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C%80%E4%BA%A1 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시어(詩語)가 아님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

 

주 9-10-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沙洲 은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 (즉, 3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2%99%E6%B4%B2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2%99%E6%B4%B2 3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단어인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key=%e6%b2%99%e6%b4%b2&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이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1C23E78D29F665197A40AAB951153F1&cult=TW&bv=1

(발췌 시작)

沙洲

 

    亦作“[沙州]”【1】江河海里泥沙淤積而成的大片陸地。{唐}{劉禹錫}《和滑州李尚書上巳憶江南禊事》:“{白馬津}頭春日遲﹐沙州歸雁拂旌旗。”{清}{王恕}《牧牛詞》:“春風著物百草長﹐驅牛嚙草來沙洲。”{北周}{庾信}《同會河陽公新造山池聊得寓目》詩:“沙州聚亂荻﹐洞口礙橫松。”《新華月報》1979年第3期:“當時我們完成了{玉龍島}一帶的島嶼地形和海洋水深測量任務﹐就剩下一些比較麻煩的沙洲和淺灘。”{南朝} {梁}{沈約}《登臺望秋月》詩:“寒階悲寡鶴﹐沙洲怨別鴻。”

(이상, 발췌 끝)


11 統轄的裔(9,11)       통할적예         백성들을 통괄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을 통괄하였으니 (2017.1.21: 적예를 통괄하였으니)(??? 추후 논의하기로 함)
                            모두 거느려서 관할하시는 다윗의 [적확(的確)한] 자손께서

[2018년 5월 16일자 수정] 모두 거느려서 관할하시는 [다윗의] 적통(嫡統) 자손(子孫)께서 [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13.htm , 제3-5-4-2항 참조]

 

주 9-1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統轄 은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 (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5%B1%E8%BD%84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5%B1%E8%BD%84 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단어인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79168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이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322B0321A404280B21EC16A29BDB4DC&cult=TW&bv=1

(발췌 시작)

統轄

 

    【1】管轄。{劉半農}《詩人的修養》:“對於後世一切思想與狀況﹐有控御統轄之權。”{清}{侯方域}《豫省試策》之三:“涖政之司﹐非屏氣折腰之地也。統轄所及者而頤之指之。”

(이상, 발췌 끝)

 

주 9-1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的裔 은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사용되지 않았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A%84%E8%A3%94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A%84%E8%A3%94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시어(詩語)가 아님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的確이 한 개의 단어인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aspx?type=poem1&id=60722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的確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FA66AB9077CC95B17C0D2CE926BC900&cult=TW&bv=1

(발췌 시작)

的確

 

    【1】真實;確實;實在。{浩然}《艷陽天》第一一一章:“早一步來到打麥場上的人﹐的確都在慌亂里。”《初刻拍案驚奇》卷二一:“那個人見是個小廝﹐又且説話的確﹐做事慷慨。”《儒林外史》第三十回:“{杜慎卿}回來﹐向{季葦蕭}道:‘他一見我偏生有這些惡談﹐卻虧他訪得的確。’”{宋}{司馬光}《申明役法札子》:“若舊法人數有於今日不可行者﹐即是妨礙﹐合申改更。人數或太多﹐或太少﹐惟本州縣知得的確。”{元}{劉塤}《敖器之詩評》:“{熬公}﹐{福州}人﹐有詩名﹐仕至安撫司參議官.{後邨}{劉尚書}志其墓﹐今觀其評﹐的確峻陗。”

(이상, 발췌 끝)


12 征途遍周       정도편주         여러 마을 포교하네

                           다니신 길 널리 펼쳐졌도다 (2017,01.21: 먼 곳까지 두루 다니셨도다)
                           다니신 길 널리 펼쳐졌도다 (2017,01.21: 먼 곳까지 두루 다니셨도다) 

 

주 9-1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征途 은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 (즉, 39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E%81%E9%80%94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E%81%E9%80%94 3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단어인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key=%e5%be%81%e9%80%94&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이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DDDD67952678A007418E62F7FA85F1F&cult=TW&bv=1

(발췌 시작)

征途

 

    亦作“[征塗]”【1】行軍路上;出征之路途。{陳毅}《過微山湖》詩:“橫越{江}{淮}七百里﹐{微山湖}色慰征途。”{北魏}{酈道元}《水經注·穀水》:“{緣生}從戍行旅征途訊訪﹐既非舊土﹐故無所究。”{{張鼎丞}{鄧子恢}{譚震林}}《閩西三年游擊戰爭》:“{閩}西人民的子弟兵﹐終于實現了開赴前線抗日的夙愿……揮淚高歌﹐踏上了新的征途。”【2】遠行的路途;行程。{唐}{杜甫}《龍門》詩:“往來時屢改﹐川陸日悠哉!相閲征塗上﹐生涯盡幾迴。”{清}{陳裴之}《香畹樓憶語》:“伏雨闌風﹐征途迢滯。”{宋}{柳永}《鵲橋仙》詞:“屆征途﹐攜書劍﹐迢迢匹馬東去。”{南朝} {陳}{徐陵}《秋日別庾正員》詩:“征途愁轉旆﹐連騎慘停鑣。”

