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되찾은 아들의 비유 - 루카 15,11-32 [_자비][_탕자][_시기][_질투] #<다연중24일복음> #<다해사순4일복음> #<사순2주토복음> 1035_시기vs질투 mercy

인쇄

. [218.55.90.*]

2013-09-10 ㅣ No.1443

 

질문:

찬미 예수님..

 

성경 읽기를 하던중에 루카복음 15장 31절중에 `내것이 다 네것이다` 라는 구절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 하는지 궁금합니다.

구절 그대로 이해 하면 되는건가요??

좋은 답변 부탁 드립니다.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답변:

 

+ 찬미 예수님!

 

게시자 주: 바쁘신 분들은 제3-3항을 먼저 읽도록 하십시오.

 

1. 들어가면서

우선적으로, 루카 복음서 15,31, "나는 늘 너와 함께 있고 내것이 다 네 것이다." 라는 구절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i) 다해 사순 제4주일 복음 말씀(루카  15,1-3.11-32),
(ii) 다해 연중 제24주일 복음 말씀(루카 15,1-32), 그리고
(iii) 매년 사순 제2주간 토요일 복음 말씀(루카  15,1-3.11-32)

에 포함됩니다. 그러므로, 주신 질문 및 주신에 대한 답변은, 최소한도로,  루카 복음서 15,11-32의 문맥 안에서 고찰하여야 할 것입니다.

 

2.
2-1.
다음은, "되찾은 아들의 비유"라는 소제복이 붙은, 루카 복음서 15,11-32에 대한 "주석 성경" 의 주석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루카 복음서에만 나오는 (마태 21,28-32와는 적은 유사성만 지닌다.) 이 유명한 비유는 두 부분으로 되어 있다(11-14 절과 25-32 절). 이 두 부분은 "아버지" 라는 동일한 중심인물과 그의 자비로운 자세, 그리고 자기의 기쁨에 동참하라는 동일한 그의 결론적 권고로(24절과 32절) 밀접히 이어져 있다. 15장 첫 부분의 문제에 대답을 내놓으면서 마무리를 짓는 이 비유의 둘째 부분이, 이 비유의 본질적인 가르침이 무엇인지를 보여 준다. 바리사이들에게 하느님의 기쁨에 동참하라는, 당신께 오는 죄인들을 사랑으로 받아들이시는 하느님 아버지의 그 넓은 마음을 닮으라는 권고이다. 이렇게 하느님 아버지의 무한한 사랑을 보여 주는 이 비유를 '아버지 사랑의 비유' 라고 부를 수도 있다.
(이상, 발췌 끝).

 

2-2. 다음은 루카 복음서 15,31, "너는 늘 나와 함께 있고 내것이 다 네 것이다." 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이렇게 '늘 함께 있음' 이 근본적인 기쁨이다. 이는 법적인 좁은 생각을 넘어 사랑에 마음을 열라는 촉구이기도 하다.
(이상, 발췌 끝).

 

2-3. 다른 한편으로, 구약 성경 신명기 21,15-17 에 의하면, 맏아들(장자)의 유산 상속 몫은 다른 형제 각각의 동일한 몫의 두 배 입니다. 위의 루카 복음서 15,31 및 이 구절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을 읽을 때에 또한 참고하십시오.

 

2-4. 그런데 돌아온 작은아들은 자신의 몫을 아버지로부터 이미 다 받아갔으니, 큰아들에게 "내것이 다 네것이다"라고 아버지가 말한 것은, 신명기 21,17에 따라, 율법적으로 맞는 이야기인데,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큰아들의 허락(?)도 없이 아버지의 재산인 살찐 송아지를 잡아 대접을 하였던 것입니다.

 

2-5. 이 비유의 문맥 안에 등장하는 큰아들의 입장에서 보면, 아버지의 재산은 이미 자신의 몫이므로, 정말로 아버지의 "내것이 다 네것이다" 라는 말씀을 들었을 때에 정말로(?) 속이 뒤집혀졌을 것인데, 이것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하여, 바로 위의 제2-4항에서 "아버지의 재산인" "자신의 몫에 속하는" 으로 교체하여 읽으면 될 것입니다.

