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26,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4-04 ㅣ No.1795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95.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아래의 각 절의 우리말 번역문들에서 세 번째 번역문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졸번역입니다. 

  

제 26 장   성(誠)(*0)

 

 1 謹恪密盟       근각밀맹         신앙 굳게 맹세하면

                행실 삼가고 마음에 맹세하면/(2017.05.13) 삼가고 삼가며 마음에 다짐하면

                 오직 삼가고 공경하며(謹恪) 맹약(盟約)()을 누설하지 아니하면()

 

26-1-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謹恪 은 한 단어/숙어로서 거의 사용되지 않아 왔음(즉, 한나라 이전에 1번, 한나라 이후에 1번 사용됨):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C%B9%E6%81%AA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C%B9%E6%81%AA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漢語大詞典에 수록된, 謹恪 에 대한 설명, "오직 삼가고 공경함"을 읽을 수 있음: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704E1B6960B2959CF7EF0869C0DDB88&cult=TW&bv=1

 

26-1-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密盟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F%86%E7%9B%9F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F%86%E7%9B%9F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맹서/맹세(盟誓)가 "신불(神佛) 앞에서 약속(約束)"을 말한다는 한자사전에 주어진 설명을 읽을 수 있으므로, 따라서 성교요지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 중에서 이 용어의 사용은 대단히 부적절하다는 생각임:

http://hanja.naver.com/word?q=%E7%9B%9F%E8%AA%9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漢語大詞典에 수록된, 盟約 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음: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30CDA8283D187F82A2FC1CB2A25DFBD&cult=TW&bv=1


 2 譽賞似赫       예상사혁         보상 영예 빛나리라

                                  영예와 보상이 빛날 것이오

                        영예와 보상이 빛나는 업적과 유사할 것이나

 

26-2-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譽賞 은 한 단어/숙어로서 거의 사용되지 않아 왔음(즉, 한나라 이전에만 3번 사용됨):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D%BD%E8%B3%9E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D%BD%E8%B3%9E

 

26-2-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似赫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C%BC%E8%B5%AB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C%BC%E8%B5%AB

 

-----


 3 轉眼崩薨       전안붕훙         죽음으로 눈 돌리면

                                  눈 돌리면 몰락과 죽음으로/(2017.05.13) 죽음으로 눈 돌리면

                   순간적인(轉眼) 고대 제왕과 제후들의 죽음(崩薨)은

 

26-3-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轉眼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2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D%89%E7%9C%BC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D%89%E7%9C%BC

 

그리고 轉眼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bd%ac%e7%9c%bc&st=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漢語大詞典에 수록된, 轉眼 에 대한 설명, "시간의 짧음과 촉박함을 형용함"을 읽을 수 있음: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71FB25C8FA8142F2F8D7C9C2418AA4E&cult=TW&bv=1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바로 위의 漢語大詞典 주어진 설명과 마찬가지인,  漢典에 수록된, 轉眼 에 대한 설명, "순간적으로(in an instance)"라는 설명을 읽을 수 있음:

http://www.zdic.net/c/c/151/334676.htm

 

26-3-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崩薨 은 한 단어/숙어로서 드물게 사용되었음(즉, 한나라 이전에는 7번, 한나라 이후에는 7번 사용됨):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4%A9%E8%96%A8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4%A9%E8%96%A8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漢語大詞典에 수록된, 崩薨 에 대한 설명, "고대 제왕과 제후의 죽음을 일컬음"을 읽을 수 있음: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E34EF70B0D572F652D9B32234AAAF4E&cult=TW&bv=1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바로 위의 漢語大詞典에 주어진 崩薨에 대한 설명을, 더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4%A9¶llelsearch=3925#n9586 <----- PC에서, 필히 클릭하여 확인하라

 

(禮記(기원전 475년 - 기원전 221년)에서 발췌 시작)

曲禮下:

天子死曰崩,諸侯曰薨,大夫曰卒,士曰不祿,庶人曰死。在床曰尸,在棺曰柩。羽鳥曰降,四足曰漬。死寇曰兵

(이상, 발췌 끝)


 4 驚覩幽黑       경도유흑         암흑보고 경악하리

                                 놀라며 어둠을 보리라

                      놀라면서() 깊은 어두움(幽黑)을 보게 하리라()

 

26-4-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驚覩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9%9A%E8%A6%A9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9%9A%E8%A6%A9

 

26-4-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幽黑 은 한 단어/숙어로서 매우 드물게 사용되었음(즉, 한나라 이전에는 1번, 한나라 이후에는 4번 사용됨):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9%BD%E9%BB%91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9%BD%E9%BB%91

