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THE NAVARRE BIBLE COMMENTARY: THE SYNOPTIC GOSPELS [성경해석] [나바르성경주석서안내] 782_

인쇄

. [122.128.40.*]

2010-08-02 ㅣ No.944

 

참고: 조금은 귀찮을 수도 있겠으나, 다음의 나바르 성경 주석서에 대한 서평(review)의 저자인  John F. McCarthy 몬시뇰에 대한 간략한 소개는 이 글의 뒷 부분에 있는 게시자 주 0게시자 주 1에 있은 우리말 번역문들을 가능하면 먼저 읽도록 하십시오.

 

Living Tradition
ORGAN OF THE ROMAN THEOLOGICAL FORUM
Editor: Msgr. John F. McCarthy, J.C.D., S.T.D. Distributed several times a year to interested members.
Associate Editor: Rev. Brian W. Harrison, O.S., M.A., S.T.D.   Not to be republished without permission.
Please address all correspondence to: www.rtforum.org    e-mail: jfm@rtforum.org
 
Living Tradition, Oblates of Wisdom, P.O. Box 13230, St. Louis, MO 63157, USA

No. 102 Roman Theological Forum | Article Index | Study Program November 2002

THE NAVARRE BIBLE COMMENTARY: THE SYNOPTIC GOSPELS
나바르 성경 주석서: 공관 복음서들

The following review is taken from The Navarre Bible: The Gospels and Acts of the Apostles in the Revised Standard Version (of the King James Bible) with commentary by members of the Faculty of Theology of the University of Navarre (of Opus Dei), published by Four Courts Press, Dublin, and Scepter Publishers, Princeton, NJ, Reader's Edition, with an editorial committee for the English-language translation composed of James Gavigan, Brian McCarthy, and Thomas McGovern, first printed in English in the year 2000.

 

다음의 서평(review)은, James Gavigan, Brian McCarthy 및 Thomas McGovern으로 구성된 영어 번역을 위한 편집 위원회와 함께 2000년에 영어로 첫 인쇄된, Four Courts Press, Dublin 및 Scepter Publishers, Princeton, NJ, Reader's Edition에 의하여 인쇄된, (오푸스 데이의) 나바르 대학교 신학 교수진의 구성원들에 의한 주석을 가지고 있는 The Navarre Bible: The Gospels and Acts of the Apostles in the Revised Standard Version (of the King James Bible)로부터 발췌된 것입니다.

 

The Navarre Commentary on the Bible begins with the commentary on the Gospels, preceded by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whole Bible and more specialized introductions to the New Testament, to the Holy Gospels, and afterwards to each individual Gospel. I have read the commentary on the three Synoptic Gospels along with the introductory essays, and I find that it comes out as a fine accomplishment, remaining solid and informational throughout, a tribute that cannot, in all respects, be equally accorded to the Navarre Commentary on the Pentateuch, which I hope to treat in a following review.

 

성경에 대한 나바르 주석서는, 성경 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입문(General Introduction) 그리고 신약 성경에 대한, 거룩한 복음서들에 대한 더 전문적인 입문, 그리고 그 이후로 각 개별 복음서에 대한 입문으로 시작되는, 복음서들에 대한 주석과 함께 시작합니다. 필자는 입문 에세이들과 함께 세 개의 공관 복음서들에 대한 주석을 이미 읽었으며, 그리고 필자는, 모든 면들에 있어, 다음의 서평에서 필자가 다루기를 희망하는, 모세 오경에 대한 나바르 주석서에 동등하게 주어질 수 없는 찬사인, 전반에 걸쳐 알찬 그리고 정보를 제공하는 상태로 남아있을, 질 높은 성과로서 이 주석서가 출간된 것을 발견합니다.

 

The General Introduction to the Bible takes a clear and consistent stand in stating that the "treasure of truths" contained in the Bible "is communicated by being linked to real events, God's intervention in history." Thus, the Commentators of the Navarre Bible from the outset move beyond the position of mere literary analysis of the sacred text to affirm that this text is based upon real historical events which are themselves related in the Bible. They aver, for example, that the first chapters of Genesis not only relate certain supernatural truths but also historical facts such as the creation by God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and the creation by God of mankind (p. 14). The Commentators state that the Bible is "the history of the salvation of man by God," that is "another history, as it were, wrought by God" (ibid.), which I understand to mean an area of true history within the one continuum of historical reality, and not, as many other commentators have maintained during the past two centuries, a largely fictional history unfolded in a separate and imaginary religious universe of discourse. The Commentators point out that, in things relating to the physical sciences, the sacred authors do not express, as from supernatural revelation, anything about "the inner constitution of the visible world," but simply use "the expressions and concepts of their own time and cultural surroundings" (p. 19). Nevertheless, the biblical accounts are concerned with "the merciful intervention of God in certain events of human history," with the result that "The foundations of Christian Revelation and the major dogmas are very firmly rooted in history" (ibid.). In other words, the merciful interventions of God are truly historical.

 

성경에 대한 이 종합적인 입문은 성경에 포함된 "진리들로 이루어진 보물"이, "역사 안에서 하느님의 개입이라는, 실제 사건들로 연결됨으로써 전달됨"을 서술함에 있어 분명하고 일관적인 입장을 취합니다. 따라서, 나바르 성경의 주석자들은 그 시작에서부터  성스러운 본문에 대한 단순한 자구 해석의 입장을 넘어서 이 본문이, 성경 안에서 그 자체들이 관련되어 있는, 실제의 역사적 사건들에 근거하고 있음을 확언하기 위하여 나아갑니다. 그들은, 예를 들어, 창세기의 첫 장들이 어떤 초자연적인 진리들 뿐만이 아니라 또한 하느님에 의한 하늘들과 땅의 창조 그리고 하느님에 의한 인류의 창조 등과 같은 역사적 사실들에 대하여 이야기한다고 단언합니다(p. 14). 이 주석자들은 성경이 "하느님에 의한 사람의 구원에 대한 역사서", 즉 "하느님에 의하여 초래된, 말하자면, 또 하나의 역사서", 라고 서술하는데(ibid), 필자는 이것이, 지난 2세기들 동안에 다른 많은 주석자들이 지속해 왔듯이, 분리된 그리고 상상의 경신적 우주 안에서 펼쳐지게 되는 대부분 허구의 역사가 아니라, 역사적 실재(reality)라는 하나의 연속체 안쪽에 있는 참 역사의 영역을 뜻한다고 이해합니다. 이 주석자들은, 형이하학(physical sciences)들에 관련된 것들에 있어, 성스러운 저자들이, 초자연적 계시에서 처럼, "가시적 세계의 내적 구성"에 관한 어떠한 것도 표현하지 않으나, 그러나 "그들 고유의 시기와 문화적 저변들에 대한 표현들과 개념들"을 단순히 사용할 뿐임을 지적합니다(p. 19).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의 설명들은 "인간의 역사의 어떤 사건들에 있어 하느님의 자비로운 개입"과 관련이 되어 있으며, 그 결과로 "그리스도교 계시의 기초들과 주된 교의들이 역사에 매우 확고하게 뿌리가 내려져 있습니다(ibid). 달리 말하여, 하느님의 자비로운 개입들은 진실로 역사적입니다. 

 

Regarding one's basic attitude in the approach to interpretation, the Commentators take the position that "the Bible, in its deeper sense, cannot be understood by somebody who does not believe in its divine inspiration and that it has God as its principal author," and that the absence of this awareness "cannot be compensated for by any human technique, whether literary, historical, philosophical or of any other kind" (p. 18). In our times, this is a watershed declaration, seeing that most historical-critics, who are the majority of biblical scholars today, tend to make the role of God either non-existent or an empty supposition having no real part in the writing of the sacred text. The Commentators have taken a position fully in keeping with traditional Catholic interpretation of the inspired text and basically in opposition to the mainstream of historical-criticism over the past two centuries and more. They go on to say: "The secrets of Holy Scripture are not unlocked only with the aid of linguistics, archaeology, sociology, psychology or any other human science, but rather by a desire to achieve personal holiness, and therefore in the light of God" (p. 21). They are saying that only by the light of faith fired by personal devotion to the one true God can an interpreter discover what realities the sacred text is expressing and why these realities are in the one continuum of reality. Regarding the search for truth and meaning, it is their point that "if we do not believe that Jesus is the Messiah and the Son of God, we will not be able to understand the Gospel" (p. 222). Those many historical-critics who proceed down the road of rationalism and professional pride end up only in deceiving themselves and in deceiving their readers. I am happy to see that the Navarre Commentators reject the rationalism underlying much of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as where they sa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Matt 10:13: "In interpreting this text, the first thing is to reject the view of certain rationalists who argue that Jesus was convinced that soon he would come in glory and the world would come to an end" (p. 115). It is my studied opinion that the proper frame of reference for perceiving the deeper sense of Sacred Scripture is the network of the Four Senses as explained by St. Thomas Aquinas and as utilized implicitly by the Fathers of the Church and by the inspired writers of Sacred Scripture themselves, and which is proposed for all interpreters of Sacred Scripture in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s. 115-119). The Navarre Commentators do not explicitly acknowledge this framework, but, in their commentary, they do make many isolated references to the deeper meanings of the sacred text, especially as expressed by various Fathers of the Church.

