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30,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4-04 ㅣ No.1799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99.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제 30 장   선교사(*0)

 

 1        진고발초         시든 풀잎 소생하고

                                  시든 나무 소생시키고 풀 뽑으며

   마르고 시든 풀(枯草)을 스스로 무성해지도록 분발케 하고(振拔)(주: 한어대사전, 한한대사전 참조)

 

주 30-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振枯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C%AF%E6%9E%AF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C%AF%E6%9E%AF

 

그리고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振拔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C%AF%E6%8B%94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C%AF%E6%8B%94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振拔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振拔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95C80C706B77FFE4274AD2D367E85AA1&cult=TW&bv=1  

(발췌 시작)

振拔

 

    【1】振奮自拔。{漢}{班固}《答賓戲》:“卒不能攎首尾﹐奮翼鱗﹐振拔洿塗﹐跨騰風雲。”《南史·劉敬宣孫處等傳論》:“或階緣恩舊﹐一其心力﹐或攀附風雲﹐奮其鱗羽﹐咸能振拔塵滓﹐自致封侯。”{明}{宋濂}《<南堂禪師語錄>序》:“在他人爲之﹐氣索神沮﹐不自振拔﹐而無以應來學之求﹐師乃圓滿充足﹐覃及于諸方矣。”{茅盾}《虹》四:“她已經有兩次陷在熱情的泥淖里……并且不知道怎地又失卻了振拔的勇氣。”【2】引申為超群出眾。{明}{宋濂}《贈朱啟文還鄉省親序》:“文彩朗耀﹐光衝於牛斗;才猷振拔﹐軫接於{荊揚}。”【3】提拔。{明}{歸有光}《再與余太史書》:“{有光}于世最號爲偃蹇憔悴之尤者﹐明公一旦振拔之﹐至今海內嘆仰。”《新唐書·李適傳》:“爲京兆少尹﹐復授舍人﹐進吏部侍郎﹑{河南}{江}{淮}宣慰史。振拔幽滯﹐號振職。”{康有為}《大同書》戊部第一章:“不聞一好賢之士爲之惋嘆沈滯﹐振拔蔽抑。”【4】拔除。{唐}{柳宗元}《劍門銘》:“收奪利地﹐以須王師。刲刳腎腸振拔根柢﹐俾無以肆毒﹐用集我勳力。”

(이상, 발췌 끝)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枯草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2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E%AF%E8%8D%89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E%AF%E8%8D%89  

 

그리고 枯草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9e%af%e8%8d%89&st=3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枯草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AF6FD64AAC52BE5EA650BDDAD2ED1BB&cult=TW&bv=1

(발췌 시작)

枯草

 

    【1】枯萎的草;干草。{宋}{梅堯臣}《送曹測崇班駐泊相州》詩:“寒風吹枯草﹐草短聲剌剌。”{唐}{駱賓王}《螢火賦》:“化腐木而含彩﹐集枯草而藏煙。”{明}{劉基}《邯鄲才人嫁為廝養卒婦》詩:“蓽門夜永月光寒﹐臥聽駑駘齕枯草。”

(이상, 발췌 끝)


 2 宥勇伸囚       유용신수         죄인들을 용서하며

     회개(悔改)에 용맹한 자 용서하고 죄인들 풀어주며/(2017년 7월 8일) 각주를 달고 다음에 다시 검토하자

      용기 있는 자(者)를 너그럽게 대하고() 감금된 이(人)의 억울함을 풀어주니(, 주: 한한대사전)

 

주 30- 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宥勇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E%A5%E5%8B%87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E%A5%E5%8B%87

 

주 30-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伸囚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C%B8%E5%9B%9A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C%B8%E5%9B%9A


 3 苗系齊魯       묘계제로         제와 노의 자손같이

                                 제(齊)나라 노(魯)나라의 후손들에게/핏줄로는 제나라 노나라요

                             핏줄(苗)은 제(齊)나라와 노(魯)나라를 계승하여(系)

 

주 30-3-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苗系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B%97%E7%B3%BB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B%97%E7%B3%BB

 

주 30-3-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齊魯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더러(즉, 11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더러(즉, 17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BD%8A%E9%AD%AF

http://ctext.org/post-han?searchu=%E9%BD%8A%E9%AD%AF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齊魯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bd%90%e9%b2%81&st=3  


 4 品格呂歐       품격여구         여상 구양수 품격 심고

     여상(呂尙)과 구양수(歐陽脩)의 품격 심었다오/2017년 7월 8일) 품격으로는 여상(呂尙)과 구양수(歐陽脩)라

                     품격(品格)은 여상(呂尙, 강태공)과 구양수(歐陽脩)이었더라

 

