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31,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5-06 ㅣ No.1809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09.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제 31 장   자연의 호교론(*0) 

 

 1 緬迹       면적훈         창조 업적 살펴보고

    자취 따라 공훈 훑어가며/(2017년 7월 8일) 사회 왈: 자취를 돌아보고 공훈을 조사하여

              아득한() 흔적()은 공로()를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데

 

주 31-1-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緬迹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7%AC%E8%BF%B9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7%AC%E8%BF%B9

 

주 31-1-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A%AF%E5%8B%B3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A%AF%E5%8B%B3


 2 儘鮮缺漏       진선결루         빠짐없이 다 밝혀서

                                모두 다 빠짐없이

   비록(, 주: 한한대사전) 이에(, 주: 한한대사전) 빠져서 모자람(缺漏, 주: 한한대사전)이 있다고 하더라도

 

주 31-2-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儘鮮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4%98%E9%AE%AE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4%98%E9%AE%AE

 

주 31-2-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缺漏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C%BA%E6%BC%8F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C%BA%E6%BC%8F

 

그리고 缺漏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缺漏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A5AF4E1334E0B232C47DEF9F9089C50&cult=TW&bv=1

(빌췌 시작)

缺漏

 

    【1】短缺遺漏。{清}{劉大櫆}《芋園張君傳》:“其從隨廝役之人﹐填隘賓館﹐牲牢酒食﹐惟君能餽餉踵至﹐略無缺漏。”{宋}{蘇轍}《民政》:“世之君子﹐隨其破敗﹐而爲之立法﹐補苴缺漏疏剔棼穢﹐其爲法亦已盡矣。”{唐}{劉知幾}《史通·疑古》:“加以古文載事﹐其詞簡約﹐推者難詳﹐缺漏無補。”

(이상, 발췌 끝)


 3 擲畀某儔       척비모주         너희에게 일러주니

                                너희에게 일러주리니

          나의() 동류(同類)()에게 [이것을] 내던져() 건네주고자 하니()

 

주 31-3-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擲畀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3%B2%E7%95%8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3%B2%E7%95%80

 

주 31-2-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某儔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F%90%E5%84%94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F%90%E5%84%94


 4 搴裳參叩       건상참고         마음 바쳐 공부하라

   옷깃 여미고 배알해야 하느니라/(2017년 7월 8일) 옷자락 들어 올리고 배알해야 하느니라 

    옷자락을 걷어 올리고(搴裳, 주: 한어대사전 및 한한대사전) 참작(參酌)하여 조아리며 질문하도록 하라(參叩, 주: 한어대사전 및 한한대사전)  

 

주 31-4-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搴裳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0%B4%E8%A3%B3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0%B4%E8%A3%B3

 

그리고 搴裳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90%b4%e8%a3%b3&st=3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搴裳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CD5576121E124DE41E21CCD62B834894&cult=TW&bv=1

(발췌 시작)

搴裳

 

    【1】猶褰裳。提起衣裳。{龐樹柏}《楚傖招飲以病咯血謝之》詩:“甚日搴裳去﹐春風醉緑。”{唐}{盧照鄰}《釋疾文》:“於是裹糧尋師﹐搴裳訪古。”

(이상, 발췌 끝)

 

주 31-4-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參叩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F%83%E5%8F%A9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F%83%E5%8F%A9

 

그리고 參叩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參叩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FB53CEF1C936D02DC148E596DB3092F&cult=TW&bv=1

(발췌 시장)

參叩

 

    亦作“[參扣]”【1】參酌叩問。{明}{宋濂}《楚石禪師六會語序》:“惟詣{寂照}之室﹐反覆參叩。”{宋}{蘇軾}《與滕達道書》之十七:“意謂中塗必一見﹐得相參扣。”【2】拜見。{唐}{慧能}《壇經·機緣品》:“〔{懷讓禪師}〕初謁{嵩山}{安國師}﹐{安}發之{曹溪}參扣。”{陳衍}《元詩紀事·明本》引《中峰行錄》:“駙馬太尉{瀋王}{王璋}﹐遣參軍{洪鑰}齎書幣﹐敘弟子禮﹐期請上命南來參叩。”

(이상, 발췌 끝)


 5 楷模秘探       해모비탐         창조 신비 탐구하여

               창조의 법도 배우고 신비 탐구하면/(2017년 7월 8일) 모범삼아 신비 탐구하면

                       가히 이 법(法)을 본받아(楷模) 심오하게() 탐구하여()

 

주 31-5-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楷模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5%B7%E6%A8%A1

http://ctext.org/post-han?searchu=%E6%A5%B7%E6%A8%A1

 