 

해석(interpretation)으로의 접근에 있어 우리의 기본적 태도에 관련하여,  이 주석자들은 "성경이, 그 가장 깊은 의미에 있어, 성경의 거룩한 영감 쪽으로 믿지(believe in) 못하는 어떤 자에 의하여 이해될 수가 없으며 그리고 성경이 하느님을 그 주된 저자(principal author)로서 가지고 있다" 는 입장을 취하며, 그리고 이러한 인식의 결여는, "문헌적, 역사적, 철학적 혹은 어떠한 다른 종류이든지 간에, 어떤 인간적인 처리 방식(technique)에 의하여 상쇄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합니다(p. 18). 우리의 시대에 있어, 대부분의 역사 비평가(historical-critics)들이 성스러운 본문의 저술에 있어 하느님의 역할을 존재하지 않게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아무런 실제적 부분도 가지지 못하는 비어 있는 추측으로 만들어 버리는 경향이 있음을 감안할 때에, 이것은 하나의 획기적인 선언입니다. 이 주석자들은 영감을 받은 본문에 대한 전통적인 가톨릭 해석을 전적을 따르는 입장을 이미 취하였으며 그리하여 지난 2세기 혹은 그 이상의 기간들에 걸친 역사 비평의 주류에 기본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을 이미 취하였습니다. 그들은 다음과 같이 계속해서 말합니다: "성경의 비밀은 단지 언어학, 고고학, 사회학, 심리학 혹은 어떤 다른 인간적 과학의 도움만으로써 열어 보여질 수가 없으며, 오히려 인격적 거룩함(personal holiness)을 성취하고자 하는 욕구에 의하여, 그리하여 그 결과로 하느님에 기인하는 빛으로(in the light of God) 열려질 수가 있습니다."(p. 21). 그들은, 한 분이신 참 하느님에 대한 인격적 사적 경배 행위(personal devotion)에 의하여 불이 붙게 되는 믿음에 기인하는 빛에 의하여서만이 오로지 해석자는 어떤 실체들을 성스러운 본문이 표현하고 있는지를 발견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들 실체들이 실재(reality)라는 하나의 연속체 안에 왜 존재하는 지를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진리와 의미의 추구와 관련하여, "만약에 우리가 예수님께서 메시아이시며 그리고 하느님의 아드님이심을 믿지 않는다면, 우리는 복음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는 것이 바로 그들의 요점입니다(p. 222). 합리주의(rationalism)와 직업적 자부심으로 이루어진 길을 따라가는 많은 역사 비평가들은 스스로를 속임으로 그리하여 자신들의 독자들을 속임으로 오로지 끝나게 됩니다. 필자는 나바르 주석자들이, 마태오 복음서 10,13에 대한 특별한 언급과 함께 다음과 같이 그들이 말할 때에, 대부분의 역사 비평적 방법 밑에 있는(underlying) 합리주의(rationalism)를 거부함을 보는 것이 기쁩니다: "이 본문을 해석함에 있어, 첫 번째 일은 예수님께서 조만간 당신께서 영광 안에서 오실 것임과 그리하여 이 세상이 끝날 것이라고 확신하게 되셨다는 주장을 하는 어떤 합리주의자들의 견해를 거부하는 것이다"(p. 115). 성경의 더 깊은 의미를 인지하기 위한 적절한 틀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가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그리고 교부들과 성경의 영감을 받은 인간 저자들 자신들에 의하여 활용되어졌던 바와 같이, 그리고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15-119항들)(*)에서 성경의 모든 해석자들에게 제안되고 있는, 네 개의 어의(語義)(Four Senses)들로 이루어진 망상 조직(network)임이 바로 필자의 습득된 견해입니다. 나바르 주석자들이 바로 이 틀(framework)을 명시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으나, 그러나, 그들의 주석에 있어, 그들은, 특히 다양한 교부들에 의하여 표현되었던, 성스러운 본문의 더 깊은 의미들로의 독자적인(isolated) 많은 언급들을 실제로 하고 있습니다.

 

-----
(*) 번역자 주:
여기를 클릭하면,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15-119항들을 읽을 수 있다.
-----

 

The Navarre Commentators feel confident to claim that the Four Gospels were written by Saints Matthew, Mark, Luke, and John, since "critical analysis of the literary features of the text and historical references in each Gospel support the unanimous, precise testimony of Tradition" (p. 29). This is certainly true, but it does not reflect the broad spectrum of biblical scholarship today as dominated by historical-critics. What has been presented over the past two centuries in the area of "critical historical scholarship" is the thinking of an historical-critical method that is neither truly historical nor sufficiently critical of its own method. The Navarre Commentators are relying on the more solid and realistic approach of the Fathers of the Church, of the medieval Catholic commentators, and of modern Catholic commentators whose method is uncontaminated by the false principles of the "historical-critical school."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Gospels, the Navarre Commentators have thus taken a stand solidly in keeping with Catholic Tradition. They go on to say: "Down the centuries Christian Tradition shows that the historical character of the Gospels has been taken as an undisputed truth. [ . . . ] At the same time, the Church has always maintained that this historicity, which our faith assures us of, has also a solid basis in reason: competent historico-literary critical scholarship, even if pursued on the margin of faith, provided it really uses serious, scientific arguments, fully supports faith in the historical truthfulness of the Gospels" (p. 37). I would maintain that the historical character of the Gospels is a solid truth, but it is by no means an undisputed truth. The whole tendency of historical-critical scholarship goes against it, as is witnessed by the plethora of books and articles published in our times arguing against the historical character of the Gospels. So I would reword this last-quoted judgment of the Navarre Commentators to say that competent historical scholarship fully supports the historical truth of the Gospels, but the literary scholarship of the "historical-critical school," the prevailing school in our time, even within the Catholic Church, is not based on serious, scientific reasoning, and, therefore, its undermining of the historical truth of the Gospels is not to be taken seriously.

 

나바르 주석자들은 네 개의 복음서들이 성 마태오, 성 마르코, 성 루카, 그리고 성 요한에 의하여 저술되었음을 주장하는 데에 확신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본문의 문헌적 특징들에 대한 비평 분석(critical analysis)과 각 복음서에 있어서의 역사적 언급들이 전승(Tradition)에 대한 만장일치의, 정확한 증언을 지지하기 때문입니다"(p. 29). 이것은 확실하게 사실이나, 그러나, 이것은, 역사 비평가들에 의하여 지배되고 있기에 오늘날의 성서와 관련된 학문(biblical scholarship)의 폭넓은 범위를 반영하지 않습니다. "역사 비평적 학문"의 영역에 있어 지난 2세기들에 걸쳐 제시되어 왔던 바는 그 고유의 방법에 대하여 진실로 역사적이지도 않고 그리고 충분하게 비판적이지도 아니한 하나의 역사 비평적 방법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thinking)이었습니다. 나바르 주석자들은, 그들의 방법이 "역사 비평 학파(historical-critical school)"의 잘못된 원리(principles)들에 의하여 오염되지 아니한, 교부들의, 중세의 가톨릭 주석자들의, 그리고 근세의 가톨릭 주석자들의,  더 견고하고 실제적인 접근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복음서들의 해석을 위하여, 나바르 주석자들은 따라서 가톨릭 전승(Catholic Tradition)과 일치를 견고하게 이루고 있는 입장을 이미 취하였습니다. 그들은 계속하여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여러 세기들을 내려오면서 그리스도교 전승은 복음서들의 역사적 특징이 이론의 여지가 없는 사실로서 받아들여져 왔음을 보입니다. [ . . . ]  그와 동시에, 교회는, 우리의 믿음이 이에 대하여 우리를 확신하게 하는, 이러한 역사성이 다음과 같이 이성적으로 견고한 근거를 또한 가지고 있음을 항상 유지하여 왔습니다: 능숙한 역사-문헌적 비평 학문은, 심지어 믿음의 주변부에 대하여 추구된다고 하더라도, 만약에 그것이 진지한, 과학적인 논거들을 실제로 사용한다면, 복음서들의 역사적 진실성에 대한 믿음을 전적으로 지지합니다."(p. 37). 필자는 복음서들의 역사적 특징은 견고한 진실이나, 그러나, 이것은 결코 이론의 여지가 없는 진실이 아니라고 주장할 것입니다. 복음서들의 역사적 특징에 반하여 논쟁하는 우리의 시대들에 있어 출판된 지나치게 많은 책들과 논문들에 의하여 증거되는 바와 같이, 역사 비평 학문 전체의 성향은 이에 반하여 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필자는, 능숙한 역사 학문은 복음서들의 역사적 진실을 전적으로 지지한다는 점, 그러나, 우리의 시대에 있어 우세한 학파인  "역사 비평 학파"라는 문헌적 학문이, 심지어 가톨릭 교회의 안쪽에 있으면서도, 진지하고, 과학적인 사고에 근거하고 있지 않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이들에 의한 복음서들의 역사적 진실의 약화는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생각하여(to say that), 나바르 주석자들의 이러한 마지막으로 인용된 판단을 적절하게 다른 말로 바꿀(reword) 것입니다.