주 30-4-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品格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1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3%81%E6%A0%BC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3%81%E6%A0%BC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品格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93%81%e6%a0%bc&st=3

 

주 30-4-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呂歐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1%82%E6%AD%9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1%82%E6%AD%90


 5 朔夏盤蹈       삭하반도         북쪽에서 중화까지

        먼 북쪽에서 중화(中華)까지 두루 다니면서/(2017년 7월 8일) 북방에서 중화(中華)까지 두루 다니면서

 [산서성(山西省)의] 삭현(朔縣)과 하현(夏縣)[주: 한한대사전]은 물을 건너() 걸어가고()

 

주 30-5-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朔夏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C%94%E5%A4%8F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C%94%E5%A4%8F

 

주 30-5-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盤蹈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B%A4%E8%B9%88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B%A4%E8%B9%88


 6 核斗辨州       핵두변주         북두칠성 방향 잡아

       북두칠성(北斗七星) 찾아 무슨 주(州)인가 분변하여

          북두칠성(北斗七星) 조사하여 [중국의] 아홉 주(九州)들을 분변(分辨)하여

 

주 30-6-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核斗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0%B8%E6%96%97

http://ctext.org/post-han?searchu=%E6%A0%B8%E6%96%97

 

주 30-6-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辨州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E%A8%E5%B7%9E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E%A8%E5%B7%9E


 7        기한흘열         추위 더위 안 가리고

                  추운 곳에서 더운 곳까지/(2017년 7월 8일) 추운 곳이나 더운 곳이나

                      추운 곳()에 이르고() 더운 곳()에 다다르기()까지

 

주 30-7-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曁寒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B%81%E5%AF%92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B%81%E5%AF%92

 

주 30-7-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迄熱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F%84%E7%86%B1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F%84%E7%86%B1

 

주 30-7-1&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더러(즉, 15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더러(즉, 7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F%92%E7%86%B1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F%92%E7%86%B1

 

그리고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af%92%e7%83%ad&st=3


 8 曳杖緯球       예장위구         세상 곳곳 전도하네

                                 지팡이 짚고 세상 곳곳 전도(傳道)하였네

           지팡이 끌며(曳杖) 이 둥근 땅()을 하늘의 법도로 다스렸네()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曳杖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2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B%B3%E6%9D%96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B%B3%E6%9D%96

 

그리고 曳杖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9b%b3%e6%9d%96&st=3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緯球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7%AF%E7%90%83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7%AF%E7%90%83

 


右節, 此言傳道之敎師, 伸設耶穌之道, 險阻不辭, 寒暑不問,
우절, 차언전도지교사, 신설야소지도, 험조불사, 한서불문,


固欲普救世人, 同享永福也. 振, 起落也. 勇, 猛於悔改者也.
고욕보구세인, 동향영복야. 진, 기낙야. 용, 맹어회개자야.


囚, 知罪而未伸也. 苗系, 猶苗裔也. 呂, 呂尙, 歐, 歐陽修, 能文善武者也.
수, 지죄이미신야. 묘계, 유묘예야. 여, 여상, 구, 구양수, 능문선무자야.


極北曰, 朔. 中華曰, 夏. 斗, 北斗, 夜行不知所向, 則鑒北斗以辨之.
극북왈, 삭. 중화왈, 하. 두, 북두, 야행부지소향, 즉감북두이변지.


緯, 象緯, 天之度也. 球, 地球, 地之體也.
위, 상위, 천지도야. 구, 지구, 지지체야.

 

윗글은 선교사들이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교할 때에 험한 고생도 사양하지 않고 추위와 더위도 가리지 않으며 오직 멀리 세상 사람들을 구원하고자 하니 이는 모두가 함께 영원한 복을 누릴 것을 말한 것이다.


진(振)은 떨어진 것을 일으킴이요, 용(勇)은 죄를 회개함에 용감한 자이다. 수(囚)는 죄를 알고 서로 뉘우치지 않음이며 묘계(苗系)는 묘족의 후손들이다. 여(呂)는 여상이요 구(歐)는 구양수로 글을 잘하고 무예에 뛰어났다. 먼 북쪽을 삭(朔)이라 하고 중화를 하(夏)라 한다. 두(斗)는 북두칠성, 밤에 길을 가다가 방향을 모르면 북두칠성을 보고 방향을 판단한다. 위(緯)는 하늘의 위도이고 구(球)는 지구로서 땅의 본체이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251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