그런데 왜 이 부분을 굳이 말씀드리는가 하면, 바로 여기에, 루카 복음서 15,28에서 "큰아들은 화가 나서 들어가려고도 하지 않았다" 라는 언급과 함께, 위의 질문자의 대단히 짧은 질문이 가리키고 있는 바가 있다는 생각에서 입니다.

 

2-5. 그런데, 한편으로, 루카 복음서 15,11-32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에서는 위의 제2-4항과 제2-5항에서 지적한 바를 주석으로서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다는 생각입니다.

 

2-6. 다른 한편으로, 다음의 주소에 있는 NAB(New American Bible)루카 복음서 15장 전체 및 이 장에 속하는 절들에 대한 주석들에서도, 유감스럽게도, 또한 위의 제2-4항과 제2-5항에서 지적한 바를 주석으로서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다는 생각입니다:

http://old.usccb.org/nab/bible/luke/luke15.htm

 

3.
3-1. 위의 제2-5항제2-6항에서 말씀드린 바를 이해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다해 연중 제24주일 제1독서(탈출 32,7-11.13-14), 복음 말씀(루카 15,1-32), 그리고 제2독서(1티모테오 1,12-17) 을, 지금 제시하였듯이, 연대순으로 읽도록 하십시오:

https://maria.catholic.or.kr/mi_pr/missa/missa.asp?menu=missa&missaid=5642&gomonth=2013-09-15 

 

그러면, "하느님의 자비" 가 이들 세 개의 독서들을 연결하는 키 워드(key word) 임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바로 이 "하느님의 자비" 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을 통하여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리스도교 신자들에게 잘 전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3-2. 바로 위의 제3-1항에서 말씀드린 바에 충실한,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다해-II" (<----- 클릭하십시오)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 연중 제24주일의 제1독서, 복음 말씀, 그리고 제2독서에 대한 해설들을 이 순서대로 학습하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3-3. 바로 위의 제3-2항의 저서의 인터넷 각주로 제공되고 있는, 다해 연중 제24주일 복음 말씀(루카 15,1-32)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주: 우리말 번역문이 추가됨)은 다음에 있습니다. 대단히 좋은 내용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c_ot_24.htm <----- 필독 권고

 

게시자 주 3-3-1: 칠죄종(the seven capital sins)들 중의 하나인 "질투(envy)" "시기(jealousy)"에 포함되며, 그리고 이들 두 개념들은, 이성적 피조물인 사람들의 경우에 있어 원죄의 결과로서, "애덕(charity, caritas)이 아닌 사랑(cupiditas, cupidity)", 즉, "하느님이 사랑받는 사랑(love)" 이 아닌, "세상이 사랑받는 사랑(love) = cupiditas(cupidity)" 에 포함됨에 주목하면서, 바로 위의 제3-2항제3-3항에 안내해 드린 문헌들을 차분히 읽도록 하십시오.

 

그리고 "세상이 사랑받는 사랑(love) = cupiditas(cupidity)" 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글[제목: 애덕의 결여/부재(cupiditas)는 모든 윤리적 악(즉, 죄)의 뿌리](*)을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37.htm <----- 필독 권유

 

[내용 추가 일자: 2016년 1월 30일]

-----

(*) 게시자 주: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라틴어 원문 및 영어본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IIae, q84, a1에 주어진 설명에 의하면, 여기서 말하는 "악(evil)"은, 소위 말하는 "윤리적 악(moral evil)", 즉, "죄(sin)"를 말하므로, 여기에서의 표현을 오늘 날짜로 바로잡았습니다.

-----

[이상, 내용 추가 끝]

 

4. 
이번 항에서는, 큰아들의 "질투(envy)", 더 포괄적으로, 큰 아들의 "시기(jealousy)" 아버지로서의 사랑(fatherly love)으로써 타이르는 관점을 더 깊게 다루고 있는 가톨릭 그리스도교의 교부들 및 주석자들의 주석들을 들여다 보도록 하겠습니다.