 

Rudolf Bultmann, in his famous History of the Synoptic Tradition (first German edition, 1921) presented what seemed to be overwhelming internal evidence for the almost total non-historicity of the Synoptic Gospels, and he followed this up with seemingly even greater evidence for the non-historicity of St. John's Gospel in The Gospel of John (English translation, 1971). It is to the discredit of Catholic biblical scholarship over the past eighty years that the mass of fallacious and unfactual material in these two works of Bultmann has never been systematically refuted. Thus we contrast the false and unhistorical approach of writers like Rudolf Bultmann, Martin Dibelius, Raymond Brown (The Birth of the Messiah,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The Virginal Conception and the Bodily Resurrection of Jesus, etc., and a host of other historical-critics, with the solid approach of a Catholic writer like Giuseppe Ricciotti (Life of Christ, unabridged edition). The Navarre Commentators conclude as follows: "After the meticulous research the Gospels have been subjected to over the past two centuries, any serious critic must accept that the sacred books are true history." In the final analysis this judgment is true, but who are the serious critics? They certainly are not the scholars of the historical-critical school, whose method is rooted in the rationalism of the eighteenth century and who have worked assiduously to undermine the historical truth of the inspired Scriptures. What remains urgently to be done is to roll back the conclusions of the historical-critical scholars and disprove their fallacious reasonings. It was not necessary for the Navarre Commentators to express this work in their present commentary, but it should have been done elsewhere. We are told that this commentary is based upon many related articles and essays of the University of Navarre scholars. It would be interesting to see to what extent the fallacious writings of historical-critical scholars like Rudolf Bultmann, Martin Dibelius, Raymond Brown, and many others, have been thoroughly and systematically refuted in these related University of Navarre articles and essays. This important work of refutation still lies as a challenge to Catholic biblical scholarship, and the place to begin is from the elaboration of correct concepts of history and historical method and the substitution of the framework of the Four Senses of Sacred Scripture for the false historical and literary framework of the historical-critical school. When Marie-Joseph Lagrange in the 1890s introduced into Catholic biblical scholarship the historical-critical approach of Hermann Gunkel and his associates, he unfortunately overlooked the essential preliminary step of determining from the viewpoint of Catholic exegetical tradition what sound historical method is and how it needs to be used. Catholic scholarship is still suffering from that historic oversight.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은, 자신의 유명한 저서인 famous History of the Synoptic Tradition (first German edition, 1921)에서, 공관 복음서들의 거의 전적으로의 비-역사성에 대한 압도적인 내부적 증거인 것으로 보이는 바를 제시하였으며, 그리고 그는 The Gospel of John (English translation, 1971)에서 성 요한의 복음서의 비-역사성에 대한 언뜻 보기에 더 커다란 증거와 함께 이것을 끝까지 추적하였습니다. 과거의 80년 동안에 걸쳐 불트만의 이들 두 개의 저술들에 있는 많은 양의 잘못된 그리고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자료가 체계적으로 전혀 반박되지 않아 왔던 것은 바로 가톨릭 성경 학문에 대한 불명예입니다. 따라는 우리는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Martin Debelius, Raymond Brown(The Birth of the Messiah,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The Virginal Conception and the Bodily Resurrection of Jesus, etc , 그리고 수많은 다른 역사 비평가들) 같은 저자들의 잘못된 그리고 역사적이지 않은 접근과 Giuseppe Ricciotti (Life of Christ, unabridged edition) 같은 가톨릭 저자의 믿을 수 있는(solid) 접근을 비교합니다. 나바르 주석자들은 다음과 같이 결론 짓습니다: "지난 2세기들 동안에 걸쳐 복음서들이 세심한 연구의 대상이 된 이후, 진지한 비평가 누구든지 간에 이 성스러운 책들이 참된 역사서임을 받아들여야만 합니다." 최종적 분석에 있어, 이러한 판단은 사실(true)입니다만, 그러나 누구가 진지한 비평가들인지요? 그들은, 그들의 방법이 18세기의 합리주의(rationalism)에 뿌리가 내려져 있는 그리고 영감을 받은 성경의 역사적 진실을 약화시키기 위하여 부지런히 일해 왔던, 역사 비평 학파의 학자들이 분명히 아닙니다. 당면하게 행하여져야만 하는 것으로 남아 있는 바는 역사 비평 학자들의 결론들을 뒤로 밀어붙이는 것이며 그리고 그들의 잘못된 추론(fallacious reasonings)들이 틀렸음을 입증하는 것입니다. 나바르 주석자들이 이러한 일을 자신들의 현재의 주석서에 표현할 필요는 없었으나, 그러나 이것은 다른 곳에서 반드시 행해져야만 합니다. 우리는 이 주석서가 나바르 대학교 학자들의 많은 관련된 논문들과 에세이들에 근거하고 있음을 듣습니다.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Martin Dibelius, Raymond Brown, 그리고 다른 많은 이들 같은 역사 비평 학자들의 잘못된 저술들이 어느 점에까지 이들 관련된 나바르 대학교 논문들과 에세이들로 철저하게 그리고 체계적으로 반박될 것인지를 보는 것은 흥미로울 것입니다. 이런 중요한 반박의 일은 여전히 하나의 도전으로서 가톨릭 성경 학문 안에 존재하고 있으며, 그리고 시작할 장소는 역사와 역사적 방법에 대한 정확한 개념들의 상세한 개발(elaboration)에서부터이며 그리고 역사 비평 학파의 잘못된 역사적 및 문헌적 틀(framework)을 성경의 네 개의 어의(語義)들이라는 틀로 대체하는 것으로부터입니다. 1890년대에 Marie-Joseph Lagrange가 가톨릭 성경 학문에 Hermann Gunkel과 그의 동료들의 역사 비평 접근을 도입하였을 때에, 그는 무엇이 건전한 역사적 방법이며 그리고 어떻게 이것이 사용되어야만 하는지를 가톨릭 성경 주석 전통(Catholic exegetical tradition)의 관점으로부터 결정함에 있어서의 본질적인 선수 단계(preliminary step)를 불행하게도 간과하였습니다. 가톨릭 학문은 바로 이 역사적 과실로부터 여전히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The University of Navarre Commentators with competent insight point out that, while the Gospel writers wrote with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faith of their readers, "that did not lead them to falsify events or neglect historical accuracy" (p. 38). Implied here is the important distinction between the finis operis (purpose of the work) and the finis operantis (purpose of the worker). In the case of the Gospels, the purpose of the work is to report events that really took place, while the purpose of the workers (the Evangelists) is also to strengthen the faith of their readers. Historical-critics are typically unaware of this distinction and tend systematically to exclude the likelihood of historical accuracy wherever they perceive or suspect an extrinsic purpose of the sacred writers, such as the desire to strengthen the faith of their readers, or to defend the faith, or to convey the deeper significance of an event. The Navarre Commentators go so far as to claim that "There are no grounds, therefore, for thinking that the Gospel story was the product of the fertile hyper-imagination of the first generation of Christians" (p. 39). It's true, there are no real grounds, but try to tell that to the many disciples of Rudolf Bultmann, the most celebrated Scripture scholar of the twentieth century, who meticulously, in his History of the Synoptic Tradition, tore the Synoptic Gospels to pieces and claimed to have definitively shown that practically all of the events recounted therein are the product of the fertile imagination of the first two or three generations of Christians. Sadly, no Catholic Scripture scholar has ever seriously taken up Bultmann's challenge by analyzing Bultmann's work line by line and showing it to be a mass of false conclusions.

 

능숙한 통찰력을 가지고 있는 나바르 대학교 주석자들은, 복음서 저자들이 자신들의 독자들의 믿음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저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바로 이 목적이 사건들을 변조하도록 혹은 역사적 정확성을 무시하도록 그들을 이끌지 않았음"을 지적합니다 (p. 38). 여기에 숨어있는 것은 바로 the finis operis (저작물의 목적)the finis operantis (저자의 목적) 사이의 중요한 구분입니다. 복음서들의 경우에 있어, 저작물의 목적은 실제로 발생하였던 사실들을 보고하는 데에 있으나, 이에 반하여 (복음사가들인) 저자들의 목적은 또한 자신들의 독자들의 믿음을 또한 강화하는 데에 있습니다. 역사 비평가들은 전형적으로 이러한 차이점을 모르고 있으며 그리고 저자들이, 자신들의 독자들의 믿음을 강화하고자 하는, 혹은 믿음을 옹호하고자 하는, 혹은 어떤 사건의 더 깊은 중요성을 전달하고자 하는 욕구 등과 같은, 성스러운 저자들의 외적인 목적을 인지하거나 혹은 의심할 때마다, 역사적 정확성에 대한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배제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나바르 주석자들은 "그러므로, 복음서 이야기가 그리스도인들의 첫 세대의 비옥한 지나친 상상력의 산물이었다고 생각할 근거들이 전혀 없습니다 "(p. 39) 라고 주장하는 정도에까지 나아갑니다. 실제 근거들이 전혀 없음이 사실이나, 그러나, 자신의 저서인 History of the Synoptic Tradition에서, 공관 복음서들을 조각들로 꼼꼼하게 찟어버렸으며 그리고 사실상 거기에 자세하게 이야기되어 있던 사건들 모두가 그리스도인들의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세대들의 비옥한 상상력의 산물임을 결정적으로 보였다고 주장하였던, 20세기의 가장 저명한 성경 학자인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많은 제자들에게, 바로 이것을 말하도록 노력하십시오. 슬프게도, 가톨릭 성경 학자 어느 누구도 불트만의 일을 한 줄 한 줄씩 분석함으로써 그리고 그의 일이 많은 양의 거짓 결론들임을 보임으로써 불트만의 도전을 지금까지 진지하게 논하였던 적이 전혀 없었습니다.

