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욕구(appetite)와 욕망(desire)의 차이점 969_토미즘학습

인쇄

. [218.55.90.*]

2014-11-29 ㅣ No.1592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질문 1: 차용(借用) 번역 용어들이 아니라, 우리말 단어들로서의 "욕구(欲求/慾求)" 라는 단어가 나타내는 개념과 "욕망(欲望/慾望)" 이라는 단어가 나타내는 개념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요?

 

질문 2: 영어로 "appetite" 로 번역되는 단어와 영어로 "desire" 로 번역되는 단어는, 각각, 우리말 단어 무엇으로 번역되어야 할까요? 

 

질문 3: 그렇다면,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서  "욕구(欲求/慾求)" "욕망(欲望/慾望)" 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요?

 

1. 들어가면서

1-1. 다음은 "표준국어대사전" 에 주어진 "욕구(欲求/慾求)" 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124.137.201.223/search/List_dic.jsp

(발췌 시작)

욕구(欲求/慾求)

명사
무엇을 얻거나 무슨 일을 하고자 바라는 일.

(이상, 발췌 끝)

 

1-2. 다음은 "표준국어대사전" 에 주어진 "욕망(欲望/慾望)" 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124.137.201.223/search/List_dic.jsp

(발췌 시작)

욕망(欲望/慾望)

명사
부족을 느껴 무엇을 가지거나 누리고자 탐함. 또는 그런 마음.

(이상, 발췌 끝)

 

1-3. (질문 1에 대한 답변)

위의 제1-1항제1-2항에 발췌된 "표준국어대사전" 에 주어진 이들 단어들에 대한 설몀에 의하면, 이들 단어들이 나타내는 개념들 사이의 차이점을 제대로 알 수 없다는 생각입니다.

 

2.

질문 2: 영어로 "appetite" 로 번역되는 단어와 영어로 "desire" 로 번역되는 단어는, 각각, 우리말 단어 무엇으로 번역되어야 할까요? 

 

우선적으로, 영한 사전을 들여다 보겠습니다.

 

2-1. 다음은 네이버 영한 사전에 주어진 "appetite" 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endic2009.naver.com/endic.nhn?docid=57090&rd=s [appetite]

(발췌 시작)

appetite

〔L 「찾다」의 뜻에서〕 n.
1 식욕
   A good appetite is a good sauce. 《속담》 시장이 반찬이다.
2 (생리적·정신적) 욕망(desire), 욕구;좋아함 《for》
   carnal[sexual] appetite 성욕

(이상, 발췌 끝)

 

2-2. 다음은 네이버 영한 사전에 주어진 "desire"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endic2009.naver.com/endic.nhn?docid=313500&rd=s [desire]

(발췌 시작)

desire

L 「별에서 (대망(待望)하다)」의 뜻에서〕 vt.
1 몹시 바라다, 욕구하다;원하다, 희망하다(⇒ want [유의어])
   We all desire success. 우리는 모두 성공을 바란다.
   《desire+to do》 We desire to be happy. 우리는 행복하여지기를 바란다.
   《desire+목+to do》 I desire you to go at once. 나는 네가 곧 가 주기를 바란다.
   《desire+that 절》 《desire+전+명+that 절》 She desired (of them) that the letters (should) be burnt after her death. 그녀는 (그들에게) 자기의 사후에 편지를 모두 태워주기를 바랐다. ★ should가 생략되는 것은 주로 미식 용법.
2 요구[요망]하다, 원하다
   《desire+that 절》 I desire that action (should) be postponed. 의결이 연기되기를 요망합니다. ★ 《구어》에서는 should를 잘 쓰지 않음.
3 <이성(異性)에> 욕정을 품다

(이상, 발췌 끝)

 

2-3. (질문 2에 대한 답변)

위의 제2-1항제2-2항에 발췌된 네이버 영한 사전의 설명들만으로는, 예를 들어, "욕구" 혹은 "욕망" 이들 둘 중의 어느 단어가  "appetite" 에 대응하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 선택되는 것이 더 적절한지 제대로 알 수 없다는 생각입니다.

