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25,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4-04 ㅣ No.1794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94.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아래의 각 절의 우리말 번역문들에서 세 번째 번역문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졸번역입니다.  

 

제 25 장   평천하(平天下)(*0)

 

 1 崗磐晨屆       강반신계         새벽부터 산 오르고

                                  새벽부터 높은 산에 오르고

           산등성마루(, 주: 한한대사전)의 너럭바위()에 새벽()이 다다르니()

 

주 25-1-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崗磐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4%97%E7%A3%9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4%97%E7%A3%90

 

25-1-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晨屆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9%A8%E5%B1%86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9%A8%E5%B1%86


 2 湖漢星遷       호한성천         밤새우며 바다 건너

                                  밤새도록 맘망대해 건너서

                    호한(湖漢)(*) 쪽으로 별자리()가 옮겨가네()

 

-----

(*) 한한대사전: 강서성(江西省) 감강(贛江)의 주류와 상류인 공수(貢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25-2-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湖漢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아 왔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9%96%E6%BC%A2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9%96%E6%BC%A2

 

25-2-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星遷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8%9F%E9%81%B7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8%9F%E9%81%B7


 3 延嘏藥送       연하약송         병자에게 약 보내고

                수명 연장하도록 약을 보내며/ (2017.05.13) 목숨 연장하도록 약을 보내며

       이어져() 복()과 약()이 쫓아가기에(, 주: 한한대사전)

 

25-3-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延嘏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B%B6%E5%98%8F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B%B6%E5%98%8F

 

25-3-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藥送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97%A5%E9%80%81

http://ctext.org/post-han?searchu=%E8%97%A5%E9%80%81


 4 糧捐       수기량연         식량 풀어 구제하니

        식량 풀어 주린 이에게 얼른 주어라/ (2017.05.13) 주린 이 구제하도록 양식을 주어라

        비 오도록 기다렸으나(, 주: 역경/주역의 제5번째 괘) 흉년이 들면() 양식()을 기부하도록 하라

 

: 주역/역경의 제5번째 수(水)천(天) 수(需) 괘는 다음과 같음:   

 

25-4-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C%80%E9%A3%A2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C%80%E9%A3%A2

 

25-4-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糧捐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3%A7%E6%8D%9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3%A7%E6%8D%90


 5 偏側陸奠       편측육전         무너진 곳 북돋우고

                            한쪽이 기울면 땅 치솟아/ (2017.05.13) 높은 땅도 기울어지고

           기울어지는(偏) [예(禮)에 어긋나는] 측면/행위(側)는 땅(陸)에 머무르고(奠) [참고 및 검토 요:  이사야 40,3-5; 루카 3,1-6); 성경직해, ](*)

 

-----

(*) 다음의 "성경직해" 중에서 발췌되고 있는 루카 복음서 3,1-6 은 (i) 자구 출처가 아님이 분명하고 그리고 또한 (ii) 내용 출처도 아니라는 생각임: "성경직해", 권1_32_오주성탄전제1주일_116-124 (<----- 클릭하십시오) [Fourth Sunday of Advent, 대림 제4주일, 루카 복음서 3,1-6(1969년에 개정된 지금의 전례력에 있어, 다해 대림 제2주일 복음 말씀)] [(2017년 1월 6일) 주: "광야", "통고" 등의 번역 용어들이 본문 중에서 사용되고 있음. (2017년 1월 9일) 주:  "전지자", "통교", "통회", "칠성사", "고해", "속보", "신부", "교황", "본죄", "성의", "통공", "의인", "연옥", "보속" 등의 번역 용어들이 잠에서 사용되고 있음.]

-----

 

25-5-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偏側 은 한 단어/숙어로서 매우 드물게 사용되었음(즉, 한나라 이후에만 5번):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1%8F%E5%81%B4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1%8F%E5%81%B4  

 

그리고 偏側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偏側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발췌 시작)

偏側

 

    【1】謂偏頗;片面。{宋}{葉適}《何參政挽歌》之一:“人心喜偏側﹐國脈要勻亭。”{清}{龔自珍}《與人箋四》:“吾子何所見之偏側哉!”【2】猶傾側;偏斜。{宋}{程大昌}《演繁露·月受日光》:“過望﹐則月輪轉與日遠﹐爲之圜者﹐但能偏側受照﹐而光彩不全。”{南朝} {宋}{謝靈運}《山居賦》:“昔{仲長}願言﹐流水高山;{應璩}作書﹐{邙}阜{洛}川。勢有偏側﹐地闕周員。”自注:“謂二家山居﹐不得周員之美。”