 

In implicit opposition to the conclusions of Bultmann, Dibelius, Raymond Brown, and many others, the Commentators claim that "we know" that the Four Gospels are the writings of Saints Matthew, Mark, Luke, and John, and that, with regard to their authorship, "critical analysis" supports "the unanimous, precise testimony of Tradition" (p. 29). They are speaking of sound historical analysis and not the fallacious analysis of the historical-critical school.

 

불트만(Bultmann), Dibelius, Raymond Brown, 그리고 많은 다른 이들의 결론들에 암시적인 반대로, 이 주석자들은 네 개의 복음서들이 성 마태오, 성 마르코, 성 루카, 그리고 성 요한에 의하여 저술되었음을 "우리가 알고 있음"을 주장하며 그리고, 그들의 저작권과 관련하여, "비평 분석"이 "성전(Tradition)에 대한 만장일치의, 정확한 증언"을 지지함을 주장합니다(p. 29). 그들은 건전한 역사 분석에 대하여 말하고 있는 것이지 역사 비평 학파의 잘못된 분석에 대하여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In the course of their remarks, the Commentators take a definite stand in favor of the historicity of the cures and other miracles of Jesus that are recounted in the Gospels. Thus, they say, with reference to Matt 8-9, that Jesus "is shown as endowed with divine power over disease, death, the elements, and evil spirits," and that "these miracles worked by Jesus Christ accredit the divine authority of his teaching" (p. 100). I understand these affirmations to mean, not just that the sacred writer is trying to accredit the divine authority of Jesus by depicting Him as having divine power, but that the Commentators themselves as historians are attributing to Jesus this divine power, and, thus, that the Navarre Commentators have advanced beyond the merely literary analysis of historical-criticism to actual historical analysis integrated into the general picture of world history. And in this they are consistent elsewhere in their commentary on the Synoptic Gospels (cf. their remarks on Matt 9:18-26 and Matt 17:14-21).

 

자신들의 주해(remarks)들의 과정에 있어, 이 주석자들은 복음서들에 자세하게 이야기되어 있는 예수님에 의한 치유들과 다른 기적들의 역사성에 지지하는 명확한 입장을 취합니다. 따라서, 그들은, 마태오 복음서 제8-9장에 대한 언급과 함께, 예수님께서는 "질병, 죽음, 정령들, 그리고 악령들에 대한 하느님의 힘을 갖추고 계신 분으로서 보이고 있으시다" 라고 말하며,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여 작용하게 된 이들 기적들이 당신 가르침의 하느님 권위를 증명합니다(accredit)"(p. 100) 라고 말합니다. 필자는 이들 확언들이, 성스러운 저자가 예수님의 하느님 권위를, 당신을 하느님 힘을 가지신 분으로서 묘사함으로써, 단지 증명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이 주석자들 몸소 역사가들로서 예수님께 이 하느님의 힘을 귀속시키고 있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로, 나바르 성경 주석자들이 역사 비평주의의 단순한 문헌적 분석을 넘어서 세계 역사라는 종합적인 그림 안으로 통합된 실제적인 역사 분석으로 이미 전진하였음을 의미한다고, 이해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점에 있어 그들은 공관 복음서들에 대한 자신들의 주석에 있어 다른 곳과 일치합니다(마태오 복음서 9,18-26과 마태오 복음서 17,14-21에 대한 그들의 주해들을 참조하라).

 

At Mark 7:3-5, the Commentators quote the Second Vatican Council (Dei Verbum, 25), regarding the need of translations of the sacred texts "which are equipped with necessary and really adequate explanations." Well, this University of Navarre Commentary goes a long way toward providing an adequate explanation of the Synoptic Gospels, but, for the English edition, it is regrettable that they have had to use the Revised Standard Version of the King James Bible, rather than a suitable English translation of the New Vulgate, which Catholic biblical scholars have not undertaken to produce. (And the New American Bible is, in my opinion, no worthy alternative.)

 

마르코 복음서 7,3-5에서, 이 주석자들은, "필요하고 또 실제로 적합한 설명들로 갖추어져 있는" 성스러운 본문들의 번역의 필요성에 관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하느님의 계시에 관한 교의 헌장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 25)를 인용합니다. 그런데, 이 나바르 대학교 주석서는 공관 복음서들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제공함에 크게 도움이 됩니다만(go a long way toward),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가톨릭 성경 학자들이 산출하고자 여태까지 착수한 적이 없었던, 적절한 새 대중 라틴말 성경(New Vulgate)의 영어 번역본 대신에, 그들은 킹 제임스 성경(King James Bible)의 Revised Standard Version을 사용하여야만 하였습니다. (그리고 New American Bible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로는, 대체할 만한 가치가 없습니다).

 

At Mark 16:17-18, (listing kinds of miracles that would accompany those who would believe in the name of Jesus after he had ascended into Heaven), the Navarre Commentators take a further step in favor of the reality of miracles, where they say that "in the early days of the Church, public miracles of this kind happened frequently." They thus give real historical accreditation to the reporting of miracles in the text of Sacred Scripture.

 

마르코 복음서 16,17-18에서, (당신께서 하늘로 이미 오르신 이후에 예수님의 이름으로 믿는 자들에게 수반할 기적들의 종류들을 나열하면서, 나바르 주석자들은 기적들의 실재(reality)를 지지함에 있어 한 단계 더 나아가는데, 거기서 그들은 "교회의 초기 시기들에 있어, 이런 종류의 공개 기적(public miracles)들은 자주 발생하였습니다" 라고 말합니다. 그들은 따라서 성경의 본문에 있는 기적들에 대한 보고에 대하여 실제의 역사적 승인을 제공합니다. 

 

In their "Introduction to the Gospel according to St. Luke," the Commentators quote a decision of the Pontifical Biblical Commission, dated June 26, 1912, to the effect that it is not lawful to doubt the inspiration and canonicity of Luke's accounts of the infancy of Christ (p. 328). This recourse to a decision of the (original) Pontifical Biblical Commission shows a respect for the exegetical tradition of the Church and makes the Commentary more trustworthy. The Commentators implicitly uphold the recording of true prophecy in the Gospels where they say that St. Luke's Gospel could have been written as early as 62 A.D. (p. 330), and, therefore, long before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in 70 A.D. Among the eyewitnesses that St. Luke could have consulted, the Navarre Commentators list the Blessed Virgin Mary, the Apostles, the holy women of Jerusalem, and some others (p. 339). This reference to our Lady as a possible source represents one of the best insights of our day, as more and more thought is being given to the role of Mary in the composition of the infancy narratives both of St. Mathew and of St. Luke. At Lk 5:ff., in a remarkably insightful statement, the Navarre Commentators recommend that we should take the canticles of Mary and of Zechariah in the infancy narrative of St. Luke "as being recorded exactly as they were spoken" (p. 340).

 

자신들의 "성 루카에 따른 복음서에 대한 입문"에서, 이 주석자들은, 그리스도의 유아기에 대한 루카의 서술들의 영감(inspiration)과 정전성(正典性, caonicity)을 의심하는 것은 (교회법적으로) 적법하지 않다는 취지의, 1912년 6월 26일로 날짜가 매겨진, 교황청 성경 위원회(Pontifical Biblical Commission)의 결정을 인용합니다(p. 328).(**) (원래의) 교황청 성경 위원회의 결정으로의 이러한 의존(recourse)은 교회의 성경 주석 전통(exegetical tradition of the Church)에 대한 존중을 나타내며 그리고 이 주석서를 더 신뢰하게 만듭니다. 이 주석자들은 복음서들에 있는 참 예언의 기록 과정(recording)에 대하여 암시적으로 설명하는데 거기서 그들은 성 루카의 복음서는 일찍이 기원후 62년에, 그리하여, 그 결과로, 기원후 70년에 발생하였던 예루살렘의 파괴 훨씬 이전에, 저술되었을 수 있음을 말합니다(p. 330), 성 루카가 조언을 구하였을 수 있는 목격 증언자들 중에, 나바르 주석자들은 복되신 동정 마리아, 열두 사도들, 예루살렘의 거룩한 여인들, 그리고 일부 다른 이들을 나열합니다(p. 339). 가능한 출처로서의 우리의 성모 마리아에 대한 이러한 언급은 우리의 시대의 최상의 통찰력들 중의 하나를 나타내는데, 이는 성 마태오 그리고 성 루카 둘 다에 의한 유아기 이야기들의 작성에 있어서의 마리아의 역할에 대하여 점차 더욱 더 많은 생각(thought)이 주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루카 복음서 1,5 및 이어지는 절들에 있어, 현저하게 통찰력 있는 문장으로, 나바르 주석자들은 성 루카의 유아기 이야기에 있는 마리아의 노래와 즈카르야의 노래를 "이 노래들이 불려졌던 꼭 그대로 기록되었다"고 우리가 받아들여야 한다고 권고합니다(p. 340).