 

2-4. 다른 한편으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본문의 많은 조항들에서 이들 두 용어들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음은 다음의 영어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본문에 대한 용어 색인들로부터 알 수 있습니다:

 

1276 appetite
   19 appetites

 

1218 desire
  391 desires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5월 15일]

2-5. 그리고 다음의 파란색 글자들을 클릭하면, 영어본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본문에서, "natural appetite", "sensitive appetite", "rational appetite", "will" 이라는 용어들이 모두 포함된 항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sensitive appetite" "natural appetite"  "rational appetite" "will" "summa theologica" site:newadvent.org

[이상, 내용 추가 끝]


2-6. 또 다른 한편으로,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이들 두 용어들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음은 다음의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 대한 용어 색인들로부터 알 수 있습니다:

 

    5 appetite
    4 appetites

 

   88 desire
   42 desires

3.

질문 3: 그렇다면,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서  "욕구(欲求/慾求)" "욕망(欲望/慾望)" 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요?

 

3-1. (질문 3에 대한 답변 1) 

위의 제1항제2항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심각한 어려움 속에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는, 영어로 "appetite" 로 번역되는 용어는  "욕구(欲求/慾求)" 로 번역하고, 그리고 영어로 "desire" 로 번역되는 용어는 "욕망(欲望/慾望)" 으로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는데, 그 근거는, 그 작성을 완료하는 데에 약110시간이 소요된, 다음의 글[제목: 정(情, passion)]제3-4항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 제3-4항의 게시자 주도 또한 꼭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95_appetite.htm <----- 필독 권고

 

3-2. (질문 3에 대한 답변 2) 

이번 글에서는, 바로 위의 제3-1항에서 말씀드린 바보다 더 자세한 설명을 대단히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appetite(욕구)"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을 함께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본문을 읽고 이해하는 데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는 많아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판단에 따라, 아래의 내용을 전달해 드리게 되었습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1656a.htm 

(발췌 시작)

Appetite

욕구(欲求/慾求, Appetite)

 

(ad, to + petere, to seek)

[어원. ad, to 쪽으로 + petere, to seek 추구(追求)하다]

 

A tendency, an inclination, or direction. As it is used by modern writers, the word appetite has a psychological meaning. It denotes "an organic need represented in consciousness by certain sensations . . . The appetites generally recognized are those of hunger, thirst, and sex; yet the need of air, the need of exercise, and the need of sleep come under the definition." The term appetence or appetency applies not only to organic needs, but also in a general manner to "conations which find satisfaction in some positive state or result"; to "conative tendencies of all sorts". (Baldwin, Dictionary of Philosophy and Psychology, s.v. Appetite, Appetence.) For the schoolmen, appetitus had a far more general signification, which we shall briefly explain. (References are to St. Thomas's works.) Appetite includes all forms of internal inclination (Summa Theol., I-II, Q. viii, a. 1; Quæst. disputatæ, De veritate, Q. xxii, a. 1). It is found in all beings, even in those that are unconscious. The inclination to what is good and suitable, and consequently the aversion to what is evil — for the avoidance of evil is a good — are included in it. It may be directed towards an object that is absent or towards one that is actually present. Finally, in conscious beings, it is not restricted to organic needs or lower tendencies, but extends to the highest and noblest aspirations. Two main kinds of appetite are recognized by the scholastics; one unconscious, or naturalis; the other conscious, or elicitus, subdivided into sensitive and rational. From their very nature, all beings have certain tendencies, affinities, and forms of activity. The term natural appetite includes all these. It means the inclination of a thing to that which is in accord with its nature, without any knowledge of the reason why such a thing is appetible. This tendency originates immediately in the nature of each being, and remotely in God, the author of that nature (Quæst. disp., De veritate, Q. xxv, art. 1). The appetitus elicitus follows knowledge. Knowledge is the possession by the mind of an object in its ideal form, whereas appetite is the tendency towards the thing thus known, but considered in its objective reality (Quæst. disp., De veritate, Q. xxii, a. 10). But as knowledge is of two specifically different kinds, so also is the appetite (Summa Theol., I, Q. lxxx, a. 2). The appetitus sensitivus, also called animalis, follows sense-cognition. It is an essentially organic faculty; its functions are not functions of the soul alone, but of the body also. It tends primarily "to a concrete object which is useful or pleasurable", not to "the reason itself of its appetibility". The appetitus rationalis, or will, is a faculty of the spiritual soul, following intellectual knowledge, tending to the good as such and not primarily to concrete objects. It tends to these in so far as they are known to participate in the abstract and perfect goodness conceived by the intellect (Quæst. disp., De veritate, Q. xxv, a. 1). In the natural and the sensitive appetites there is no freedom. One is necessitated by the laws of nature itself, the other by the sense-apprehension of a concrete thing as pleasant and useful. The will, on the contrary, is not necessitated by any concrete good, because no concrete good fully realizes the concept of perfect goodness which alone can necessarily draw the will. In this is to be found the fundamental reason of the freedom of the will (cf. Quæst. disp., De veritate, Q. xxv, a. 1). The sensitive appetite is divided into appetitus concupiscibilis and appetitus irascibilis, according as its object is apprehended simply as good, useful, or pleasurable, or as being obtainable only with difficulty and by the overcoming of obstacles (Summa Theol., I, Q. lxxxi, a. 5; Q. lxxxii, a. 5; I-II, Q. xxiii, a. 1; Quæst. disp., De veritate, Q. xxv, a. 2). All the manifestations of the sensitive appetite are called passions. In the scholastic terminology this word has not the limited signification in which it is commonly used today. There are six passions for the concupiscible appetite: love and hatred, desire and aversion, joy and sadness; and five for the irascible appetite: hope and despair, courage, fear, and anger (Summa Theol., I-II, Q. xxiii, a. 4).

