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23,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3-04 ㅣ No.1782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82.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아래의 각 절의 우리말 번역문들에서 세 번째 번역문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졸번역입니다. 

 

제 23 장   제가(齊家)(*0)

 

 1 嘉戚看承       가척간승         가족친척 서로 돕고 

     아름다워라 친척 돌보고/ (2017년 4월 15일) 아름다워라 친척 돌보는

   아름다워라 친척 돌보는 분들!/(2017년 4월 15일) 아름다워라 친척 돌보는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嘉戚 은 한 단어/숙어로서 거의 사용되지 않아 왔음(즉, 한나라 이전에만 1번):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8%89%E6%88%9A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8%89%E6%88%9A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看承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C%8B%E6%89%BF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C%8B%E6%89%BF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漢語大詞典에 수록된, 看承 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음:

http://art.tze.cn/refbook/book.aspx?bi=m.20080419-m300-w001-041&p=0&sv=%E7%9C%8B%E6%89%BF&t=6&ks=&vs=&cs&tb=&et=&cult=TW

 

 2 昆玉姉妹       곤옥자매         형제자매 곤옥 같이 

                                          형제와 자매들아

                                    님의 형제분(昆玉)들 및 자매들이시어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昆玉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1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8%86%E7%8E%89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8%86%E7%8E%89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漢語大詞典에 수록된, 昆玉 에 대한 설명, 즉, "다른 이의 형제들에 대한 공경의 말"을 읽을 수 있음: 

http://art.tze.cn/refbook/book.aspx?bi=m.20080419-m300-w001-039&p=0&sv=%E6%98%86%E7%8E%89&t=6&ks=&vs=&cs&tb=&et=&cult=TW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姉妹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7%89%E5%A6%B9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7%89%E5%A6%B9

  

 3 純孝爺懽       순효야환         부모 공경 효도하며 

                            순수한 효성(孝誠)으로 부모 기쁘게 하며

                         오직 지극한 효(純孝), 주: 漢語大詞典)만으로 아버지를 기쁘게 하고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純孝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2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4%94%E5%AD%9D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4%94%E5%AD%9D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漢語大詞典에 수록된, 純孝 에 대한 설명, 즉, "오직 지극한 효"를 읽을 수 있음: 

http://art.tze.cn/refbook/book.aspx?bi=m.20080419-m300-w001-043&p=0&sv=%E7%B4%94%E5%AD%9D&t=6&ks=&vs=&cs&tb=&et=&cult=TW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爺懽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8%BA%E6%87%BD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8%BA%E6%87%BD

 

 4 卑弱佑惠       비약우혜         약자에게 은혜주네 

    천하고 약한 이 도우며 은혜베풀 지어다/(2017년 4월 15일) 비천하고 약한 이 돕고 은혜 베풀도다

    약자(卑弱)들에게 도움주고 은혜 베풀도록 하시라/(2017년 4월 15일) 약자(卑弱)들에게 도움주고 은혜 베푸시는구료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卑弱 은 한 단어/숙어로서 드물게 사용되었음(즉, 한나라 이전에는 9번, 한나라 이후에는 9번):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D%91%E5%BC%B1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D%91%E5%BC%B1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佑惠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D%91%E6%83%A0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D%91%E6%83%A0

 

 5 刻薄肇衰       각박조쇠         각박함이 사라지고 

  각박(刻薄)하면 쇠망(衰亡)이 비롯되나니/(2017년 4월 15일) 각박함에서 쇠망 비롯하나니

                       각박(刻薄)함이 쇠망(衰亡)을 개시(開始)하나니/비롯하나니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刻薄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매우 드물게 사용되었고(즉, 4번)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 사용되었음(즉, 28번):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8%BB%E8%96%84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8%BB%E8%96%84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肇衰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2%87%E8%A1%B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2%87%E8%A1%B0

 

 6 憐惜奴婢       연석노비         아랫사람 동정하며 

                     노비들 불쌍히 여기면서/(2017년 4월 15일) 노비를 불쌍히 여기면서

  노비들을 불쌍히 여기어(憐惜)/(2017년 4월 15일)  노비들/남자 종과 여자 종들을 불쌍히 여기어(憐惜)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憐惜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 사용되었음(즉, 15번):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6%90%E6%83%9C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6%90%E6%83%9C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奴婢 은 한 단어/숙어로서 더러 사용되었음(즉, 한나라 이전: 155번; 한나라 이후: 335번):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5%B4%E5%A9%A2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5%B4%E5%A9%A2 

 

 7 普護根源       보호근원         인간 근원 보호하여  

      인도(人道)의 근원 널리 보호하면/(2017년 4월 15일) 도(道)의 근원 널리 수호하면

                           [인륜(人倫)의] 근원(根源) 널리(普) 보호하면()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普護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9%AE%E8%AD%B7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9%AE%E8%AD%B7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根源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 사용되었음(즉, 41번):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0%B9%E6%BA%9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A0%B9%E6%BA%90

 

 8 康寧允慰       강령윤위         기쁨 평화 위로받네 

        강녕(康寧)함이 참으로 너를 위로해주리라/(2017년 4월 15일) 강녕(康寧)함이 참으로 위로해주리라

       [유교의 五福 중의 하나인] 강녕(康寧)/건강함이 진실로 [그대를] 위로하리라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康寧 은 한 단어/숙어로서 드물게 사용되었음(즉, 한나라 이전: 32번; 한나라 이후: 21번):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A%B7%E5%AF%A7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A%B7%E5%AF%A7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允慰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5%81%E6%85%B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5%81%E6%85%B0  

 

 

右節, 一室之內, 和氣致祥, 能如此者, 其孝友誠可嘉矣.

우절, 일실지내, 화기치상, 능여차자, 기효우성가가의.

 

戚, 眷屬也. 昆玉, 兄弟也.

척, 권속야. 곤옥, 형제야.

 

윗글은 한 집안 안에 화락한 기운과 상서로운 기운이 돌기를 능히 이같이 하면, 그 효성과 우애로 誠의 아름다움을 가히 이루리라는 것이다.

 

척(戚)은 가족을 말하며 곤옥(昆玉)은 형제를 말한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390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