(이상, 발췌 끝)

 

주 9-1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遍周 은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 (즉, 39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1%8D%E5%91%A8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1%8D%E5%91%A8 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표현이 한 개의 단어인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om/QueryPoem.aspx?key=%e9%81%8d%e5%91%a8&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이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4&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9EE1974158E35912099E716C4EB33D6&cult=TW&bv=1

(발췌 시작)

遍周

 

    【1】猶周遍。《西游記》第五七回:“好菩薩﹐端坐蓮臺﹐運心三界﹐慧眼遙觀遍周宇宙。”

(이상, 발췌 끝)


13 花嫩易敗       화눈이패         꽃은 쉽게 떨어져도

                          예쁜 꽃은 쉽게 떨어져도 (2017.01.21: 꽃은 고우나 쉽게 떨어져도)
                         꽃은 쉽게 떨어져도 (2017.01.21: 꽃은 고우나 쉽게 떨어져도)


14 麥掃定留       맥소정류         보리알은 싹을 내고

                 보리알은 묻혀서 오래 머무나니(2017.01.21: 밀알은 묻혀서 반드시 자라나니)
   보리알은 묻혀서 안정적으로(定) 자라나니(留) / 2017.12.27 보리알은 묻히면 반드시(定) 자라나니(留)


15 類鳥獸       류조수         새와 짐승 무리들은

                                           인류는 날짐승이나 들짐승과 달라
                                           인류(類)는 날짐승들 들짐승들과 상반되게


16 穀養弗       곡양불우         곡식 걱정 하지 않네

                곡식 심으면 걱정할 일 없도다 가르치셨네 (2017.01.21: 곡식 기르면 걱정할 일 없도다 가르치셨네)
                                           곡식 기르는 것 걱정할 일 없네 


17 失懼災絶       실구재절         재난 공포 사라지나

                                           그러면 두려움 사라지고 재난 끊어지는 법인데
                               [그래서] 두려움은 떠나가고 재앙이 끊어졌으나


18 好甲亂俱       호갑란구         싸우기를 좋아하며

                                           싸우기를 좋아하며 난세(亂世)를 이루니
                                           싸우기를 좋아하여 난세(亂世)를 이루니


19 仇怒(*)       구노소거         미움 분노 있는 곳에

                                           원수와 분노 웅크린 곳에 (???)
                                           원수(仇)와 분노(怒) 있는 곳에

 

[내용 주가 일자: 2019년 7월 16일]

원수(仇)가 분노(怒)하고 재물()이 있는 곳(據)에

 

-----

(*) 번역자 주: 지금까지 "所"로 판독한 것은 판독 오류임. "좌수본"에서의 대응하는 낱글자는 ""이며,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고문서서체용례사전"에서 ""를 표제한자에서 입력하여 검색하면, "만천유고본"에서 사용된 낱글자가 ""의 행서/초서임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

http://kostma.aks.ac.kr/segment/segmentList.aspx 

-----

[이상, 2019년 7월 16일자 내용 추가 끝]


20 兵奪車驅       병탈거구         전쟁 약탈 휩쓸리라

                                           전쟁과 약탈로 전차가 내달리누나
                                           병사(兵)가 약탈하고 전차(戰車)가 내달리누나


21 孰忘足畏       숙망족외         누가 공포 잊겠는가

                        어찌 두려움을 잊었는가 (2017.01.21: 어찌 두려워할 줄 잊었는가, Kim)
                                           누군들 보태진(足) 두려움을 잊겠는가


22 頓害體魂       돈해체혼         영혼 육체 해치나니

                             영혼과 육체 곧장 해치나니 (2017.01.21: 영혼과 육체 곧 해치나니)
              [그러한 행위는] 영혼과 육체 해치나니 (2017.01.21: 영혼과 육체 곧 해치나니)


23 該恃庇釋       해시비석         사람들아 현자 믿어

       사람들아 현자(賢者)의 비호와 용서를 믿고 (2017.01.21: 마땅히 비호와 용서를 믿고)
                                                  ???


24 藉謝恩仁       자사은인         사랑 은혜 감사하세

                                           그 사랑과 은혜에 감사할지라
                                           은혜(恩惠)와 사랑(仁愛)에 감사하세

 


右節記, 耶穌宣道之時, 多言譬喩以敎人也.
우절기, 야소선도지시, 다언비유이교인야.


獄, 訟也. 悖敎者謀訟, 耶穌避去也.
옥, 송야. 패교자모송, 야소피거야.


的裔, 以色列之民也(*). 嫩, 嬌好之類也. 好甲, 猶好兵也.
적예, 이색열지민야. 눈, 교호지류야. 호갑, 유호병야.

 

윗절은 예수님께서 선교하실 때에 많은 말씀과 비유로써 사람들을 깨우치고 가르침을 기록한 것이다.