 

어떤 성향/경향(a tendency), 어떤 기울어짐(an inclination), 혹은 경항(direction)을 말합니다. 현대(modern) 저술가들에 의하여 이 단어가 사용되듯이, 욕구(appetite) 라는 단어는 어떤 심리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단어는 다음을 나타냅니다: "특정한 감각 기능(sensations)들에 의하여 의식 상태에서 표현된 어떤 유기체의 필요성(an organic need). ... 일반적으로 인지되는 욕구들은 배고픔, 갈증, 그리고 성(sex)에 대한 것들이며, 그리고  그것에 더하여(yet) 공기의 필요성, 운동의 필요성, 그리고 수면의 필요성이 이 정의(definition) 아래에서 옵니다."appetence 혹은 appetency 라는 용어는 유기체의 필요성들에뿐만이 아니라 또한 어떤 일반적 방식으로 "어떠한 긍적적인 상태 혹은 결과에서 만족을 발견하는 목적이 있게 행동하는 기울어짐(conations)들" 에 적용됩니다. (Baldwin, Dictionary of Philosophy and Psychology, s.v. Appetite, Appetence.)

 

스콜라 학자(schoolmen)들의 경우에, appetitus 는 어떤 훨씬 더 일반적인 의미(signification)를 가지고 있는데, 이 의미를 우리가 간략하게 설명할 것입니다. [참고 문헌들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저술들입니다]. 욕구(appetite)는 내면의 기울어짐(intenal inclination)의 모든 형상(forms)들을 포함합니다(신학 대전, I-II, Q. viii, a. 1; Quæst. disputatæ, De veritate, Q. xxii, a. 1). 이것은 모든 있음(beings)들에서, 심지어 의식이 없는(unconscious) 것들에서도, 발견됩니다. 선(good)하고 적절한(suitable) 바 쪽으로 기울어짐, 그리고 그 결과로 - 왜냐하면 악(evil)의 회피는 어떤 선(a good)이기 때문에 - 악(evil)인 바에 대한 싫음(aversion)은 이것에 포함됩니다. 이것은 부재(absent)인 어떤 대상을 향하여 혹은 현실태적으로 현존하는(actually present) 어떤 대상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될 수도 있습니다. 끝으로, 의식이 있는 있음들에 있어, 이것은 유기체의 필요성들 혹은 저급의 경향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장 높은 그리고 가장 고상한 열망(aspirations)들에까지 미칩니다(extends to).

 

욕구들의 두 가지의 중요한 종류들이 스콜라 학자들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인지됩니다: (i) 의식이 없는(unconscious) 한 종류, 혹은 naturalis(본성적인 것) 그리고,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sensitive) 것 [즉, 감각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것, 즉,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sentient) 것] 그리고 (ii) 이성적인(rational) 것으로 세분되는, 의식이 있는(conscious) 다른 종류 혹은 elicitus(도출되는 것). 그들의 바로 그 본성으로부터, 모든 있음(beings)들은 활동(activity)에 대한 어느 정도의(certain) 경항(tendencies)들, 친근감(affinities)들, 그리고 형상(forms)들을 가집니다.