그리고 楷模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a5%b7%e6%a8%a1&st=3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楷模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C196576C3C424FBF68C287A6E20E5F1&cult=TW&bv=1

(발췌 시작)

楷模

 

    【1】猶效法。{清}{俞樾}《茶香室續鈔·美體書》:“惜其書今無流傳者﹐否則供童子楷模﹐頗得也。”【2】典范,榜樣。《南史·庾肩吾傳》:“至如近世{謝朓}﹑{沈約}之詩﹐{任昉}﹑{陸倕}之筆﹐斯文章之冠冕﹐述作之楷模。”{郭沫若}《喀爾美蘿姑娘》:“這樣便是{西班牙}女子楷模。”{宋}{葉適}《謝宰執登科》:“固無以動世俗之耳目﹐斯可以爲治道之楷模。”《後漢書·盧植傳》:“故北中郎將{盧植}﹐名著海內﹐學爲儒宗﹐士之楷模﹐國之楨幹也。”

(이상, 발췌 끝)

 

[내용 추가 일자: 2019년 7월 16일]

그런데, 좌수본 "성교요지"에는, "楷模" 대신에, "模楷"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의 시어(詩語) 분석들의 결과에 의하여, 그리고 "한어대사전"에 수록된 "模楷"라는 한 개의 시어(詩語)의 설명에 따르면, 이들 두 단어들이 동의어들임을 알 수 있습니다: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模楷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12번) 사용되어 왔음:

https://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8%A1%E6%A5%B7 1

https://ctext.org/post-han?searchu=%E6%A8%A1%E6%A5%B7 1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模楷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어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n/QueryPoem.aspx?key=%e6%a8%a1%e6%a5%b7&au=&st=3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模楷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어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그리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sou-yun.cn/QueryPoem.aspx?key=%e6%a8%a1%e6%a5%b7&au=&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模楷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www.guoxuedashi.com/hydcd/252155u.html 

(발췌 시작)

模楷

 

1.楷模,榜樣。
 《後漢書‧黨錮傳序》:“天下模楷李元禮,不畏強禦陳仲舉。”
 唐李德裕《代符澈與幽州大將書意》:“比聞海內之論幽州,師有紀律,人懷義心,河朔諸軍以為模楷。”
 明劉基《送余希賢歸江東序》:“當是時,天下之想望二公,不啻如麒麟鳳凰。而二公亦直以天下之模楷自任。”
 鄒韜奮《團結的推動力》:“進步的固須繼續努力,不夠進步的也須以更進步自勉,彼此以進步的模楷為工作的准繩。”
2.效法,學習。
 唐劉知幾《史通‧序列》:“苟模楷曩賢,理非可諱。”
 元沈禧《一枝花》套曲序:“茲不自揣,勉述南呂一闋以呈。校諸傑作,固不能模楷其萬一。”

(이상, 발췌 끝)

[이상, 2019년 7월 16일자 내용 추가 끝]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秘探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A7%98%E6%8E%A2%2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A7%98%E6%8E%A2


 6 煩劇暢茂       번극창무         가르침이 번성하면

         번성하고 많은데다 창달(暢達)해서/(2017년 7월 8일) 번성하고 많은데다 우거져서 무성해서

   번다(煩多)하고 무거운 직무(煩劇, 주: 한한대사전)가 매우 무성하면(暢茂, 주: 한한대사전)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煩劇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5%A9%E5%8A%87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5%A9%E5%8A%87

 

그리고 煩劇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煩劇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8F2ED93EAA4FDE5451B727DB17BE001&cult=TW&bv=1

(발췌 시작)

煩劇

 

    【1】繁重。《漢書·食貨志下》:“民搖手觸禁﹐不得耕桑﹐繇役煩劇﹐而枯旱蝗蟲相因。”《北齊書·孫搴傳》:“〔{孫搴}〕又能通{鮮卑}語﹐兼宣傳號令﹐當煩劇之任﹐大見賞重。”《儒林外史》第七回:“況我看見你不喜理這煩劇的事﹐怎生是好?”【2】指繁重的事務。{晉}{葛洪}《抱樸子·百里》:“州牧郡守﹐操綱舉領﹐其官益大﹐其事愈優﹐煩劇所鍾﹐其唯百里衆役於是乎!”{宋}{曾鞏}《知開封府制》:“尹正之寄﹐非仁篤公勇﹐材任煩劇﹐不能稱其職。”{明}{王守仁}《傳習錄》卷中:“茍當其能﹐則終身處於煩劇而不以爲勞﹐安於卑瑣而不以爲賤。”