옥(獄)은 송사를 말한다. 가르침을 거스리는 자들이 예수님을 모함하여 송사를 꾀했으나 예수님께서 이를 피하신 것이다.


적예(的裔)란 이스라엘 백성이고(*) 눈(嫩)은 어여쁜 것을 말한다. 호갑(好甲)은 오히려 싸우기 좋아함을 말한다. 

 

-----

(*) 게시자 주: (판단 오류) "이스라엘"을 "이색열(以色列)"로 음역한 것은, 중국 본토에서 1814년에 초간된 것으로 알려진 개신교 측 목회자인 로버트 모리슨의 신약 성경 마태오 2,6에서는 "以色列(이색열)"로 표기가 되지 않았으나1853년에 출판된 개신교 측 신약 성경 마태오 2,6에서는 "以色列(이색열)"로 표기가 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왜냐하면 이벽 성조(1754-1785년)가 이 음역 단어를 전혀 알지 못하였기 때문에, 성교요지 본문을 우리말로 번역할 때에, 이 각주에 근거하여, "적예""이스라엘 백성"으로 번역하는 의역 번역(free translation)을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쥬리오 아레니 신부님(1582-1649년)1628년에 초간된 저술인, 

만물진원_제8장_논천지만물주재섭치지_26-28 [(2017년 1월 10일) 주: 제18쪽 왼쪽면 제4줄에 "재치(宰治)"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음.]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82-1649_쥬리오_아레니/1628_만물진원.htm  

 

쥬리오 아레니 신부님(1582-1649년)1635년에 초간된 저술인, 

천주강생언행기략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82-1649_쥬리오_아레니/1635_천주강생언행기략.htm  

 

게시자 각주들: 

 

(9,1) "乘驢(승려)"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한국고전종합DB 검색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FD&url=/itkcdb/text/searchAllTotalListIframe.jsp%3Fstartdate=%26enddate=%26setidlist=nOnE%26sugiid=%26suginame=%26dbname=%26gunchaid=%26gunchaname=%26muncheid=%26munchename=%26upperSugiNo=%26chkInDirectory=%26searchInResult=%26chkInjipsu=%26paramSerise=%26bizName=FD%26url=%252Fitkcdb%252Ftext%252FsearchAllListIframe.jsp%26searchSaveChk=Y%26sectionname=total%26extOrEqual=0%26keyword=%25E4%25B9%2598%25E9%25A9%25A2 

 

(9,4) "宰治(재치)"는 한 개의 차용 번역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는 생각임. 다음에 접속하면, 용례를 확인할 수 있음:

 

만물진원_제8장_논천지만물주재섭치지_26-28 [(2017년 1월 10일) 주: 제18쪽 왼쪽면 제4줄에 "재치(宰治)"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음.]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82-1649_쥬리오_아레니/1628_만물진원.htm  

 

그러나, 다음의 한국고전종함DB에서 "宰治"에를 검색하면 오로지 12번만 검색되믄, 이 단어가 한문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되어온 한 개의 시어(詩語) 혹은 관용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FD&url=/itkcdb/text/searchAllTotalListIframe.jsp%3Fstartdate=%26enddate=%26setidlist=nOnE%26sugiid=%26suginame=%26dbname=%26gunchaid=%26gunchaname=%26muncheid=%26munchename=%26upperSugiNo=%26chkInDirectory=%26searchInResult=%26chkInjipsu=%26paramSerise=%26bizName=FD%26url=%252Fitkcdb%252Ftext%252FsearchAllListIframe.jsp%26searchSaveChk=Y%26sectionname=total%26extOrEqual=0%26keyword=%25E5%25AE%25B0%25E6%25B2%25BB

 

그리고 이 단어가 한 개의 시어(詩語) 혹은 관용어아님은, 방대한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검색 결과돌로부터 또한 확인할 수 있다: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E%B0%E6%B2%BB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E%B0%E6%B2%BB 

 

(9,9) 신약 네 복음서 어디에서 예수님께서 투독될 것을 염려하면서 공생활을 하셨다는 내용은 없으며,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예수님께서 여러 번에 걸쳐 모함에 빠질뻔하였던 경우들과 몸을 피하셨던 경우들은 기록되어 있으므로, 전후 문맥 안에서, "모함에 빠질까/당할까(遭) 염려하여"로 번역하였다.

 

(9,10) "沙洲(사주)""갈릴래아 해변"을 나타내는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글에서 다루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17.htm

 

(9,11)  "的裔(적예)"가, 세속의 한문 시(詩)들에서 사용되는 한 개의 시어(詩語)아니고, "적확한 자손"을 의미함은 다음의 글에서 다루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18.htm

 

바로 위의 주소에 있는 글에서, (i) 한문 각주들의 저술 연대는 본문의 저술 연대보다 훨씬 뒤임은 이미 입증되었기에, 그리고 특히 (ii) "이색열"이 분명한 개신교 용어이기 때문에, "的裔"를 "이스라엘 자손"으로 해석한 한문 각주의 견해를 존중하지 않았음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596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