 

본성적 욕구(natural appetite)라는 용어는 이들 모두를 포함합니다. 이 용어는, 그 본성과 조화 상태에 있는 바로 그러한 사물 쪽으로, 왜 그러한 사물이 욕구할 만한 가지가 있는지(appetible)에 대한 아무런 지식 없이, 한 사물의 기울어짐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경향은, 바로 가까이에 있는(immediately) 각 있음(being)의 본성 때문에(in), 그리고 멀리 떨어져 계시는(remotely) 바로 이 본성의 창조자(author)이신 하느님 때문에(in), 일어납니다(originate)(Quæst. disp., De veritate, Q. xxv, art. 1).

 

도출되는 욕구(the appetitus elicitus)지식(knowledge)을 뒤따릅니다. 지식마음(the mind)에 의하여 그 이상적 형상(its ideal form) 상태에 있는 한 대상(an object)의 소유를 말하며, 이와는 달리 욕구(appetite)는 바로 그러한 방식으로 알게 된, 그러나 그것의 객관적 실체(its objective reality) 상태에 있다고 생각되는, 해당 사물을 향하는 경향(tendency)을 말합니다 (Quæst. disp., De veritate, Q. xxii, a. 10). 그러나 지식이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종류들에 대하여서인 것처럼, 또한 마찬가지로 이 욕구도 그러합니다 (Summa Theol., I, Q. lxxx, a. 2). 또한 동물적 욕구(animalis)라고 불리는,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sensitive appetite, 감각욕구(感覺慾求)/감각적 욕구] [즉, 감각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 즉,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욕구(sentient appetite)]는 감각 인지(sense-cognition)를 뒤따릅니다. 이 욕구는 본질적으로 유기체의 능력(organic faculty)이며, 그리하여 그 기능(funcctions)들은 그 영혼 홀로(alone)의 기능들이 아니라, 또한 그 몸(the body)의 기능들이기도 합니다. 이 욕구는 "유용하거나(useful) 혹은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는(pleasurable) 한 개의 구체적인 대상(a concrete object)" 쪽으로 첫째로(primarily) 기울어지는 경향을 가지고 있는 것이지, "그 욕구할 만한 가치가 있음(its appetibility)에 대한 이유 자체" 쪽으로 첫째로 기울어지는 경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성적 욕구(the appetitus rationalis)[즉, 지성적 욕구(intellectual appetite)], 혹은 의지(will)는, 지성적 지식(intellectual knowledge)을 뒤따르는, 있는 그대로의(as such) 그리하여 구체적인 대상들 쪽으로 첫째로가 아닌, 선한 것(the good)들 쪽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을 가진, 영적 영혼(the spiritual soul)의 한 능력입니다. 이 욕구는, 그들이 지성에 의하여 이해하게 되는 추상적이고(abstract) 그리고 완미한(perfect) 선함(goodness)에 참여한다(participate in)는 것이 알려지게 되는 한에 있어, 이러한 대상들로 기울어지는 경향을 가집니다 (Quæst. disp., De veritate, Q. xxv, a. 1).

 

본성적 욕구(natural appetites)들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sensitive appetites, 감각욕구(感覺慾求)] [즉, 감각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 즉,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욕구(sentient appetites)]들에는 자유로움(freedom)이 전혀 있지 않습니다. 그 하나는 자연법/본성법(the laws of nature)들 자체에 의하여, 다른 하나는 어떤 구체적인 사물을 즐겁고 그리고 유용한 것으로서의 감각 이해(sense-apprehension)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동반하게 됩니다(is necessitated by). 이와는 달리, 의지(the will)는 어떤 구체적인 선(any concrete good)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동반하게 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어떠한 구체적인 선도, 그것 홀로(alone) 의지를 필연적으로 잡아 당기는, 완미한 선함(perfect good)이라는 개념을 충분하게(fully) 실체화하지(realize) 못하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 점에서 의지의 자유로움(freedom)의 근본적 이유가 발견될 것입니다 (cf. Quæst. disp., De veritate, Q. xxv, a. 1).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sensitive appetite, 감각욕구(感覺慾求)] [즉, 감각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 즉,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욕구(sentient appetite)]는, 그 대상이, (i) 단체적으로(simply) 선한 것, 유용한 것, 혹은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서 인지되거나, 혹은 (ii) 오로지 어려움과 함께 그리하여 장애(obstacles)들의 극복 행위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인지됨에 따라, 사욕[私慾, 이기적인 욕심, concupiscence, 즉 사욕편정(私慾偏情)]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욕구(appetitus concupiscibilis) 그리고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욕구(appetitus irascibilis)로 구분됩니다 (Summa Theol., I, Q. lxxxi, a. 5; Q. lxxxii, a. 5; I-II, Q. xxiii, a. 1; Quæst. disp., De veritate, Q. xxv, a. 2).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sensitive appetites, 감각욕구(感覺慾求)) [즉, 감각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 즉,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욕구(sentient appetites)]들 모두는 정(, passions)들이라고 불립니다.

