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중세의 성경 해석법, 그리고 Dei Verbum의 권고 [성경해석] 969_토미즘학습 782_ 1077_

인쇄

성경해석 3/4 [122.128.42.*]

2011-07-13 ㅣ No.1082

 
 
 
가톨릭 성경 해석에 관한 글 모음: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 찬미 예수님!
 
 
1.
 
지금까지 우리가 살펴 본 것들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1-1.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님은 알레고리적 성경 해석에 있어 뛰어난 분이셨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필독 권유])
 
[발췌 한 개]
그레고리오에게 있어 우의적/풍유적 의미는, 하느님의 나라(the Kingdom of God)에 대한, 하늘(heaven)에 대한, 종말론 혹은 모든 사물들의 최종적 끝에 대한, 그리스도에 대한 혹은 교회 공동체들의 삶에 관련된 모든 것들에 대한, 영적인 진리 혹은 경험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였습니다. 다른 성경 독자들 및 주석자들은 우의적/풍유적 의미라는 그레고리오의 범주를 다음과 같이 두 개의 분리된 수준들로 쪼갰습니다: 1) 신비적 혹은 예언적 혹은 종말론적 의미를 뜻하는 "신비적/종말론적 의미(the anagogical)" 그리고 2) 그리스도와 (모든 믿는 이들, 모든 교회들의 삶인) "그리스도의 지체"에 대하여, 그리스도론적 및 교회론적 교리에 대하여, 언급하는 우의적/풍유적 의미(the allegorical).
 
1-2. 우의적/풍유적/알레고리적 성경 해석법에 대한 더 포괄적인 역사적 배경을 살펴 보았습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필독 권유])
 
1-3. 이번 글에서는, 이 우의적/풍유적/알레고리적 성경 해석법이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과 중세의 성경 해석에 있어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결론 1)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자신의 저서인 신학 대전바로 첫 시작 부분(Ia, q1, a10)에서, 위의 제1-1항제1-2항에서 다루었던, 성경 해석의 네 가지 방법들을 정의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성경 해석법이, 철저하게 연역적으로 저술된 신학 대전 전반에 걸쳐, 실천으로 이어질 것이 요구되는, 상위 개념이기 때문이라는 생각입니다.
 
특히, 예를 들어, 다음의 제2항에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a, q1, a10 에서 성 그레고리오 1세 교황욥기(the Book of Job)에 대한 주석서인 Moralia in Job로부터의 한 문장이 인용되고 있습니다.
 
참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에서,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기원전 384년-기원전 322년) 의 저술들은 약1904번 인용(the Philosopher)하고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어, 라틴 교부(Latin Fathers)들로 불리는, 
(i) 카르타고의 성 키프리아누스(St. Cyprian of Carthage, 258년에 죽음)의 저술들을 약22번 인용하고 있으며, 
(ii) 포이에르의 성 힐라리오(St. Hilary of Politers, 300-368년)의 저술들을 약88번 인용하고 있으며, 
(iii) 성 예로니모(St. Jerome, 340-420년)의 저술들을 약366번 인용하고 있으며, 
(iv) 성 암브로시오(St. Ambrose, 340-397년)의 저술들을 약280번 인용하고 있으며,
(v)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354-430년)의 저술들을 약3114번 인용하고 있으며, 그리고
(vi)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the Great, 540-604년)의 저술들을 약747번 인용하고 있으며, 특히 대 교황님의 알레고리적 성경 해석법(주: 위의 발췌문 참조)을 잘 발전시킨 그의 저술인 Moralia in Job은 약320번 인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vii) 세비야의 성 이시도르(St. Isidore of Seville, 560-636년)의 저술들을 약160번 인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님욥기에 대한 주석서인 Moralia in Job에서 잘 발전된 우의적/풍유적/알레고리적 성경 해석법이, 성 토마스 아퀴나스를 포함한 중세의 신학자들의 성경 해석 등의 저술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던 것에 대한 직접적이며 결정적인 예(example)라는 생각입니다.
 
 
(결론 2)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여, <----- 필독을 권유합니다.
 
2000년 대희년을 바라보면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년)의 네개의 핵심 문헌들 중의 하나인 Dei Verbum(하느님의 계시에 관한 교의 헌장, "하느님의 말씀")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105-119항의 가르침에 따라, 가톨릭 성경 해석에 대한 어떠한 제안(proposal)이 주어지고 있는지 차분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 세 번째 글의 연장으로서 안내해 드리는,
 
위의 제안을 하고 있는 Msgr.(몬시뇰) John F. McCarthy, J.C.D., S.T.D. 의 "Living Tradition"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가톨릭 성경 해석에 대한 양질의 논문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
 
 
2.
 
다음은,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 필독을 권유합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a, q1, a9-a10 입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자신의 저서인 신학 대전바로 첫 시작 부분(Ia, q1, a10)에서, 성경 해석의 네 가지 방법들을 정의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성경 해석법이, 철저하게 연역적으로 저술된 신학 대전 전반에, 실천으로 이어질 것이 요구되는, 상위 개념이기 때문이라는 생각입니다.
 
 
(발췌 시작)
 

Article 9. Whether Holy Scripture should use metaphors?

제9조. 성경 본문은 은유들을 사용하여야만 하는지?

Objection 1. It seems that Holy Scripture should not use metaphors. For that which is proper to the lowest science seems not to befit this science, which holds the highest place of all. But to proceed by the aid of various similitudes and figures is proper to poetry, the least of all the sciences. Therefore it is not fitting that this science should make use of such similitudes. 