 

게시자 주: 지금부터 아래의 글들을 읽을 때에, 위의 게시자 주 3-3-1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4-1. 다음은 루카 복음서 15,11-32의 일부 절들에 대하여 Ha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 1859 에 주어진 주석들입니다:

 

출처: http://haydock1859.tripod.com/id79.html

(발췌 시작)
Ver. 11. A certain man had two sons. By the elder son is commonly expounded the Jewish people, who for a long time had been chosen to serve God; and by the younger son, the Gentiles, who for so many ages had run blindly on in their idolatry and vices. (Witham)
--- Some understand this of the Jews and Gentiles, others of the just and sinners. The former opinion seems preferable. The elder son, brought up in his father's house, &c. represents the Jews; the younger prodigal is a figure of the Gentiles. (Calmet)

 

제11절. 어떤 사람에게 아들이 둘 있었다. 하느님을 섬기도록 오랜 기간 동안 선택되어졌던 유다인들은 통상적으로 큰아들로, 그리고 그들의 우상 숭배와 악덕들 안에서  눈이 먼 채로 대단히 오랜 세대들 동안 지내 왔던 이방인들은 작은아들로, 해석됩니다. (Witham)
--- 어떤 이들은 이것을 유다인들과 이방인들에 대한 것으로, 다른 이들은 의로운 자들과 죄인들에 대한 것으로 이해한다. 전자의 견해가 더  바람직한 것 같습니다. 자신의 아버지의 가정 등에서 성장하게 된 큰아들은 유다인들을 나타내고, 그리고 작은 아들은 이방인들에 대한 한 개의 표상(a figure) 입니다. (Calmet).

 

Ver. 12. It is very probable, from this verse, that the children of the family, when come to age, could demand of their parents the share of property which would fall to their lot. For these parables suppose the ordinary practices of the country, and are founded on what was customarily done. Grotius thinks this was the common law among the Phœnicians.
--- The Gentiles, prefigured by the prodigal son, received from their father, (the Almighty,) free-will, reason, mind, health, natural knowledge, and the goods which are common to mankind, all which they dissipated and abused. Sinners who have besides received the gift of faith and sanctification, by baptism, and who have profaned the holiness of their state, by crimes, are more express figures of the bad conduct of this son. (Calmet)

Ver. 16. Husks. This expresses the extreme misery of his condition. There is no need of seeking any other mystery in this word. Horace, by a kind of hyperbole, (B. ii, Ep. 1.) represents the miser as living upon husks to be able to save more.

Vivit siliquis et pane secundo.

--- And no man gave unto him; i.e. gave him bread, mentioned before; for as for the husks, he could take what he pleased. (Witham)

Ver. 18. How merciful is the Almighty, who, though so much offended, still does not disdain the name of father.
--- I have sinned. These are the first words of a sinner's confession to the author of nature. God knows all things; still does he expect to hear the voice of your confession. It is in vain to think of concealing your sins from the eyes of him whom nothing can escape; and there can be no danger of acknowledging to him what his infinite knowledge has already embraced. Confess then that Christ may intercede for you, the Church pray for you, the people pour forth their tears for you. Fear not that you cannot obtain pardon, for pardon is promised to you; grace, and a reconciliation with a most tender parent, are held out to you. (St. Ambrose)
--- Before thee, &c. By this does our Redeemer shew, that the Almighty is here to be understood by the name of father: for the all-seeing eye of God only beholds all things, from whom even the secret machinations of the heart cannot be concealed. (St. Chrysostom in St. Thomas Aquinas)

Ver. 22. The first; i.e. the best robe: by it, is meant the habit of grace. (Witham)

Ver. 24. Was dead, and is come to life again. A sinner, in mortal sin, is deprived of the divine grace, which is the spiritual life of the soul. At his conversion it is restored to him, and he begins to live again. (Witham)

Ver. 25. His elder son, &c. We have already remarked, that this son represents the Jews. He boasts of having always served his father faithfully, and of never disobeying him. This is the language of that presumptuous people, who believe themselves alone holy; and despising the Gentiles with sovereign contempt, could not bear to see the gates of salvation laid open also to them. The 28th, 29th, and 30th verses express admirably the genius of the Jewish people; particularly his refusing to enter his father's house, shews their obstinacy. (Calmet)

 