 

스콜라 학파의 용어에 있어 이 단어는, 그 안에서 이 단어가 오늘날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한된 의미(the limited signification)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사욕[私慾, 이기적인 욕심, concupiscence, 즉 사욕편정(私慾偏情)]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욕구(appetitus concupiscibilis)를 나타내는 여섯 개의 정(, passions)이 다음과 같이 있으며: 사랑(love)과 증오(hatred), 욕망(desire)(*)과 혐오(aversion), 기쁨(joy)과 슬픔/후회(sorrow), 그리고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욕구(appetitus irascibilis)를 나타내는 다섯 개의 정(, passions)들이 다음과 같이 있습니다: 희망(hope)과 절망(despair), 용기(courage), 두려움(fear), 그리고 분노(anger) (Summa Theol., I-II, Q. xxiii, a. 4).

 

[내용 추가 일자: 2016년 2월 7일]

-----

(*) 번역자 주: 따라서, "욕망(desire)""욕구(appetite)"이나, 그러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내용 추가 일자: 2021년 5월 20일] 즉, "욕망(desire)"이, "욕구(appetite)"라고 불리는 한 개의 속적 개념(a generic concept)에 포함되는, 열한 개의 종적 개념(special concepts)들인 열한 개의 정(passions)들 중의 한 개임을, 알게 되었다. [이상, 2021년 5월 20일자 내용 추가 끝]. 그리고  "욕망(desire)"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2012년 11월 16일자 글, 제목: 정(情, passions)]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95_desire.htm <----- 필독 권고

-----

[이상, 내용 추가 끝]

 

In man are found the natural, the sensitive, and the rational appetites. Certain of man's natural tendencies have in view his own personal interest. e.g. conservation of life, health, physical and mental welfare and perfection. Some of them regard the interest of other men, and some relate to God. Such inclinations, however, although springing immediately from human nature, become conscious and deliberate in many of their determinations (Summa Theol., I, Q. lx, a. 3, 4, 5). The tendency of the various faculties to perform their appropriate functions is also a natural appetite, but not a distinct faculty (Summa Theol., I, Q. lxxx, art. 1, ad 3; Q. lxxviii, art. 1, ad 3am). The sensitive appetite in man is under the control of the will and can be strengthened or checked by the will's determination. This control, however, is not absolute, for the sensitive appetite depends on organic conditions, which are not regulated by reason. Frequently, also, owing to its suddenness or intensity, the outburst of passion cannot be repressed (Summa Theol., I, Q. lxxxi, a. 3; I-II, Q. xvii, a. 7; Quæst. disp., De veritate, Q. xxv, a. 4). On the other hand, the sensitive appetite exerts a strong influence on the will, both because the passions modify organic conditions and thus influence all cognitive faculties, and because their intensity may prevent the mind from applying itself to the higher operations of intellect and will (Summa Theol., I-II, Q. ix, a. 2; Q. x, a. 3; Q. lxxvii, a. 1). The theory of appetite has various applications in theology. It affects the solution of such problems as man's desire for God, the consequences of original sin, and the perfection of Christ's humanity. It is of importance also in questions concerning the natural moral law, responsibility, virtue, and vice, the influence of passion as a determinant of human action. Among the medieval theologians, St. Thomas held that intelligent creatures desire naturally to behold the essence of God. The knowledge which they have of Him through His effects serves only to quicken their desire for immediate vision. Scotus, while admitting this desire as a natural tendency in man, claimed that it could not be realized without the assistance of grace. The discussion of the problem was continued by the commentators of St. Thomas, and it has been revived by modern theologians. Cf. Sestili, "De naturali intelligentis animæ appetitu intuendi divinam essentiam" (Rome, 1896).