반대 1. 성경 본문은 은유(metaphors)들을 사용하지 말야아 하는 것 같습니다. 이는 가장 저급한 과학에 고유한 바로 그것은, 모든 것 중에서 가장 높은 장소를 차지하는 이 과학에 적합하지 않는 것 같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다양한 유사함(similitudes)들 및 표상(figures)들의 도움에 의하여 나아가는 것은, 모든 과학들 중에서 가장 저급한 과학인, 시(poetry)에 적합합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과학이 그러한 유사들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적절합니다.

Objection 2. Further, this doctrine seems to be intended to make truth clear. Hence a reward is held out to those who manifest it: "They that explain me shall have life everlasting" (Sirach 24:31). But by such similitudes truth is obscured. Therefore, to put forward divine truths by likening them to corporeal things does not befit this science. 

반대 2. 더구나, 이 교리는 진리를 분명하게 하고자 의도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이것을 분명하게 나타내는 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어떤 보상이 제공됩니다: "나를 설명하는 사람들은 영원히 지속되는 생명을 가지리라" (집회서 24,31).(*) 그러나 그러한 유사함(similitudes)들에 의하여 진리는 가리워집니다. 그러므로, 질료적인 사물들에 하느님의 진리들을 비유함으로써 하느님의 진리들을 두드러지게 하는 것은 이 과학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
(*) 번역자 주: 여기서 인용되고 있는 집회서 24,31은, 다음에 있는, 과거의 (예를 들어, Clementine 판) 불가타 라틴 대중 성경의 집회서 24,31이다:
http://www.newadvent.org/bible/sir024.htm
-----

Objection 3. Further, the higher creatures are, the nearer they approach to the divine likeness. If therefore any creature be taken to represent God, this representation ought chiefly to be taken from the higher creatures, and not from the lower; yet this is often found in Scriptures. 

반대 3. 더구나, 더 고귀한 피조물들일수록, 하느님 비슷함(divine likeness)에 더 가까이 접근합니다. 따라서 만약에 어떤 피조물이 하느님을 표상하기(represent) 위하여 택해진다면, 이러한 표상은, 더 저급한 피조물들로부터가 아니라, 더 고귀한 피조물들로부터 택해져야 하며, 그리고 게다가 이것은 성경 본문(Scriptures)들 안에서 자주 발견되고 있습니다.

On the contrary, It is written (Hosea 12:10): "I have multiplied visions, and I have used similitudes by the ministry of the prophets." But to put forward anything by means of similitudes is to use metaphors. Therefore this sacred science may use metaphors. 

이와는 달리, "바로 내가 환시를 많이 보여주고 예언자들을 통하여 비유로 말하리라" (호세아 12,11)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유사성들에 의하여 어떤 것을 두드러지게 하는 것은 은유(metaphors)들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바로 이 성스러운 과학은 은유들을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I answer that, It is befitting Holy Writ to put forward divine and spiritual truths by means of comparisons with material things. For God provides for everything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its nature. Now it is natural to man to attain to intellectual truths through sensible objects, because all our knowledge originates from sense. Hence in Holy Writ, spiritual truths are fittingly taught under the likeness of material things. This is what Dionysius says (Coel. Hier. i): "We cannot be enlightened by the divine rays except they be hidden within the covering of many sacred veils." It is also befitting Holy Writ, which is proposed to all without distinction of persons — "To the wise and to the unwise I am a debtor" (Romans 1:14) — that spiritual truths be expounded by means of figures taken from corporeal things, in order that thereby even the simple who are unable by themselves to grasp intellectual things may be able to understand it. 

저는 다음과 같이 답합니다: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이 질료적 사물들과 대비에 의하여 하느님의 그리고 영적 진리들을 두드러지게 하는 것은 적절합니다. 이는 하느님께서는 모든 것을 그 본성의 능력에 따라 제공하시기(provides) 때문입니다. 이제 사람이 느낄 수 있는 대상들을 통하여 지성적 진리들을 획득하고자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데, 왜냐하면 우리의 지식 모두는 감각(sense)에서 유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에 있어, 영성적 진리들은 질료적 사물들로에 대한 비슷함(likeness) 하에서 적절하게 가르쳐집니다. 이것이 바로 디오니시오스(Dionysius) 가 "우리는 하느님의 광선들에 의하여, 이 광선들이 많은 성스러운 베일들로 이루어진 덮개 안쪽에 감추어져 있지 않다면, 교화될 수가 없다." (Coel. Hier. i) 라고 말하는 바입니다. 개인들에 대한 구분 없이 모든 이에게 제안되는 - "지혜로운 이들에게도 어리석은 이들에게도 다 빚을 지고 있습니다" (로마 1,14) -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이 영적인 진리들이 질료적 사물들로부터 취하여진 표상들에 의하여 자세히 설명되는 것은, 그리하여 그 결과로 심지어 자력으로 지성적 사물들을 붙잡을 수 없는 순박한 자(the simple)들마저도 그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될 수 있게 되는 것은, 또한 적절합니다.

Reply to Objection 1. Poetry makes use of metaphors to produce a representation, for it is natural to man to be pleased with representations. But sacred doctrine makes use of metaphors as both necessary and useful. 

반대 1에 대한 답변. 시(poetry)는 어떤 표상(a representation)을 산출하기 위하여 은유(metaphors)들을 사용하는데, 이는 사람이 표상들에 기뻐하게 되는 것은 자연스럽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성스러운 교리는 필요하고 그리고 유용한 둘 다로서 은유들을 사용합니다.