 

그리고 幽黑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b9%bd%e9%bb%91&st=3


 5 戾綱橫罹       여강횡리         죄인들은 화를 입고

                                  어긋난 법망에 마구 걸려들어

              죄를 묶는 포승줄에 뜻하지 않게 재앙을 당하여(橫罹)

 

26-5-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戾綱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8%BE%E7%B6%B1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8%BE%E7%B6%B1

 

26-5-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橫罹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9%AB%E7%BD%B9

http://ctext.org/post-han?searchu=%E6%A9%AB%E7%BD%B9

 

그리고 橫罹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6 昌衢閉塞       창구폐색         넓은 길도 막혀 버려

                           번화한 길도 막히며/ (2017.05.13) 각주: 길에 인적이 끊겼다는 말이다

                        큰 길(昌衢)도 막히어(閉塞)

 

26-6-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昌衢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8%8C%E8%A1%A2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8%8C%E8%A1%A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漢語大詞典에 수록된, 昌衢 에 대한 설명, "큰 길"을 읽을 수 있음: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263EA10EB53E3A01B25FC058F68CDE6&cult=TW&bv=1

 

26-6-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閉塞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드물게(즉, 52번) 사용되었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2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6%89%E5%A1%9E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6%89%E5%A1%9E

 

그리고 閉塞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97%ad%e5%a1%9e&st=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漢語大詞典에 수록된, 閉塞 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음: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2B02F0944549D98E23E7B2927519FFB&cult=TW&bv=1


 7 抱恨沈淪       포한침륜         한을 품고 몰락하니

                                  한을 품고 몰락하리니

                         한을 품고(抱恨) 몰락하였으니(沈淪)

 

26-7-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抱恨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1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A%B1%E6%81%A8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A%B1%E6%81%A8

 

그리고 抱恨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8a%b1%e6%81%a8&st=3

 

26-7-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沈淪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1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2%88%E6%B7%AA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2%88%E6%B7%AA

 

그리고 沈淪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b2%88%e6%b2%a6&st=3

 

-----


 8 況兼殘賊       황겸잔적         흉악한 자 어찌하랴

                      하물며 잔적한 사람은 어떠할까/ (2017.05.13)하물며 잔적들은 어떠할까

        더군다나(況兼) 의(義)를 해치는 자와 인(仁)을 해치는 자(殘賊)(*)는 어떻게 될까?

 

-----

(*) 성교요지 제26장 전체 문맥 안에서 殘賊의 의미는, 아래의 漢語大詞典 제시된 의미보다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맹자", 梁惠王下 편에 제시된 문맥 안에서 이해하여야 한다는 생각임: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E%98%E8%B3%8A <---- 필독하라

-----

 

26-8-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況兼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1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3%81%E5%85%BC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3%81%E5%85%BC 

 

그리고 況兼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6%b5%e5%85%bc&st=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漢典에 수록된, 況兼 에 대한 설명, "더군다나(moreover)"을 읽을 수 있음:

http://www.zdic.net/c/c/151/358757.htm

 

26-8-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殘賊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도 드물게(즉, 95번) 사용되었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6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E%98%E8%B3%8A

http://ctext.org/post-han?searchu=%E6%AE%98%E8%B3%8A

 

그리고 殘賊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ae%8b%e8%b4%bc&st=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漢語大詞典에 수록된, 殘賊 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음: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B917791C58CEF2861690A228D1EF4A2&cult=TW&bv=1

 


右節, 此三等人, 能盡其分, 誠合於正道矣.
우절, 차삼등인, 능진기분, 성합어정도의.


惟不求慕正道, 則不能自救其靈魂.
유불구모정도, 즉불능자구기령혼.


密盟, 盟之於心也. 赫. 顯赫也. 橫罹, 無辜而蹈禍也.
밀맹, 맹지어심야. 혁, 현혁야. 횡리, 무고이도화야.

 

沈淪, 陷溺也. 殘賊, 凶暴之人也.
침륜, 함닉야. 잔적, 흉포지인야.

 

윗글은 이미 말한 세 부류의 사람들은 정성을 극진히 함으로써 정도에 합당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올바른 도리를 사모하여 구하지 않는다면 능히 자기의 영혼을 스스로 구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밀맹(密盟)은 마음에 굳게 맹세함이며 혁(赫)은 빛나 드러나는 것을 말한다. 횡리(橫罹)는 무고하게 화를 입는 것이며, 침륜(沈淪)은 빠져 밑바닥에 가라앉음을 말한다. 잔적(殘賊)은 흉포한 사람이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368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