-----
(**) 번역자 주: 1912년 6월 26자의 교황청 성경 위원회의 공지 중의 일부분이다:

비록 두 번째 및 세 번째 복음서들이 첫 번째 복음서의 그리스어 본(version) 이전에 저술되었다고 주장될 수는 있을 것이나, 마태오 이후에 마르코가 자신의 복음서를 두 번째로 그리고 루카가 세 번째로 저술하였음은 바로 가장 오래된 그리고 지속적인 전통(tradition)에 의한 것이다. 마르코 복음서와 루카 복음서의 저술연대(date)를 예루살렘의 파괴만큼이나 늦은 시기로 설정하거나 혹은 예루살렘에 대한 포위가 시작되었던 시기 이후로 늦게 설정하는 것은 (교회법적으로) 적법하지 않다(not lawful). 루카 복음서는 그의 사도행전보다 앞서며, 따라서, 사도행전이 완성되었던 시기인(사도행전 28,30-31), 로마 투옥의 끝 이전에 작성되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11.htm <----- 필독 권고
-----

 

The Commentators also shed light on some issues of contemporary Christology where they affirm, at Lk 2:50, that "Jesus knew in detail the whole course his earthly life would take from his conception onwards." This fact rules out a lot of reductive historical-critical interpretation of the deeds and words of Jesus. In affirmation of the historical truth of the miraculous deeds of Jesus, the Commentary, at Lk 6:19, explains that "the cures and casting out of devils which He performed during his life on earth are also proof that Christ actually brings redemption and not just hope of redemption." In other words, redemption and the prospect of Heaven are historical realities, not objects of religious fantasy.

 

이 주석자들은 지금 시대(contemporary)의 그리스도론(Christology)의 일부 주제들에 대하여 빛을 비추는데 거기서 그들은, 루카 복음서 2,50에서,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잉태부터 계속적으로 당신의 이 세상에서의 삶이 겪게 될 전체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알고 계셨습니다" 라고 확언합니다. 이러한 사실은 예수님의 행위들과 말씀들에 대한 많은 양의 환원주의적(reductive) 역사 비평적 해석을 배제합니다. 예수님의 기적적인 행위들의 역사적 진실에 대한 확언에서, 이 주석서는, 루카 복음서 6,19에서, "지상에서의 당신의 삶 동안에 당신께서 수행하셨던 치유들과 악령들을 쫒아내심은 또한 그리스도께서, 속량(redemption)에 대한 단순한 희망이 아니라, 속량을 실제로 가져다 주심에 대한 증거(proof)입니다" 라고 설명합니다. 다른 말로, 속량과 하늘(heaven)에 대한 전망은, 경신적 환상의 대상들이 아니라, 역사적 실재들입니다.

 

At Lk 6:20, the Commentators provide a convincing solution to many contradictions assumed by historical criticism in the variant wordings of the teachings of Jesus where they say that "it is very likely that in the course of his public ministry in different regions and towns of Israel Jesus preached the same things, using different words on different occasions (p. 390; cf. p. 426). And the Commentary offers traditional solutions to the seeming contradictions between the genealogies of Joseph in Matthew 1 and Luke 3. This is all grist for the mill of biblical apologetics and a credit to the Navarre Commentators.

 

루카 복음서 6,20에서, 이 주석자들은 예수님의 가르침들에 있어서의 일치하지 않는 표현들에 관한 역사 비평주의(historical criticism)에 의하여 제기된 많은 모순들에 대하여 신뢰할 수 있는 해답을 제공하는데, 거기서 그들은 "이스라엘의 서로 다른 지역들과 성읍들에서의 당신의 공적 사목의 과정에 있어 예수님께서, 서로 다른 시기들에 서로 다른 표현들을 사용하시면서, 꼭 같은 것들을 설교하셨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라고 말합니다(p. 390; p. 426을 참조하라). 그리고 이 주석서는 마태오 복음서 제1장과 루카 복음서 제3장에 있는 요셉(Joseph)의 족보들 사이에 있는 외관상의 모순들에 대하여 전통적인 해답들을 제시합니다. 이것은 모두 성경 옹호론자들의 방앗간을 위한 제분용 곡물이며 그리고 나바르 주석자들에 대한 인정(credit)입니다.

 

However, I would differ from their assertion that the argument for the possibility that St. Luke gives the actual genealogy of the Blessed Virgin Mary "does not seem to have any good basis in the Gospel text" (p. 373, at Lk 3:23). I have examined this and four other solutions to the seeming contradictions between the two genealogies in "New Light on the Genealogies of Jesus" in Living Tradition 11 (May 1987), and I have found that the possibility of a Marian genealogy in Luke, while it is not proven, does not seem to lack some good basis in the Gospel text. Luke 3:23 says that Joseph was (or was supposed to be) the "son of Eli." Briefly, we know from extra-biblical tradition that Mary's father was named Joachim, and we know from biblical tradition that the names Joachim and Eliakim can be interchangeable (cf. 4 Kg [2 Kg] 23:34, or even Joachim and Eliachim (cf. Judith 15:9, Septuagint and Vulgate versions). Francis Xavier Patrizzi pointed out in 1873 that there is no example in Sacred Scripture to indicate that Eliakim (or Eliachim) can be shortened to Eli, seeing that Eli comes from a different Hebrew root. Patrizzi's argument seems convincing in the plain reading of Lk 3:23, but historical analysis indicates that Joseph and Mary would have had a good reason to make this change anyhow, so as to provide Joseph with a useful second genealogy, inasmuch as he had probably used the genealogy in Matthew to register as a descendant of David in the census at Bethlehem.

 

그러나, 필자는, 성 루카가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실제 족보를 제시하고 있을 가능성에 대한 주장이 "성경 본문에 어떠한 좋은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은 듯 하다"(p. 373, 루카 복음서 2,23에서)는 그들의 주장(assertion)과는, 다릅니다. 필자는 이것과 그리고 Living Tradition 11 (May 1987)에 있는 "New Light on the Genealogies of Jesus"에서 두 개의 족보들 사이에 있는 외관상의 모순들에 대한 네 개의 다른 해답들을 이미 검토하였으며, 그리고 필자는, 여전히 검증되지는 않았지만, 루카 복음서에 있는 마리아의 족보가 복음서 본문에 있어 어떤 좋은 근거가 결핍되지 않을 가능성을 발견하였습니다. 루가 복음서 3,23은 요셉이 "엘리의 아들"이었다(혹은 아들이 되기로 되어있었다) 라고 말합니다. 간략하게, 우리는 성경 전통 밖으로부터 마리아의 아버지가 요아킴(Joachim)으로 불렸음을 알고 있으며, 그리고 우리는 성경 전통으로부터 요아킴(Joachim)과 엘리아킴(Eliakim)이라는[4열왕(2열왕) 23,34를 참조하라], 혹은 요아킴(Joachim)과 엘리아킴(Eliachim)이라는(칠십인역 성경과 불가타 성경의 유다 15,9를 참조하라), 이름들이 서로 바꿀 수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Francis Xavier Patrizzi는 1873년에, 엘리(Eli)가 다른 히브리어 어근으로부터 유래함을 고려할 때에, 엘리아킴(Eliakin) (혹은 Eliachim)이 엘리(Eli)로 줄여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어떠한 구체적인 예도 성경에 있지 않다고 지적하였습니다. Patrizzi의 주장은 루카 3,23에 대한 단순한 독서에 있어 설득력이 있는 듯 하나, 그러나 역사 분석(historical analysis)은 요셉(Joseph)과 마리아가, 요셉이 베들레헴에서의 호구 조사에서 다윗의 후손으로서 등록하기 위하여 마태오 복음서에 있는 바로 그 족보를 십중팔구는(probably) 사용하였을 것이기 때문에, 요셉에게 유익한 두 번째 족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하튼 이러한 이름 변경을 할 좋은 이유를 가졌을 것임을 나타냅니다.

 

The Navarre Commentary on the Gospels stands fully in line with Catholic exegetical tradition in its affirmation that the Old Testament "bore witness to Christ by announcing his coming" in all of its books, "whether historical, prophetical, or wisdom" (p. 24). It goes on to say, at Lk 4:20-22: "Thus, the Old Testament can be rightly understood only in the light of the New." This is not only an important point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books as divinely inspired, it is also an important principle of historical method. Many historical-critics maintain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books of the Old Testament properly, one must get away from New Testament viewpoints and place oneself back in the atmosphere of ancient Israel. This is a mistake, because historical understanding is insight that comes from looking back into the past from a knowledge of how past events actually turned out. One can understand the Old Testament only by knowing how, by the action of God, it turned into the New Testament.

 

복음서들에 대한 나바르 주석서는, 구약 성경이, "역사서, 예언서, 혹은 지혜서이든지 간에", 그 책들 모두에 있어, "당신의 도래를 선언함으로써 그리스도에 대한 증거임"을 확언함에 있어, 가톨릭 성경 주석 전통(Catholic exegetical tradition)과의 전적인 일치 안에 있습니다(p. 24). 이 주석서는 계속해서, 루카 복음서 4,20-22에서, "그러므로, 구약 성경은 오로지 신약 성경에 비추어 올바르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라고 말합니다. 이것은 단지 구약 성경의 책들이 하느님에 의하여 영감을 받은 것으로 해석 함에 있어 중요한 점(point)일 뿐만이 아니라, 이것은 또한 역사적 방법(historical method)의 중요한 원리(principle)이기도 합니다. 많은 수의 역사 비평가들은, 구약 성경의 책들을 적절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가 신약 성경의 관점들로부터 벗어냐야 하며(get away) 그리고 고대 이스라엘의 분위기로 스스로를 되돌려 옮겨 놓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것은 실수(a mistake)인데, 이는 역사적 이해(historical understanding)가, 과거의 사건들이 어떻게 실제로 드러났던가에 대한 지식(knowledge)에서 출발하여 과거 안으로 뒤돌아 봄으로부터 오는 통찰(insight)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오로지, 구약 성경이 신약 성경 안쪽으로, 하느님의 작용에 의하여, 어떻게 드러났는지를 알게 됨(knowing)으로써, 구약 성경을 이해할(understand) 수 있습니다. 