Reply to Objection 2. The ray of divine revelation is not extinguished by the sensible imagery wherewith it is veiled, as Dionysius says (Coel. Hier. i); and its truth so far remains that it does not allow the minds of those to whom the revelation has been made, to rest in the metaphors, but raises them to the knowledge of truths; and through those to whom the revelation has been made others also may receive instruction in these matters. Hence those things that are taught metaphorically in one part of Scripture, in other parts are taught more openly. The very hiding of truth in figures is useful for the exercise of thoughtful minds and as a defense against the ridicule of the impious, according to the words "Give not that which is holy to dogs" (Matthew 7:6). 

반대 2에 대한 답변. 하느님의 계시의 광선은, 디오니시오스(Dionysius) 가 말하듯이(Coel. Hier. i), 그것에 의하여 이 광선이 가리워지는, 감각에 의하여 인지될 수 있는 심상(心像, imagery)에 의하여 꺼지지 않으며, 그리고 그것의 진리가, 그것이 이 계시가 이미 드러나게 되었던 자들의 마음들이 은유들 안에서 머무는 것을 허락하는 정도에까지가 아니라, 그들을 진리들에 대한 지식으로 들어올리는 것을 허락하는 정도에까지, 그리하여 이 계시가 이미 드러나게 되었던 자들을 통하여 다른 자들도 또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있을 정도에까지 남아있습니다. 따라서 성경 본문의 한 부분에서 은유적으로 가르쳐지는 바로 그러한 사물들은, 다른 부분들에서 더 공개적으로 가르쳐집니다. 표상(figures)들 안에 있는 바로 그 감추어진 진리는, "거룩한 것은 개들에게 주지 말라" (마태오 7,6) 라는 표현에 따라, 생각이 깊은 마음들의 실천에 그리고 신을 공경하지 않는 자들의 비웃음에 대한 방어(a defense)에 유용합니다.

Reply to Objection 3. As Dionysius says, (Coel. Hier. i) it is more fitting that divine truths should be expounded under the figure of less noble than of nobler bodies, and this for three reasons. Firstly, because thereby men's minds are the better preserved from error. For then it is clear that these things are not literal descriptions of divine truths, which might have been open to doubt had they been expressed under the figure of nobler bodies, especially for those who could think of nothing nobler than bodies. Secondly, because this is more befitting the knowledge of God that we have in this life. For what He is not is clearer to us than what He is. Therefore similitudes drawn from things farthest away from God form within us a truer estimate that God is above whatsoever we may say or think of Him. Thirdly, because thereby divine truths are the better hidden from the unworthy. 

반대 3에 대한 답변. 디오니시오스(Dionysius) 가 말하듯이(Coel. Hier. i) 하느님의 진리들이 더 고귀한 주요부(bodies)들에 대하여보다는 덜 고귀한 주요부들에 대한 표상 하에서 상세히 설명되어야만 하는데, 이것은 세 가지 이유 때문입니다. 첫 번째로, 왜냐하면 그것에 의하여 사람들의 마음들이 오류로부터 더 잘 보호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그렇게 하면 이러한 사물들은, 만약에 더 고귀한 주요부들에 대한 표상 하에서 표현되어졌더라면 의심에 노출되었을 수도 있는, 하느님의 진리들에 대한 자구적 서술(literal descriptions)들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 왜냐하면 이것은 이 세상의 삶 안에서 우리가 가지는 하느님에 대한 지식에 더 적절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당신이신 바(what)보다는 당신이 아닌 바가 우리에게 더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하느님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사물들로부터 도출된 유사성(similitudes)들은 우리가 당신에 대하여 무엇을 말하거나 혹은 생각하든지간에 하느님께서는 그것 위에 계신다는 더 참된 평가를 우리 안쪽에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세 번째로, 왜냐하면 그것에 의하여 하느님의 진리들은 가치 없는 것들로부터 더 잘 감추어지기 때문입니다.

Article 10. Whether in Holy Scripture a word may have several senses?

제10조. 성경 본문에 있어 어떤 단어는 여러 어의/의미들을 가질 수 있는지?

Objection 1.
It seems that in Holy Writ a word cannot have several senses, historical or literal, allegorical, tropological or moral, and anagogical. For many different senses in one text produce confusion and deception and destroy all force of argument. Hence no argument, but only fallacies, can be deduced from a multiplicity of propositions. But Holy Writ ought to be able to state the truth without any fallacy. Therefore in it there cannot be several senses to a word. 

반대 1.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에 있어 어떤 단어는, 역사적(historical) 혹은 자구적(literal), 우의적/풍유적(allegorical), 윤리적(tropological) 혹은 도덕적(moral), 그리고 신비적/종말론적(anagogical), 여러 어의/의미(senses)들을 가질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이는 한 본문에 있어 많은 다른 어의/의미들은 혼란과 속임을 산출하여 그리하여 논증의 힘 모두를 파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로지 오류들을 제외한, 어떠한 논증도 명제들의 다중성으로부터 연역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은 어떠한 오류도 없이 진리를 진술할 수 있어야만 합니다. 그러므로 거기에 있어 어떤 단어에도 여러 어의/의미가 있을 수 없습니다.

Objection 2. Further, Augustine says (De util. cred. iii) that "the Old Testament has a fourfold division as to history, etiology, analogy and allegory." Now these four seem altogether different from the four divisions mentioned in the first objection. Therefore it does not seem fitting to explain the same word of Holy Writ according to the four different senses mentioned above. 