제25절. 큰아들 등. 우리는 바로 이 아들이 유다인들을 나타냄을 이미 말하였습니다. 그는 자신의 아버지를 충실하게 항상 섬겨왔음에 대하여, 그리고 그에게 결코 불복종하지 않음에 대하여, 자랑합니다. 이것이 바로, 그들 홀로 거룩하다고(holy) 믿는 자들, 그리고 탁월한 경멸과 함께 이방인들을 멸시함으로써, 그들에게 또한 드러내어진 구원(salvation)의 문들을 눈뜨고 볼 수 없었던/보는 것을 참을 수 없었던(could not bear to see) 자들인, 이 망망(妄望)하는(presumptious)(*) 백성의 언어입니다. 제28절, 29절, 그리고 30절은 유다인들의 특질(genius)를 감탄할 만하게 표현하는데, 특히 자신의 아버지의 집으로 들어가는 것을 그가 거부하는 것은 그들의 완고함(obstinacy)을 보여줍니다. (Calmet).

 

-----
(*) 번역자 주: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으로 "망망(妄望, presumptioㅜ)" 이 성령에 반하는 여섯 개의 대죄들 중의 하나임에 대한 글은 다음에 있다. 클릭한 후에 제(4)항과 제2항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76.htm
-----

 

Ver. 29. I have never transgressed, &c. With what face could the Jews, represented here by the eldest son, say they have never transgressed the commandments of their father? This made Tertullian think that this was not the expression of the Jews, but of the faithful Christians; and, therefore, he interprets the whole parable as applied to a disciple of Christ. But we should recollect, that it is not uncommon for presumption to boast of what it never has done. The whole history of the Jews is full of numberless details of their prevarication and disobedience. (Calmet)
--- A kid, &c. The Jews demanded a kid, but the Christians a lamb; therefore was Barabbas set at liberty for them, whilst for us the lamb was immolated. (St. Ambrose)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들의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위의 제4-1항에 발췌된 루카 복음서 15,11-32의 일부 절들에 대하여 Ha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 1859 에 주어진 주석들에는  "질투(envy)" 혹은 "시기(jealousy)" 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으나, 그러나 "눈뜨고 볼 수 없었던/보는 것을 참을 수 없었던(could not bear to see)  자들" 라는 언급이 있습니다.

 

질문: 그런데, 그들, 즉 유다인들이 왜 눈뜨고 볼 수 없었을까요?

 

답변: 바로 질투(envy) 때문이었습니다. "시기(jealousy)""질투(envy)" 의 차이점에 대한 글들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envy_vs_jealousy_concept_error.htm <--- 필독 권고

 

4-2. 다음은 루카 복음서 15,28-32에 대한 The Great Biblical Commentary of Cornelius a Lapide(1567-1637년) 에 주어진 주석들인데, 더 폭이 넓게, 예수님의 공생활 당시의 상황, 즉 루카 복음서 제15장의 시작하는 절들을 상기하면서, 바리사이들의 "질투(envy)" 를 언급하는 일부 교부들 [주: 여기에는 성 암브로시오(St. Ambrose)가 포함되나, 그러나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는 포함되지 않음]과 주석자들의 주석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corneliusbiblecommentary.faithweb.com/15luke.htm

(발췌 시작)

Ver. 28.And he was angry, and would not go in. The anger and the murmuring of the elder son is the application of the parable, and is intended to show how justly God rejoices over the conversion of a sinner, and what answer can be given to those who murmur at the consideration shown to those that repent.

“Hence we learn,” says Euthymius, “that God rejoices so greatly over the return of the prodigal, in order that He may provoke others to jealousy.”

So also Theophylact, Titus, and S. Chrysostom in the Catena;(*) for it is certain that the righteous do not envy penitent sinners the blessings they enjoy, but rejoice greatly and exalt in their happiness. See S. Matt. xx. II.

 

-----
(*) 번역자 주: 아래의 제4-3항을 보라.
-----

 