(이상, 발췌 끝)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暢茂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A%A2%E8%8C%82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A%A2%E8%8C%82

 

그리고 暢茂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暢茂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91BBD8227617B1F27DE7CFD5158224B&cult=TW&bv=1

(발췌 시작)

暢茂

 

    【1】旺盛繁茂。《孟子·滕文公下》:“草木暢茂﹐禽獸繁殖。”《舊唐書·德宗紀下》:“朕以春方發生﹐候及仲月﹐勾萌畢達﹐天地和同﹐俾其昭蘇﹐宜助暢茂。”《續資治通鑒·元世祖至元十七年》:“山皆草石﹐至{積石}方林木暢茂。”{郭沫若}《蔡文姬》第四幕:“丞相府后園中的{松濤館}﹐有蒼松古柏甚為暢茂﹐花壇中芍藥盛開。”【2】謂文筆通暢,感情充沛。{宋}{阮閱}《詩話總龜·書事》:“{劉太真}與{韋蘇州}書云:‘{顧著作}來﹐以足下《郡齋燕集》相示﹐云何情致暢茂遒逸之如此!’”

(이상, 발췌 끝)


 7 殆冀瞶聾       태기귀롱         소경이나 귀머거리

                                소경이나 귀머거리도

                 대개/반드시() 바라건데() 소경과 귀머거리도(瞶聾)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殆冀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E%86%E5%86%8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AE%86%E5%86%80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瞶聾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E%B6%E8%81%BE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E%B6%E8%81%BE

 

 

그리고 瞶聾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瞶聾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C81492D0BA1F5EDF8B7E4B47769EFD77&cult=TW&bv=1

(발췌 시작)

聾瞶

 

    【1】耳聾眼瞎。喻愚昧無知。{宋}{司馬光}《謝胡文學惠水牛圖二卷》詩:“有如歌《九韶》﹐鐘鼓樂聾瞶。”{明}{楊慎}《藝林伐山·視聽》:“汨沒於聲之中者﹐謂之聾瞶;超脫於聲色之表者﹐謂之聰明。”{別士}《刊印憲政初綱緣起》:“于是天下之人﹐皆謂專制之政﹐不足復存于天下;而我之大夫﹐亦不能如向日之聾瞶矣。”{清}{黃遵憲}《雜感》詩:“{秦皇}焚詩書﹐乃使民聾瞶。”

(이상, 발췌 끝)


 8 僉懺誤謬       첨참오류         모든 사람 참회하리

                                모두 잘못 뉘우칠 수 있으리라

                       오류(誤謬)를 모두() 뉘우칠(懺悔) 수 있으리라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僉懺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3%89%E6%87%BA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3%89%E6%87%BA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誤謬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A%A4%E8%AC%AC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A%A4%E8%AC%AC

 

그리고 誤謬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誤謬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0E1823BAB30423D51F23BA4F928FE49&cult=TW&bv=1

(발췌 시작)

誤謬

 

    亦作“[誤繆]”【1】謬誤﹔差錯。{李大釗}《唯物史觀在現代史學上的價值》:“以政治概括社會生活﹐乃是以一部分概括全體﹐陷于很大的誤謬了。”《三國志·吳志·韋曜傳》:“囚撰此書﹐實欲表上﹐懼有誤謬﹐數數省讀﹐不覺點污。”{宋}{陸游}《跋<樊川集>》:“{唐}人詩文﹐近多刻本﹐亦多經校讎。惟{牧之}集誤繆特甚。”

(이상, 발췌 끝)

 


右節, 鑒上主創造之迹, 以啓世人誠信之心. 承上章以起下文也.
우절, 감상주창조지적. 이계세인성신지심. 승상장이기하문야.


迹, 迹象. 勳, 功勞. 楷模, 制之有定者也. 煩劇, 繁多也.
적, 적상. 훈, 공노. 해모, 제지유정자야. 번극, 번다야.


冀, 望也. 懺, 悔也.
기, 망야. 참, 회야.

 

윗글은 상주께서 천지를 창조하신 그 흔적을 통해서 세상 사람들에게 그리스도를 믿는 참다운 마음을 깨우치고자 한 것이다. 이 절은 앞 절을 이어받으며 이 다음의 구절을 끌어들이는 것이다.


적(迹)은 자취와 형상이며 훈(勳)은 공로이다. 해모(楷模)는 창조의 원리이며 번극(煩劇)은 번성하고 많은 것이다. 기(冀)는 바람이며 참(懺)은 뉘우침이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414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