반대 2. 더구나, 아우구스티노(Augustine)는 "구약 성경은 역사, 원인(etiology), 유비(analogy) 그리고 우의(allegory)에 관하여 네 겹의 구분을 가지고 있다." (De util. cred. iii) 라고 말합니다. 이제 이들 네 개는 모두가 첫 번째 반대에서 언급된 네 개의 구분들과 통틀어 다른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의 동일한 단어를 위에서 언급된 네 개의 다른 어의들에 따라 설명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Objection 3. Further, besides these senses, there is the parabolical, which is not one of these four. 

반대 3. 더구나, 이들 어의들 이외에, 이들 네 개 중의 하나가 아닌, 비유적 어의(the parabolical)가 있습니다.

On the contrary, Gregory says (Moral. xx, 1): "Holy Writ by the manner of its speech transcends every science, because in one and the same sentence, while it describes a fact, it reveals a mystery." 

이와는 달리, 그리고리오(Gregory)는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은 그 화법의 방식에 의하여 모든 과학을 초월하는데, 왜냐하면 하나이며 동일한 문장 안에서, 그것이 어떤 사실을 서술함과 동시에, 그것은 어떤 신비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Moral. xx, 1) 라고 말합니다.

-----
번역자 주: 여기서 그레고리오(Gregory)는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을 말하며, Moral. 은 욥기에 대한 그의 주석서인 Moralia in Job 을 말한다. 그리고 Moral xx, 1 전문은 다음에 있으니 참고하라:

참고 자료: http://www.lectionarycentral.com/GregoryMoralia/Book20.html
-----

I answer that, The author of Holy Writ is God, in whose power it is to signify His meaning, not by words only (as man also can do), but also by things themselves. So, whereas in every other science things are signified by words, this science has the property, that the things signified by the words have themselves also a signification. Therefore that first signification whereby words signify things belongs to the first sense, the historical or literal. That signification whereby things signified by words have themselves also a signification is called the spiritual sense, which is based on the literal, and presupposes it. Now this spiritual sense has a threefold division. For as the Apostle says (Hebrews 10:1) the Old Law is a figure of the New Law, and Dionysius says (Coel. Hier. i) "the New Law itself is a figure of future glory." Again, in the New Law, whatever our Head has done is a type of what we ought to do. Therefore, so far as the things of the Old Law signify the things of the New Law, there is the allegorical sense; so far as the things done in Christ, or so far as the things which signify Christ, are types of what we ought to do, there is the moral sense. But so far as they signify what relates to eternal glory, there is the anagogical sense. Since the literal sense is that which the author intends, and since the author of Holy Writ is God, Who by one act comprehends all things by His intellect, it is not unfitting, as Augustine says (Confess. xii), if, even according to the literal sense, one word in Holy Writ should have several senses.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의 저자는 하느님이시며, 당신의 힘 안에서 성경은, (사람도 또한 할 수 있듯이) 단순히 단어들에 의하여 뿐만이 아니라, 또한 사물들 그 자체에 의하여, 당신의 의미를 나타내고자 합니다. 그래서, 다른 모든 과학에 있어 사물들이 단어들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반면에, 이 과학은 단어들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사물들 그들 자체가 또한 어떤 어의(語義, signification)를 가진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것에 의하여 단어들이 사물들을 나타내는 바로 그 첫 번째 어의는, 역사적 혹은 자구적 어의(the historical or literal sense)인, 그 첫 번째 어의/의미(sense)에 속합니다. 그것에 의하여 단어들에 의하여 나타내어진 사물들 그 자체들이 또한 어떤 어의인 바로 그 어의는 영성적 어의(the spiritual sense)로 불리는데, 이 어의는 자구적 어의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그리하여 자구적 어의를 필요 조건으로 예상합니다(presuppose). 이제 이러한 영성적 어의는 세 겹의 구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사도가 옛 법(the Old Law)이 새 법(a New Law)에 대한 하나의 표상이다(히브리 10,1) 라고 말하듯이, 그리고 디오니시오스(Dionysius) 가 "새 법은 미래의 영광에 대한 한 종류의 표상이다" (Coel. Hier. i) 라고 말하듯이 때문입니다. 또다시, 새 법에 있어, 우리의 머리(Head)가 이미 행하신 바 무엇이든지간에 우리가 행해야만 하는 바의 한 종류입니다. 그러므로, 옛 법의 사물들이 새 법의 사물들을 나타내는 한, 우의적/풍유적 어의(the allegorical sense)가 거기에 있으며,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행해진 사물들, 혹은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사물들이 우리가 행하여야만 하는 바의 종류들인 한, 윤리적/도덕적 어의(the moral sense)가 거기에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영원한 영광에 관계하는 바를 나타내는 한, 신비적/종말론적 어의(the anagogical sense)가 거기에 있습니다. 왜냐하면 자구적 어의는 저자가 의도하는 바 바로 그것이기 때문에, 그리고 왜냐하면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의 저자는, 한 번의 행위에 의하여 모든 사물들을 당신의 지성에 의하여 파악하시는, 하느님이시기에,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말하듯이, 심지어 자구적 어의에 따르더라도,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에 있어 한 개의 단어가 여러 어의들을 가져야만 하는지는 (Confess. xii), 적절하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Reply to Objection 1. The multiplicity of these senses does not produce equivocation or any other kind of multiplicity, seeing that these senses are not multiplied because one word signifies several things, but because the things signified by the words can be themselves types of other things. Thus in Holy Writ no confusion results, for all the senses are founded on one — the literal — from which alone can any argument be drawn, and not from those intended in allegory, as Augustine says (Epis. 48). Nevertheless, nothing of Holy Scripture perishes on account of this, since nothing necessary to faith is contained under the spiritual sense which is not elsewhere put forward by the Scripture in its literal sense. 