Hence we are to understand rather by the murmuring of the elder son, the envy of the Pharisees who murmured against Christ because He received sinners. For this was the occasion as well as scope of the parable, as is clear from the opening verses of the chapter. Similarly also the parable applies to the Jews, who hated the Apostles and murmured against them, because they preached the Gospel to the Gentiles. So S. Ambrose says, “The Jews envied the Gentiles the paternal blessing,” and S. Augustine (Quæst. Evang. ii. 33), “He is angry now, and will not go in. But when the fulness of the nations shall have entered in, then the father will go forth that all Israel may be saved.” Again S. Ambrose, “He is called the elder because he envied his brother, and envy causes a man very quickly to grow old.”(집회서 30,24 참조) He heard music and dancing. That is, as S. Augustine explains, “He heard the Apostles full of the Holy Spirit preaching the Gospel with harmonious voices. He takes one of the prophets to read, and as he searches in it, asks in a manner, why are these feasts celebrated in the Church at which he finds himself not present.” But S. Ambrose says, “He heard the harmony of the Christian people singing with united voice, and raising sweet sounding strains of joy over the salvation of the sinner. But he stands without, for his evil disposition hinders him from entering in;” and the Gloss, “The Church’s symphony is the accord of different ages and varying virtues, whence the chorus and spiritual dance of holy and exultant joy.”

 

Tropologically, S. Jerome (Epist. 146) says, “Daily is this feast kept, daily does the Father receive His Son, for Christ is ever being crucified for them that believe.” See also Salmeron (Tom. vii. Tract. 27 and 28).

 

Therefore came his father out and intreated him.—Symbolically, this signifies that God through the preaching of Christ and His Apostles invited the Pharisees and the unbelieving Jews to enter His Church, and therein to partake of the gospel feast, and share in the joy of the faithful. But they refused the invitation from hatred of Christ crucified, and because they were offended that the Gentiles should believe on Him, and they will remain obstinate in their refusal until the coming of Elias at the end of the world. So S. Augustine bids us “admire God’s goodness towards His people;” and S. Jerome, “How kind and how merciful a father! He asks his son to share in the joy of the household.”

 

Ver. 29.And he answering said, Lo, these many years do I serve thee. The Syriac has “servio tibi servitutem,” so the Jews were in bondage to the observance of the law. Neither transgressed I at any time thy commandment. This answer shows the lying arrogance and the ingratitude of the Jews, who boasted of their work done under the law, and forgot the many benefits which God had conferred upon them. They lie when they say they have never transgressed the commandment of God. They transgress often! For, says St. Jerome (Ep. 146), “Is it not a transgression to envy our brother his salvation?” With like arrogancy, the Pharisee justifies himself, and despises the Publican. St. Luke xviii. II. But as St. Augustine and the Interlinear point out, the Jews did not bow down to idols, as the Gentiles did, and therefore, inasmuch as they worshipped the one true God, and Him alone, in this particular they did not transgress the commandment.

 

And yet thou never gavest me a kid. The fathers explain this symbolically in many ways.

“No blood of prophet or priest has delivered us from the Roman yoke, but for the prodigal, i.e., for the Gentiles, for sinners, throughout the whole world, Thy precious blood was shed.” St. Jerome (Ep. 146), “Thou hast never, for my sake, ordered a kid, i.e. a sinner who persecuted me, to be slain.” Theophylact.

 

“Thou, 0 Christ, hast never given me Thyself for my food, because I accounted Thee as a kid, i.e., as a sinner, and a perverter of the Law.” St. Augustine.

 

“The Jews demand a kid: the Christians a lamb. For them Barabbas is set free; for us the lamb is slain.” St. Ambrose.

 

Ver. 30.This thy son . . . which hath devoured thy living with harlots. The Pharisees accuse God of sin, in preferring the unworthy to the worthy, i.e., Gentiles to the Jews, sinners to themselves, as if He had regard to the persons of men; but their accusation is false. For the Gentiles, though sinners, by their repentance and faith made themselves worthy of the gospel and the grace of Christ; but the Pharisees, by their pride, envy, and unbelief, showed themselves unworthy of these benefits. Hence they became reprobate, and the Gentiles were chosen in their stead. See S. Matt. xx. 16.

 

Ver. 31. — And he said unto him, Son, thou art ever with me, and all that I have is thine. “The law, the prophets, the oracles of God,” says St. Jerome. To this we must add, the worship of the one true God, and faith in Him, in the teachings of the Church, and the benefits arising therefrom. For all these blessings, which were lacking to the Gentiles before the coming of Christ, were the possession of God’s people Israel.