 

사람(man)에 있어, (i) 본성적 욕구(the natural appetite), (ii)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sensitive appetite, 감각욕구(感覺慾求)] [즉, 감각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 즉,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욕구(sentient appetite)], 그리고 (iii) 이성적 욕구(rational appetite)[즉, 지성적 욕구(intellectual appetite), 즉, 의지(the will)]가 발견됩니다. 사람의 본성적 경향(natural tendencies)들 중의 어떤 것들은, 예를 들어, 목숨/생명(life), 건강, 형이하학적 및 정신적 안녕(welfare)과 완미(perfection)의 보존(conservation) 등, 자신의 고유한 인격적(personal) 관심(interest)을 관점(view) 안에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 중의 일부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관심(interest)에 관계하고(regard) 그리고 일부는 하느님 쪽으로 어떤 관계 상태(a relationship)를 가집니다(relate to). 그러나 그러한 기울어짐들은, 비록 인간의 본성으로부터 즉시(immediately) 솟아나옴(springing)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결정(determinations)들 중의 다수에 있어 의식이 있게(conscious) 되고 그리하여 숙고하게(deliberate) 됩니다 (Summa Theol., I, Q. lx, a. 3, 4, 5). 자신들의 적절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능력들의 경향(tendency)은 또한 어떤 본성적 욕구인 것이지, 어떤 별개의 능력이 아닙니다 (Summa Theol., I, Q. lxxx, art. 1, ad 3; Q. lxxviii, art. 1, ad 3am). 사람에게 있어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sensitive appetite, 감각욕구(感覺慾求)) [즉, 감각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 즉,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욕구(sentient appetite)]는 의지(the will ,즉, 이성적 욕구)의 통제(control) 아래에 있으며 그리하여 의지의 결정에 의하여 강화될 수 있거나 혹은 저지될(be checked)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통제는 절대적이지(absolute) 못한데, 이는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sensitive appetite, 감각욕구(感覺慾求)) [즉, 감각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 즉,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욕구(sentient appetite)]가, 이성(the will)에 의하여 규제가 되지 않는, 유기체의 조건(organic conditions)들에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주, 갑작스러움(suddenness) 혹은 강렬함(intensity) 때문에, 정(情, passion)의 분출(噴出, outburst)은 억제될 수 없습니다 (Summa Theol., I, Q. lxxxi, a. 3; I-II, Q. xvii, a. 7; Quæst. disp., De veritate, Q. xxv, a. 4). 다른 한편으로,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sensitive appetite, 감각욕구(感覺慾求)) [즉, 감각들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는 욕구, 즉,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욕구(sentient appetite)]는 의지(the will)에 대하여 어떤 강한 영향을 행사하는데, 그 이유는, 이 정(情, passions)들이 유기체의 상태(organic conditions)들을 수정하여 그리하여 그 결과 인지 능력(cognitive faculties)들 모두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고, 그리고 그들의 강렬함이 마음(the mind)이 자신을 지성과 의지의 더 높은 작동들에 적용하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기(may) 때문, 이들 둘 다 때문입니다 (Summa Theol., I-II, Q. ix, a. 2; Q. x, a. 3; Q. lxxvii, a. 1). 욕구(appetite)에 대한 이 이론은 신학(theology)에 있어 다양한 적용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이론은 하느님을 향하는 사람의 욕망(man's desire for God), 원죄(original sin)의 결과들, 그리고 그리스도의 인성의 완미(the perfection of Christ's humanity)와 같은 그러한 문제들의 해답에 영향을 끼칩니다. 이 이론은 자연적/본성적 윤리법(natural moral law), 책임(responsibility), 덕(virtue), 그리고, 인간의 행동(human action)의 한  결정자(a determinant)로서 정(情, passion)의 영향인, 악덕(vice)에 관한 의문(questions)들에 있어 또한 중요합니다. 중세의 신학자들 중에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지성을 소유한 피조물(intelligent creatures)들이 하느님의 본질(essence)을 보는 것을 본성적으로 욕망함(desire)을 견지하였습니다(held). 당신의 영향(effects)들을 통하여 당신에 대하여 그들이 가지는 지식은 직관(直觀, immediate vision)을 향하는 그들의 욕망(desire)을 오로지 재촉하는 역할만을 합니다. 스코투스(Scotus)는, 바로 이러한 욕망(desire)을 사람에게 있는 한 개의 본성적 경향으로서 인정함과 동시에(while), 은총(grace)이라는 [하느님의] 도움 없이 그것이 실체화 될(be realized) 수 없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논의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주석자들에 의하여 계속되었으며, 그리고 이 논의는 현대의 신학자들에 의하여 재개되어 왔습니다. Sestili, "De naturali intelligentis animæ appetitu intuendi divinam essentiam" (Rome, 1896) 을 참조하라.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질문 3에 대한 답변 끝)

 

4.