반대 1에 대한 답변. 이들 어의들의 다중성(multiplicity)은, 이들 어의들이 한 개의 단어가 여러 개의 사물들을 나타내기 때문에 증식되는(are multiplied) 것이 아니라, 이 단어들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사물들 그 자체들이 다른 사물들의 종류들일 수 있기 때문에 증식되므로, 다의(多義)의 허위(equivocation) 혹은 어떤 다른 종류의 다중성을 산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에 있어 어떠한 혼란도 야기되지 않는데, 이는 이 어의들 모두가,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말하듯이(Epis. 48), 우의/풍유(allegory) 안에서 의도된 것들로부터가 아니라, 거기로부터만이 어떤 논증이 도출될 수 있는, 한 개 - 자구적 어의(the literal) - 위에 기초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 본문의 어떠한 것도 이것 때문에 소멸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믿음(faith)에 절대적으로 요구되는(necessary to) 어떠한 것도, 그 자구적 어의에 있어 성경 본문에 의하여 다른 장소에서 두드러지게 되지 않는, 영성적 어의 아래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2. These three — history, etiology, analogy — are grouped under the literal sense. For it is called history, as Augustine expounds (Epis. 48), whenever anything is simply related; it is called etiology when its cause is assigned, as when Our Lord gave the reason why Moses allowed the putting away of wives — namely, on account of the hardness of men's hearts; it is called analogy whenever the truth of one text of Scripture is shown not to contradict the truth of another. Of these four, allegory alone stands for the three spiritual senses. Thus Hugh of St. Victor (Sacram. iv, 4 Prolog.) includes the anagogical under the allegorical sense, laying down three senses only — the historical, the allegorical, and the tropological. 

반대 2에 대한 답변. 이들 세 개의 역사, 원인(etiology), 유비(analogy)는 자구적 어의(the literal sense) 아래에서 무리로 나누어집니다. 이는,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상세히 설명하듯이(Epis. 48), 어떤 것이 단순히 관련될 때마다 그것은 역사(history)로 불리며, 그리고, 우리의 주님께서 모세가 아내들과 이혼함을 허락하였던 이유를, 즉, 사람들의 심장들의 굳음 때문에, 제공하셨을 때처럼, 그 이유(cause)가 할당될 때에 그것은 원인(etiology)으로 불리며, 그리고 성경 본문의 어떤 구절(text)의 진리가 다른 구절의 진리에 모순되지 않음이 보여질 때마다 그것은 유비(analogy)라고 불립니다. 이들 네 개 중에서, 우의(allegory) 홀로 이 세 개의 영적인 어의들을 대표합니다(stands for). 따라서 성 빅토르의 후그(Hugh of St. Victor, 1096-1141년)는 신비적/종말론적 어의를 우의적 어의 아래에 포함하여, 그리하여 오로지 오로지 세 개의 어의들인 역사적 어의, 우의적/풍유적 어의, 그리고 윤리적/도덕적 어의만을 규정합니다(Sacram. iv, 4 Prolog.).

Reply to Objection 3. The parabolical sense is contained in the literal, for by words things are signified properly and figuratively. Nor is the figure itself, but that which is figured, the literal sense. When Scripture speaks of God's arm, the literal sense is not that God has such a member, but only what is signified by this member, namely operative power. Hence it is plain that nothing false can ever underlie the literal sense of Holy Writ. 

반대 3에 대한 답변. 비유적 어의(the parabolical sense)는 자구적 어의(the literal sense) 안에 포함되는데, 이는 단어들에 의하여 사물들이 고유하게(properly) 그리고 표상적으로(figuratively) 나타내어지기 때문입니다. 자구적 어의는, 그 표상(the figure) 자체가 결코 아니라, 표상되는 바로 그것입니다. 성경 본문이 하느님의 팔(God's arm)에 대하여 말할 때에, 자구적 어의는 하느님께서 그러한 한 개의 신체의 일부 가지고 계신다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이러한 신체의 일부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바뿐입니다, 즉 작용하는 힘(operative power)뿐입니다. 따라서 어떠한 거짓도 결코 성전(聖典, Holy Writ, 즉 성경)의 자구적 어의의 밑에 있을 수 없습니다.  

(이상 발췌 끝).

-----
번역자 주: 자구적 어의에 속하는, 비유적 어의(the parabolic sense) 혹은 은유적 어의(metaphorical sense)에 대한 중세 백과사전에 주어진 설명은 다음의 제3항에 있으니 또한 참고하라:
-----

----------
 
 
3.
 
다음은, 중세 백과사전(Encyclopedia of the Midele Ages, 편집자들: Andre Vauchez et al)에 실린, 알레고리(Allegory) 에 대한 설명을 발췌한 것으로, 
 
 
(i)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에 정의되어 있는 비유적 어의(the parabolical sense)에 대한 좀 더 나은 이해, 그리고
 
(ii) 중세 시기에 있어서의 알레고리 수사법에 대한 간략한 입문 자료로서 마련하였습니다.
 