 

제31절. - 그러자 아버지가 그에게 일렀다. 얘야, 너는 늘 나와 함께 있고 내 것이 다 네 것이다. 성 예로니모(St. Jerome)는 "율법, 예언들, 하느님의 신탁(神託, oracles)들" 이라고 말합니다. 이것에 우리는, 한 분이신 참 하느님에 대한 경배, 그리고 그분에 대한 믿음, 교회의 가르침에 대한 믿음, 그리고 그 가르침으로부터 일어나는 혜택들을, 추가하여야 합니다. 이는, 그리스도의 오심 이전에 이방인들에게 결여되어 있었던, 이들 축복들 모두가 하느님의 백성인 이스라엘의 소유물이었기 때문입니다.

 

The sense is, “Thou, as my son, art at liberty to enjoy all my possessions, as seems to thee good. Thou oughtest not then to envy thy brother, or to take it amiss that out of our common property, I have ordered a calf to be slain, in honour of his return, especially as thou also art invited to the banquet.” St. Ambrose. And the Interlinear adds, “All mine is thine, if so be, thou ceasest to envy thy brother,” for, says St. Augustine, “desire obtains nothing without want, charity nothing with want, and when we shall have obtained that blessedness, the higher things will be ours to live upon, equal things ours to have fellowship with, the lower things ours to rule;” and he assigns the reason, “for it is thus that all things are looked upon by perfect and immortal children, that each is the possession of all, and all of each.” Hence there will arise for the blessed hereafter the perfection of mutual charity and love, and the fulness of glory and of bliss.

 

그 의미는, "그대는, 나의 아들로서, 마음대로, 그대에게 선(good)하다고 생각되는, 나의 소유물들 모두를 향유하여도(enjoy) 좋다. 그런데 그대는 그대의 형제를 질투하지(envy) 않아야 하고, 그리고 우리의 공동 재산(common property)으로부터, 그의 귀환을 축하하여, 특별히 그대가 또한 이 잔치에 초대되기에, 내가 한 마리의 암송아지를 잡아라고 이미 명령하였던 것을 나쁘게 해석하지 않아야 한다."(*) [성 예로니모(St. Jerome)] 입니다. 그리고 행간들(the interlinear)은 "나의 것 모두는 그대의 것인데, 만약에 그러하다면, 그대는 자신의 형제를 질투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하라" 을 추가하는데, 이는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가 "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as, cupidity)(*)은 결핍(want) 없이 아무 것도 획득하지 못하고 애덕(caritas, charity)은 결핍과 함께 아무 것도 얻지 못하며, 그리고 우리가 바로 이 축복을 이미 받게 되었을 때에 고급의 사물(the higher things)들은 [우리가] 계속 존재하기 위하여(to live upon) 장차 우리의 소유(ours)일 것이며, 동등한 사물(equal things)들은 [우리가] 함께 친교를 가지기 위하여(to have fellowship with) 장차 우리의 소유일 것이고, 그리고 저급의 사물(the lower things)들은 [우리가] 지배하기 위하여(to rule) 장차 우리의 소유일 것이다" 라고 말하고, 그리고 그가 "이는 모든 사물들이 완미한(perfect) 그리고 불멸인(immortal) 자녀들에 의하여 고려되는 것은, 그리고 각각이 모두의 소유(possession)이고 그리고 모두가 각각의 소유인 것은,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이기 때문이다 " 라는 이유를 할당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후로 복받은 자(the blessed)들을 위한, 상호 애덕(charity) 및 사랑(love)의 완미(perfection)가, 그리고 영광의 맟 천상 기쁨(bliss)의 충만함(fullness)이, 장차 발생할 것입니다. 

 

-----
(*) 번역자 주: 즉, 아버지가 제31절에서 큰아들에게 타이르는 것이, 사실은, "동생을 시기하지 않도록 하라" 임을 여기서 "나쁘게 해석하지 않아야 한다" 라고 표현하고 있다.

 

(**) 번역자 주: 
(1) 라틴어 "cupiditas" 를 영어본에서 단순히 "desire"로 번역한 것은 번역 오류이기에, 아래의 제4-3항에 제시한 "Catena Aurea(Golden Chain, 황금 사슬)" 의 라틴어본과 비교/검토한 후에, 필자가 "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as, cupidity)" 으로 바로 잡았다.