(이상, 발췌 끝)

 

25-5-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陸奠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9%B8%E5%A5%A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9%B8%E5%A5%A0


 6 圯壞岸堅       이괴안견         기운 쪽을 세우거늘

          견고한 언덕도 무너지는 법이거늘/ (2017.05.13)(???) 견고한 언덕도 무너지거늘

                                      흙다리(圯)는 무너지고 언덕은 견고해지는데

 

25-6-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圯壞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C%AF%E5%A3%9E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C%AF%E5%A3%9E

 

25-6-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岸堅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2%B8%E5%A0%85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2%B8%E5%A0%85


 7 那肯鬪隙(25,7)(*)       나긍투극         어찌하여 헐뜯으며

                                          어찌하여 싸우고 헐뜯으며

                                   어찌하여 싸움(鬪)과 불화(隙)를 즐기어 하면서(肯)

 

-----

(*) "성교요지" 25,7-8내용 출처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조전천주십계"제8계, 즉, "천주성교실록"에 수록된 "십계명"제8계임: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67.htm <----- 필독 권고 

-----

 

25-7-1:"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那肯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1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2%A3%E8%82%AF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2%A3%E8%82%AF

 

25-7-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鬪隙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C%AA%E9%9A%99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C%AA%E9%9A%99


 8 蕪穢侵牽(25,8)       무예침견         더러움에 빠지는가

                               더러움에 점점 끌려가는가/(2017.05.13) 더러움에 끌려가는가

                                      거칠음과 더러움(蕪穢)에 차츰(侵) 매이는가(牽)?

 

25-8-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蕪穢 는 한 단어/숙어로서 드물게 사용되었음(즉, 한나라 이전에는 15번, 한나라 이후에는 35번):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95%AA%E7%A9%A2

http://ctext.org/post-han?searchu=%E8%95%AA%E7%A9%A2

 

그리고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음: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8a%9c%e7%a7%bd&st=3

 

그리고 또한 국내의 유학자들도 蕪穢 를 많이 시용하였음: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FD&url=/itkcdb/text/searchAllTotalListIframe.jsp%3Fstartdate=%26enddate=%26setidlist=nOnE%26sugiid=%26suginame=%26dbname=%26gunchaid=%26gunchaname=%26muncheid=%26munchename=%26upperSugiNo=%26chkInDirectory=%26searchInResult=%26chkInjipsu=%26paramSerise=%26bizName=FD%26url=%252Fitkcdb%252Ftext%252FsearchAllListIframe.jsp%26searchSaveChk=Y%26sectionname=total%26extOrEqual=0%26keyword=%25E8%2595%25AA%25E7%25A9%25A2

 

25-8-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侵牽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E%B5%E7%89%BD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E%B5%E7%89%BD

 


右節, 爲善之人不存歧視, 能如此者, 其慈惠誠可嘉矣.
우절, 위선지인부존기시, 능여차자, 기자혜성가가의.


崗磐, 山之高者. 湖漢, 水之廣者. 嘏, 壽也. 送藥以却病, 則壽可延.
강반, 산지고자, 호한, 수지광자. 하, 수야. 송약이각병, 즉수가연.


需, 急也. 捐糧以急饑, 則荒可濟. 偏側, 物將壞而不正也. 蕪, 汚也.
수, 급야. 연량이급기, 즉황가제. 편측, 물장괴이부정야. 무, 오야.

 

윗글은 선을 베푸는 사람은 사물을 비뚤게 보지 않으니, 능히 이같이 선을 행한다면 그 자비와 은혜가 誠의 아름다움을 가히 이루리라는 것이다.


강반(崗磐)은 높은 산을, 호한(湖漢)은 넓은 물을 뜻한다. 하(嘏)는 수(壽)인데 약을 보내 병을 고치면 가히 오래 살 수 있다. 수(需)는 급함이다. 식량을 풀어 기아를 구제한다면 가히 흉년을 구제할 수 있다. 편(偏)하면 사물이 장차 무너지고 바르지 못한 것이다. 무(蕪)란 더러움이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성교요지" 25,7-8내용 출처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조전천주십계"제8계, 즉, "천주성교실록"에 수록된 "십계명"제8계임: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67.htm <----- 필독 권고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301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