(발췌 시작)
 
 
ALLEGORY. Starting from definitions inherited from ancient rhetoric, the Church Fathers elucidated a properly theological conception of allegory. At the same time, following the example of late antique poetry, the writers of the Middle Ages composed works that we call allegorical.
 
알레고리/우의/풍유(allegory). 고대 수사학(ancient rhetoric)으로부터 물려받았던 정의(definitions)들로부터 시작하여, 교부들은 알레고리에 대한 어떤 고유하게 신학적인 개념을 설명하였습니다. 동시에, 후기 고대 그리이스, 로마의 오래된(late antique) 시(poetry)의 예(example)를 따르면서, 중세의 작가들은 우리가 알레고리적/우의적/풍유적이라고 부르는 작품들을 저술하였습니다.

     Rhetoric bequeathed two definitions. One, very general, could apply to any trope: "Allegory is saying-something-else [Allegoria est alieniloquium]; we hear one thing and understand another" (Isidore of Seville, Etyp, 1,37,22). The second makes allegory a continuous metaphor: "The shepherds shear their sheep: we transfer two words, shepherds and sheep, that of shepherds to prelates and that of sheep to their subjects" (Geoffrey of Vinsauf, Poetria nova, 938-940). Allegory is one of the tropes, to be compared with other tropes or figures of analogy: metaphor, comparison.
 
     수사학은 두 개의 정의(definitions)들을 남겼습니다. 매우 일반적인 하나는 다음과 같이 어떠한 말의 수사(修辭)(trope)에도 적용됩니다: "알레고리는 다른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을 말하며 [Allegoria est alieniloquium], 그리고 우리는 한 개의 사물을 들으며 그리고 다른 것을 이해한다" (Isidore of Seville, Etyp, 1,37,22). 두 번째는 알레고리를 다음과 같이 어떤 연속의 은유로 만듭니다: "양치기들은 자신들의 양의 털을 깎는다: 우리는 양치기들과 양이라는 두 개의 단어들을 양치기들에 있어서의 바로 그것을 고위 성직자들로 그리고 양에 있어서의 바로 그것을 그들의  신민(臣民)으로 전이시킨다(transfer)" Geoffrey of Vinsauf, Poetria nova, 938-940). 알레고리는, 다음과 같은, 다른 말의 수사(tropes)들 혹은 유비(analogy)에 있어서의 표상(figures of speech)들과 비교되어지는, 말의 수사(修辭)(trope)들 중의 하나입니다: 은유(metaphor), 비교(comparison).
 
     Theology defined the place of allegory in the exegesis of Scripture. According to a celebrated 13th-c. distich, "the letter teaches what happened, allegory what to believe, morality what to do, anagogy what to hope" (littera gesta docet, quid credas allegoria, moralis quid agas, quid spres anagogia). The Old Testament has four senses. The commentator can distinguish between the literal (or historical) sense of a text and its spiritual sense, which is subdivided into three: the allegorical (or typical) sense states the Good News prefigured in the sacred history, the moral (or tropological) sense draws a lession from it for this life, the anagogical sense explains what the letter says about man's last end. Take the verse: "When Israel went forth from Egypt, the house of Jacob from a people of starange language, Judah became his sanctuary, Israel his dominiion" (Ps 113[114]); the letter of the text is the fact of the exodus from Egypt, the allegory the redemptive work of Christ, the moral sense the conversion of the soul, the anagogy its entry into eternal life (Dante, Epistle to Can Grande).
 
     신학은 성경 본문의 주석(the exegesis of Scripture)에 있어 알레고리의 자리를 정의하였습니다. 13세기의 잘 알려진 한 개의 이행 연구 (二行聯句)(distich)에 따르면, "글자는 발생한 바, 알레고리는 믿어야할 바, 윤리는 행하여야 할 바, 아나고지는 희만하는 바를 가르친다" (littera gesta docet, quid credas allegoria, moralis quid agas, quid spres anagogia) 입니다. 구약 성경은 네 개의 어의(語義, senses, 의미)들을 가집니다. 주석자는 어떤 본문의 자구적 (혹은 역사적) 어의와 그 영성적 어의 사이를 구분할 수 있는데, 영성적 어의는 다음과 같이 세분됩니다: 우의적/풍유적 [혹은 표상(表象)적] 어의는 성스러운 역사 안에서 예형되었던 복음을 설명하고, 윤리적 (혹은 도덕적) 어의는 이 세상에서의 삶을 위한 어떤 교훈을 그것으로부터 도출하며, 그리고 신비적/종말론적 어의는 사람의 최후의 끝에 관하여 글자들이 말하는 바를 설명합니다. 다음의 절을 택하십시오: "이스라엘이 이집트에서 나올 때 야곱 집안이 이상한 말을 하는 민족을 떠나올 때 유다는 그분의 성소가 되고 이스라엘은 그분의 왕국이 되었네" (시편 113[114]); 이 본문의 글자는 이집트로부터의 탈출이라는 사실이고, 우의/풍유/알레고리는 그리스도의 속량하시는 위업이며, 윤리적/도덕적 어의는 영혼의 회심이고, 아나고지는 영원한 생명으로의 영혼의 들어감입니다 [단테(Dante), Epistle to Can Grande].
    
     The allegory of the theologians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the rhetoricians. The relation between the event and its allegorical sense is based in the structure of Revelation. The sacred history related in the Old Testament fortells the work of Jesus related in the Gospels. Two histories are put in relation to each other, two realities: in accordane with God's plan, the first finds its fulfilment in the second which gives it its full meaning. By contrast, the allegory of the rhetoricians replaces words with other words; it is a manner of speaking, a fiction (fabula), a product of human imagination.
 