(2) 특히, 전후의 문맥 안에서,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질투(envy)" 혹은 "시기(jealousy)" 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대신에 "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as, cupidity)" 을 언급한 이유는, 원죄의 결과로, 이성적 피조물인 사람들의 경우에 있어 "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as, cupidity)", 즉, "세상이 사랑받는 사랑(love)" 이라는 훨씬 더 추상적인(abstract) 한 개의 개념(a concept) 안에 이들 두 개념들이 포함되기 때문임에 필히 주목하도록 하라.
-----

 

Ver. 32.It was meet that we should make merry and be glad. For the most convincing of reasons, because this my son, thy brother, who was dead in trespasses and sins, is now restored to grace and favour, wherefore it behovest thee to take part in our rejoicing, and not to be envious and to murmur against him.

Christ now leaves the Pharisees to apply the parable to themselves. For, says Theophylact, “It is intended to teach that although we may be just, we must not cast off sinners nor murmur because God receives them;” and again, “The Lord speaks as it were after this manner; I beseech you who are righteous and free from reproach, that ye murmur not at the salvation of sons, for this prodigal is still a son.”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들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4-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교황 우르바노 4세의 명령에 의하여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에 의하여 편집되어 마련된 "Catena Aurea(Golden Chain, 황금 사슬)" 에 주어진 교부들과 주석자들의 주석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Lection 5 를 읽도록 하십시오:

 

출처: http://dhspriory.org/thomas/CALuke.htm#15

 

게시자 주 4-3-1: 특히, 위의 출처가 "Catena Aurea(Golden Chain, 황금 사슬)" 의 라틴어본도 또한 제공하고 있기에, 이 비유가 "질투(envy)"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고 주석하였던 교부들과 주석자들 중에는 다음의 분들이 있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로 이 "Catena Aurea(Golden Chain, 황금 사슬)" 에 의하면, 여기에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354-430년) 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성 암브로시오(St. Ambrose, 340-397년), 성 예로니모(St. Jerome, 347-420년),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St. John Chrysostom, 347-407년), 성 베다(St. Bede, 672-735년).

 

5.
5-1.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되찾은 아들/방탕한 아들의 비유" 에 대한 설명을 함께 읽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11460a.htm

(발췌 시작) 
The prodigal son (Luke 15:11-32)

 

The prodigal son, so called from verse 13, has a deep ethical meaning, but likewise a dogmatic, in which the two sons are the Israelite, staying at home in his father's house, and the Gentile who has wandered away. As the message of pardon it deserves to be called the very heart of Christ's gospel. We have justified these parallel lines of interpretation, for ethics and revelation, which were both visible to the Evangelist. Tertullian's narrow use of the story is uncritical. St. John Chrysostom and the Church always have applied it to Christian, i.e., baptized penitents. The "first [or best] robe" is naturally assumed by theologians to be "original justice", and the feast of reconciliation is our Lord's atoning sacrifice. Those who grant a strong Pauline influence in St. Luke's Gospel ought not to deny it here. The "jealousy of good men" towards returned prodigals, which has exercised commentators, is true to life; and it counted for much in the dissensions that finally clove asunder the Church of Israel from the Church of Christ (1 Thessalonians 2:14-16). The joy over a sinner's conversion unites this parable with those of the lost sheep and the lost drachma.

 

방탕한 아들/되찾은 아들의 비유 (루카 복음서 15,11-32)

 