이번 항에서는,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차용 번역 용어들인 "욕구(欲求/慾求)""욕망(欲望/慾望)"이 사용된 항들을 함께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4-1.

4-1-1.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본문 중에서 "욕구" 라는 용어가 사용된 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총 4개의 항들에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
110610121307&rpage=1&epage=1023&stext=욕구

 

제2341항

제2535항

제2702항, 제2703항

 

4-1-2. 그리고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본문 중에서 "appetite(욕구)" 라는 용어가 사용된 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총 8개의 항들에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빨간 색칠이 된 괄호 안의 우리말 단어는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해당 항에서 사용 중인, 욕구 대신에, 잘못 선정된, 차용 번역 용어입니다:

 

출처: 5 appetite
       4 appetites 

 

제37항(욕망)

제1763항(sensitive appetite가, 감각적 욕구 대신에, 감수성으로 번역됨),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3s1c1a5.htm#1763

1763 The term "passions" belongs to the Christian patrimony. Feelings or passions are emotions or movements of the sensitive appetite that incline us to act or not to act in regard to something felt or imagined to be good or evil.

 

1763 "정(passions)들" 이라는 용어는 그리스도교 전승(patrimony)에 속합니다. 느낌(feelings)들 혹은 정(passions)들은 감정(emotions)들 혹은, 선하거나(good) 혹은 악하다(evil)고 느껴지는 혹은 상상되는 그 무엇(something)에 관하여 행동하거나(act) 혹은 행동하지 않도록 우리를 기울어지개 하는, 감각적 욕구(sensitive appetite)의 움직임들을 말합니다.(*)

 

-----

(*) 번역자 주: 바로 여기서 "감정(emotion)"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가 주어지고 있다.

-----

 

게시자 주  4-1-2-1: 다음은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해당 항 전문인데, 바로 위의 필자의 졸번역문과 얼마나. 어떠헤 차이가 있는지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도록 하라: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
110610121307&rpage=667

(발췌 시작) 

1763 ‘감정’ (passio) 이라는 말은 그리스도인들의 유산에 속한다. 느낌이나 감정은 선하거나 악한 것으로 느끼고 상상한 것을 행하거나 행하지 않게 하는, 한쪽으로 기우는 정서나 수성의 움직임을 가리킨다.

(이상, 발췌 끝)

 

제1770항, 제1773항

제1809항(2번)

제2341항

제2515항, 제2535항

 

 

4-2.

4-2-1. 그리고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본문 중에서 "욕망" 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총 33개의 항들에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
110610121307&rpage=1&epage=1023&stext=욕망

 

제37항, 발췌문

제377항

제505항, 제548항

제1011항, 발췌문

제1772항

제1809항, 제1849항, 제1871항

제1963항

제2116항

제2259항

제2302항

제2515항, 제2520항, 본문 및 발췌문, 제2529항, 제2534항, 제2535항, 제2536항, 본문 및 발췌문, 제2539항, 제2543항, 제2553항, 제2555항

 

4-2-2. 그리고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본문 중에서 "desire(욕망)" 라는 용어가 사용된 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총 143개의 항들에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1 desirable
      88 desire
       8 desired
     42 desires
      4 desiring 

제2847항

 

 

작성 중입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2월 4일] 

게시자 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소속된 신심 단체(무지카 사크라 합창단)의

(i) 2014년 12월 3일(수), 서울 대교구 방배동 성당 초청 연주회 [곡목: 아! 서소문, 작곡: 이상철 신부],

(ii) 2014년 12월 5일(금), 창단 30주년 기념 8번째 순회 초청 연주회, 의정부 교구 주엽동 성당

관계로, 이 글의 작성이 많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현재까지 약10시간. 

 



2,172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