     신학자들의 알레고리/우의/풍유는 수사학자(rhetoricians)들의 그것과 대단히 다릅니다. 사건과 그 우의적/풍유적/알레고리적 어의(의미) 사이의 관계는 거룩한 계시(Revelation)의 구조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구약 성경 안에서 관련된 성스러운 역사는  복음서들 안에서 관련된 예수님의 위업을 예고합니다. 두 역사들은, 두 개의 실체들인, 서로 서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관계 안에서 놓여집니다: 하느님의 계획과 일치하여, 첫 번째 역사는 그 구현을, 첫 번째 역사의 충만한 의미를 제공하는, 두 번째 역사 안에서 발견합니다. 대조적으로, 수사학자들의 우의/풍유/알레고리는 단어들을 다른 단어들로 교체하며, 그리고 그것은 말하기의 한 방식인, 한 개의 픽션(faula), 즉 인간의 상상에 의한 한 개의 창작품(a product)입니다.
 
     As Scripture also resorted to figures and tropes (the arms of God), to fable (Jgs 9,8-15), parables and the allegory of the rhetors, the theologians of the 13th c. were led to think 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sorts of allegory. Effects connected with the use of rhetoric were called the parabolical (or metaphorical) sense, and the theologians demonstraded that this sense is a subdivision of the leteral sense: "The parabolic sense is contained in the literal sense; because words have a proper sense and a  figurative sense, and the lietral sense is not the figure, but that which it represents" (Thomas Aquians, Summa theologiae, Ia. q. 1. a. 10). When the word "fox" is taken metaphorically to mean "cunning man", the literal sense of fox is not its proper sense, but its metaphorical sense of cunning man. The literal sense is what the writer has in mind.
 
     성경 본분이 또한 표상(figures)들과 말의 수사(修辭)(tropes) (하느님의 팔들), 우화(fable) (판관 9,8-15), 연설가(the rhetors)들의 비유(parables)들 및 우의/풍유/알레고리(allegory)에 의지하였듯이(resorted to), 13세기의 신학자들은 알레고리의 두 종류들 사이의 관계를 생각해 내도록 이끌어졌습니다. 수사의 사용과 연결된 직접적인 결과(effects)들는 비유적(parabolic) [혹은 은유적(metaphorical)] 어의(sense, 의미)로 불렸으며, 그리고 신학자들은 이 어의가 자구적 어의의 한 일부분임을 다음과 같이 예증하였습니다(demonstrated): "비유적 어의(the parabolical sense)는 자구적 어의(the literal sense) 안에 포함되는데, 이는 단어들에 의하여 사물들이 고유하게(properly) 그리고 표상적으로(figuratively) 나타내어지기 때문입니다. 자구적 어의는, 그 표상(the figure) 자체가 결코 아니라, 표상되는 바로 그것입니다."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ans), 신학 대전(Summa theologiae), Ia. q. 1. a. 10]. "여우(fox)" 라는 단어가 "교활한 사람(cunning man)"을 뜻하기 위하여 은유적으로 택해졌을 때에, 여우라는 자구적 의의는 그 고유의 어의가 아니고, 오로지 교활한 사람에 대한 그 은유적 어의일뿐입니다. 자구적 어의는 저술가(the writer)가 마음에 가지고 있는 바를 말합니다.
 
     As for the secular writings, the works of pagan Antitiquity, it follows from the theological definition of allegory that it is vain to seek four senses in them as in Scripture. Their literal sense is not sacred history; how could it find its fulfilment in the Incarnation? "Poetic fictions do not depart from the literal sense" (St Thomas, Quodlibet, 7, q. 6, a. 3). John of Salisbury censures those who extend the exegetical method proper to the Bible to texts studied by teachers of grammar and rhetoric: "In the liberal arts, where it is not realities but merely words that signify, whoever is not content with the primary sense of the letter is in error or seeks for interested ends to turn his hearers away from the understanding of the truth" (Policraticus, 7, 12). Yet it is possible to comment on pagan works; Christians have learned from the pagan exegetes of Homer, Virgil or Ovid to draw from mythology, whose garment is poetry, lessens both moral (relations between divinities are conflicts between passions of the soul) and physical (they are relations between the elements of the stars). Here the pagans spoke of allegory (Plutarch); the medievals dismissed this word and, in the 12th c., prefered the word integumentum (covering): "Allegory is a discourse that wraps up in a historical narrative a true sense different from the superficial sense: the combat of Jacob. Integument is a discourse that encloses a true sense in a fictional narrative: Orpheus. There history, here fiction, have a hidden value. Allegory concerns theology, integument philosophy" (Bernard Silvestris, In Martianum Capellam). To read Plato's Timaeus, the Aeneid and the Metamorphoses as integumenta is to draw from them the lessons of cosmogony and morality in which is the true meaning aimed at by the ancient authors.
 