 

The Navarre Commentary is notable for the great number of sources from which it quotes. This includes many Fathers of the Church, many Church documents, and some medieval theologians. At Lk 5:12, it quotes from the Commentary on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tthew of St. Thomas Aquinas, a great work which, after more than seven hundred years, has still never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or into other modern languages as far as I know). One unique source is the many quotations from the spiritual writings of the Founder of Opus Dei, Saint Josemaría Escrivá de Balaguer. These quotations are almost exclusively moral applications of texts of the Holy Scriptures, first of all for self-application to the lives of his own followers and then to the lives of the reading public in general.

 

나바르 주석서는 이 주석서가 인용하는 대단히 많은 숫자의 출처들로 유명합니다. 이 주석서는 많은 수의 교부들, 많은 수의 교회 문헌들, 그리모 일부 중세 신학자들을 포함합니다. 루카 복음서 5,12에서, 이 주석서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한 the Commentary on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tthew 로부터 인용하는데, 이 훌륭한 작품은, 7백년보다도 더 된 이후에, 여전히 영어로 (혹은 필자가 아는 한 다른 근대어로) 번역된 적이 전혀 없었습니다. 한 개의 독특한 출처는 오푸스 데이(Opus Dei)의 설립자인 발라구에르의 성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Saint Josemaría Escrivá de Balaguer)의 영적 저술(spiritual works)들로부터의 인용들에 있습니다. 이들 인용들은 거의 독점적으로, 무엇보다도 먼저 성 에스크리바 고유의 따르는 자들의 삶들로의 스스로에 대한 적용이며(self-application) 그런 다음에 일반적인 독서 대중의 삶들로의 적용인, 성경의 본문들의 윤리적 적용(moral applications)들입니다.

 

As a further development of the Navarre Commentary on the Synoptic Gospels, which is very good as far as it goes, I would like to see a more explicit and systematic use of the method of the Four Senses, as recommended by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s. 115-119). These senses are the literal, the allegorical, the tropological, and the anagogical. On the level of the literal and historical sense, the interpretation of the inspired text would require a systematic refutation of the false historical-critical arguments bringing with it many new insights into the subtl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ext. One could say that a more self-appropriated framework of historical method would bring out more of the subtle historical dimension implicit at least ambiguously in the text. But this instrument is not the erroneous framework of rationalist historical research; it is rather a Catholic theory of history that was never elaborated by the great Catholic writers of the past, such as St. Augustine of Hippo and St. Thomas Aquinas, and which remains to this day to be developed.

 

공관 복음서들에 대한 나바르 주석서의 더 많은, 이 주석서가 나아갈 수 있는 한(as far as it goes) 매우 좋은, 발전으로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15-119항들)에 의하여 권고되고 있듯이, 네 개의 어의(語義)(Four Senses)들이라는 방식의 더 분명하고 체계적인 사용을 필자는 보고 싶습니다. 이들 어의(語義)들은 자구적 어의(語義)(the literal sense), 우의적 어의(語義)(the allegorical sense, 풍유적 어의), 윤리적 어의(語義)(the tropological sense), 그리고 종말론적/신비적 어의(語義)(the anagogical sense)(***)를 말합니다. 자구적 어의 및 역사적 어의(the literal and historical sense)의 수준에서, 영감을 받은 본문에 대한 해석은 잘못된 역사 비평적 주장들에 대한 체계적인 반박을 요구할 것인데, 그 결과로 그러한  반박과 함께 성경 본문의 미묘한 역사적 배경 안쪽으로의 많은 수의 새로운 통찰(insights)들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우리는 역사적 방법(historical method)이라는 스스로에게 더 적합하게 된(more self-appropriated) 틀(framework)이 성경 본문 안에 적어도 애매모호하게 암시적인 미묘한 역사적 양상(historicay dimension)으로부터 더 많은 것을 도출할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도구(instrument)는 잘못이 있는(erroneous) 합리주의자들의 역사 연구(historical research)의 틀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이것은 오히려,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of Hippo)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등과 같은, 과거의 위대한 가톨릭 저술가들에 의하여 전혀 정밀하게 고안되지(elaborated) 않았으며, 그리고 지금의 시대에 까지 발전되도록 남아 있는, 역사에 대한 가톨릭 이론을 말합니다.

 

-----
(***) 번역자 주: 
(1) 특히 다음의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anagogical 단어의 설명 및 다음의 Henri de Lubac 추기경의 저서에 주어진 anagogical sense의 설명에 의하면, “anagogical sense”를 “종말론적/신비적 어의”로 번역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이는 이 “anagogical sense"는 관점에 따라 주관적인 입장에서의 “신비적 의미”와 객관적인 입장에서의 “종말론적 의미” 둘 다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1 : of, exemplifying, or based on anagoge ; specifically : having a spiritual meaning or a sense referring to the heavenly life

출처 1: http://unabridged.merriam-webster.com/cgi-bin/unabridged?va=anagogical
출처 2:
http://ch.catholic.or.kr/pundang/4/fiatlux2000/Henri_de_Lubac_Spiritual_exegesis.htm

 

(2) 사실 Henri de Lubac 추기경은, 20세기 중반에, 가톨릭 계약 신학을 재 발굴한 신학자이며,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있어 성경에 대한 섹션(제101항-141항)을 통합한 가톨릭 신학자로 알려져 있다.

참고 자료: http://ch.catholic.or.kr/pundang/4/fiatlux2000/covenantal_theology.htm 

 

(3)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성경 해석에 대한 관점 다루고 있는 논문으로, 이 논문은 성경의 의미를 위에서처럼 네 유형으로 나눈 신학자가 바로 성 토마스 아퀴나스라고 언급하고 있다:

참고 자료: http://ch.catholic.or.kr/pundang/4/st/thomas_aquinas&sacred_scripture.htm

 

(4) 따라서, 성 토마스 아퀴나스가 살았던 시대인 13세기의 가톨릭 교회 안에는 이미, 그에 의하여 성경 본문의 의미가 이렇게 네 가지로 분류가 되는, 여러 가지의 성경 해석법들이 알려져 있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

 

The allegorical sense of Sacred Scripture regards especially the allegory of Christ and his Church. The Navarre Commentators note, with reference to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tthew, that "the Church forms a background to the entire text" (p. 51). Yes, and this gives incentive to look for a structured pattern of allusions within the text that portray by extended metaphor the face of Christ and of his Church. This metaphorical level of meaning is frequently brought out in the writings of the Fathers of the Church and of the medieval commentators and needs to be rediscovered and reorganized on the basis of a previous fuller appreciation of the literal and historical sense. In fact, but in scattered fashion, the Navarre Commentators do bring out many allegorical meanings. For instance, at Mark 6:41, the miracle of the loaves and the fishes is interpreted by the Fathers as a figure of the Holy Eucharist. At Mark 11:13-14, the cursing of the fig tree is seen to have figurative meaning as the community of the Jews and as any soul barren of good works. At Mark 14:58, the Temple of Jerusalem is seen as a prefigurement of the body of Christ. At Lk 10, the Commentary quotes St. Augustine as identifying the Good Samaritan with Jesus and the waylaid man with Adam, the source and symbol of all fallen mankind. These and other references in the text of the Commentary bring out figurative meanings of the Gospel text, but I would like to see this done in a more organized and complete manner. Of course, there is limitation of space in a general commentary, and the Navarre Commentators could not quote all of the pertinent ideas, but there could be a greater presence of the allegorical sense. The writings of the Fathers are rich in these meanings as are those of the medieval theologians. And the many deep insights of Cornelius a Lapide and other great Catholic commentators of modern times down to the present find no mention at all in the Navarre Commentary.

 

성경의 풍유적 어의(語義)(the allegorical sense, 우의적 의미/어의)는 그리스도와 당신의 교회에 대한 풍유(allegory)에 특별히 관계하고 있습니다(regard). 나바르 주석자들은, 성 마태오에 따른 복음서에 대한 언급과 함께, "교회가 성경 본문 전체에 대한 한 개의 배경임"에 주목합니다(p. 51). 그렇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성경 본문 안쪽에 있는, 중문들로 계속되는 은유(extended metaphor)에 의하여 그리스도의 얼굴(face)과 그리고 당신의 교회의 얼굴을 묘사하는, 암시(allusions)들에 있어서의 어떤 구조를 가진 양식(pattern)을 찾고자 하는 자극(incentive)을 제공합니다. 의미에 대한 이러한 은유적 수준(metaphorical level)은 교부들과 중세 주석자들의 저술들에서 자주 꺼집어 내어지고 있으며 그리고 자구적 및 역사적 어의(語義)(literal and historical sense)에 대한 이전의 더 커다란 공감(appreciation)에 근거하여 재뱔견되고 그리고 재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로, 그러나 산만한 방식으로(in scattered fashion), 나바르 주석자들은 많은 수의 풍유적 의미들을 꺼집어 냅니다. 예를 들어, 마르코 복음서 6,41에서, 빵들과 물고기들에 대한 기적은 교부들에 의하여 거룩한 성체에 대한 표상(表象)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마르코 복음서 11,13-14에서, 무화과 나무에 대한 저주는 유다인들로 이루어진 공동체로서 그리고 선행들을 낳지 않는(barren of good works) 어떤 영혼으로서 비유적인 의미(figurative meaning)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마르코 복음서 14,58에서, 예루살렘 성전은 그리스도의 지체에 대한 예표(prefigurement)로서 이해되고 있습니다. 루카 복음서 제10장에서, 이 주석자들은 착한 사마리아인을 예수님으로 알아보며(identifying) 그리고 불러 세워진 사람(the waylaid man)을, 떨어진(fallen, 타락한) 인류 모두의 근원(source)이며 상징인, 아담(Adam)으로 알아보는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를 인용합니다. 이 주석서의 본문 안에서의 이들과 그리고 다른 언급들은 복음서 본문의 비유적인 의미를 꺼집어 냅니다만, 그러나 필자는 이것이 더 조직적이며 그리고 완전한 방식으로 행하여지는 것을 보고 싶습니다. 당연히, 종합적인 주석서(general commentary)에 있어 공간의 제약은 있으며, 그리고 나바르 주석자들이 적절한 개념들 모두를 인용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만, 그러나 훨씬 더 많은 풍유적 어의(語義)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교부들의 저술들은, 중세 신학자들의 것들에서 처럼, 이러한 의미들에 있어 풍부합니다. 그리고 Cornelius a Lapide와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근대 시기의 다른 훌륭한 가톨릭 주석자들의 많은 깊은 통찰들은 나바르 주석서에서 전혀 언급되고 있지 않음을 발견합니다.