제13절에서 그렇게 불리는 이 방탕한 아들의 비유는, 그 의미에 있어 두 아들들이, 자신의 아버지의 집에 머물고 있는 이스라엘의 자손들(the Israelite), 그리고 이미 길을 잃어버린 이방인들(the Gentile)인, 어떤 깊은 윤리적(moral)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또한(but likewise) 어떤 교의적(dogmatic)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용서의 메시지로서 이 비유는 그리스도의 복음의 바로 그 심장(heart)이라고 불릴 만합니다. 이 복음사가에게 둘 다가 가시적이었던 윤리성(ethics)과 계시(revelation)에 대하여, 우리는 해석에 있어서의 이들 평행선들을 정당하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테르툴리아노(Tertullian)에 의한 이 이야기의 한정된 사용은 식별에 있어 결핍되어 있습니다(uncritical).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St. John Chrysostom)교회는 그리스도인들, 즉, 세례를 받은 참회자(baptized penitents)들에게 이 비유를 항상 적용해 왔습니다. "가장 좋은 옷" (제22절) 은 "원 의로움(original justice)" 이라고 신학자들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추정되고(is assumed), 그리고 화해의 잔치(제24절)는 우리의 주님의 속죄하는 희생(atoning sacrifice)입니다. 성 루카의 복음서에 대한 어떤 강한 사도 바오로의 영향을 인정하는 자들은 여기서 이것을 부정하지 말아야 합니다. 주석자들의 주의와 노력을 개입시켜 왔던(has exercised), 돌아오게 된 탕자들을 향하는 "선한 사람들의 시기(jealousy of good men)" 는 현실 그대로이며(true to life), 그리고 이 비유는 그리스도의 교회(the Church of Christ)로부터 이스라엘의 교회(the Church of Israel)를 최종적으로 따로 떨어지게 분열시켰던(clove asunder) 불화(dissensions)들에 있어 크게 중요성을 가졌습니다(counted for much in)(1테살로니카 2,14-16)(*). 한 죄인의 회심(conversion)에 대한 기쁨(joy)은 이 비유를 되찾은 양(the lost sheep)  및 되찾은 은전(the lost drachma)에 대한 비유들과 결합시킵니다(unites).

 

-----
(*) 번역자 주: "주석 성경 신약" 의 부록인 "성경 연대표" (제1042쪽)에 의하면, 테살로니카서는 기원후 51년쯤의 이른 시기에 저술되었다. 신약 성경의 여러 경전들 및 이 서신들의 저술 시기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논문 [제목: Redating the New Testament, 저자: John A.T. Robinson] 제316쪽을 또한 참고하라:
http://richardwaynegarganta.com/redating-testament.pdf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5-2. 루카 복음서 15,32에 대한 해설로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 중에서 발췌되고 있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hn Paul II)의 1980년도 회칙, "자비로우신 하느님(Dives In Misericordia)", 제6항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c_ot_24.htm <----- 필독 권고 

 

5-3. 이번 글의 끝으로, 2013년 다해인 올해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를 학습하여야 하는 "신앙의 해" 인데, 다음은 루카 복음서 15,11-32의 일부를 직접 혹은 간접(*)으로 인용하고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의 항들의 나열입니다. 이들을 읽음으로써, 이 비유에 대한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의 해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각 항 번호를 클릭하여 읽도록 하십시오:

루카 복음서 15,11-24: 1439
루카 복음서 15,11-31: 1700*
루카 복음서 15,11-32: 545*, 2839*
루카 복음서 15,18: 1423*, 2795*
루카 복음서 15,21: 2795*
루카 복음서 15,23-32: 589*
루카 복음서 15,32: 1468
(이상, 게시자 주 끝).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9월 15일]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바로 이 "자비(인애, mercy, benevolence)"라는 덕(virtue)으로써 칠죄종(the seven capital sins)들 중의 한 개인 "질투(嫉妬, envy)"를 극복하라고 가르치고 있는, "칠극(七克)"의 제2편 "평투(平妬)" 에 번역자가 게시자 주들을 붙인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 바쁘지 않는 분들의 필독을 권고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천학초함/칠극/칠극卷之二_평투.htm <----- 필독 권고

 

     다음은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교황 프란치스코2013년 9월 2일다해 연중 제22 주간 월요일 복음말씀(루카 4,16-30)(<----- 클릭하십시오)에 대한 강론 말씀 [제목: The threat of gossip(험담/흉보기의 위협)]을 듣고 마련된 글의 첫 문장을 발췌한 것입니다. 이 강론 말씀의 주제는 the evil of gossip(험담/흉보기 라는 ) 이라고 언급되고 있습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Gossip is a weapon and it threatens the human community every day; it sows envy, jealousy and power struggles. It has even caused murder.

험담/흉보기(gossip)는 한 개의 무기이며 그리고 이것은 날마다 인간 공동체를 위협하며, 그리고 험담은 질투(envy), 시기(jealousy) 그리고 권력 투쟁(power struggles)들을 씨 뿌립니다(sows) (1마카베오 8,16 참조). 이것은 심지어 살인(murder)을 야기시켜왔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내용 추가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15시간 (자료 조사 및 우리말 번역 포함)
 



2,055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