     다신교의 고대(즉 그리스, 로마)의 저술들인 세속적 저술들에 대하여 말하자면, 성경 본문에 있어서처럼 이 저술들에 있어 네 개의 어의들을 추구하는 것이 공허하다는 것이 알레고리의 신학적 정의로부터 뒤따릅니다(it follows that). 그들의 자구적 어의는 성스러운 역사가 아니며, 그리하여 어떻게 그것이 거룩한 강생(Incarnation) 안에서 그 구현을 발견할 수 있겠는지요? "시적 가공의 이야기들은 자구적 어의로부터 떠나지 못한다" [성 토마스(St. Thomas), Quodlibet, 7, q. 6, a. 3]. 셀리스버리의 요한(John of Salisbury)은 성경에 고유한 주석 방법(exegetical method)을 문법 및 수사학 선생들에 의하여 연구되는 본문들에 확장하는 자들을 다음과 같이 비난합니다: "나타내는 것이 실재(realities)들이 아니라 단순히 단어들인 장소인 (중세의) 학예(學藝)(liberal arts)들에 있어,(*) 글자의 원 어의(primary sense)에 만족하지 않는 자 누구든지 오류에 있거나 혹은 이해 관계가 있는 목표들을 위하여 자신의 청중들을 진리에 대한 이해로부터 외면하도록 노력하는 자이다" [Policraticus, 7, 12].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이 다신교 저술들에 대하여 주석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들의 겉옷이 시(poetry)인, 호메로스(Homer, 기원전 8세기경), 버질(Virgil, 기원전 70년 - 기원전 19년) 혹은 오비드(Ovid, 기원전 43 - 기원후 18년)에 대한 다신교의 해석들로부터, 윤리적인(moral) 교훈(lessons)들 (신들 사이의 관계들은 영혼의 열정들 사이의 갈등들이다) 그리고 형이하학적(physical) 교훈들 (그들은 별들에 대한 정령(the elements)들 사이의 관계들이다) 둘 다를 신화(mythology)로부터 도출하는 것을 배웠습니다. 여기서 다신교도들은 알레고리(Plutarch)에 대하여 말하였으며, 그리고 중세 사람들은 이 단어를 버렸으며 그리고, 12세기에 있어, 다음과 같이 integumentum (덮개, covering)라는 단어를 선호하였습니다: "알레고리는 미신적 어의(the superficial sense)와는 다른 어떤 참된 어의(a true sense)를 어떤 역사적 이야기에 숨기고 표현하는(wraps up in) 어떤 설교(a discourse)이다: 야곱의 싸움(the combat of Jacob). Integument(덮개, covering)는 어떤 허구의 이야기 안에 어떤 참된 어의를 넣는(encloses) 어떤 설교이다: (그리스 신화의) 오르페우스(Orpheus). 저기에 역사, 여기에 허구의 소설은 어떤 숨겨진 가치를 가진다. 알레고리는 신학에 관계하고, Integument는 철학에 관계한다." (Bernard Silvestris, In Martianum Capellam). 플라톤의 티마이오스(Timaeus), (버질의 서사 시) Aeneid 그리고 (오비드의 설화체 시) MetamorphosesInteguments 로서 읽는 것은 그들로부터 고대의 저자들에 의하여 목표로 삼아졌던 참된 의미가 그 안에 있는 우주 발생론(cosmogony)와 윤리(morality)에 대한 교훈들을 도출하는 것입니다.
 
-----
(*) 번역자 주: (중세의) 학예(學藝)(liberal arts)들은 문법(grammar), 논리학(logic), 수사학(rhetoric), 산술(arithmetic), 기하학(geometry), 음악(music), 천문학(astronomy)의 7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
 
     In French, the word "allegory", which is rare, is mainly part of the vocabulary of the Bestiaries: the phoenix reborn from its ashes is an allegory of the dead and resurrected Christ. According to an old tradition, the created universe spoke of its Creator, or even of the evil, the Church and man. But "allegory" never designates an entire literary work, even a work of the Middle Ages. The Roman de la Rose is never called an allegory; no more is it called an imteguments, though one of its authors, Jean De Meung, was tempted by the latter term.
 
     프랑스에 있어, 드문, "알레고리"라는 단어는 다음과 같이 주로 (중세의) 동물 우화집(the Bestiaries)들의 어휘의 일부입니다: 자신의 재로부터 다시 태어나는 불사조(the phoenix)는 죽으신 그리고 부활하게 되신 그리스도에 대한 알레고리입니다. 오래된 전통에 따라, 창조된 우주는 그 창조주에 대하여, 혹은 심지어 악마(the devil), 교회 그리고 사람에 대하여 말하였습니다. 그러나 "알레고리"는 어떤 전체 문학 작품을, 심지어 중세의 어떤 작품을 결코 나타내지 않습니다. 장미설화(薔薇說話, The Roman de la Rose)는,(*) 비록 그 저자들 중의 한 명인 장 드 묑(Jean De Meung)이 후자의 용어에 의하여 유혹을 받기는 하였으나, 어떤 알레고리라고 결코 볼리지 않으며, 그리고 또한 어떤 imteguments 로도 불리지 않습니다. 
 
-----
(*) 번역자 주: 다음은 백과사전에 주어진 "장미설화"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이다:
http://100.naver.com/100.nhn?docid=132815
-----
 
     Medieval allegorical literature has antique models, brief forms like the fable and the parable or great poems like the Psychomachia of the Christian Prudentius or the Marriage of Mercury and Philology of the pagan Martianus Capella. In this literatur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s or descriptions is what the writer who has imagined them has in mind. Often the author invites his reader to seek beyond appearences a sense that he himself can make clear. Usually the narrative, presented as the effect of a dream or vision, partakes of a revelation whose mystery we must pierce. The narrative is supported by a long continuous metaphor: combat, marriage, journey.
 
(이하 생략).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 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40시간 
 
 


2,088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