 

The tropological sense has to do with the moral rebound of the objective truths presented in Sacred Scripture. There is a simple appeal and invitation of the literal sense to the heart of the believer, and this is the simple tropological sense. The Navarre Commentary, with its many citations from the writings of Saint Josemaría Escrivá, is strong in expounding simple tropological meanings of the sacred text. But there is also a moral allegory, which is brought out in a few citations within the Commentary. Thus, for example, at Matt 4:17, the Commentators point out that Jesus would show the Kingdom of God to be "a Kingdom of love and holiness." At Matt 11:12 ("the Kingdom of Heaven suffers violence"), the Commentary quotes Clement of Alexandria to the effect that the Kingdom of Heaven belongs only "to those who fight against themselves." At Mark 1:26 (the curing of a possessed man), the Commentators see also in this man "those sinners who must be converted to God and freed from the slavery to sin and the devil." And at Mark 2:5, St. Jerome is quoted as seeing in the healing of a paralytic a figure of the healing of spiritual paralysis in general. And there may be other examples as well, but they are isolated and not integrated into a general framework of extended moral metaphor.

 

(성경의) 윤리적 어의(語義)(the tropological sense)는 성경 안에서 제시되고 있는 객관적 진실들의 윤리적 반향(moral rebound)과 관련이 되어 있습니다. 거기에는 믿는 이들의 본심을 향한 자구적 어의(語義)에 대한 단순한 호소(appeal)와 초대(invitation)가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것이 바로 하나의 단순 윤리적 어의(語義)(a simple tropological sense)입니다. 나바르 주석서는, 성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의 저술들로부터의 많은 인용(citations)들과 함께, 성스러운 본문에 대한 단순 윤리적 의미들을 자세히 설명함에 있어 매우 강합니다. 그러나 또한 윤리적 풍유(a moral allegory)가 있는데, 이것은 이 주석서 안쪽에 있는 몇 개의 인용들에서 꺼집어 내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마태오 복음서 4,17에서, 이 주석자들은 예수님께서 하느님의 나라가 "사랑과 거룩함의 나라(Kingdom of love and holiness)"일 것임을 보였을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마태오 복음서 11,12("하늘 나라는 폭행을 당하고 있다")에서, 이 주석서는, 하늘 나라가 "자기 자신들에 반하여 싸우고 있는 자들에게" 오로지 속한다는 취지로,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Clement of Alexandria)를 인용하고 있습니다. 마르코 복음서 1,26(더러운 영이 들린 사람의 치유)에서, 이 주석자들은 이 사람 안에서 "하느님을 향하여 회심하게 되어야 하며 그리고 죄에서의 노예 상태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하는 바로 그러한 죄인들"을 또한 봅니다. 그리고 마르코 복음서 2,5에서, 성 예로니모(St. Jerome)가 중풍 환자의 치유 안에서 일반적으로 영적 마비(spiritual paralysis)의 치유에 대한 하나의 표상(a figure)을 보는 것이 인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다른 구체적인 예들이 있을 것입니다만, 그러나 이들은 고립되어 있으며 그리고 중문들로 계속되는 윤리적 은유(extended moral metaphor)의 일반적인 틀 안쪽으로 통합되지 않았습니다. 

 

If one begins with a biblical idea like the Kingdom of God, it becomes obvious that this idea has at least four levels to it. In the Old Testament the Kingdom of God is presented as a theocracy in which the secular and the sacred are united and the promised rewards are mainly in this world. In the preaching of Jesus the Kingdom of God is first of all Himself and the Church that He is founding. Secondly, it is the presence of his sanctifying grace in the souls of the just and the supernatural virtues that spring from this grace. Thirdly, it is the empyrean Heaven of the blessed, the ultimate stage of the Mystical Body of Christ. These levels are the Four Senses of Sacred Scripture, and they have application in various figurative ways throughout both Testaments. An effort to bring out these Four Senses line by line throughout the Gospels would not succeed in every instance, but it would greatly illuminate and integrate commentaries on the sacred text. The last of the Four Senses, called anagogical ("leading upward"), focuses the mind upon the Heaven of the blessed. Under this sense we find the mystery of the Most Holy Trinity stamped upon the sacred text as a kind of personal signature and hallmark of the divine authorship, veiled in imagery in this life but to be clearly seen in the next. Here we see so many figurative representations and invitations to the Heaven of the blessed and the beatific vision, giving ultimate fulfillment to episodes of the literal sense. This must be a great search and a great undertaking on a path strewn with numerous insights and much valuable information from the sacred writers themselves, from the Fathers of the Church, from the documents and liturgy of the Church, from the spiritual tradition of the Church, and from many notable medieval and modern Catholic exegetes. The time to begin is now.

 

우리가 하느님의 나라와 같은 성경의 개념(a biblical concept)으로부터 출발한다면(begin with), 이 개념이 이 나라에 대하여 적어도 네 개의 수준(levels)들을 가지고 있음이 분명하게 됩니다. 구약 성경에 있어 하느님의 나라는, 그 안에서 세속적인 것들과 성스러운 것들이 결합되어 그리하여 약속된 보상들이 주로 이 세상 안에 있는, 하나의 신정주의(a theocracy)로서 제시되고 있습니다. 예수님의 설교에 있어 하느님의 나라는 무엇보다도 먼저 당신 자신이며 그리고 당신께서 세우시는 교회를 말합니다. 두 번째로, 이 나라는 의로운 이들의 영혼들 안에 있는 당신의 성화 은총(sanctifying grace)의 현존을 말하며 그리고 이 은총으로부터 솟아나는 초자연적 덕(supernatural virtues)들을 말합니다. 세 번째로, 이 나라는, ([고대 우주론의 오천(五天) 중에서)] 가장 높은 하늘[즉 (불과 빛의 세계로서 후에는 신과 천사들이 사는 곳으로 믿어진) 최고천(最高天)]인), 복된 자들의 최고천 하늘(the empyrean Heaven of the blessed, 즉 천국, 천당)인, 그리스도의 신비로운 지체의 궁극적인 단계를 말합니다. 이들 네 수준들은 성경의 네 개의 어의(語義)(Four Senses)들을 말하며, 그리고 이들은 옛 계약(구약) 및 새 계약(신약) 둘 다의 전반에 걸쳐 다양한 비유적 방식(figurative ways)들 안에서의 적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복음서들 전반에 걸쳐 한 줄 한 줄씩 이들 네 개의 어의(語義)들을 명백하게 하고자 하는 노력은 어떠한 경우에도 성공하지 못할 것입니다만, 그러나 그러한 노력은 성스러운 본문에 대한 주석들을 크게 조명할(illuminate) 것이고 그리고 통합할(integrate) 것입니다. (성경의) 종말론적/신비적 어의(語義)[anagogical (leading upward, 위쪽으로 인도하는)]으로 불리는, 이 네 개의 어의(語義)들 중의 마지막은 복된 자들의 하늘에 마음을 집중하게 합니다. 이 어의(語義) 아래에서, 우리는 일종의 인격적 서명(personal signature)으로서 그리고 하느님께서 주관하심에 대한 특징(hallmark)으로서, 이 세상의 삶 안에서의 모습에서 드러나는 그러나 다음 세상에서 분명하게 보게 될, 성스러운 본문 위에 찍힌(stamped upon) 가장 거룩한 성삼위(the Most Holy Trinity) 신비를 발견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자구적 어의(語義)의 사건(episodes)들에 대한 궁극적인 구현(fulfillment)을 제공하는, 복된 자들의 하늘 및 지복직관(the beatific vision)을 향한 너무도 많은 비유적인 표현들과 초대들을 보게 됩니다. 이것은, 성스러운 저자들로부터의, 교부들로부터의, 교회의 문헌들과 전례로부터의, 교회의 영적(spiritual) 전통으로부터의, 그리고 주목할 만한 많은 수의 중세 및 근세의 가톨릭 성경 해석학자들로부터의, 수많은 통찰들과 그리고 대단히 가치로운 정보로 뿌려져 덮힌(strewn with) 하나의 길(a path)에 대한  커다란 추구(search)이며 그리고 커다란 시도(undertaking)입니다. 시작할 시기는 바로 지금입니다.


 

Go to: Roman Theological Forum | Living Tradition Index | Previous Issue | Next Issue

 

----------

번역자 주 0:
다음은 위의 서평의 저자 Msgr. John F. McCarthy 에 관한 간략한 소개이다:

Msgr. John F. McCarthy is a priest of the Diocese of Helena, Montana, on loan as pastor to St. Wenceslaus Parish in Eastman, Wisconsin. He is the Founder and Director General of the Society of the Oblates of Wisdom. He taught Canon Law at the Lateran University in Rome, and was an official for many years at the Congregation for the Oriental Churches in the Roman Curia. He is the author of the Science of Historical Theology (1976) and many articles in the newsletter “Living Tradition ” (available on the Internet at http://www.rtforum.org).

 

John F. McCarthy 몬시뇰은 미국 Montana 주, 헬레나 교구(Diocese of Helena)의 사제인데, 미국 Wisconsin 주, Eastman에 있는 St. Wenceslaus 본당의 주임신부로서 차용 중(on loan)이다. 그는 the Society of the Oblates of Wisdom의 설립자이며 그리고 총 관리자이다.그는 로마에 있는 라테라노 대학교(Lateran University)에서 교회법을 가르쳤으며, 그리고 로마 교황청에 있는 동방 교회성(the Congregation for the Oriental Churches)에서 여러 해 동안 고위 관리였다. 그는 저서명 the Science of Historical Theology (1976) 그리고 (인터넷 상으로 http://www.rtforum.org 에서 구할 수 있는, 회보 “Living Tradition ”에 있는 많은 글들의 저자이다. (엮은이 번역) 

 

출처: http://www.catholicculture.org/culture/library/view.cfm?recnum=4679
Pontifical Biblical Commission: Yesterday And Today
McCarthy, John F. (Homiletic & Pastoral Review, January 2003)

 

----------

번역자 주 1:

출처: http://www.ewtn.com/library/PRIESTS/DEPOST.TXT

다음은 바로 위의 출처에 있는 논문에 대한 안내글과 바로 위의 출처에 있는 논문 중에서 발췌한 것이다:

 

Msgr. Eugene Kevane discusses the Deposit of Faith & Morals and traces the roots of the heresy of Modernism back to Descartes, Kant & Hegel. According to Father, Modernism, also known as Relativism, "makes the truths of the Deposit of Faith and Morals relative to history and its cultural changes." Father provides a litmus test for orthodoxy. This article is taken from "Homiletic & Pastoral Review", May 1991.

 

Eugene Kevane 몬시뇰은 신앙의 유산 및 윤리들에 대하여 논의하며 그리고 근대주의(Modernism)라는 이단의 뿌리들을 데카르트, 칸트 및 헤겔에까지 거슬러 추적한다. 이 신부에 따르면, 또한 "상대주의(Relativism)"로도 알려져 있는 근대주의는 "신앙의 유산과 윤리들에 있어서의 진리들을 역사와 그 문화적 변화들에 관하여 변하게 만든다." 이 신부는 정통에 대한 리트무스 시험을 제공한다. 이 글은 "Homiletic & Pastoral Review", May 1991에서 발췌된 것이다. (엮은이 번역)

--

 

Rejection of the heresy of Modernism means rejection of its
     approach to the Deposit of Faith and Morals.

                 THE DEPOSIT OF FAITH AND THE PRIESTHOOD
                            By Eugene Kevane

...

A future-oriented step being taken currently at Rome should be mentioned.
It is a conscious effort on the part of a group of younger scholars at the
Holy See to recover the approach to the Sacred Scripture which
characterized the Fathers of the Church. The Fathers read and studied and
used the Bible from within the Church and its Rule of Faith, concentrating
primarily on the divine authorship of the Bible and only secondarily on the
ministerial human authorship.18)

 

현재 로마에서 취해지고 있는 미래 지향적인 조치는 언급되어져야만 합니다. 이것은 교황청에서 더 젊은 학자들로 이루어진 집단 측에서 교부들을 특징지었던 성경으로의 바로 그 접근을 회복하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입니다. 교부들은 교회 안쪽에서 그리고 신앙에 대한 교회의 규정 안쪽에서, 성경에 대한 하느님 저자(divine authorshop)에 주로(primrily) 집중하면서 그리고 성직자인 인간 저자(human authorship)에 단지 두번째로 집중하면서, 성경을 읽었고 그리고 학습하였으며 그리고 사용하였습니다.18) (엮은이 번역).

...

--


18) This explicit action is under the leadership of an American priest
attached to the Holy See, Msgr. John F. McCarthy. The group publishes an
important newsletter, "Living Tradition." To subscribe, and also to obtain
back issues, for example, no. 4, "Patristic Exegesis" and no. 9, "The Task
of Living Tradition," address: Rev. Msgr. John F. McCarthy, Director; Sedes
Sapientiae Study Center; Via Concordia, 1; 00183 Rome, Italy. This recovery
of the Patristic approach to the Bible is strongly implied and supported by
two recent articles of Cardinal Joseph Ratzinger: "Sources and ransmission
of the Faith," "Communio" (Spring, 1983), pp. 17-34; and "Foundations and
Approaches of Biblical Exegesis", "Origins" (Feb. 11, 1988) pp. 594-602.
One can perhaps discern a sea change beginning in the Church: younger
scholars in ever greater numbers will take up research along these lines.

 

18) 이러한 명확한 조치는, 교황청에 소속된, Msgr. John F. McCarthy 이라는 미국인 사제의 지도력 하에 있습니다. 이 그룹은 중요한 회보인 "Living Tradition"을 발행합니다. "구독하기 위하여, 그리고 또한, 예를 들어, no. 4, "Patristic Exegesis" 그리고 no. 9, "The Task of Living Tradition," 등의, 과월호들을 구하기 위하여, 다음의 주소로 편지를 보내십시오: Rev. Msgr. John F. McCarthy, Director; Sedes Sapientiae Study Center; Via Concordia, 1; 00183 Rome, Italy. 성경으로의 교부들의 접근에 대한 이러한 회복은 다음의 요셉 라칭거 추기경(Cardinal Joseph Ratzinger)(현재 베네딕토 16세 교황)의 최근의 두 개의 글들에 의하여 강력하게 암시되며 그리고 지지를 받고 있다: "Sources and ransmission of the Faith," "Communio" (Spring, 1983), pp. 17-34; and "Foundations and Approaches of Biblical Exegesis", "Origins" (Feb. 11, 1988) pp. 594-602. 우리는 교회 안에서 시작되는 다음과 같은 현저한 변화를 아마도 인식할 수 있다: 젊은 학자들이 훨씬 더 많은 숫자로 이러한 방침들을 따라 연구를 시작할 것이다. 

(이상 발췌 끝) 

---------------

번역자 주 2: 
가톨릭 계약 신학(Catholic Covenantal Theology)에 대한 추가 안내는 다음의 자료들에 있으니 또한 참고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fiatlux2000/covenantal_theology.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fiatlux2000/rtforum_study.htm

 -----

 

번역자 주 3:
다음은, 총 6권으로 이미 출판된 시리즈인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는 성경공부 해설서"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 가해-I,II, 나해-I,II, 다해-I,II의 서문에서 발췌한 것이다:

따라서 이 해설서가 비록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 공부 해설서"라는 생소한 제목 하에 마련되기는 하였으나, 사실은 다음과 같은 매우 실용적인 사용을 예상하면서 마련되었다. 즉 이 해설서는,

 

(0) 보통 수준의 남녀노소 가톨릭 평신자들이라 하더라도, 별다른 혼란이나 어려움 없이 매 주일 미사 및 축일의 미사 중의 말씀 전례 및 강론 말씀 그리고 가톨릭 교회 교리에 전반 대한 학습과 올바른 이해를 쉽게 할 수 있게 하고,

 

(1) 국내 가톨릭계에서 각 본당별로 매주 실시되고 있는 소공동체 모임에서의 성경 읽기 시간의 교재 혹은 참고서로서 매우 적합할 뿐만 아니라,

 

(2) 미사 중 말씀 전례 후반부에 이어지는 강론 말씀(Homily) 준비를 위한 양질의 출처 자료(source material)이기도 하고,

 

(3) 앞으로 성서학을 학문적으로 전공을 하고자 하는 분들을 위한 성경 공부 입문서이기도 하다. 즉 이 해설서는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가르침인 계약 신학(Catholic Covenantal Theology)적 입장을 따르고 있는데,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를 가족 계약(family covenant)로 설명하는 가톨릭 계약 신학은 특히 1950년 이후로 성경 해석에 있어 중요한 신학적 근거가 되어, 가톨릭 교회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4개의 핵심 문헌들 중의 하나인 하느님의 계시에 관한 교의헌장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과 1992년에 초판 발행 및 1997년에 확정 발행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101-141항의 서술에 집중적으로 도입되었다. 또한 베네딕토 16세 교황(Pope Benedict XVI)께서는 교황청 신앙교리성 장관 시절에 Many Religions - One Covenant(Joseph Cardinal Ratzinger, 1999 Ignatius Press, 영문판)라는 제목의 저서를 집필하기도 하였다.(*)

 

-----
(*) 참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fiatlux2000/covenantal_theology.htm
-----

 

(4) 더 나아가, 이 해설서는 전통적인 가톨릭 문화 전반에 걸쳐 언어 장벽 및 문화 장벽을 뛰어 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

번역자: 소순태 마태오 교수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33시간

 



2,160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